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P, CGRP Changes in Pyridoxine Induced Neuropathic Dogs with Nerve Growth Factor Gene Therapy

        강주연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Nerve growth factor (NGF) is known not only as a major factor for neuronal plasticity but also as a pain stimulator.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trials with NGF for its application in the regeneration or protection of the nervous system, the pain induced by NGF remains a challenge to be overcome. In this study, the pain induced by NGF gene therapy was evaluated. Vehicle or recombinant dog NGF plasmid was administered into the intrathecal space of dogs. Twenty-four hours after the vehicle or NGF plasmid inoculation, dogs were subcutaneously treated with 150 mg/kg pyridoxine every day for 7 days. For pain assessment, physical examination and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 were performed. Only in the vehicle-treated group, weight loss occurred, while NGF plasmid inocula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is physical abnormalities. In the vehicle-treated group,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showed that H-reflex disappeared at 24 h after the last pyridoxine treatment. However, in the NGF plasmid inoculated group, the H-reflex was normal. In the results of immunohistochemistry, the NGF plasmid administered was efficiently expressed in the dorsal root ganglia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immunoreactive neurons that were reduced in the pyridoxine-induced condition, but not in substance P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dorsal root ganglia. Given these results, we reason that NGF gene therapy in pyridoxine induced neuropathic dogs does not induce neuropathic pain with this dosage, even with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CGRP.

      • 산수유 열매 추출물 분리 및 생리활성 연구

        강주연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Cornus officinalis (C. officinalis) Sieb. et Zucc. Cornaceae, which is commonly called Japanes cornel, is widely distributed in China and Korea. The fruit without the seed, is called sanshuyu and has been used for at least 2,000 years in Chinese herbal medicine. The total iridoid glycoside content of C. officinalis, including loganin, morroniside and other minor constituents, possesses a number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mitigating the vascular complications of diabetes, depressing immunity, rheumatoid arthritis, cerebral ischemiar eperfusion injury through multiple action mechanisms, and against dia betic metabolism. It is used principally to reduce unusually active secretions, including copious sweating and excessive urine. It is known that C. officinalis hot water extract has an antibacterial action, anti-histamaine, and anti-acetylc holine activity in the small intestine of the guinea pi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iological activities of C. officinalis fruits. Fruit extracts were prepared by ethanol extraction method and then fractionated with hexane, ethylacetate (EtOAc), butanol (BuOH) extract to get active compoun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were assayed by total polyphenolics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nd catalase (CAT) activiti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fruits extracts showed a considerable RC50 value, 234.51 (ethanol extract), 140.60 (hexane extract), 25.60 (EtOAc extract), 110,0 (BuOHextract), 500,00 (wat er extract) ㎍/㎖, respectively. Ethylacetate extract showed higher activity tha n that of BHT standard antioxidant (RC50 101.00 ㎍/㎖). The total SOD-like enzym e activity was found to be 17.80 U/mg and CAT activity was 13.90 U/mg and the co ntents of total polyphenolics was 27.17 mg/kg. Moreover, five compounds were is olated from EtOAc fraction of Cornus officinalis fruits and them were identified with galic acid, cornuside, (7S)-O-methyl morroniside, and (7R)-O-methylmorronis ide, loganin, which have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 o fficinalis fruits would be an alternative antioxidant source, based on natural p lant resources.

