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방형 Wi-Fi기반 위치정보를 활용한 SNS 구현

        강희원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Smart phones become popular all over the world recently. At the same time, demand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SNS by utilizing low-cost reliable Wi-Fi network and position information, is expected to keep growing. In this thesis, Implementation of SNS based on an Open Wi-Fi & Position Information was proposed. This service is achieved by constructing an Open Wi-Fi network based on a built AP access information database. And in order to provide durable connection in mobile environment, RSS detect AP switching module and mobile IP are utilized in the proposed service. Furthermore, with the utilization of GPS information of AP, AP providers could deliver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s, promotion ev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AP us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us a position information based SNS was also proposed in this thesis.

      • 발달장애 청소년의 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관련 연구 분석 : 2012˜2022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강희원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2년 2월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연구 24편을 분석하여 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중재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 대상이 전체 청소년 중 비장애 청소년 대상보다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언어 중재 연구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학술 등재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 크기,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중재 논문 24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학령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고등학생과 초기성인기, 성별은 여학생 보다 남학생의 비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는 특수학교, 언어치료 센터에서 중재를 수행한 연구가 5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의 총 회기 수는 16회기, 회기별 시간은 50분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 대상 유형 중 지적장애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 설계의 유형은 사전 사후 설계와 단일 집단 대상의 연구가 많이 실시되었으며, 중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중재를 실시한 후 반복 측정, 중재 충실도, 중재의 일반화 여부를 기술하지 않은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24 studies on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from 2012 to February 2022 to examine the flow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 Intervention studies for adolescents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language intervention studie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ather than adolescents without disabilities among all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ffect size,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udie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For this purpose, 24 intervention paper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from 2012 to 2022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the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school age ranged from upper elementary school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arly adulthood, and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s for the location, 5 studies that performed interventions at special schools and speech therapy centers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of the study was 16,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50 minutes the most. Second, among the types of study subjects,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Third, as for the type of research design, a lot of pre-post design and single-group researc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intervention,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did not describe repeated measures, generalization of interventions, and intervention fidelity after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rections were presented to effectively provid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and relate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posed.

