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學校における特技,適性授業の日本語敎育 : 光州廣域市の學習環境と學習者意識を中心に

        강진주,이덕배 韓國日本語敎育學會 2010 日本語敎育 Vol.54 No.-

        本稿では正規の日本語授業ではなく、學習者の選擇によって行われる特技·適性敎育活動の日本語授業を受けている中學學生學習者の、學習背景及び意識·環境·ニ―ズ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最近の韓國における日本語敎育は、小學生から成人に至るまで、幅廣い年齡層の學習者に擴大されてきている。特技·適性の日本語授業を受けている中學生は、高校の日本語授業の予備學習として日本語學習を始める。成人向けの日本語敎育の方法を年少者の日本語學習者にそのまま適用すると、效果的な學習は期待できない。Ellis(1885)は、思春期の學習者(12~15歲)の習得速度が兒童や成人より速いことを指摘している。それは中學生の日本語學習者の無限の可能性を感じさせる。そのため中學生を對象とする日本語敎育は、大學生や成人向けの敎育と異なる、中等敎育の方法が必要となる。硏究方法は日本語の特技·適性授業を受けている中學生の背景及び意識·環境·ニ―ズを明らかにするために、韓國の光州廣域市の3ヶ所の中學校で、日本語學習者100人のを對象にアンケ―ト調査を行った。アンケ―ト調査の項目は國立國語硏究所(2004)の『日本語敎育の學習環境と學習手段調査硏究-韓國アンケ―ト調査集計結果報告書』を參考にして、①學習背景、②學習意識、③學習環境の3項目に分けて作成し調査を行った。日本語を初めて接する中學生に、文法的な知識や數多くの單語を暗記させる授業よりも、學生自身が樣樣な言語習得活動を通して日本語に興味を持たせるような學習者中心の授業になることが重要だと考えられる。つまり、第二外國語としての日本語に興味を持ち續けて勉强していくために、基礎·初級段階から學習者參加中心の樣樣な日本語の敎室活動に改善する必要があると思われる。從って、基礎·初級段階の日本語の敎室活動は、現在小學校の段階で盛んに硏究が行われている英語敎育を參考し、韓國の日本語敎育の事情に合った敎授法や敎室活動が開發されることが望まれる。

      • KCI등재

        Recording and interpretation of ocular movements: spontaneous and induced nystagmus

        강진주,오선영,Seo Young Choi,나승희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2023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25 No.1

        The ultimate purpose of eye movement is to maintain clear vision by ensuring that images of observed objects are focused on the fovea in the retina. Accurate evaluation of ocular movements, including nystagmus and saccadic intrusions, provides very usefu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overall function and abnormality of the complex oculomotor system, from the peripheral vestibular system to the cerebrum. Eye movement tests are therefore essential for the accurate diagnosis of patients who complain of dizziness and imbalance. They help to predict lesion locations from the peripheral vestibular system to the central cerebral cortex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on from other diseases. The methodology of recording and interpreting ocular movements using video-oculography are described in this review article.

      • KCI등재

        新羅의 忠州地域 進出過程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강진주 한국문화사학회 2023 文化史學 Vol.- No.59