      • 청소년기 집단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단체활동을 중심으로

        강주연 광운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활동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견해를 그들의 관점에서, 있는 그대로 온전히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포착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에 의거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활동 경험은 어떤 의미인가?’라는 대 질문을 가지고 연구에 임하였다. 본 연구자는 청소년집단활동의 경험자로서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동기를 가지고 직접 체험한 경험적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도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을 3년 이상을 한 20세~25세의 성인 초기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참여자의 연령은 23세에서 25세까지였다. 총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과 메모를 실시하였으며,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30분 정도였다. 참여자별 면담횟수는 1~3회였다. 모든 면담자료는 참여자가 표현한 기술을 그대로 필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에 따라야 하는 4가지 구체적 단계들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다. 분석의 첫 번째 단계인 ‘전체의 인식’단계에서는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인 필사본 내용을 여러 차례 읽으며 전체적인 내용과 맥락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청소년집단활동 경험과 관련하여 의미의 전환이 일어난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의미단위’를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6명의 연구 참여자로부터 184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해내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의미단위들을 연구자의 자유변경법을 사용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학문적인 표현으로 전환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학문적용어로 기술된 의미단위들로 ‘일반적 구조’를 찾고자 하였다. 즉,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의 본질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그 안에서의 함축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총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그에 대한 주제군으로는 7개가 도출되었으며, 주제로는 15개가 도출되었다. 또한 각각의 구성의미 내에서는 대상자들 간에 약간의 경험적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 범주들과 주제군을 함께 제시하면 <자기 성찰과 자기 성장의 기제 : 새롭고 긍정적인 경험, 다각적인 요소의 의식, 지금까지 나를 만든 인생사건>, <온전한 그 자체로서의 경험 : 추억의 한 페이지, 그 자체로 속함>, <이상과 현실의 괴리 : 현실과의 조우, 부정적 경험> 이다. 이에 대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자기를 성찰하고 자기를 성장 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한다.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와 더 넓은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부터 동기부여가 된다. 이러한 경험은 집단 안에서 소속되어 활동하면서 자부심을 느끼고 집단을 동경하며 이루어지며, 집단활동을 하면서 이루어지는 여러 사건들을 통해 두려움을 이겨내는 도전, 성취감, 봉사정신, 기대감, 힘든 환경 속에 적응할 수 있는 힘을 얻게된다. 또한 리더로서 한 발자국 나아설 수 있는 기반과 이로써 느끼는 책임감을 경험하고 사회로 나서기 이전에 상하관계를 경험하고 사회생활에 대한 고민을 갖게 하여 예비적인 사회생활의 한 면을 바라보게 하기도 한다. 과거의 청소년집단활동을 통해 현재의 자기를 만들기도 하며 시간의 흐름 속에 목표를 수정하기도 하고 미래의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기도 한다. 또한 현재의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삶 안에서의 의미로서 다가오기도 하고, 과거에는 몰랐지만 현재의 자신을 바라보며 삶의 변화를 느끼며, 자신의 한계를 보완하는 모습을 보기도 한다.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을 돌아보며, 현재의 나를 만드는 양분으로서 작용한다. 둘째,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온전한 그 자체로서의 경험으로서 남는다.자신이 경험한 시간들은 추억으로 남으며 그 추억 안에서 깨달음을 얻기도 한다. 친구들과 함께 경험하고 지내 온 시간을 통해 그 소중한 기억들은 인생 속 추억의 한 자락으로 남는다. 그 안에 경험한 즐거웠던 기억들은 크게 각인되며 그 자체로 기억 속에 내재된다. 시간이 지나도 그경험은 퇴색되지 않으며 온전한 경험으로 남는다. 셋째,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현실과의 괴리를 느끼게 한다. 자신의 경험한 것을 기반으로 진로를 설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직업적 고민과 현장을 바라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만 청소년집단활동에 대해 취업시장에 내놓았을 때 부정을 당하기도 하고 때로는 취업 속에서 자신을 인위적으로 만듦으로서 자기의 경험을 잊을 때도 있다. 또, 청소년집단활동이 다양한 성장을 이루기는 하나 세부적인 활동에 있어서는 경험에 대한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기도 하며, 청소년들의 욕구는 가득하나 활동 자체가 그 욕구를 뒷받침 해주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청소년집단활동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성장시키고 기억하며 경험 자체를 삶에 내재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새로운 것에 대한 열망과 더 넓은 세상에 대한 호기심, 또래집단의 영향을 동기로 이루어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집단활동의 경험은 청소년들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요소들을 느끼게 해준다. 넷째,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를 설정하고 직업적인 고민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에 대한 예행연습을 하게 한다. 이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자의 청소년집단활동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 가운데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적 연구와 구분되는 방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절대적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둘째, 연구의 표본이 청소년단체활동에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집단활동의 구체적 이해를 위하여 청소년자치기구, 청소년동아리, 청소년단체활동을 경험한 자를 대상으로 표본 수집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성향이 연속적이지 않은 단발적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활동을 한 대상자를 선별하여 연구하는 것이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and a complete inquiry into the opinions of the youth’s experience as they are from their point of view. Thus, a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grasp the essential meaning of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major question, “What does the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mean?” As an experienced hand of youth group activity, this researcher attempted a study based on the empirical contents directly experienced with an interest and motive for research on thi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arried out on youths in early adulthood aged between 20 and 25 with over 3-years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and the actual participants ranged from 23 to 25 years of age. For a 6-month total data collection period from May through