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청주시 녹지의 환청개선 기능 평가

        고강석,서민환,김정현,김기대,길지현,김정수,이명우,Koh, Kang Suk,Suh, Min Hwan,Kim, Jung Hyun,Kim, Kee Dae,Kil, Ji Hyun,Kim, Jeong Soo,Lee, Myung Woo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999 환경영향평가 Vol.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s of green spaces for the environment amelioration in Chongju Ci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amounts of $SO_2$ and $NO_2$ which can be absorbed by green spaces in Chongju City from EPA model were calculated as 27,655 tons and l,551 tons per year, respectively. 2. It was estimated that more green spaces were needed to mitigate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 at Songjung-Dong, Bokdae-Dong and Sachang-Dong in Chongju City. This is acquired as a result of overlaying the map of administrative district, forest state, and $SO_2$ isoline using GIS method. 3. The amounts of green spaces and the selection of their proper location have to be considered at the stage of city planning and in this case, the amounts of air pollutants are also considered.

      • KCI등재

        인태아 거골 골화과정에서 연골관의 역할

        고강석(Koh Kang Suk),김백윤(Kim Baik Yoon),윤재룡(Yoon Jae Rhyong) 대한체질인류학회 199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6 No.1

        장관골의 골단연골에 출현하는 연골관은 이자골화중심부 형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보고된 이래 이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만골의 연골관에 관해서는 출현시기를 보고하였을뿐 연구가 거의 없는 듯 하다. 단골을 일자골화중 심부가 늦은 시기에 출현하며 장관골저럼 골단연골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골에 출현 한 연길관의 출현시기와 분포 연골관내에 함유된 조직들을 관찰함은 의미있는 일이라 사료 된다. 본 연구는 좌고 60mm 태아부터 출생직전의 인태아를 대상으로 서골연팔부에 출현하는 연 골관의 사기와 분포 연골관내 조직들의 미세구조와 이들세포가 골화중심부 출연에 미지는 영향을 구명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거골제연골의 연골관은 좌고 80mm(l3주) 태아때 적응 관찰되었고 이들은 연골막조직과 연결되어 있었다. 180mm(21주) 태아때는 다수의 연골관이 족배면과 족적면에서 거골연골체중앙 부로 뻗고 있었고 거골제연골의 중앙부에는 비대연골세포대가 줄변하였다. 이 시기에 연골관은 표증연골세포대에 존재하는 전연골관과 비대연골세포대에 존재하는 중간연골관들이었다.이들 연공관내에는 섬유모세포 공포함유세포 벚 간엽세포와 오세혈관들을 합유하고 있었고 섬유모세포와 공유합유세포는 비석희화연콜기질에 상정하고 였였다 210mm( 24 주 ) 태아때 거 콜제 연골은 석희화연콜로 분화발육하고 주위에 십연골관이 존재하고 있었다. 성연골관의 끝 부분은 골형성세포 골모세포 및 석희화연골세포들의 집단을 이루고 있었고 석회화기질의 흡수부는 파연골세포의 ruffled border 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240mm(27 주 ) 대아때는 거콜의 중앙부에 콜화중 섬부가 줄변하였고 골수강에는 골형성세도 골모세도 조혈세포 벚 모세염 관틀로 채워져 았었다 일자콜화중심부 외즉 공약에서 막성골화가 진행되고 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거골의 연공관내에 존재하고 있는 혈관성 골형성세포들이 분화 발육하여 골화중성부 형성에 관여하라라 사료된다.