        This paper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artifacts from the Silla Dynasty that were excavated in Chungju by dividing them into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which border the Namhan River and Dalcheon. The paper then reveals the period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nature of these artifacts. Reflecting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the study is divided into four stages. Stage 1 spans from the mid-6th to the early 7th century, stage 2 from the early 7th to the late 7th century, stage 3 from the late 7th to the late 8th century, and stage 4 from the late 8th century onwards. During Stage 1, Silla expanded into Chungju, while Stage 2 marks the relocation of the Kukwon-sogyeong(國原小京)'s center from the Toppyeong-ri area to the Chungju Basin in the east. In Stage 3, the district was renamed Jungwon-gyeong(中原京), and Stage 4 refers to the second half of Silla, when local powers grew and influenced the Chungju region. It can be observed that Silla quickly established its territorial control over the Chungju area after taking command of it. This was achieved by establishing the Gookwon-sogyeong district in the 18th year of King Jinheung(眞興王) and transforming the children of the king's relatives and the warrior class of the six administrative districts into commoners the following year. The Nuam-ri tomb cluster, Haguam-ri tomb cluster, and the ruins of Toppyeong-ri are cited as evidence for this. However, King Jinheung's onsite inspection of the Nangseong area in March 551 indicated that Silla already had dominance over key strongholds of the Goguryeo Kingdom before the establishment of Gookwon-sogyeong. These literary records offer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early earthenware discovered at the Nuam-ri tomb cluster and Toppyeong-ri site. Thus, contrary to previous beliefs, it is understood that Silla advanced into Chungju before 550, and there is some agreement between the literary and material data. Additionally, previous beliefs suggested that Silla initially entered the western region in the mid-6th century and then expanded to the eastern region. However, investigations conducted in the 2010s on the first stage of tombs at the Hoam-dong and Yeonsu-dong sites revealed that Silla also entered the eastern region in the mid-6th century. Meanwhile, the Toppyeong-ri site is widely recognized as the center of the Gookwon-sogyeong district. However, the absence of artifacts from Stages 3 and 4 suggests that the center was relocated around the middle of Stage 2, possibly to the Chungju Basin area with a focus on Chungju-eupseong Fortress. Recently, the site of Unified Silla building sites was discovered in this area. For Stages 3 and 4, only small-scale archaeological sites have been found so far, making it challenging to determine the exact timing of the renaming to Jungwon-gyeong. However, the excavation of a Tang Dynasty-style belt and a copper mirror in the tomb of the Geumneung-dong area, where no tombs were found until the fourth stage, indicates the emergence of new powers in the 9th century. 본고는 충주지역의 신라유적을 남한강과 달천을 경계로 동부와 서부지역으로 나누어 분포현황을 살펴 본 뒤 유적의 성격에 따라 조성시기를 밝혔으며, 출토된 신라토기와 기존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4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6세기 중반~7세기초, 2단계는 7세기초~7세기후반, 3단계는 7세기후반~8세기후반, 4단계는 8세기 후반이후로 설정하였다. 1단계는 신라가 충주로 진출한 시기이며 2단계는 국원소경의 중심지가 탑평리일대에서 동쪽의 충주분지로 이동한 때이다. 3단계는 중원경으로 개칭하였으며 4단계는 신라하대로 지방세력이 성장하여 충주지역에 영향력을 끼친 시기이다. 진흥왕 18년(557)에 국원소경을 설치하고 이듬해 귀척자제와 육부호민을 사민시켰다는 기록의 근거로써 중앙탑면의 누암리고분군과 하구암리고분군 그리고 탑평리유적을 들고 있다. 그러나 551년 3월 진흥왕의 낭성 순행은 국원소경을 설치하기 이전에 이미 고구려의 국원을 차지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누암리고분군과 탑평리유적에서 출토된 전기양식 토기에 대한 설명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신라는 550년 이전에 충주로 진출한 것으로 이해되며 문헌과 물질자료가 어느 정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서부지역의 신라유적이 가장 빠르고 집중되어 통일기가 되서야 동부지역으로 확산되었다는 견해가 많았으나 호암동복합유적, 연수동 유적과 같은 1단계 고분이 조사됨에 따라 동부지역에도 6세기 중반에 신라인들이 정착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누암리형대금구와 부가구연대 부장경호의 부장여부에 따라 서부지역이 위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중앙탑면의 탑평리 유적은 국원소경의 중심지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3,4단계의 유물이 부재되어 2단계 중반경에 중심지가 이동된 것으로 보았는데, 최근 통일신라 건물지가 발견된 충주읍성를 중심으로한 충주분지일대로 옮겨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가 처음 진출했을 당시 기반시설이 갖춰진 백제의 대규모 취락이 입지한 곳에 터를 잡았다가 673년 문무왕이 국원성을 축조한 이후 신문왕대에 지방제도가 완비됨에따라 국원지역에도 새로운 정비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3, 4단계는 소규모의 고분유적만이 확인되어 당시 상황을 복원하기 어렵다. 다만, 4단계에 이르러 그동안 고분이 입지하지 않았던 금릉동에 당식과대와 동경이 부장된 분묘가 확인되어 새로운 세력의 성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도천 인근의 환호유적과 견학리토성은 당시 물류유통과 관련된 호족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공공기관의 현장조사를 통한 유아의 공공성 이해 : Dewey의 공중(the public) 개념을 중심으로