November 2013,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the interviews, recording and memos were made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and each interview took 30 minutes to 1 hour and 30 minute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to three times with each participant. All interview data on the participants’ description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s they were expressed. The process of analysis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four specific steps that should follow ‘Scientific Phenomenology’ presented by Giorgi. In Step 1 in the analysis, ‘Recognition of the Whole,’ the researcher figured out the whole contents and contexts, reading the contents of the manuscripts, the research participants’ statements several times. In Step 2, this study classified ‘meaning units’ centered around the parts in which it was judged that transformation of meaning occurred regard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Through this, 184 ‘meaning units’ were drawn from the 6 participants. In Step 3, an effort was made to transform the meaning units into the academic expressions judged to be most appropriate using the researcher’ free modification method. In Step 4, an attempt to find a ‘general structure’ was made with the meaning units described in academic terms. In other words, the essence of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was continuously consider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find implications of it. Through the above process of analysis, finally a total of three categories were drawn, 7 topic groups of them were drawn and 15 topics were drawn. In addi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within each component meaning. The categories with the topic groups are presented as follows: Mechanisms of self-examination and self-growth: new and positive experience, consciousness of multifaceted elements and life events that have made me who I am; complete experience as it is: one page of memories and belonging as itself; and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encounter with reality and negative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the following structures were drawn. First,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provides a mechanism of self-examination and self-growth. The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motivates from the desire for something new and curiosity about the wider world. This experience is obtained as belonging to a group, the youth are active and proud, and admire that, and through multiple events carried out in the group activity, they can get a spirit of challenge to overcome their fears, a sense of accomplishment, a sense of service, expectation and a power to adapt themselves to tough environments. In addition, they get a base on which they can take a step forward as leaders and accordingly they feel a sense of responsibility,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before entering into society, and they are also allowed to be concerned about social life so that they get a sense of preliminary social life. They make themselves as they are at the present through their past youth group activity, modify their goal in the flow of time, and imagine who they will be in the future. Also, the experience comes closer to them as a meaning in their lives while they run their present lives, feel changes in life, which they did not know in the past, looking at themselves at the present, and they make up for their limits. They look back on themselves who they were in the past and look at themselves who they are at the present, which serves as nourishment that makes them who they are today. Second, the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remains as a complete experience as it is. The times they have experienced remain as memories, in which they find enlightenment. Through the time they have experienced and spent with friends, the precious memories remain as a train of their memories of life. A pleasant memory from their experienced in them is stamped greatly, which becomes inherent itself. Even after the lapse of time, the experience would not fade and remains as an intact experience. Third, the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makes the youth feel the gap between what they think to be ideal and their reality. Their experience has an effect in mapping out their career path and provides them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be concerned about their occupation and look at the field, and yet their youth group activity they bring out to the job market may be denied or sometimes they may forget their experience while making themselves factitious getting a job. In addition, youth group activity forms various growths, but a detailed activity sometimes does not motivate the experience, and other times, despite an adolescent is full of a desire, the activity itself does not support the desire. Through the above structures, this study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youth group activity experienced by the youth.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젊은 세대(아동, 청소년, 청년) 관련 언론 보도의 담론 분석 : 1980년-2019년