      • 청각적 감성을 더한 금속사물 제작연구

        강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소리는 우리 주변에 가득하다. 일상 속에는 수많은 움직임이 있고 그 움직임은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만들어 낸다. 모든 사물들은 사용되며 움직이고 소리를 낸다. 그러나 그 소리는 너무나 일상적이어서 간과되기 쉽다. 일상의 사물에 특별한 소리를 담아 새롭고 풍성한 미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청각적 감성을 더한 사물을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특히 금속성 소리의 양가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금속성 소리 중에는 듣기 싫은 마찰음도 있지만 풍경소리와 같이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맑고 영롱한 소리도 있다. 이 논문은 듣기 편안하고 기분을 좋게 만드는 금속의 작고 맑은 소리를 일상 사물에 접목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현대 소음사회가 인간에게 미치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살펴보았다. 도시소음에 익숙해져 소리에 둔감해진 현대인들이 어떤 소리에 편안함과 즐거움을 느끼는지 또 편안한 소리의 특성과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일상 사물 중 소리가 나는 사례를 찾아 어떤 원리에 의해 소리를 내는지 살펴보고, 사물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소리 구조를 찾아내었다. 그리고 소리 구조를 더하여 청각 감성을 자극 할 수 있는 사물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물의 기본 형태를 해치지 않으면서 억지스러운 힘을 따로 가하지 않아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소리가 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물의 주 기능을 하는 공간은 그대로 두고 그 외 공간인 손잡이나 굽, 뚜껑과 같은 공간에 소리를 내는 구조인 음판과 구슬을 담았다. 연구 초반에는 금속의 기본적 성질인 탄성을 이용하여 맑고 특별한 소리를 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탄성이 좋은 얇은 금속판을 서로 길이가 다르게 자르고 그 위에 구슬을 얹어 그 구슬이 구르며 소리를 내는 방식을 찾아낼 수 있었다. 특히 적정한 음량과 경쾌한 음역대의 맑고 영롱한 금속 특유의 소리를 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후반부에는 소리 나는 사물의 청각적 효과 뿐 아니라 시각적 효과를 위해 금속 고유의 다양한 색을 이용하여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절상감 기법 중 서로 끼우지 않고 맞댄 채 은땜을 하여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하는 marriage of metals 기법을 사용하였다. 적동, 황동, 백동의 세 가지 금속 특유의 색을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다양한 비례와 변화를 만들었고, 이를 통해 소리의 리듬감과 즐거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리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람과 사회의 소통과 상호작용에 큰 역할을 한다. 시각을 중심에 두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청각적 요소를 경시하거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청각에 둔감해지게 된다. 사물의 작은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을 통해 청각 감성을 자극하고 미적 체험을 더 풍성하게 하는 데에 이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Adolescent smoking and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강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청소년을 담배 제품 사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인구집단 수준의 담배 사용을 줄이기 위한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2005년 담배규제기본협약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비준 이후 다양한 담배규제정책 추진에 대한 결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흡연율 감소 추세의 둔화와, 신종 담배 제품 관련 행태의 변화는 사회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새로운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신규 세대는 사회적 변화의 원동력이 된다. 역학적 관점에서 세대 효과, 또는 출생 코호트 효과는, 출생연도에 따라 건강 결과의 위험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세대/출생 코호트 효과는 일반적으로 인구집단 수준의 노출 변화를 수반한다. 따라서, 세대에 대한 역학 연구는 건강 결과에 대한 출생 코호트 효과와 인구집단 수준의 노출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노출의 변화는 세대 특성을 의미한다. 청소년 흡연의 코호트 효과와 세대 특성을 확인하는 것은 특정 연도 이후 출생자에게 담배 판매와 공급을 제한하는 전략인 담배없는 세대 (Tobacco-free generation, TFG) 전략 추진을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TFG는 공급을 규제하는 전략이나, 이 전략이 최종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세대 간 담배 관련 규범의 차이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담배 규제 정책 또는 중요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출생 코호트 효과는 청소년의 담배 사용 행태에 세대 특성이 내포되어 있다는 전제를 가지는 전략에 대한 근거로 작용한다. 