        강진주,고은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understand attributes of publicness through their own discourses while investigating public institutions such as a local library and a post-office. The participants were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The data resources included field notes from observing the classroom and investigative activities, interview transcripts from the children and teacher, and records maintained by the participants. In general,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hermeneutic approach regarding their understanding of a subject of publicness and its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the kindergartners understood that they themselves are a subject of public institutions, which have officials who give systematic care for the public’s benefit. They also learned that people other than children themselves benefit from public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ey understood the kinds of “indirect” benefits provided to them by the public institutions and the requirements that must be upheld among people to receive the public benefits. The study discussed educational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about public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공공기관을 현장 조사하면서 공공성의 속성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유아들의 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만 5세 담임교사와 학급 유아들이며, 교실 및 현장조사 관찰, 유아와 교사 면담, 기록물 수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해석학적 접근의 연구로서 Dewey의 공공성 이론을 바탕으로 유아들의 공공기관 현장조사에서 기록된 내용에 대한 토의를 공공성의 주체와 과정의 이해로 구분하여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들은 자신들이 도서관과 우체국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주체임과 동시에 공무원이라는 존재가 있음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유아 자신들뿐만 아니라 혜택을 받는 더 많은 사람이 지역사회에 있다고 이해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공공기관의 공적 혜택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며 공적인 혜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서로 간에 지켜야 할 것들이 있다고 이해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들의 토의를 통한 공공성 이해가 유아교육에서 갖는 잠재적 가능성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1930년대 중반 조선중앙일보에 실린 신문연재소설의 표기 변화에 대한 연구 -이태준의 장편 소설 3편을 대상으로-

        강진주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rthography changes shown in 「Bulmyeolui Hamseong(Immortal Shout)」, 「SeongMo(The Virgin Mary)」, and 「Hwangjini」, the novels of Lee, Taejun serialized in Chosunjungang-ilbo from 1934 to 1936. The orthography of Hangul, <Hangelmachumbeoptongiran(한글마춤법통일안)> was enacted and announced in 1933. However, everybody can well guess that spread of the new orthography of Hangul was more likely to be restrained and how the existing one was treated even though the researcher does not tell about them if the period that Japan implemented the policy to obliterate the Korean nation is considered. Therefore, examining writing shown in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is valuable in studies in that it can be a channel to be able to know orthography and sentences of the time while it is impossible to assure what it is then easily. This paper focused on writing of serial stories published in Chosunjungang-ilbo with the especially strong inclination of ethnography. The works which become the concrete subjects are 「Bulmyeolui Hamseong(Immortal Shout)」, 「SeongMo(The Virgin Mary)」, and 「Hwangjini」 which are the novels of Lee, Taejun. These three works can be the good materials which can grasp actually used orthography and the changes because they were steadily serialized for total 3 years from 1934 to 1936. This study looks at one side of orthography in the middle of 1930s.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examine how the orthography of Hangul took root among people and was used in arrangement. 본고의 목적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된 이태준의 장편소설 「불멸의 함성」, 「성모」, 「황진이」에 나타나는 표기의 변화를 살피는 데에 있다.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발표되었지만, 시대적으로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이 행해지던 시기임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맞춤법 통일안의 확산이 제지되었을 가능성이 있었을 것은 물론이요, 기존에 쓰이던 표기 또한 어떤 취급을 받고 있었을지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짐작이 갈 것이다. 따라서 당시의 표기법이 어떠하다고 쉽게 단언이 불가능한 가운데,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나는 표기를 살피는 것은 당시의 표기법과 문장을 알 수 있는 하나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 특히나 민족지 성향이 강한 조선중앙일보에 실린 신문연재소설의 표기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인 대상이 되는 작품은 이태준의 장편 소설 3편, 「불멸의 함성」, 「성모」, 「황진이」이다. 이 세 작품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총 3년에 걸쳐 꾸준히 연재되었기 때문에 그 당시에 실제로 쓰인 표기법과 그 변화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를 통해 1930년대 중반 표기법의 일면을 들여다보고, 나아가서는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세간에 어느 정도로 뿌리내렸으며 얼마나 정연하게 쓰였는지까지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의사소통 공간으로서 유아 참여적 벽면 전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탐색