        강주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에서는 젊은 세대에 대해 뚜렷한 기준은 존재하지 않으나 대개 연령을 활용해 아동, 청소년, 청년 등의 용어로 구분해 왔다. 최근 『청년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젊은 세대를 지원하는 법적 제도가 아동, 청소년, 청년에 대해 각각 근거를 가지게 되면서 젊은 세대를 지원하는 정책과 서비스 또한 분절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생애주기별 통합적 시각의 부재로 인해 단편적 서비스의 제공과 더불어 연령중복의 이슈 등 다양한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젊은 세대라고 할 수 있는 아동, 청소년, 청년의 사회 통념적 의미와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은 앞서 제시된 문제를 풀 수 있는 새로운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젊은 세대 정책의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했던 1980년부터 자료 확보를 위해 가장 최근으로 볼 수 있는 2019년까지의 언론 데이터를 활용하여, 젊은 세대에 관한 용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동, 청소년, 청년이 사회 통념상 어떠한 의미와 이미지를 가지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 청소년, 청년을 검색어로 지정하여 언론 데이터를 수집한 뒤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페어클로의 3차원 담론 개념을 활용하여 텍스트 차원 분석에서는 버즈 분석과 키워드 분석을 수행하였고, 담론적 차원 분석에서는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담론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천 과정 분석에서는 토픽모델링에서 추출된 담론과 담론에 포함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텍스트의 맥락을 확인하기 위해 언론 데이터 내의 기사 원문을 참고하였고, 이를 토대로 질적 분석을 진행하여 담론에 따른 사회적 영향이 무엇인지 확인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청소년, 청년의 각각의 핵심 주제어는 사회 변화에 동반된 이슈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아동의 경우 인권, 결식, 아동학대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어 아동보호 측면과 관련된 단어들이 중심을 이루었다. 청소년은 교육, 체험, 상담 등 청소년에 대한 실천 서비스와 관련된 키워드와 더불어 성매매, 혐의, 폭력, 비행 등의 문제와 관련된 키워드가 강조되었다. 청년의 경우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키워드는 고용이었으며, 청년 실업과 자립의 어려움이 내포된 단어들이 최근 들어 더 많이 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아동, 청소년, 청년과 관련한 담론을 확인하기 위해 토픽모델링 분석을 진행했다. 아동의 경우 ‘아동 지원 서비스’, ‘아동 교육’, ‘범죄로부터 위협받는 아동’, ‘아동 보호 인식 제고’가 담론으로 추출되었다. 청소년의 경우 ‘주체적인 모습의 청소년’, ‘문화 속의 청소년’, ‘범죄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청소년’, ‘스포츠 주역으로서 청소년’이 담론으로 나타났다. 청년은 ‘청년 일자리정책’, ‘전통적 청년 과업에 대한 이미지’, ‘사회 변화를 위한 청년운동’, ‘청년 관련 사건·사고 및 문화 이슈’가 담론으로 등장했다. 젊은 세대에 대한 각각의 용어는 개별적이지만 동시에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는 모습으로 담론적 실천이 이루어졌다. 셋째, 사회적 실천 과정 분석에서는 아동, 청소년, 청년의 전체적인 담론의 구조를 고찰했으며 실제 사회 현상과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었다. 아동의 경우 이행론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보호의 대상이었고 보호의 주제와 실천적 요소들이 세분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청소년의 경우 이행론적 관점과 문화론적 관점이 함께 공존했으며 보호의 대상이지만 때로는 문제를 일으키는 주체이자 동시에 미래의 자원으로 나타났다. 청년의 경우 아동, 청소년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과거 청년은 성장기를 지난 성인이자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적 모습을 보였고, 오늘날의 청년은 경제 위기 등의 사회 변화를 직격으로 경험하고 자립이라는 역할을 해내기 어려운 환경 속에 살아가는 존재로 비추어졌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에서 아동, 청소년, 청년 각 용어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활용되고 있었다. 같은 나이여도 보호를 받아야 할 상황에서는 아동으로 문제의 상황에서는 청소년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근로와 관련되는 경우에는 주로 청년으로 불렸다. 둘째, 언론 데이터에 드러난 젊은 세대의 모습은 교육을 통해 ‘길러져야 하는 존재’로 나타났다. 아동, 청소년, 청년을 정확하게 관통하고 있는 사회적 지원 영역은 ‘교육’이었으며, 젊은 세대는 끊임없이 성장하기 위해, 노동시장의 진입을 위해 교육을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비추어졌다. 셋째, 아동, 청소년, 청년의 언론 데이터에서 표현되는 지칭과 주요 이슈, 사회적 지원 영역, 존재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주요 의미를 확인한 결과, 종합적 이미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아동은 ‘보호와 돌봄의 존재’, 청소년은 ‘문제와 참여의 이중적 존재’, 청년은 ‘의존과 자립의 이중적 존재’로 나타났다. 젊은 세대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사회 통념상 피동적인 존재로 바라보아지고 있었다. 또한 아동에서 청년으로 성장해갈수록 기성세대의 요구사항을 수행해야 하는 것과 자신이 원하는 무언가를 수행하는 것 사이에서 충돌이 일어나는 ‘역설적인 시공간’에 위치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동, 청소년, 청년은 서로 각각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결국에는 생애주기의 전반기를 살아가는 존재로서, 이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젊은 세대를 지원하기 위해 고려되고 있는 관점은 ‘학교급별 연령’, ‘유아기부터 후기 청년기로 확장’, ‘개별적 법령 유지 상황에서 젊은 세대를 통합해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기본법 제정’ 등 크게 세 가지 관점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들은 젊은 세대가 존재하는 여건과 상황, 사회적 통념, 법적 제도 등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출생하여 자립하기까지의 과정을 지지할 수 있는 통합적 관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발견한 젊은 세대의 사회 통념적 의미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young people in society from birth to the time they become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ge has generally been used to classify the terms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The recent enactment of the Early Adults Basic Act has created a legal system to support young people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Policies and services that support young people are also being provided segmentally. This approach has produced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provision of fragmentary services and the issue of overlapping ages due to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view based on life cycles. This situation has presented new clues that will help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identify the conventional meaning and image of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those who can be called “young people”). This study utilized the most recent media data (up to 2019) starting from 1980, when the paradigm of policies for young people changed significantly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image among the terms used most often for young people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in terms of societal norms. To this end, media data was collected by specifying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as search term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text mining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Buzz analysis and keyword analysis were performed in text dimension analysis through the use of Fairclough’s 3D discourse concept. The discourse for the dimension analysis was extracted through the use of topic modeling. Lastly, in