이 연구는 청소년 흡연의 세대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출생 코호트 간 흡연 행태 차이와 이 차이에 기여하였을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세대 정체성 이론과 유사한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기의 성인 경험과 청소년 흡연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담배 사용과 관련된 신규 세대의 출현에 기여할 수 있는 신종 담배 제품의 사용 현황과 신종 담배 제품들이 다른 담배 제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다음, 신종 담배 제품 사용에 대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 흡연율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한 자료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연령: 12세-18세)의 건강행태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이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흡연율 변화 추세의 출생 코호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연령-기간-코호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2011년 도입된 학교, 청소년 시설을 포함한 모든 공중이용시설의 금연구역 지정과, 2015년 역대 최대 규모의 담배 가격 인상 (2500원/갑 → 4500원/갑)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분절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로, 연령-기간-코호트 분석에서 도출된 출생연도별 흡연 위험을 바탕으로 출생 연도 구간을 구분하였으며, 해당 구간별로 세대 형성에 기여하였을 수 있는 거시적 환경 요인들을 기술하였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성인 경험과 청소년 담배 사용의 연관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때 고려한 성인 경험은 동일 성별, 연령 내 95 백분위수를 초과하는 신장, 10세 이하에서의 성 성숙 경험 (첫 월경 및 몽정), 부모로부터 독립적인 거주, 그리고 근로 경험이다. 그 다음으로 성인 경험과 부모 및 교사 흡연의 덧셈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추가 분석으로 청소년 개인의 성인 경험과 가까운 성인의 흡연 노출에 대한 코호트별 변화 추세를 확인하였다. 세번째 연구에서는 전자담배 및 가열담배의 사용률과 해당 제품들이 다른 담배 제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첫째로, 청소년을 8개의 상호 배타적인 담배/니코틴 제품 사용 상태로 구분한 후, 궐련 담배 및 다른 담배 제품에 대한 관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코프 모형을 적용하였다. 추가로, 청소년에서의 다중 담배 사용 행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담배 및 가열담배의 단독 또는 동시 사용 현황을 평가하였으며, 전자담배와 가열담배 그리고 궐련 담배 금연 시도 사이의 연관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나리오 분석과 복잡계를 다루는데 특화되어 있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청소년 흡연율의 변화를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청소년 인구는 평생 비흡연자, 현재 흡연자 및 과거 흡연자의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모형 내에서 고려한 부문은 담배 사용자, 담배 규제 정책, 담배 회사, 담배 제품 및 담배 사용에 대한 사회적 영향이다. 기본 모형으로부터 2006년-2018년의 청소년 흡연율 추정치를 도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도출한 모형에 대한 구조 및 행태 타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단계에서 신종 담배 사용에 대한 일련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2019년-2040년의 청소년 흡연율을 예측하였다. 결과: 2006년부터 2017년 사이 우리나라 남학생의 흡연율은 16%에서 9%로, 여학생의 흡연율은 9%에서 3%로 감소하였다. 출생 코호트 효과 분석 결과, 1998년 이후에 태어난 남학생과 1997년 이후 태어난 여학생에서 담배 사용에 대한 위험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 및 청소년 시설을 포함한 공공 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 한 이후, 남학생과 (β=-1.1; 95% CI: -1.9, -0.2) 여학생 (β=-0.4; 95% CI: -0.6, -0.1) 모두에서 장기적인 흡연율 감소 추세가 발생하였다. 반면, 담배 가격 인상 이후에는 여학생에서만 단기적인 흡연율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β=-0.8; 95% CI: -1.5, -0.2). 흡연에 대한 위험에 따라 세 개의 출생 연도 구간이 도출되었으며, 각 구간의 청소년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두번째 연구를 통해 큰 키 (OR=1.18; 95% CI=1.07, 1.30), 성 조숙 (OR=1.47; 95% CI=1.32, 1.63), 부모로부터 떨어진 거주 (OR=1.23; 95% CI=1.07, 1.41) 그리고 근로 경험 (OR=4.38, 95% CI=4.17, 4.61) 각각과 청소년 담배 사용 간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로 경험과 부모 흡연의 조합이 청소년 담배 사용에 미치는 영향은 각 개별 영향이 미치는 영향 크기의 합보다 더 커 덧셈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ERI=0.47; 95% CI=0.11, 0.83). 마찬가지로, 성 조숙 (RERI = 0.54; 95 % CI = 0.12, 0.88), 부모로부터 떨어진 거주 (RERI = 0.55; 95 % CI = 0.09, 1.00), 직업 경험 (RERI=1.84 95% CI=1.42, 2.25) 각각과 교사 흡연의 조합이 각 개별 영향의 합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청소년 전체 중 2.9%는 평생 가열담배 경험자였으며, 7.9%는 평생 전자담배 경험자였다. 가열담배 평생 경험자 중 75.5%는 현재 궐련 담배 사용자였으며, 45.6%는 현재 전자담배 사용자였다. 전자담배 평생 경험자 중 55.4%는 궐련 담배 사용자였다. 평생 담배제품 비사용자와 비교하였을 때, 전자담배 (TIR=8.1; 95% CI=5.2, 12.4) 및 가열담배 (TIR=20.3; 95% CI=7.6, 53.7) 사용자는 궐련 담배 시작에 대해 더 높은 위험을 보였다. 궐련 담배에 대한 관문효과는 전자담배와 가열담배를 모두 경험한 청소년에게서 가장 컸다. (TIR=64.0; 95% CI=41.4, 98.9). 전자담배 평생 경험과 궐련 담배 금연 시도 사이에는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aOR=1.35, 95% CI: 1.15, 1.58), 가열담배 평생 경험과 궐련 담배 금연 시도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aOR=1.06, 95% CI: 0.90, 1.26). 담배 사용자, 담배 규제 정책, 담배 회사, 담배 제품, 및 사회적 영향을 모두 고려한 기초 모형의 R2 값은 0.95로, 2006년-2018년의 실제 청소년 흡연율 수치뿐만 아니라 변화의 동태 또한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상 유지 시나리오에서는 청소년 흡연율이 2019년에 8.2%, 2040년에 6.8%로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열담배 사용의 10배 증가 시나리오에서는, 담배 규제 정책의 영향이 고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3년만에 궐련 담배 사용률이 3.1%p 증가하였으며, 2040년에도 8.6%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 이 연구는 청소년 흡연 변화 추세의 출생 코호트 효과를 확인하고, 세대 형성에 기여한 사건 및 변화를 기술하였으며, 신종 담배 제품의 도입으로 인한 담배 사용 관련 신규 세대 출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담배 규제 정책의 강화, 청소년 흡연율 감소에 특히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정책의 강화, 그리고 담배 사용을 기피하는 사회 전반의 움직임은 최근 청소년 코호트에서 흡연에 대한 위험을 줄이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청소년 사이에서 신종 담배 제품의 빠른 확산과 다른 제품 사용으로의 높은 이행 확률은 기존의 세대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담배 사용 관련 세대의 출현에 기여할 수 있다. 