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과 근대: 아체베의 소설에 나타난 문화적 갈등

        강희경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nua Acheb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frican Writers who emphasize Africas subjectivity and aesthetics. Achebe has a consistent belief that the writer should have a function in his society. He believes that the writer cannot be alienated from his society. According to him, the duty of the African writer is to restore the dignity of his own people. Achebes primary task is to rehabilitate the African culture which the empire has overlooked or distorted. Meanwhile unlike contemporary African writers, Achebe takes ambivalence toward African cultures. This attitude results from his personal experience that he had lived at the crossroads of different cultures. Though he intends to restore the tribal society of the past, he doesnt take blind attitude toward his contrys culture. In his novels, Achebe presents the tension between indigenous culture and western culture that has continued from pre-colonial days to post-colonial days. Achebes Things Fall Apart is the most impressive among his novels. The novels is centrally concerned with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Ibo Society and the cultural conflicts created by the incursion of the white people. As he presents the life of Umuofia people in Iboland before and during colonization, he reorganizes Ibo society. Though he is concious of the strength and stability of traditional Umuofia society, he is not blind to its brutality and inhumanity. Umuofia breaks down not only because of the alien force but also because of the weakness in traditional society. The inhumanity of this society makes it vulnerable to the missionariess exploitation and the society eventually leads to the disunity. Okonkwo, the hero of Things Fall Apart, represents the rigidity of Ibo society. Achebes second novel, No Longer at Ease, is linked up with the first novel not only in that Okonkwos family appears again but also in the theme of cultural conflict. The novel presents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of Nigeria before independence. Achebe tries to show not only that Ibo society has lost its wholeness, both moral and political, but also that Obi,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failed to reform his contry. The tension between traditional tribalism and individuality has been well described in the novel. In short, Achebe intends to confront cultural conflicts in two novels. Achebes novels are significant as an embodiment of an image of Africa. 탈식민주의 문학은 제국주의가 부여한 허위의 자아를 벗고 중심에서 소외된 주변의 목소리를 되찾으려는 저항적인 문학이다. 식민지 경험으로 부터 잉태된 탈식민 문학에는 아프리카를 비롯한 제 3세계의 문학들이 포괄적으로 포함되는데, 이들 문학은 모두 제국의 중심부와의 차별화를 선언하며 탈식민주의적인 자의식을 모색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민족의 정체성과 존엄성을 되찾으려고 천착했 던 대표적인 문학은 아프리카계 탈식민 문학으로, 아프리카 작가군은 아 프리카의 독특한 미학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들 중 치누아 아체베(Chinua Achebe)는 탈식민 운동을 주도한 선두적인 작가로, 아프리카가 처해있는 역사적 상황을 사실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아체베는 우선적으로 작가의 임무였던 아프리카의 존엄성 복원을 그의 소설에서 중요 과제로 삼았지 만, 동시대 아프리카 작가들과는 달리 민족적인 입장만을 고수하진 않는 다. 그는 혼성적인 문화를 체험하며 자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전통 문 화와 서구 문화의 충돌을 객관적이고 양면적인 관점에서 묘사한다. 아체베의 첫 번째 소설인 Things Fall Apart는 아프리카의 고전 이상 이라는 의미를 지니며, 아프리카인들이 처한 상황을 시대적으로 극화했다 는 점에서 영향력있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소설의 전반부에서 아체베는 이보 전통 사회를 사실적으로 제시하며 아프리카인의 시선으로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했다. 후반부에서는 20세기 초 유럽 제국주의의 문화가 이 보 사회에 잠입하면서 겪게되는 상이한 문화간의 갈등을 그리며, 사회의 붕괴 과정을 서술한다. 전반부에서 제시했던 이보 사회의 양면적 속성은 사회가 와해될 수 밖에 없는 요인이 되고, 이보 사회의 내부적 결함은 서 구의 침입으로 그 정도가 심화된다. 결국 이보 사회는 사회의 모순과 외 부의 침입으로 무너지는데, 여기서 주인공 오콩쿼의 죽음은 이보 사회의 독특한 상이 무너졌음을 알리는 표시이다. 아체베의 두 번째 소설인 No Longer at Ease는 독립 직전의 혼란스 러운 나이지리아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주인공의 도덕성이 타락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식민지 시기를 거치면서 이질적인 가치관과 문화가 뒤 섞인 사회는 사회적인 응집력이 부족할 수 밖에 없었고, 그 결과 사회는 분열된 모습을 취하고 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국가나 개인 모 두 정체성을 상실한 채 존재한다. 주인공 오비는 순진한 이상주의로 국가 를 개혁하고자 하지만, 전통 중심주의와 서구의 개인주의라는 상충적인 가치관으로 인해 좌절하고 만다. 전 소설의 주인공이었던 오콩쿼와 마찬 가지로 오비는 개인적인 비극을 맞게 되는데 작가는 여기서 개인과 사회 의 비극을 동시에 고찰하고자 한다. 이 두 소설을 통해 아체베는 궁극적으로 전통과 근대가 대변하는 각 각의 문화를 고찰함으로써 문화적 갈등을 직시하고자 했으며, 아프리카의 동족이 처한 현실을 현시하고자 했다. 아체베의 소설은 역사적 변이의 과 정을 추적함으로써 진정한 아프리카상을 구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요 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빈곤가족의 학령기 아동발달

