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 1 . 저서환경 1 . Benthic Environment

        홍재상,임현식 한국수산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2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저서환경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7년 6월부터 1990년 5월까지 12개 정점에서 표층 및 저층수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와 퇴적물의 입도조성 및 유기물량을 조사하였다 진해만의 저서환경은 내만으로 들어 갈수록 퇴적물 입도의 세립화, 높은 유기물함량, 여름철 성층의 발달로 인한 저층 빈산소수괴의 형성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저층의 빈산소수괴는 5월부터 내만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점차 외해역으로 확산되어 9월에 최고에 달하였으며, 진해만 전 해역의 절반 이상이 빈산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층의 빈산소 환경은 가을철로 접어들면서 성층의 점진적 소멸과 함께 회복된다. 저층수의 수온, 염분 및 용존 산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및 유기물 함량의 5개 환경요인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해연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공간 분포는 전반적으로 퇴적물의 유기물함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clarify the benthic environmental properties as a part of a study 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Chinhae Bay System,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DO) in surface and bottom water layers, mean grain size (φ) and sediment organic carborn (SOC) in surface sediment were analyzed at twelve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87 to May 1990. A high sediment organic carbon and hypoxic condition in bottom water due to the development of summer stratification and fine sediment texture toward the inner bay were importa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hinhae Bay. Hypoxic conditions began to develop in the inner bay from May, and gradually spread toward the outer bay in summer with a peak in September when half the bay was affected by this oxygen deficiency. Recovery from this hypoxic condition in the bottom layer was observed from the beginning of autumn together with a disappearance of the summer stratific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ere carried out from the following five environmental variables:mean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in the bottom layer and mean grain size, sediment organic carbon in surface sediment. The twelve sta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l groups based on the analyses. The division of the areal groups had high correlations to the sediment organic carbon content.

      • KCI등재

        해양 저서동물 군집을 이용한 진해만의 환경 평가 : 종별 개체수 분포 특성에 따른 그래프 분석기법의 적용 An Application of Some Graphic Methods by Distribution Pattern of Individuals Among Species

        홍재상,임현식 한국수산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5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에 대해 Sanders(1968)의 희박법(Rarefaction method), Warwick(1986)의 개체수-생물량 비교법(Abundance-Biomass Comparison method), Gray(1979)의 대수-정규 분포 응용법 (Log-Normal Distribution method) 및 Frontier(1985)의 순위-빈도 곡선법 (Rank-Frequency Diagram method) 등의 환경 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진해만의 오염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방법들 가운데 개체수-생물량 비교법은 오염해역에 개체당 생물량이 큰 이매패류인 Periglypia cf. puerpera와 Macoma tokyoensis와 다모류인 Nectoneanthes multignatha가 출현함으로서 이 방법의 원리에서 요구하는 전제 조건을 잘 반영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3가지 방법은 진해만의 환경을 잘 반영하고 있었으며, 가장 내만에 위치한 Group-Ⅰ이 가장 오염된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진해만 중앙부 해역인 Group-Ⅱ도 상당히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해만 입구인 Group-Ⅲ과 Ⅵ는 내만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염의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법들 가운데 종별 개체수 자료만을 필요로 하는 대수-정규 분포 응용법이 오염을 평가하는데 가장 편리하고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그 밖의 희박법 및 순위-빈도 곡선도 상대적 평가 방법으로는 유익한 수단이 된다. 우리나라의 다른 해역에서의 오염평가도 저서동물의 분포특성을 이용한 이러한 다양한 환경평가 기법을 시도해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Four simple plotting techniques using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s among species were applied and the results discussed to evaluate the methods for detecting organic pollutioninduced perturbation in marine benthic communities in Chinhae Bay, Korea: Rarefaction method, Abundance-Biomass Comparison method, Log-Normal Distribution method and Rank-Frequency Diagram method. Their distribution curves offered more information on the community structure than other frequently used diversity indices and distinguished clear evidence of an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with gradient. However, the Abundance-Biomass Comparison method could not be considered applicable due to the presence of larger slowly growing K-strategists in a polluted area of the inner Chinhae Bay, Korea.