order to analyze the social practice process, the original text of the article in the collected media data was checked again to confirm the context. Focus was placed on the discourse extracted from topic modeling and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discourse. A qualitative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confirm the social impact of the discourse. The main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keywords for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were closely related to issues accompanying social change. In the case of children, keywords were derived that were centered on protection such as human rights, underfed children, and abuse of children. In addition, keywords related to issues such as sex trafficking, allegations, violence, and delinquency were emphasized for youths as well as keywords related to practical services for youths such as education, experience, and counseling. In the case of early adults, the keyword with the greatest influence was employ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ds containing early adult unemployment and difficulty of self-reliance had appeared more recently. Second,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discourses related to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In the case of children, support services for children, education for children, children threatened by crime, and raising awarenes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were extracted as discourses. In the case of youths, discourses appeared as youths as independent figures, youths in culture, youths in need of protection from crime, and youths as sports leaders. The following appeared as discourses for early adults: job policies for early adults, awareness of duties for early adults, early adults exercising their rights for social change, and incidents, accidents, and cultural issues related to early adults. Each term for young people was individual, but at the same time, closely connected with the others, which led to a discursive practice. Third, in regards to the social practice process analysis, the structure of the overall discourse of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was considered to be an attempt to find a connection point with actual social phenomena. In the case of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of protection and practical elements was subdivided as the object of protection was viewed from the transitional point of view. In the case of youths, transitional perspective and cultural perspective were found to coexist. The youths appeared to be protected, but were sometimes referred to as “problem causers” as well as “resources for the future.” The pattern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ldren and youths when it came to early adults. In the past, early adults were people who had passed the growth stage, had become self-reliant, and were becoming leaders in social change. Today, they are people who have directly experienced social change such as economic crises and are seen as people who have liv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become self-relia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media, each of the terms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Even subjects of the same age were referred to as children in situations that deserved protection and youths in situations that caused problems. People of the same age were referred to as early adults for things that were related to work. Second, the image of young people revealed in the media data appeared as “beings to be nurtured” through education. The area of support that precisely discerned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was education. Young people were seen as beings that needed education in order to constantly grow and enter the labor market. Third, the main meanings were identified by focusing on the designations of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expressed in the media data as well as the main issues, support areas, and existing spaces. It was therefore possible to derive a comprehensive image. Children appeared as “beings of protection and care,” youths appeared as “beings of duality of problem and participation,” and early adults appeared as a “dual existence of dependence and independence.” Young people as a whole were viewed as “passive beings by social convention.” In addition, as people grow from children to early adults,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at young people were located in a paradoxical space-time that brought about a conflict between having to fulfill the requirements of the older generation and doing something they wanted to do. In conclusion,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are beings who live the first half of their lives with their own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an help them grow. There are three main perspectives that are currently being considered to support young people: age by school level, extending the life cycle from infancy to early adulthood, and the enactment of a new basic law that can be approached in an integrated way. These perspective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ultilateral aspects of the conditions and situations that young people face such as social conventions and the legal system. They als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can support the process from birth to independen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iscussion to find solutions based on the conventional meaning and image of young people.