        강희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빈곤가족의 학령기 아동발달에 가족의 사회경제적 맥락 및 학교라는 생태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에 빈곤가족의 학령기 아동 발달성과 결정과정을 설명․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 수준을 통합한 빈곤아동의 발달에 대한 이해를 안내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론적틀은 생태학적 중재모형(Felder et al., 1995)을 기초로 확장시켰으며, 이에 따라 가족의 빈곤상황, 학교분위기, 가족의 아동성장 촉진력 및 아동 발달성과라는 잠재변인으로 구성된 가설적 모형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SEM(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써 첫째, 외생변인은 학교분위기 변인과 가족빈곤 상황 변인이다. 학교 분위기 변인은 학교의 크기와 담임교사의 정서적지지 변인을, 가족빈곤 상황 변인은 가족빈곤기간과 물리적 가정환경 변인을 측정변인으로 하였다. 둘째, 내생변인은 가족의 아동성장 촉진력 변인과 아동발달성과 변인이다. 성장 촉진력 변인은 정서적 가정환경과 부모-자녀간의 갈등 및 의료적 돌봄을, 아동발달성과 변인은 사회․정서적 기능과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및 만성상태를 측정변인으로 하였다. 이상의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자료수집은 2000년 2월10일부터 3월 12일 사이에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제주시, 북제주군, 서귀포시) 초등학교의 중식지원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9개 학교에서 임의 선정하여 194명의 아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분석과정에서 미흡한 자료를 제외시킴으로 최종 151명에 대한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도구들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문헌고찰이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이를 간호학 교수, 교육학 교수, 사회복지사, 양호교사 등의 자문을 얻어 수정, 보완하여 만든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767 ~ .960이었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연구 변인에 대한 서술적 통계, 연구도구의 신뢰도 등은 SAS Program(v8.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LISREL Program(v8.12a)을 이용하여 자료에 대한 대략적인 분석 및 LISREL 입력자료인 공분산행렬을 구하였으며,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 검증 및 가설검증을 위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 검증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잠재변인의 수는 4개이며, 5개의 경로를 가진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부합지수를 검증한 결과, 부합지수는 X²-통계량이 25.06(자유도=31, p=.76), X²-통계량/자유도(df)는 .81, GFI는 .99, AGFI는 .99, RMSR은 .027, NFI가 .99, NNFI는 1.00, CN이 313.39로 적합도가 매우 높음을 보였다. 또한, Q-plot도 기울기가 1에 가까워 모형과 잘 맞는다고 볼 수 있었다. 2. 가설검증결과 가설적 모형의 검증 결과 빈곤가족의 학령기 아동 발달성과를 설명하는 5개의 경로에 대한 가설 중 4개가 지지되었다. 내생변수를 중심으로 잠재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가족빈곤상황과 학교분위기는 가족의 아동 성장촉진력에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는 32%였다. 2) 가족빈곤상황과 학교분위기 및 가족의 아동 성장촉진력은 아동의 발달성과에 직․간접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는 85%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빈곤가족의 학령기 아동 발달성과 결정과정을 설명․예측하기에 적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빈곤이라는 사회구조적 생태적 환경이 가족의 기능적 과정을 거쳐 아동 발달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태학적 중재 모형이 지지되었다. 이로써 빈곤가족의 학령기 아동 발달성과를 설명․예측하는 본 연구의 개념적틀은 빈곤가족의 학령기 아동발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학교 수학 일차 함수의 이해

        강희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분석, 종합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처리 기술과 필요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생산 능력이 중시되는 지식정보사회이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7차 교육과정 및 미국 수학교사 협의회(NCTM)의 Standards 1989, Standards 2000이 제정되었는데, 여기서는 수학 교수학습이 기존의 지필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적절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또 현재 학교 수학에서 함수가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큼에도 학생들은 함수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바람직한 함수교육은 실생활의 