      • KCI등재

        First Finding of the Mud Shrimp Upogebia yokoyai Makarov, 1938(Crustacea: Decapoda: Upogebiidae) in Korean Waters

        홍재상,이채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6 No.3

        The thalassinidean upogebiid Upogebia yokoyai Makarov, 1938 was first collected and described based on the specimens from the upper tidal flat of sandy shores of Jeju Island, Korea. Although this species was already reported in Japan and Russi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its occurrence in Korea. Upogebia yokoyai differs clearly from other upogebiid species previously recorded in Korean waters, U. major and U. issaeffi, by spinulation of the dactylus and propodus of pereiopod 1. In addition, some morphological comparisons are provid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hree Upogebia species in Korean waters.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Thalassinid Upogebia issaeffi (Balss, 1913) (Crustacea: Decapoda: Upogebiidae) in Korean Waters

        홍재상,이채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Ocean science journal Vol.49 No.1

        Several specimens of Upogebia issaeffi (Balss, 1913) found on Namhae Island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ere they were collected in the intertidal boulder habitat,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This species has been reported from Vladivostok, Russia to Kagoshima, Japan, but this is the first reported occurrence in Korean waters. The species, closely related to the common Upogebia major that have been reported to be in Korean waters by Kim (1973), are distinguished by the morphology of the dactylus of the first pereiopod. Specifically, in male U. issaeffi, the dactylus has a longitudinal crest bearing a row of fine transverse striae, two longitudinal rows of granules on the outer side, a row of 12-16 granules and another row of 10-13 oblique ridges on the innr side. However, in females, the dactylus lacks a row of transverse striae butbears a row of rounded granules instead on the upper margin onouter side. Oblique ridges are also present on the inner side, butthey are much shorter and less conspicuous than in males.

      • KCI등재

        인천연안 간석지산 주요 저서생물의 성장과 생물생산 -I. 척전지역 간석지에 서식하는 맛조개, Solen (Solen) strictus의 성장-

        홍재상,박흥식,HONG Jae-Sang,PARK Heung-Sik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5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인천시 남구 동춘동에 위치하는 척전 조간대 간석지에 서식하는 맛조개의 성장에 대해 조사하였다. 서시밀도는 $1m^2$당 평균 128개체이며, 윤문(輪紋)은 1년에 1회 생성되어 연령사정의 기준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문의 형성 시기는 5월이며, 초륜(初輪) 형성시의 연령은 11개월로 판명되었다. 비만도의 증감에 의해 1989년도 인천 인근의 척전산 맛조개의 산란은 연 1회, 그 시기는 6월 중으로 밝혀졌으며, 정확한 시기는 수온의 영향에 따라 해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은 착저 후 1년 동안 평균 30.94 mm로 가장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데 4년이 되면 6.2 cm까지 성장한다. 한편,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성장 방정식에 의해 각장의 성장은 $L_{t}=81.865(1-e^{-0.320(t+0.487)})$, 체중의 성장은 $W_{t}=7.173(1-e^{-0.320(t+0.487)})^3$로 유도되었으며, 이때 극한 최대각장은 81.865 mm, 극한 최대체중은 7.713 g로 채집된 최대각장 및 최대체중인 72.5 mm와 7.713 g 보다 각각 9 mm와 1 g 높게 추정되었다. Razor clam, Solen (Solen) strictus, was collected between May 1989 and July 1990 on a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The population sampled at just above mean sea level had a mean density of 126 individuals/$m^2$. Age was determined for 872 specimens by counting annuli, a series of closely-spaced concentric growth lines. According to the fatness index spawning seemed to have occurred once per year in June, and the first recruits for the 1989 year cohort population were found in July. Solen (Solen) strictus on the Chokchon tidal flat reached a shell length of 6.2 cm in four years. Mean growth in shell length can be described by the von Bertalanffy function, which yielded estimates of growth parameters equivalent to $L_{\infty}=81.865\;mm$ shell length and K=0.320 per year: $$L_{t}=81.865(1-e^{-0.320(t+0.487)})$$$$W_{t}=7.173(1-e^{-0.320(t+0.487)})^3$$