중요 생애 주기에 있는 사람들이 동일한 경험을 하는 것은 세대 정체성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소년 담배 사용 행태의 구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는 초기 청소년 시기이다. 따라서, 향후 담배 규제 정책은 해당 시기의 모든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이전 세대와 새로운 세대를 구별하는데 기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전략의 예시 중 하나는 바로 TFG 제안이다. TFG의 도입은 기존의 세대와 최근 세대의 차이를 확대하여 새로운 규범을 가진 세대, 즉 담배와 무관한 규범을 가진 세대의 출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가열담배와 같은 신종 담배 제품 도입에 의한 신규 담배 사용 세대의 출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담배 규제 정책 및 TFG 전략에 대한 논의는 궐련 담배 사용으로만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모든 담배 제품을 포괄해야 한다. Background: A success in preventing adolescent tobacco use is the most expeditious and effective way to reduce population-level tobacco use. Implementation of a series of tobacco control policies after the ratification of the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led to a substantial decline in the cigarette smoking prevalence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However, the recent deceleration in the reduction of smoking and evolving behavioral patterns regarding non-cigarette tobacco/nicotine product (NCTNP) among adolescents call for a new perspective that can drive societal transformation. Generations are considered engines of social change, as each new generation with new experience shape new culture. Epidemiologic views define generation, or cohort effects, as differences in the risks regarding a health outcome by birth year. These effects are often coincided with shifts in population-level exposure. Therefore, epidemiologic studies of generations or cohorts require identifying cohort effects from a health outcome, and describing changes in the population-level exposure to risk factors. Such exposure changes represent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Examination of cohort effects and related characteristics also serve as an evidence to implement a legislative measure of banning sales or supplies of tobacco products to those born in or after a certain year, known as the tobacco-free generation (TFG).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TFG proposal is to create normativ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Birth cohort differences occurring due to the impact of tobacco control policies, as well as other critical events would be an evidence in favor of measures considering generational traits. In this study, I aimed to address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moking.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seeks to identify birth cohort effects in adolescent smoking, and examine possible changes or events that may have shaped generational cohorts regarding smoking. Second, drawing on the social identity theory, which is in line with the generational identity theory, I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dulthood experiences and adolescent cigarettes smoking, along with the joint association of adulthood experiences, and significant adults (parents and teachers) smoking with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The third focus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 impacts of NCTNPs, which may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regarding tobacco use.