      • 3.1운동에 참여한 여성독립운동가의 온라인 전시 방안 : 국립여성사전시관의 기록 활용을 중심으로

        강주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rch 1st Movement began at Tapgol Park with the reading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The greatest value that the March 1st Movement sought was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based on liberal democracy. The March 1st Movement was so powerful that it changed the way Japan rule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women organized organizations and raised funds, and carried out independence and national movements in a more active and active manner. There is no proper independent memorial hall or historical view in connection with the March 1st Movement, which was led by women in Korean history. However,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deals with various topics related to women. The exhibition program promotes the institution, has the most universal access to the exhibition subject, and is also the most effective method. If the exhibition is held based on records related to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owned by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Center, it is believed that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ical awareness of women's independence activists will be enhanced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identity of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Center. The reasons why online exhibitions related to the March 1st Movement should be held at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Center are as follows: Until now, most of the exhibitions have been offline exhibitions that have been visited in person and seen with eye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owever, is shifting exhibitions from offline to online. Online users can access the service without restrictions between time and space.Online exhibitions will also play a big role in situations such as COVID-19.

      •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효능감이 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21th century, the Republic of Korea has joined the ranks of those multi-cultural societies where various races and ethnic groups co-exist. As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increases, international marriag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comprised of foreign workers and their children have increased rapidly in number. Because the Republic of Korea is a strongly homogeneous nati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ace such problems as a sense of alienation and maladjustment caused by ethnic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 decline in verbal ability, and confusion in their self-identities. Therefore, social and educational concerns for such children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the development of team leadership to facilitate harmonious interaction with group members would b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chool and social lives of children. Based on this premise, the study will test the influence of self- efficacy on team leadership.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educational support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they can develop as prosperous members of society. The specific questions examin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1. Do the self-efficacy and team leadership skills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differ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school grade, economic status, type of parents, and mother country of parents? 2. How does the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fluence their team leadership?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analyses comprises students who are in primary or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who are at the same time,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s or through the immigration of foreign workers. The researcher used a modified team leadership scale in order to make the scale suitable for the participants and their environment. The scale is based on the ‘Self-efficacy Scale’ (Lee, 2005), which was modified from the scale developed by Ah-Young Kim (1997) to measure the self-efficacy levels of the children, and also based on the ‘Collaborative Team Leader Survey’ developed by LaFasto & Larson (1996). SPSS version 12.0 was used for data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variables, t-test and ANOVA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or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variables give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influence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es are the followings.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in the self-efficacy area and the scores in the team leadership are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of the children. Specifically, the self-regulatory efficacy scores of male participants in the self-efficacy area and all the scores of male participants in team leadership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for females. Regarding school grade, in the self-efficacy area, the self-confidence score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sco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he self-confidence scores of participants of higher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from other economic statuses. The differences of the sum of scores in the team leadership area and of the managing performance scores in the team leadership are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scores of children of parents of the same nationalitie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hildren of parents composed of one Korean and one foreigner. Regarding the mother country of the parents, in the team leadership area, the scores of children whose parents’ mother countries was Mongolia were respectively higher. The researcher adop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team leadership, using team leadership of the as a dependent variable, using self-efficac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using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school grade, economic status, and parental type as control