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배지의 종류 및 첨가물의 농도가 후피향나무 삽목묘의 발근 및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강현우,김민수,김동욱,Kang, Hyeon-Woo,Kim, Min-Soo,Kim, Dong-Uk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물을 배지로 하는 삽목은 토양을 배지로 하는 삽목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물배지에서 발근이 되는 수종이 아주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물배지 삽목은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물배지에서는 삽수의 생존율은 높으나 발근이 잘 되지 않고 캘러스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삽목묘가 토양에 정식된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다면 물배지 삽목도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물배지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후피향나무의 삽수를 여러 종류의 물 배지에 침적시킨 후 캘러스의 형성과 발근상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물배지 삽목묘를 토양에 이식한 후, 활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만 형성된 삽목묘도 정식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 형성 상태가 양호한 삽목묘일수록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물배지 내에서 발근된 삽목묘는 정식 후 96. 6%의 높은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4. 후피향나무의 물배지 삽목 시기는 7월말이나 8월말이 6월말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IBA 50ppm24시간 침적 처리한 처리구가 IBA전 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 IBA 50ppm 24시간 침적 처리하고 아토닉 오천배액, 포리옥신 오천배액, 포리옥신 일만배액에서 물배지 삽목한 삽목묘는 80~85%의 발근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물배지 삽목은 삽수의 발근율은 낮지만 삽목시기와 식물호르몬처리, 물배지의 선정을 적절하게 하면 높은 발근 활착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배지 삽목은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필요로 하는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Cuttings based on water media are relatively low-cost and easy to manage compared to those based on soil media. Nevertheless, species that root out in water media are very few. Water-medium rooted cuttings are not widely used. In water media, the survival rate of cuttings is high, but in many cases, they only form callus while not rooting. If cuttings with callus formed in a water medium were to root and survive after being transplanted in soil, water-medium cuttings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propagating landscape tree species. In this study, cuttings of Ternstroemia japonica having various reactions to water media were soaked in different types of water media. Their callus formation and rooting conditions were analyzed. The water-medium cutting swere then transplanted in soil, and conditions for their survival were examined. The study concluded: 1. Cuttings that only formed callus in water media were able to root and survive after being transplanted. 2. Cuttings with satisfactory callus formation showed more satisfactory survival conditions than those with unsatisfactory callus formation. 3. Cuttings rooted in water media showed a high survival rate of 96.6% after being transplanted. 4. Water-medium cutting of Ternstroemia japonica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Late July or August than in late June. 5. Cuttings pre-treated in 50ppm-IBA for 24 hours showed better survival conditions than those that were not pre-treated inIBA. 6. Cuttings pre-treated in 50ppm-IBA for 24 hours and soaked in water media with 0.02% atonic, 0.02% polyoxin, and 0.01% polyoxin showed a rooting and survival rate of 80 to 85%. Regardless their low rooting rate, water-medium cuttings can show a high survival rate when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proper cutting time, plant hormone treatment, and types of water media. Accordingly, water-medium cuttings will emerge as major means of propagating landscape tree species that require small volumes of multi-species.

      • KCI등재후보

        하악 제3대구치의 존재여부 및 매복양상이 하악 우각부 골절과 과두 골절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이영주(Young-Joo Lee),송윤정(Yun-Jung Song),홍순민(Soon-Min Hong),채상식(Sang-Sik Chae),강현우(Hyeon-Woo Kang),최동주(Dong-Ju Choi),박준우(Jun-Woo Park) 대한치과의사협회 201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0 No.9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the presence and aspect of mandibular third molars to the mandible angle fracture or condyle fractures in Korean.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for patients attending the divis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for treatment of mandibular fracture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10. The primary variable was the presence of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secondary variable was the aspects of third molar impaction. Mandibular third molars were classified by the impaction depth and the available space as Pell & Gregory system. Outcome variables were the presence of mandibular angle fracture or condyle fracture. Also the source of trauma, age, sex were studied. Hospital charts, radiographs were used for study. Statistic analysis was don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X2-test, linear-bylinear association. P value under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statistically. Results : The number of involved patients was 86.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about 9:1 for angle fracture and 7:3 for condyle fracture. The most common source of trauma was assault for angle fracture and fall down for condyle fracture. The presence of mandibular third molar increased frequency of angle fracture and decreased condyle fracture with larger impaction depth. But available space of mandibular third molar did not show high association with angle or condyle fractures. Conclusion : Preventive extrac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high risk of angle fracture. Male patients at their third decade or martial artists, police officer could be the case. But it is not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low risk of angle fracture and high risk of condyle fracture relatively. Elder female patients without any symptom on their third molar could be the case.