        강진주,고은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wall display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s a communication space Methods To this end, the literature was reviewed, on exhibition discourse in the field of art, which has made a systematic discourse on wall display of art works to emphasiz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nd the discourse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see classroom walls as a communication space. The review shows that the discourse of wall display attempted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space, time, relationship, and authority. Based on this content, the study explores the specific educational value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wall display as a communication spac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Results As a result, the wall display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can be a place where various stories are mixed by breaking the boundaries of space, where the current interest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continue through breaking the boundaries of time, and where children communicate through referencing reciprocally by breaking the boundaries of relationships; then, this become a public space where children's participation is activated through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authority. Conclusions The result implies that the children’ participatory wall display can become a forum for public discussion within the classroom, suggest a new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classroom space, and help practicing the children-and-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 공간으로서 유아 참여가 강조되는 벽면 전시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소통과 참여를 지향하는 벽면 전시에 관한 체계적인 담론이 형성된 미술 분야의 전시 담론과 의사소통의 공간으로서교실 내 벽면 전시를 바라보는 교육 분야의 담론을 통해 소통과 참여를 강조하는 벽면 전시의 다양한 시도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내용을 바탕으로 의사소통 공간으로서의 벽면 전시는 공간, 시간, 관계, 권위의 경계 허물기를 시도했음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실 내 의사소통의 장으로서 유아 참여적 벽면 전시가 갖는 구체적인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결과 그 결과, 유아 교실 내 벽면 전시의 가치 및 방향은 공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다양한 이야기가 혼재하는 곳, 시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현재의 흥미와 배움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곳, 관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상호참조를 통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 권위의 경계 허물기를 통한 유아의 참여가 활성화되는 대중적인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 참여적 교실 내 벽면 전시가 유아 교실 내 공론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유아 교실 공간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제시하며,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놀이 중심의 교육과정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프로젝트 기반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강진주,고은경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4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roject-based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o collect the relevant articles, from November 21 to November 27 in 2018, the keywords ‘young children project’ and ‘young children Reggio’ were searched on the Korean online database including RISS, KISS, and DBPIA. Out of the 561 documents that initially retrieved, 47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based on the PICOS procedure, defined by the researchers.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Hedges's g) of the project-based activities was found to be 1.25, and the negative effect was –1.49. The effects of each sub-category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llows;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rea was 1.23, cognitive ability was 1.48, and creativity was 1.16. According to moderator effect, the type of applied projects, periods, group size, and the subjects’ ages was very large in each,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ategories. The effect size of 5-year-olds was likely to be larger than 4-year-old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implications to facilitate project-based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문헌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유아교육에서 프로젝트 기반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8년 11월 21일부터 11월 27일까지 RISS, KISS, DBpia 검색엔진에서 ‘유아 프로젝트’ 및 ‘유아 레지오’로 검색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였다. 최초 검색된 문헌 561편 중 연구자들이 정의한 PICOS 내용에 따라 47편의 문헌이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기반 활동의 전체 효과크기(Hedges’s g)는 무선모델을 적용하여 긍정성 증가의 효과 크기는 1.25이며, 부정성 감소는 –1.49로 큰 수준의 효과가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유아교육과정영역은 1.23, 인지능력은 1.48, 창의성은 1.1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조절변수 효과에서는 프로젝트 기반활동의 유형, 기간, 연령, 규모에 따른 효과크기는 각각 큰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나, 범주 간의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기반 활동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교육적 실천에 대한 시사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