변화현상을 기술하고 해석하는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하는바, 테크놀로지가 현실의 복잡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각화하여 역동적인 함수를 경험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테크놀로지를 함수지도에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의 제시가 없었으며, 수학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느 단원에서 언제 어떻게 테크놀로지를 도입하여 활용하여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관련 소프트웨어가 가장 많이 개발되어 있는 함수단원을 택하여, 단원의 도입단계에서 역동적인 함수개념의 이해 및 그래프의 이해를 목적으로 실시간 자료수집장치인 CBR(Calculator-Based Ranger)을 학생 탐구활동 중심으로 활용하며, 단원의 전개 기간 동안 교육과정상의 일차함수의 필수학습요소를 탐구하는 도구로 Excel을 활용하여 전산실에서 학생 1인당 1대의 컴퓨터로 학습하고, 단원 마무리에 Web Q&A게시판을 활용하여 일차함수에 대한 학생들이 전반적인 이해를 알아보고, 프로젝트형 수행평가를 통해 일차함수의 이해를 확고히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일차함수를 학습한 집단은 교실에서 일차함수를 학습한 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학습 태도(흥미, 참여도, 집중력, 자신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 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일차함수를 학습한 집단은 교실에서 일차함수를 학습한 집단과 비교하여 일차함수의 이해(그래프의 이해, 관계식 찾기 및 예측하기, 필수학습요소의 이해, 응용문제의 풀이)에 차이가 있는가? 셋 째, 일차함수의 학습에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설문 및 웹 Q&A 게시판, CBR 활용 수업의 비디오 분석은 어떠한가? 넷 째, 다양한 테크놀로지(CBR, Excel, Web)를 활용해 일차함수를 학습한 학생들은 일차함수의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한 프로젝트형 수행과제 해결에서 교실에서 학습한 학생들과 차이가 있는가? 인천 소재 I 여자중학교 2학년 5개 반을 대상으로 3개 반은 CBR, Excel, Web등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일차함수를 학습하는 실험반(115명)으로, 2개 반은 교실에서 학습하는 통제반(76명)으로 실험반과 통제반 모두 일차함수 단원을 학습하기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4인 1조의 이질소집단으로 구성하여 4주(2003. 4. 1.~ 2003. 5. 7.)에 걸쳐 정규 수학 수업 시간을 이용해 실험연구가 수행되었다. 실험반은 주당 4차시의 수학 수업 중 일정하게 3차시 동안 전산실에서 개념학습 위주의 수업을 실시하고, 1차시는 교실에서 교과서 문제풀이 위주로 학습을 하고, 통제반은 실험반과 같은 주제로 학습하되 각종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대신 지필 위주로 4차시 모두 교실에서 수업하였다. 사전에 수학학습태도,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여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전 학년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으며, CBR을 활용한 탐구활동을 2차시, Excel을 활용한 탐구활동을 12차시, 일차함수에 관한 프로젝트 발표를 2차시 운영한 후, 사후 수학학습태도, 테크놀로지 활용 효과에 관한 설문조사와 일차함수의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여 통계처리 전용 프로그램인 SPSS 10.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태도 검사지는 Cronbach α 계수를 이용하여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확인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일차함수의 이해도 검사지 역시 Cronbach α 계수를 이용하여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수학 학습 태도와 이전 학년 학업 성취도에 관해 사전 실험반과 통제반의 동질성을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실험 처치 후, 수학 학습 태도와 일차함수의 이해도에 관해 실험반과 통제반 간의 전체적인 평균의 차이와 항목별 평균의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실험반과 통제반 내에서의 변화는 종속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전체적인 변화와 항목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웹 Q&A 게시판의 모든 115개의 질문과 258개의 답변에 대해 빈도분석 및 질적 사례분석을 실행하였으며, CBR을 활용한 수업의 1차시 분 비디오 테잎은 TIMSS의 비디오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프로젝트형 수행평가는 실험반 30개, 통제반 20개의 보고서 및 발표를 유형별로 나누어 빈도분석 및 질적 사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일차함수를 학습한 집단은 교실에서 일차함수를 학습한 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학습 태도(흥미, 참여도, 집중력, 자신감)에는 차이가 없었는데, 단 집중력 면에서 통제반의 경우 집중력의 저하를 보였다. 이의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려우나, 추가적인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이전 단원과 비교하여 함수단원을 어렵게 생각한 것과 실험을 위해 이질 소집단을 구성해 교수 학습한 것이 한 원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둘 째, 일차함수의 이해와 관련해서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일차함수를 학습한 집단이 그래프의 이해 면에서 통제반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활용 특히, CBR 활용 수업의 결과라고 예측할 수 있는데, CBR이 그래프의 이해에 효과적이라는 다수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본 실험 중 실시한 CBR 활용 수업의 Video 분석 결과에서 실제로 학생들이 그래프에 대한 직관을 얻는 장면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CBR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이 함수의 그래프 및 일차 함수의 그래프를 더 잘 판별해 내고, 그래프의 의미를 더 잘 해석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8-가 단계 함수 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에 대한 평가에서는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낮은 성취를 보였는데, 이는 실험반은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개념위주의 수업을 하였으나, 이 평가 항목은 학습 요소에 대한 지식위주의 질문으로 이루어졌고, 평가 자체가 지필 평가 여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수업을 받은 학생들에게는 불리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 째, 일차함수의 학습에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설문에서 학생들은 CBR, Excel, 웹 활용 수학수업과 전산실 수학 수업 전반에 대해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주었다. 