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ject the landscape of adolescent smoking with different scenarios regarding NCTNPs. Methods: The four independent studies of this dissertation all us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data of school-attending Korean adolescents aged 12 to 18 years (mean age: 15 years). In the first study, age-period-cohort (APC)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ohort effects on the trends of adolescent smoking prevalence during 2006-2017. Then, the long-term impacts of two denormalization policies: banning of smoking in public places including schools and adolescent facilities, and the largest-ever increase in cigarette prices from 2500 WON per pack to 4500 WON per pack, were analyzed by segmented regression models. In addition, birth year intervals were delineated by the risks of smoking obtained from the APC model, and potential generation shaping events and changes were described accordingly. For the second study, the association of adulthood experience and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was examined by perform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adulthood experienc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height above the 95th percentile for age and sex, sexual development before 10-years old or younger, living arrangements away from parents, and having a job experience during the past 12-months. Tests for additive interaction between adulthood experiences, and parents or teacher smoking, with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were also conducted. Moreover, additional analyses examining cohort differences in the exposure to adulthood experience and significant adult smoking were performed. Third, the prevalence, and the impacts of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s (ENDS) and heated tobacco products (HTPs) on other tobacco/nicotine product use behaviors were assessed. First,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mutually exclusive tobacco or nicotine use states. A multistate Markov model was applied to identify transitions between the states to assess gateway effects to cigarettes and other NCTNPs. Moreover, the prevalence of ENDS and HTPs were examined solely or jointly with other product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NCTNPs and cigarette quit attempts were examined to identify polytobacco use among adolescents. Lastly, a model based on the system dynamics methodology specialized in scenario testing, and handling complex systems was developed. The population of adolesc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utually exclusive groups of never smokers, current smokers and former smokers. The sectors included in the model were tobacco users, tobacco control policies, tobacco industry, tobacco products and social influence. The estimates derived from the exploratory model showed adolescent smoking prevalence from 2006 to 2018. Tests for validity, including tests for structure and behavior, were performed on the explanatory model. Then scenario testing assessing the impacts of NCTNP use, particularly HTPs, on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prevalence were conducted through 2019-2040. Results: Between 2006 and 2017, the prevalence of cigarette smoking among Korean adolescents decreased from 16% to 9% in boys, and from 9% to 3% in girls. According to the APC analysis, the risk of smoking decreased with every consecutive year for adolescents born after 1997. After a complete ban on smoking in public places,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cigarette smoking for both boys (β=-1.1; 95% CI: -1.9, -0.2) and girls (β=-0.4; 95% CI: -0.6, -0.1). Immediate decrease among girls was found after cigarette prices increased (β=-0.8; 95% CI: -1.5, -0.2). Three generational cohorts were delineated by risks of cigarette smoking. These generational cohorts depic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second study,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all stature (OR=1.18; 95% CI=1.07, 1.30), precocious sexual development (OR=1.47; 95% CI=1.32, 1.63), independent living from parents (OR=1.23; 95% CI=1.07, 1.41) and work experience (OR=4.38, 95% CI=4.17, 4.61), and adolescent smoking were found. The risk of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associated with a combination of job experience and parental smoking was larger than the sum of risk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factor, indicating