      • KCI등재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도시 환경에서의 안전도 점수 예측 모델 연구

        강현우 ( Hyeon-woo Kang ),강행봉 ( Hang-bong K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5 No.8

        최근, 컴퓨터 비전과 기계 학습 기술의 도움을 받아 효율적이고 자동적인 도시 환경에 대한 분석 방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분석들 중에서도 도시의 안전도 분석은 지역 사회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더욱 정확한 안전도 점수 예측과 인간의 시각적 인지를 반영하기 위해서, 인간의 시각적 인지에서 가장 중요한 전역 정보와 지역 정보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는 전역 칼럼과 지역 칼럼으로 구성된 Double-colum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사용한다. 전역 칼럼과 지역 칼럼 각각은 입력은 크기가 변환된 원 영상과 원 영상에서 무작위로 크로핑을 사용한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특정 칼럼에 오버피팅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학습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DCNN 모델의 성능 비교를 위해 2개의 SVR 모델과 3개의 CNN 모델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상관관계 분석을 측정하였다. 성능 비교 실험 결과 우리의 모델이 0.7432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0.853/0.840 피어슨/스피어맨 상관 계수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efficient and automatic analysis on urban environment methods that utilize the computer vision and machine learning technology. Among many new analyses, urban safety analysis has received a major attention. In order to predict more accurately on safety score and reflect the human visual percep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generic and local information that are most important to human perception. In this paper, we use Double-colum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onsisting of generic and local columns for the prediction of urban safety. The input of generic and local column used re-sized and random cropped images from original images, respectively. In addition, a new learning method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over-fitting in a particular column in the learning process.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our Double-colum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e compare two Support Vector Regression and thre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s using Root Mean Square Error and correlation analysis. Our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Double-colum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show the best performance with Root Mean Square Error of 0.7432 and Pearson/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53/0.840.

      • SCOPUSKCI등재
      • 엇갈이배추와 쪽파 중 Fluazinam의 잔류특성 및 섭취율 산출

        조승현 ( Seung Hyeon Jo ),강현우 ( Hyeon Woo Kang ),신현우 ( Hyeon Woo Shin ),이정우 ( Jeong Woo Lee ),노현호 ( Hyun Ho Noh ),김태화 ( Tae Hwa Kim ),김장억 ( Jang Eok Kim ),김진숙 ( Jin Sook Kim ),권찬혁 ( Chan Hyeok Kwon ),경기성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이 연구는 엇갈이배추와 쪽파 중 fluazinam의 잔류특성 및 섭취율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험농약(50%, WP)을 2,000배 희석한 후 수확전 살포일을 달리하여 7일 간격 3회 살포하였으며, 시료는 최종약제살포 후 일시 수확하였다. 엇갈이배추와 쪽파 중 fluazinam은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검출한계는 모두 0.01 mg/kg이었다. 엇갈이배추와 쪽파 중 fluazinam의 회수율은 각각 76.7-85.6%와 75.7-90.3%이었다. 엇갈이배추와 쪽파중 fluazinam의 잔류량은 각각 0.33-7.87 mg/kg과 0.45-3.90 mg/kg으로 두 작물 모두 약제살포일이 수확일에 가까운 처리구 일수록 잔류량이 높았다. 엇갈이배추 중 잔류량이 쪽파보다 높았는데 이는 작물의 형태학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엇갈이배추와 쪽파 중 fluazinam의 최대 잔류량을 이용하여 %ADI를 산출한 결과는 모두 9.0% 미만이었다.

      • 벼 가공단계별 잔류농약의 가공계수 산출

        조승현 ( Seung Hyeon Jo ),강현우 ( Hyeon Woo Kang ),신현우 ( Hyeon Woo Shin ),김동주 ( Dong Ju Kim ),이다영 ( Da Yeong Lee ),김정아 ( Jeong Ah Kim ),김서홍 ( Seo Hong Kim ),임무혁 ( Moo-hyeog Im ),경기성 ( Kee Sung Ky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벼 도정 정도 및 쌀의 가공품별 농약의 실제 섭취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cGAP및 TMDI를 고려하여 벼 재배과정에서 사용하는 buprofezin, flubendiamide, tebufenozide, etofenprox을 시험농약으로 선정하고 주산지 3개 지역에서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시험농약을 살포하고 수확한 후 왕겨, 쌀겨, 현미, 백미, 현미밥, 백미밥, 떡으로 가공하고 각 가공품 중 잔류량을 GC-MS/MS 또는 LC MS/MS로 분석하여 가공단계별 가공계수를 산출할 예정이다. 또한 개발된 분석법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codex 기준에 따라 외부 실험실 검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의 정확한 섭취량을 산출함으로써 도정 정도 및 쌀 가공품 중 잔류농약의 과학적인 위해성 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icarbutrazox, Pyribencarb, Valifenalate의 작물 중 잔류 특성