웹 Q&A 게시판의 경우, 학생들은 질문과 답변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여 의견을 교류하였고, 교사는 학생들의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모르고 있는 부분을 알아내고, 답변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 CBR활용 수업의 경우, 대집단 수업의 결과 교사 주도의 발언이 많았지만, 교사-학생간 활발한 질의응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일차함수의 개념을 획득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넷 째, 다양한 테크놀로지(CBR, Excel, Web)를 활용해 일차함수를 학습하는 것은 일차함수의 개념, 그래프, 필수 학습요소 등 일차함수의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한 프로젝트형 수행과제의 해결에 크게 기여함이 실험반에서의 30개의 프로젝트 보고서 및 발표, 통제반에서의 20개의 프로젝트 보고서 및 발표의 분석에서 밝혀졌다. 테크놀로지를 수학 교수-학습에 활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첫 째,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수학 교수-학습에 활용할 때는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다양한 테크놀로지 중 가르치고자 하는 수학개념을 가장 잘 교수-학습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를 선택해야 하겠다. 그리고 수학교수-학습과정에 반드시 테크놀로지를 활용해야 만 효과적인 것은 아니므로 테크놀로지의 활용 효과 여부를 생각하기 이전에 과연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필요한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 째, 어떤 종류의 교수-학습 방법이나 다 그러하듯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습도 물질적인 투자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단계적으로 교수-학습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 째, 테크놀로지의 시각적인 면만 부각시켜 흥미위주의 활용이 되어서는 안되겠다. 개념학습을 위한 도구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했을 때는 제시되는 학습자료의 외양에만 주목할 것이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 개념을 담는데 충실해야 하겠다. 넷 째, 수업의 질은 교사의 질에 달려있다는 말이 있듯이 테크놀로지를 학교 현장에 적용할 교사에 대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현재 학교 현장의 교사 대상 연수는 그 수가 적을 뿐 아니라 단기적이며, 테크놀로지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여 실제 학습현장에의 적용이 미비한 바, 이의 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 째, 본 연구는 선택과목으로 컴퓨터를 선택하여 배운 적이 없고, 테크놀로지를 수학이나 다른 과목의 교수-학습에 활용해 본적이 없는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은 테크놀로지의 조작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고, 본질적인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습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받았는데, 컴퓨터를 선택과목으로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면 다른 결과를 이끌어냈으리라 생각된다. 둘 째, 본 연구에서는 짧은 실험기간 상 실험반의 경우 주당 4차시의 수학수업 중 일정하게 3차시를 주로 전산실에서 학생 1인당 1대의 컴퓨터로 개념 위주로 학습하고, 나머지 1차시는 교실에서 교과서 문제풀이 위주로 학습하였는데, 교실에서 문제풀이를 연습할 충분한 기회를 갖지 못해 지필식 시험에서 필수학습요소의 이해면에서 낮은 성취를 보이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학교 현장에서의 성취도 평가는 상당부분 지필 환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문제풀이 기능의 숙달은 중요하고 이에 한 학기 또는 1년 정도의 시간적인 여유를 갖고 주당 4차시의 수학 시간 중 3차시는 교실에서 교과서 위주로 수업하고, 나머지 1차시를 정기적으로 전산실에서 학생 1인당 1대의 컴퓨터로 학습 할 것을 제언한다. 셋 째, 본 연구는 개념위주의 수업을 계획하였지만 현재의 다인수 학급의 환경에서는 목적하는 바대로 개념위주의 수업을 이끄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다인수 학급 체제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개념위주의 학습이 가능한 방법을 고려 해 볼 필요가 있다. 넷 째, 본 연구에서는 단원의 도입, 전개, 마무리 단계에 따라 동일한 일차함수 단원에 다른 테크놀로지를 적용하였는데,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교수-학습의 각 단계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 또는 개개의 수학 개념 이해에 가장 적절한 테크놀로지를 찾는 것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 이에 관한 학교 현장에 직접 적용 가능한 안내서(guide book)가 제작·보급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적시에 최적의 방법으로 일차함수의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도입하기 위해 수학 학습 태도, 일차함수의 이해도에 관한 객관적인 양적 연구방법과, 웹 게시판의 Q&A 분석, CBR 활용 수업의 비디오 분석, 프로젝트형 수행평가 분석 등의 질적인 연구방법을 병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 째, 수학 학습 태도와 같은 정의적인 영역의 경우, 단기간의 처치로 태도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움에도 비교적 짧은 기간(4주)동안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 째, 연구 결과의 해석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많이 개입되었다. 