an interaction on an additive scale (RERI=0.47; 95% CI=0.11, 0.83). Moreover, the risk of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associated with a combination of precocious sexual development (RERI=0.51; 95% CI=0.12, 0.88), independent living (RERI=0.55; 95% CI=0.09, 1.00) and job experience (RERI=1.84; 95% CI=1.42, 2.25), and teacher smoking was more than the addition of risk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factor, respectively. Additional analyses suggested exposure to parental smoking decreased from 36.7% in 2006 to 21.2% in 2018, and teacher smoking decreased from 26.1% in 2007 to 20.0% in 2018. In all, 2.9% of adolescents were ever HTP users and 7.9% were ever ENDS users. Among HTP ever users, 75.3% were current cigarette users and 47.2% were current ENDS users. Similarly, among ENDS ever users, 55.4% were current cigarette users. Compared with never use, use of ENDS and HTP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initiation of cigarette use (TIR=8.1; 95% CI=5.2, 12.4 and TIR=20.3; 95% CI=7.6, 53.7, respectively). The gateway effect was greatest in subjects who had used both ENDS and HTPs (TIR=64.0, 95% CI=41.4, 98.9). Transitions between ENDS and HTPs were frequent. Unlike ever use of ENDS, which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making cigarette quit attempts (aOR=1.35, 95% CI: 1.15, 1.58), no difference in cigarette quit attempts were found by ever use of HTPs (aOR=1.06, 95% CI: 0.90, 1.26).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prevalence simulated by the explanatory model including the users, policy, industry, products, and social influence performed well in replicating the overall dynamics of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prevalence from 2006 to 2018, and showed the highest R2 coefficient of 0.95 among all other models. The status quo model showed gradual decrease in smoking prevalence from 8.2% in 2019 to 6.8% in 2040. On the other hand, the ten-fold increase in HTP use (HTP ever use: 28%) scenario showed that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increase by 3.2%p within three years. Under such scenario, smoking prevalence of 8.6% at 2040 was higher than that of 2019, even with tobacco control policies in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birth cohort effects in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elucidated generation-shaping events and change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NCTNPs such as HTPs. The strengthening of overall tobacco control policies, along with policies specifically targeting adolescents, and societal level movements away from smoking contributed to reduced risks of cigarette smoking among recent cohorts. However, rapid adoption of novel and emerging tobacco/nicotine products and the high likelihood of transitioning to other product use among adolescents lay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a new tobacco-related generation. In creating generational identities, the role of collective experiences among those in critical stages are emphasized. The critical stage for formulating patterns of tobacco use are during early adolescence years. Thus, future tobacco control strategies must be focused on differentiating one generation from another, by implementing universal tobacco control policies reaching those at early adolescence. One innovative example is the TFG proposal. Implementation of the TFG, would be favorable in creating a new generational norm by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existing and new generations. As mentioned, the results of the study pointed to a possibility of an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regarding tobacco use, as a result of NCTNP penetration into the tobacco market. Both non-legislative and legislative discussions on attaining a generation free from tobacco should cover all tobacco/nicotine products, not just cigarettes.

      • 차연(Differance)으로서의 기원 : 프로이트의 '늑대인간'에 대한 해체적 접근