      • KCI등재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청주시 녹지의 환경개선 기능 평가

        고강석(Kang Suk Koh),서민환(Min Hwan Suh),김정현(Jung Hyun Kim),김기대(Kee Dae Kim),길지현(Ji Hyun Kil),김정수(Jeong Soo Kim),이명우(Myung Woo Lee)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999 환경영향평가 Vol.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s of green spaces for the environment amelioration in Chongju Ci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amounts of SO₂ and NO₂ which can be absorbed by green spaces in Chongju City from EPA model were calculated as 27,655tons and 1,551tons per year, respectively. 2. It was estimated that more green spaces were needed to mitigate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 at Songjung-Dong, Bokdae-Dong and Sachang-Dong in Chongju City. This is acquired as a result of overlaying the map of administrative district, forest state, and SO₂ isoline using GIS method. 3. The amounts of green spaces and the selection of their proper location have to be considered at the stage of city planning and in this case, the amounts of air pollutants are also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울릉도의 귀화식물 분포

        길지현(Ji Hyon Kil),박수현(Soo Hyun Park),고강석(Kang Suk Koh)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2

        Non-native flora of the Ulleung island,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Korea, was surveyed as 54 taxa with 16 families, 35 genera, 53 species and 1 variety.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spects of the island, the flora of the island showed more closely related with Korean Peninsular than Japan. Poaceace (28%) and Asteraceae (24%) represents more than 50% of the non-native flora in Ulleung island, meaning that they have an advantage of seed dispersal and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s. Ulleung island is comparatively small island of vulnerable to the attack of invasive alien plants but presently, it has the least number of non-native plants than other areas in South Korea. Therefore, we need to take much interest in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non-native plant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생태계 단편화 현황과 생태통로 조성 실태

        김기대(Kee Dae Kim),길지현(Ji Hyun Kil),최병진(Byung Jin Choi),서민환(Min Hwan Suh),고강석(Kang Suk Koh),최덕일(Deog Il Choi)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998 환경영향평가 Vol.7 No.2

        In order to assess the present status of the fragmentation of ecosystem and the building of ecological corridor, 79 EISs(Environment Impact Statements) which were conducted in Kyunggido and Kangwondo have been reviewed using 36 analysing facto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type of ecosystem fragmentation was `mountain vs. mountain type in topography` and `2 vs. 2 grades in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b. The most frequently listed fauna in EISs included squirrels and wild rabbits for mammals, grass snake and pit viper for reptiles, and tree frog and true tree frog for amphibians. c. Among the EISs for 50 projects,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corridor mentioned in only 4 projects and other structures such as drainage duct and closed conduit in 14 projects were suggested as ecological corridor. There were no corridors suggested in 32 projects. Thus, in case of using other structures for wildlife animals but ecological corridors, it should be accompanied by incidental facilities for including animal movement.

      • KCI등재

        가스상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활엽수의 정화능력 평가인자

        김정규,고강석 한국환경농학회 1996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5 No.4

        도시지역이나 공단지역과 같은 대기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의 가로수, 공원수, 녹화수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활엽교목류 중에서 내연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는 가중나무, 능수버들, 양버즘나무, 은단풍나무, 은행나무를 대상으로 가스상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흡수·흡착능력을 간편하게 비교할 수 있는 평가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물환경조절실에서 SO₂, NO₂, CO 가스 접촉실험을 실시하였다. 가스소비량은 가중나무가 가장 많았고 양버즘나무가 가장 적었다. 기공확산저항치는 가스소비량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정화능 지표로서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체내에 흡수축적된 전황 및 수용성황 함량과 기공밀도는 가스소비량과 다른 변화경향을 나타내 수목의 종합적인 대기오염정화능을 지표하지는 못하였다. I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vailabilities of parameters for evaluating the sink capacity of the broad leaves trees such as Acer saccharium, Ailanthus altissima, Ginkgo biloba, Platanus occidentalis and Salix pseudolasiogyne. These trees, repoted as resistant species to air pollutants, were exposed to SO₂, NO₂and CO within a phytotron at 25℃ with 70% of relative humidity. Since the amount of ad- or absorbed gas does not always agree with the amount of accumlated pollutants in leaves and with the stomatal density,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ad- or absorbed gas is the most basal index to evaluate the sink capacity of trees. The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which has a good agreement with the amount of ad- or absorbed gas, is also available for evaluating the sink capacity of broad leaves tr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