질적 연구 방법의 경우, 그 객관성을 보장받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방법을 함께 활용하여 연구하는 삼각연구법(triangulation)이 활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의 경우, 수학교육전문가에게 체계적인 분석을 의뢰하는 등의 다양한 견해를 수렴하는 것 없이 본 연구자의 논문의 심사위원의 조언을 들어 연구자 1인이 반복하여 결과를 해석하였기 때문에, 웹 Q&A분석, CBR활용 비디오 분석, 프로젝트 보고서 및 발표 분석등 질적 사례 분석의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많이 개입되었다. 셋 째, 본 연구는 반 당 40인 가량으로 구성된 보통의 다인수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개개의 학생들이 함수개념을 획득하는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불가능했고, 연구자가 목적한 바대로 개념위주의 학습으로 학생들을 이끄는 것이 어려웠다. Modern society is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Meeting the demands of the tomes, Korean 7th curriculum, NCTM standards 1989 and Standards 2000 urge to use appropriate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Understanding of function is very important in school mathematics, but lots of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of function. So it is expected that technology plays a role in experience dynamic function concept by processing and visualizing complex real-life data.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by real-time data collecting device, CBR(Calculator-Based Ranger)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dynamic function concept and graphs in introductory stage, Excel program for studying required learning factor presented in curriculum using 1 person - 1 computer in working stage at computer lab, Web Q&A board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ject to check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ction generally in arrange stage. Research question are suggested for the study is as follows; 1. Are th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ttitudes(interest,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echnology and the controlled group? 2. Are th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linear function(understanding of graphs, finding and estimating algebraic expression, understanding of essential factor in linear function, and solving applied problems) between two groups? 3. How are analyses of questionnaire about using technology, Web Q&A board and Video tape on CBR lesson? 4. Are th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performing a project demanding general understanding of linear fu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191 students were selected from 'I' girls' middle school in Inchon, Ko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andomly, 115 students in 3 classes for experimental group and 76 students in 2 classes for controlled group. And two groups were composed of small groups of 4 students for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concept-oriented learning(개념위주의 학습) in using multiple technology like CBR, Excel, and Web assigning 3 classes of all 4 classes a week at computer lab and I class at classroom practicing to solve exercise in the textbook and controlled group was taught same topic with experimental group assigning all 4 classes a week by pencil and paper-oriented learning at classroom. Two group have 16 classes for 4 weeks from April 1, 2003 to May 7, 2003. All of the 191 students were tested on mathematical attitudes and technology experience before the experiment. And using CBR lesson for 3 classes, Excel program lesson for 12 classes and presentation of the project for 2 classes were conduced. And then all of the students were tested on mathematical attitudes, the effect of using technology and understanding of linear function after the experiment. And all 115 questions and 258 answers on web Q&A board, Video tape recorded 1 class using CBR and the project report and presentation of 30 of experimental group and 20 of controlled group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10.