      • KCI등재후보

        법성포 와탄천 하구역의 염분과 퇴적환경에 따른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홍재상,임현식,Hong, Jae-Sang,Lim, Hyun-Sig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1

        서남해역에 위치한 법성포항 인근의 와탄천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공간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구역 입구에서부터 염분 구배에 따라 10개 정점을 설정하였다. 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해 1998년 6월부터 1999년 1월까지 van Veen grab(0.1m$^{2}$)을 사용하여 각 정점당 3회씩 퇴적물을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114종이 출현하였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44종(전체 출현종수의 39%), 갑각류가 34종(30%), 그리고 연체동물이 24종$(21%)을 차지하였다. 평균 밀도는 3,053개체/m$^{2}$로서, 다모류가 2,536개체/m$^{2}$(83%), 갑각류는 439개체/m$^{2}$(14%)였다. 생체량은 58.23g/m$^{2}$로서 다모류와 연체동물이 각각 29.56g/m$^{2}$ 및 23.38g/m$^{2}$로서 전체 생체량의 51% 및 40%를 차지하였다. 기수성 다모류인 Minuspio japonica, 옆새우류인 Corophium sinense, Grandidierella japonica, 이매패류인 Potamocorbula amurensis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는데, 이들은 담수가 유입되어 염분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점들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특징을 보였다. M. japonica는 염분과 G. japonica는 퇴적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C. sinense및 P. amurensis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저층 염분이 낮은 배수갑문 근처의 정점에서는 다모류인 Hediste japonica가 집중적으로 출현하였으며 염분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종 다양도는 하구역 입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하구역 내로 들어올수록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특히 담수의 영향을 받으며 모래질 퇴적상으로서 입도가 조립한 배수갑문 인접 정점들에서는 빈약한 생물상을 나타내었다. 집괴분석 결과 저서동물 군집은 외해역으로부터 수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정점군으로 대별되었으며, 각 정점간에는 출현종수와 밀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이러한 정점군의 배치는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담수로 인한 염분 구배 및 퇴적상에 따라 구획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공간분포는 다양한 무기 환경 요소들 가운데 일차적으로 저층수의 염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차적으로 퇴적상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zoobenthos was studied along the salinity gradi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Watancheon estuary, Beobseongpo, southwest coast of Korea. Ten stations were set from the mouth towards the head of estuary. Three replicate sediment samples were taken using a van Veen grab (surface area $0.1m^{2}$) at each station between June 1998 and January 1999. A total of 114 spec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and they are composed of 44 species of polychaetes (39%), 34 of crustaceans (30%), 24 of molluscs (21%) and 12 of miscellaneous. The former two taxa together accounted for 69% in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he mean density was 3,053 ind./m$^{2}$, comprising 2,536 ind./m$^{2}$ from polychaetes (83%) and 439 ind./m$^{2}$, crustaceans (14%). Moreover, the mean biomass was 58.23 gwwt./m$^{2}$, consisting of 29.56 gwwt./m$^{2}$ from polychaetes (51%), 23.38 gwwt./m$^{2}$, molluscs (40%). A spionid polychaete Minuspio japonica, two corophiid amphipods Grandidierella japonica and Corophium sinense, a bivalve Potamocorbula amurensis were major dominants at the head of estuary where the salinity was relatively lower compared with contiguous sites. The distributions of M. japonica and G. japonica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alinity and sediment environment, respectively, whereas C. sinense and P, amurensis showed no significance. The nereid polychaete, Hediste japonica, also predominated at the head of the estuary where bottom salinity was relatively low. Species diversity was high at the mouth area whereas low diversity and few species number were seen at the stations in the head of the estuary, influenced by freshwater and sandy sediment.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four station groups from head (station group A) toward mouth (group D) in the study area.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between station group B and 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abundance of between two neighboring station groups (station group A and B, B and C, C and D) was also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benthos in this estuary seemed mainly related to gradients in bottom salinity and sediment grain size among environmenta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