        조승현 ( Seung Hyeon Jo ),강현우 ( Hyeon Woo Kang ),신현우 ( Hyeon Woo Shin ),김동주 ( Dong Ju Kim ),이다영 ( Da Yeong Lee ),김태화 ( Tae Hwa Kim ),김장억 ( Jang Eok Kim ),경기성 ( Kee Sung Ky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소면적 재배 작물에 대한 농약의 그룹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대표작물인 엇갈이배추, 시금치, 미나리, 쪽파, 들깻잎 중 picarbutrazox, pyribencarb, valifenalate의 잔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농약인 picarbutrazox(SC, 10%), pyribencarb(WG, 40%), valifenalate(SC, 12%)는 각각 2,000배, 3,000배, 1,000배 희석하여 엇갈이배추, 시금치, 미나리, 쪽파의 경우는 수확전 약제살포일을 달리한 4처리구에 7일간격 3회 살포하여 수확 예정일에 일시 수확하였으며, 들깻잎의 경우 7일 간격 3회살포 후 0, 1, 3, 5, 7, 10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시험 작물 중 picarbutrazox, pyribencarb 및 valifenalate의 정량한계는 모두 0.01 mg/kg이었으며, 회수율은 모두 71.8-115.6%이었다. Picarbutrazox, pyribencarb 및 valifenalate의 작물별 최대잔류량은 각각 1.74-7.98, 3.56-14.41, 3.59-13.10 mg/kg으로 모두 쪽파에서 잔류량이 가장 낮았으며, 들깻잎에서 잔류량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작물의 형태학적 특성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들깻잎 중 Fluazinam과 Picoxystrobin의 잔류변화 및 섭취율

        조승현 ( Seung Hyeon Jo ),강현우 ( Hyeon Woo Kang ),신현우 ( Hyeon Woo Shin ),이정우 ( Jeong Woo Lee ),노현호 ( Hyun Ho Noh ),김태화 ( Tae Hwa Kim ),김장억 ( Jang Eok Kim ),김진숙 ( Jin Sook Kim ),권찬혁 ( Chan Hyeok Kwon ),경기성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들깻잎 중 fluazinam(50%, WP)과 picoxystrobin(25%, WG)의 경시적 잔류특성을 구명하고 섭취율을 산출하기 위해 시험농약을 모두 2,000배 희석한 후 7일 간격 3회 살포하였으며, 시료는 최종 약제살포 후 0, 1, 3, 5, 7 및 10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들깻잎 중 fluazinam과 picoxystrobin의 검출한계는 모두 0.01 mg/kg이었으며, LOQ의 10배, 50배 수준에서 수행한 회수율은 각각 83.9-88.9%와 88.6-97.9%이었다. 들깻잎 중 fluazinam과 picoxystrobin의 잔류량은 각각 10.13-27.51 mg/kg과 4.13-14.85 mg/kg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잔류량이 낮아졌으며, 평균 잔류량을 이용하여 산출한 fluazinam과 picoxystrobin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8.2일과 6.0일이었다. 최대 잔류량을 바탕으로 산출한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섭취추정량인 %일일섭취허용량은 두 시험농약 모두 6% 미만이었다.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감정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군 검출

        이진규,강현우,강행봉,Lee, Jin-Kyu,Kang, Hyeon-Woo,Kang, Hang-Bo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2

        최근 기술의 발달로 국내에 10명 중 8명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현상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은 스스로가 조절하기 어렵고, 자각하기 힘들다. 주로 설문지를 중심으로한 연구들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진단하기 위해 예를 들면 S-척도와 같은 연구를 수행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ECG(심전도)와 Eye Gaze 신호를 이용한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험자가 감정 영상을 시청했을 때, 피험자의 ECG 신호와 Eye Gaze 신호를 각각 Shimmer와 스마트아이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더불어, ECG 신호의 S-transform 결과를 특징으로 추출한다. 또한 동공의 직경, 시선과의 거리, 눈 깜빡임으로 구성된 Eye Gaze 신호로부터 12개의 특징을 추출한다. 분류기는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학습시키고 피험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군을 검출한다. 검출한 결과와 실험 전 진행한 S-척도 결과와 비교한 결과 ECG는 87.89%의 정확도, Eye Gaze는 60.25%의 정확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eight out of ten people have smartphone in Korea. Also, many applications of smartphone have increased. So, smartphone addiction has become a social issue. Especially, many people in smartphone addiction can't control themselves. Sometimes they don't realize that they are smartphone addiction. Many studies, mostly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diagnose smartphone addiction, e.g. S-measure. In this paper, we suggest how to detect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ECG and Eye Gaze. We measure the signals of ECG from the Shimmer and the signals of Eye Gaze from the smart eye when the subjects see the emotional video. In addition, we extract features from the S-transform of ECG. Using Eye Gaze signals(pupil diameter, Gaze distance, Eye blinking), we extract 12 features. The classifier is trained using Random Forest. The classifiers detect the smartphone addiction using the ECG and Eye Gaze signals. We compared the detection results with S-measure results that surveyed before test. It showed 87.89% accuracy in ECG and 60.25% accuracy in Eye Ga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