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statistical differences on mathematical attitudes(interest,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But in the case of concentration, the score of controlled group were decreased. Additive survey about the reason why not being concentrated and prefer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ere carried out, it is presumed that difficulty of understanding linear function itself and construction of small group for the study are likely to be one of the reason. Secon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for understanding of graphs were found as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controlled group.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multiple technology, especially using CBR technology had positive effect in that it helps student to distinguish linear graph of graphs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graph. Otherwise, statistically of linear function in the curriculum were found as experimental group scored lower than controlled group.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experimental group had not enough time to practice exercise and the test was presented in pencil and paper type in spite of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mainly using technology. Third,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reply in survey about effect of using CBR, Excel, Web technology and using computer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And using Web Q&A board and CBR played a positive role in understanding linear function. Forth, using multiple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ere helpful to perform a project needed to understand concept of linear function, graphs and essential learning factor in the curriculum. In conclusion,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is concerned to not content of mathematics but the way of doing mathematics and it is important to "when" and "how" introduce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rom the study, in related to "when" to introduce technology, it was appropriate to use CBR at introductory stage, Excel program at working stage and Web ar arrange stage. And in related to "how" to introduce technology, it was appropriate to use CBR as a tools for understanding graphs, Web as a tools for understanding linear function generally and Excel program as a tools for understanding essential learning factor in the curriculum. But in the case of using Excel program, it is needed not only to do concept learning but also to prepare pencil and paper test. As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about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multiple technology are suggested; First,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not learned computer subject as an optional subject, it was hard to manipulate technology, so it is recommended to carry out this study to students who have technology experience. Second, experimental group has 3 classes regularly of all 4 classes a week in learning with technology at computer lab and 1 class in practicing exercise ar classroom because of the short experimental period of 4 weeks. So it is recommended to have long experimental period and execute 1 class regularly in learning with technology at computer lab and 3 classes in practicing exercise in classroom. Third, the classes of experimental group as well as controlled group composed of lots of students, it is hard to do concept, -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so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effective way to use technology in environment where students is many in a class. Forth, guidebook about "when" and "how" to use technology is needed.