        강희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기원이 문제로 만들어져야 하는 이유, 그 과정 또 그 문제의 해결방식까지를 프로이트를 통해 살펴보는데 있다. 기원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은 그것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불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이 글의 관심사인 문학비평이나 이론의 가능성까지도 문제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먼저 정신분석학의 토대를 형성하는 주요 원칙이나 개념들이 그 자체로 확고하고도 본질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해 동원되는 비유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스펜스(Donald P. Spence)의 주장대로 고고학적인 비유나 무의식, 중립적인 분석자 또 환자에 대한 분석자의 객관적 이해와 같은 정신분석학의 주요한 개념이나 원칙들은 모두 '정착하지 못하는 비유'(free floating metaphor)에 불과하다. 그것들은 비유적 성질을 망각한 채 이미 확립되어 있는 원칙처럼 기능하고 있을 뿐이다. 더욱이 프로이트가 사용하는 비유는 통합성이나 완성성을 보증하는 절대적 비유가 아니다. 비유들은 인과론적으로 연결될 수도 없고 변증법적으로 설명될 수도 없다. 이러한 경향은 정신분석학의 출발점이라고 간주되는 『히스테리 연구』(Studies on Hysteria)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중 「히스테리 치료를 위한 정신요법」("The Psychotherapy of Hysteria")이란 장에 나타나는 비유들을 주로 살펴볼 것이다. 2장에서는 프로이트의 대표적 사례 연구인 『유아 신경증의 병력』(From the History of on Infantile Neurosis)을 중심으로 원초적 장면(Primal scene, Urszene)이라는 비유에 대해 검토해 볼 것이다. 프로이트는 분석 당시에 나타나는 징후나 연상, 꿈들을 근거로 해서 어린 시절에 일어났다고 가정되는 한 사건을 구성해내고 이를 여러 행동의 원인으로 삼는다. 그리고 늑대인간 분석에 와서 처음으로 이 사건에 원초적 장면이라는 이름이 붙여진다. 원초적 장면은 늑대인간을 비롯한 여러 환자들에 대한 프로이트의 설명에 개연성을 부여한다. 하지만 그것은 허구적으로 구성된 가설일 뿐 입증될 수 있는 사실이 아니다. 원초적 장면은 직접적으로 관찰될 수 없다. 그것은 무의식과 마찬가지로 초래한 결과들을 통해 추론될 수 있을 뿐이다. 고고학적 비유나 무의식, 중립적 분석자와 마찬가지로 원초적 장면 역시 임상적 자료들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되는 비유에 불과한 것이다. 우리가 원초적 장면이라는 비유에 주목해야 하는 좀 더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기원 자체를 문제삼고 있기 때문이다. 프로이트는 신경증의 원인을 밝혀 내는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원초적 장면이 분석과정 중에 만들어지는 허구적 구성물인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사실과 허구 중 어느 한 쪽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 프로이트는 이를 결정불가능한 상태로 남겨놓는다. 결국 프로이트는 원초적 장면이라는 비유를 통해 기원 그 자체가 비유의 방식 즉 재구성의 형태로만 존재한다는 통찰을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3장은 기원이 늘 재구성, 다시 말해 비유의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된다. 프로이트는 이에 대한 대답으로 '사건 이후'(after the event, Nachtraglichkeit)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것은 환자가 이미 경험한 사건이나 인상이 사후의 문맥 속에서 변형되고 다시 쓰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두 장면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다. 원초적 장면은 두 장면 사이의 시간적 차이가 만들어낸 결정 불가능한 영역 속에서 구성된다. 두 장면간의 차이가 의미를 만들고 그 차이는 궁극적이고도 절대적인 의미를 끝없이 연기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역은 데리다가 이야기하는 '차연'(differance)의 공간이기도 하다. 차연은 데리다가 차이와 연기의 의미를 동시에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낸 신조어로 모든 현존적 의미 속에 이미 차이와 연기의 이중 운동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차연(differance)의 'a'는 들리지 않으면서도 차이(difference)의 'e'와의 차이를 생산해내어 그 의미를 완전히 다른 것으로 만든다. 글쓰기의 형태를 통해서만 구별될 수 있는 음소가 의미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는 것은 음성만을 강조하는 현존의 형이상학 속에서는 설명불가능한 요소로서 이는 현존/부재, 말하기/글쓰기라는 대립구조를 와해시킨다.

      • TDOA 기반의 물류 차량 위치 추적 알고리즘 및 DOP과 리더의 배치

        강희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handle the logistics efficiently in manufacturing facilities, the RTLS is required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real-time. In the RTLS, the geometric arrangement of readers influences position errors and can be represented as DOP. In this paper a relationship between DOP and geometric arrangement of readers is derived from geometry matrix. The relationship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It was observed from the relationship and simulation results that PDOP becomes smaller as the number of readers increases and the reference reader is placed high. Also, in this paper when a position of the logistics in real-time is tracked by TDOA method and Taylor series and QCLS method are describ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TDOA method computer simulations are carried out. As the results position error of Taylor series method is smaller than QCLS and it can be observed that RMS error for z-axis is more than RMS error for x and y-axis. Therefore modified Taylor serise and modified QCLS method is used as position tracking algorithm. By the simulation results, it can be checked that modified algorithms give us smaller RMS error for z-axis.