      •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희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가치부여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규범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정서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감정이입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5.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행동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병설유치원 2개 학급의 만 5세 유아 36명으로 실험집단은 A반 만 5세 유아 18명(남아: 8명, 여아: 10명), 통제집단은 B반 만 5세 유아 18명(남아: 7명, 여아: 11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Lipman(200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의 유형별 특성을 근거로 이춘희(2007)가 개발한 배려적 사고 관찰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2012년 10월 16일(화)~2012년 12월 21일(금)까지 10주 동안 주 1회씩 총 10회의 교육활동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18~25분씩 집단별로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가치부여적 사고 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가치부여적 사고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규범적 사고 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규범적 사고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사고 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정서적 사고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감정이입적 사고 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감정이입적 사고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사고 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행동적 사고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 한국어판 욕창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 측정도구(PUPT-KP)의 타당도와 신뢰도

        강희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Pancorbo-Hidalgo 등(2007)의 Pressure Ulcers Prevention and Treatement : Knowledge and Practice Questionnaire(PUPT-KP)를 번안하고, 번 안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Pancorbo-Hidalgo 등(2007)의 욕창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 측정도구(PUPT-KP)의 번안을 위해, 위원회 번역을 통한 번역과정을 거 쳤으며 번역된 도구를 국내 상황에 맞게 상처장루실금 전문간호사 2명이 36문 항으로 문항을 수정하였다. 그 후 번안된 PUPT-KP의 내용타당도 확인을 위해 간호학 교수 2명, 상처장루실금 전문간호사 6명, 노인전문간호사 2명, 노인장 기요양시설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간호팀장 2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욕창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지식과 수행 36문항 모두 CVI 0.83이상으로 측정되었다.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친 PUPT-KP를 노인장기요양시설 간호사 10명에게 사전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지식과 수행 36 문항의 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70개 노인장기요양시설 18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번안된 PUPT-KP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번안된 PUPT-KP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지식관- vii - 련 RMR .039, 수행관련 RMR .035로 매우 적합하였으나 다른 적합도 지수 (GFI, AGFI, CFI)가 0.7보다 낮게 측정되어 도구의 수정이 필요하였다. 도구의 수정을 위해 번안된 PUPT-KP의 문항별 요인적재량을 확인하여 타당성을 저 하시키는 요인적재량 0.3미만인 문항을 삭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재시행하 여 지식 10문항과 수행 18문항으로 수정된 PUPT-KP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정된 PUPT-KP의 적합도 지수 확인결과 지식관련 RMR .007, GFI .957, AGFI .931, CFI .963, RMSEA 0.42으로 적합하게 확인되었으며 수행관련 RMR .022, GFI .844, AGFI .802, RMSEA .084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어판 PUPT-KP의 지식과 수행관련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값은 .521∼.743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ancorbo-Hidalgo 등(2007)이 제시한 욕창에 관한 지식과 수 행 측정도구(PUPT-KP)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한국어판 PUPT-KP 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본 도구를 적용하여 노인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욕창 간호 수준을 평가하고 노인장기요양시설 욕창 간호 교육 프로그램 등에 활용하기 를 기대한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읽기 활동 분석 연구

        강희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n Analysis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Kang HeeKyu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ypes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suitable for improving critical reading abilit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lso it aims to propose ways to improve critical reading activities that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critical reading activities. Critical reading activities should be characterized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intentions and perspectives that the author intends to convey in the text and by giving his or her opinions based on understanding the text. Even though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have completed advanced Korean language courses, they have difficulty performing their studies. This is because academic reading for academic studies requires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Academic reading is not only a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text, but also involves analyzing the text and evaluating the value of the text. The ability to read with analysis and evaluation is based on critical thinking and is referred to as critical reading. Critical reading requires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valuate the arguments and analyze what they’ve learned from the text. Therefore, strategic educational training on critical read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m. Against the backdrop,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of exploring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n reading textbooks based on critical reading. Academic studies should be accompanied by critical reading to organize one's thoughts and comments on others’ opinions from texts, rather than just reading the contents to understand and grasp them. Chapter 2 explained the overall theoretical foundation, including the definition, features and processes of critical reading. Critical reading not only helps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achieving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serves as a mechanism for eliminating conflicts in a democratic society, as a medium for selecting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ociety, and finally as a tool for job skills to have as a professional. Critical reading activities based on critical reading were reorganized by reviewing the reading activities classified as post-reading activities. Chapter 3 set up two analysis criteria to examine whether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n reading textbooks were presented in a balanced manner.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whether the prior activities needed to link critical reading activities organically were properly introduc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ine critical reading activities proposed in this study tended to be presented in a small number of types in reading textbooks. Chapter 4 proposed methods to improve critical reading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some cases,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ntroduced in each textbook were not presented organically in stages, so the study proposed specific methods to improve critical reading activities by selecting activities that would be better supplem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classifies critical reading activities and their prior activities necessary for critical reading activities to proceed organically, which are designed to foster critical think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Hopefully, critical read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is study would be applied in Korean textbooks in the future. Keywords: Critical reading activities, Critical reading,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reading textbooks, Read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extbook analysis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읽기 교재 내에서 구현된 비판적 읽기 활동이 균형있게 유기적으로 제시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비판적 읽기 활동의 특성을 정리하고 비판적 읽기 활동과 전제될 수 있는 선행 활동을 유형별로 구성하여 이를 토대로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부족한 점을 밝혀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대학 수학을 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접하는 학업 기술은 언어 기능 중에서도 단연 읽기 기능일 것이다. 학술적인 읽기는 텍스트를 보고 이해하는 과정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글의 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분석과 평가를 동반한 읽기 능력은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비판적 읽기라고 지칭한다.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은 궁극적으로 학술적인 쓰기 능력 향상으로도 연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수행이 원만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비판적 읽기 능력을 바탕으로 구현된 비판적 읽기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을 꾀하고 있는지 교재를 통해 분석하였다. 비판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와 태도를 함양시키는 교육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비판적 사고와 태도 함양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성공적으로 학업 수행을 하는 데 있어 필요한 요건이다. 이를 교육적으로 반영한 것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이며 따라서 대학 출판부의 읽기 교재를 분석하여 구현된 비판적 읽기 활동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개선안 제시를 위해서 교재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비판적 읽기 활동 유형을 분류하고 비판적 읽기 활동의 특성이 반영된 선행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비판적 읽기 활동은 내용이 타당하고 근거가 적절하며 신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활동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로써 비판적 읽기 활동은 전반적인 글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1장에서는 비판적 읽기 이해의 필요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비판적 읽기에 관한 정의와 특징, 과정, 교육 목표 등 전반적인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비판적 읽기는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며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학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기여를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사회에서 의견의 대립을 절충하여 해결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능동적인 행위자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 또한 비판적 읽기를 바탕으로 구성된 읽기 활동은 스키마 형성으로 학습자의 읽기 이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교실 활동을 구성할 수 있으며, 쓰기와의 통합 교육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띠고 있다. 3장에서는 재구성한 두 가지의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고 이에 의거하여 읽기 교재 내 비판적 읽기 활동이 균형있게 제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비판적 읽기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선행 활동들이 체계적으로 구현되었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비판적 읽기 활동 유형이 다양하게 제시되지 않았고 일부 유형에서는 단계별 선행 활동들이 충분하게 구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판적 읽기 활동에 대한 개선안을 두 가지 방면에서 제안하였다. 첫째, 교재 내 비판적 읽기 활동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는데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동일한 주제의 다른 글을 읽고 관점의 차이 인지하기, 문제 해결 방안 제시하기, 텍스트 구조 파악하기 등의 활동이 필요함을 밝혔다. 둘째, 내용의 구성과 텍스트의 형식 면에서 전반적으로 개선을 필요로 하는 교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비판적 읽기 활동을 유형별로 제시한 후 전제될 수 있는 선행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비판적 읽기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판적 읽기 활동이 향후 한국어 교재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기대해본다.

      •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마음 이해 능력 발달: 부모의 양육태도 및 공감-체계화하기 유형의 영향

        강희경 창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their of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minds as well as to clarify how parenting attitudes and the type of empathizing-systematizing proposed by Baron Cohen influence children prosocial behaviors and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thers' min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children aged between 2 and 6 years in the day care center of Changwon city, Gyeongsangnam-do, 159 fathers, and 176 mothers. Pro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ere measured using a dictator game procedure. The ability of the children to understand minds was measured using the false beliefs task and perspective-taking task. Based on the parenting attitude test and parental empathizing-systemizing measurement scores, parents' empathizing-systemizing type was classifi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social behaviors such as resource sharing in dictator game situations were seen in children, and this type of prosocial behavior level increases linearly with age from 2 to 6 years. In particular, the level of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markedly between 3 and 4 years of age. Second, the ability of the children to understand others’ minds increased linearly between 2 and 6 years, and increases markedly between 3 and 4 years of age. The understanding of primary and secondary false beliefs had the same pattern of linear increase. Third, the ability of the children to understand others’ minds correlated with prosocial behavior. Especially, the higher the children's primary false belief, cognitive perspective-taking,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higher their prosocial behavior. Fourth, the higher the father's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the higher the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of the children. Fifth, the father's empathizing-systemizing type influenced the children primary false belief understanding. The children understanding of primary false beliefs was lowest in the systematization type and highest in sympathetic type of father.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children prosocial behaviors as seen through the dictator game appeared in most 2-year-old children. In the prosocial behaviors of sharing their own share with others, children were partially influenced by the parents, but there was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self-understanding ability of the children himself. This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the children understanding of the other person's mind. The development of age is also an important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