      • 타바타운동이 중년여성들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강희원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8주간 타바타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타바타운동 그룹 10명과 서킷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서킷운동 그룹 10명을 무선배정하여 선정하였다. 총 35분의 운동프로그램으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 각 10분씩 구성되어 있고, 15분의 본 운동으로 구성되어 주 4회 8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면역글로불린은 동일한 운동 전(0주), 운동 후(8주)로 측정되었고, 변인들을 분석하여 타바타운동과 서킷운동이 중년여성들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신체구성에 관련하여 타바타운동과 서킷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체중, 체지방량, BMI는 운동 전⋅후의 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내 운동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혈중지질에 관련하여 타바타운동과 서킷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TC, LDL-C, HDL-C, TG는 운동 전⋅후의 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내 운동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면역글로불린에 관련하여 타바타운동과 서킷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IgG, IgA, IgM은 운동 전⋅후의 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내 운동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타바타운동이 서킷운동보다 월등한 효과를 보이기보다는 기존에 선행연구들로 검증되어진 서킷운동과 마찬가지로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면역글로불린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운동이라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타바타운동과 서킷운동의 운동강도와 운동시간을 일정하게 설정하여 진행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타바타운동 프로그램과 서킷운동 프로그램의 운동시간에 차이를 두어 연구를 함으로써 타바타운동과 서킷운동의 효과를 좀 더 구분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활동 외의 식습관을 운동프로그램 참여와 함께 통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숲속생활에서 나타나는 산림치유 경험에 대한 질적내용분석 : MBN TV 프로그램 '나는 자연인이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희원 선문대학교 글로컬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숲속에서의 생활과 활동을 통해 생활습관병과 환경성질환의 치유를 경험하는 사례를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치유경험의 인과적 힘과 기제가 산림치유 인자 및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첫째, 자연인들의 숲속생활에서 나타나는 산림치유 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산림치유요법과 자연인들의 생활방식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셋째, 자연인들의 숲속생활에서 산림치유인자는 어떻게 내면화되는가? 등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숲속생활, 산림치유, 비판적 실재론 등 주요개념들과 배경이론들을 고찰하였고, 질병치료를 위해 숲속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의 영상자료 76편을 비판적 실재론적 관점에서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범주는 일반 범주(나이, 기간, 직업, 병명), 산림치유요법 범주(기후요법, 식물요법, 물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정신요법), 기타 범주(생태주의, 학습과 관리, 생활도구) 등이고, 분석단위는 맥락단위이다. 연구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숲속생활의 동기가 된 질환은 소화기계 질환, 폐질환, 근골격계 질환, 간질환, 심혈관질환, 정신질환, 내분비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 등 다양한 생활습관병과 환경성질환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숲속생활이 특정질병에 대응하는 특이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모든 생활습관병과 환경성질환에 대한 치료와 회복 환경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산림치유요법 중 기후요법과 식물요법은 자연인들이 살고 있는 숲속의 기후환경 및 주거환경에 관련된 요법으로 질병환경에서 벗어나 치료와 회복을 위한 환경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그리고 나머지 물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명상요법 등은 질병을 일으킨 생활습관이 치료와 회복을 위한 생활습관으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숲속에서의 생활과 활동은 아로마테라피, 식이영양치료, 운동치료, 정서심리치료 등의 치료원리들이 ‘실재적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작용되는 치료와 회복을 위한 조건과 환경을 제공한다. 생활습관병과 환경성질환의 진단과 치료는 어디에서 사는가, 무얼 먹는가, 어떠한 자세로 생활하는가,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생활 장소와 환경, 생활 방식과 습관, 삶의 태도와 가치관 등과 관련되는 문제들이다. ‘숲속생활에서 나타나는 산림치유 경험’이라는 본 연구의 주제는 바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답변이다. 본 연구는 미디어자료의 분석에 기초한 연구이기 때문에 실제적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점, 기록된 자료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기록되지 않은 경험들은 배제된다는 점, 치유경험이 온전하게 산림치유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