variabl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elf-efficac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rough using control variables,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team leader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In order to measure the influence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hich are factors in the self-efficacy area)on team leadership, the researcher adop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se factors and control variables, finding that the influence of self-regulatory efficacy on team leader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researcher adop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spect the influences of these factors in the self-efficacy area on those factors related to the team leadership area. The results show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alone among the factors in the self-efficacy area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factors in the team leadership area (p<.001). Additionally, self-confidence in the self-efficacy area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managing performance in the team leadership area. The study results are interpreted academically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ovides an empirical basis from which we can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comprise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in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by inspecting the levels of self- efficacy and team leadership among the children, the researcher illustrates the empirical basis which allows comparison with similar levels among childre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rough these comparisons, we can find related concerns among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find new strategies of educational support for the children. Third, under the premise that harmony and adaptation in group activities during their school lives can improve the social lives of these children, the researcher defined the concept of team leadership as that ability which leads to common goal achievement through intensive interaction and cooperation with team members in group activities. The concept of team leadership utilized in this study could also be used in other studies to measure how the social abilities of general adolescents manifest in various groups. Fourth, the researcher analyzed the influenc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on their team leadership, and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leadership. In other words, individual self-confidence and beliefs regarding successful performance could have positive roles in developing the social abilities that allow children active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trongly suggests that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provided with educational and social support which allows them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so that these children can not only solve such problems as a sense of alienation and maladjustment, but can also have positive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21세기의 한국은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공존하는 다문화국가의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체류외국인의 증가는 국제결혼과 이주한 외국인근로자로 구성된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수를 급속하게 확대시켰다. 하지만 단일민족주의를 강조하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편견과 차별로 인한 소외와 부적응의 문제, 언어능력의 부족과 정체성의 혼란 등의 문제를 경험하고 있고, 이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향한 사회적 &#8729; 교육적 관심의 필요성을 대두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가 집단의 구성원들과 조화를 이루고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팀 리더십의 함양이 정상적인 학교생활뿐 아니라 사회생활의 올바른 영위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전제 하에 자기효능감이 팀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해본다. 그리하여 그들이 한국사회의 조화로운 일원으로서 성장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지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자녀의 일반적 특성(성, 학년, 경제적 수준, 부모의 구성, 부모의 출신국가)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팀 리더십은 차이가 있는가? 2.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효능감이 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하여 국제결혼, 혹은 외국인근로자의 이주를 통해 형성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 중 서울과 경기, 인천, 충청남도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김아영(1997)이 제작한 척도를 수정하여 재구성한 이규인(2005)의 자기효능감 척도와 LaFasto & Larson(1996)에 의해 개발된 ‘협동적 팀 리더조사(collaborative team leader survey)’를 연구대상과 대상이 처한 환경에 맞도록 수정한 팀 리더십 척도이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각 변인에 따른 집단 비교를 위하여 T-test와 ANOVA, 주요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주요 변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성별에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팀 리더십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팀 리더십에서는 모든 요인이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 수준이 높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의 구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팀 리더십 전체와 하위요인 중 업적관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부모 중 한 명만 한국인인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보다 부모 모두 같은 국적을 지닌 가정의 자녀의 팀 리더십의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의 출신국가에 따라서는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몽골일 때 팀 리더십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변수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팀 리더십을, 독립변수로는 자기효능감을, 통제변수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 학년, 경제적 수준, 부모의 구성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다문화가정 자녀의 팀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자기효능감과 통제변수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효능감이 p<.001 수준에서 팀 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과 통제변수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들 중 자기조절효능감이 팀 리더십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팀 리더십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자기효능감 각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만이 팀 리더십의 모든 하위요인에 대해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팀 리더십의 업적관리에서 자기조절효능감 외에 자신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특성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마련해주었고, 이는 차후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십의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일반 학생들의 수준과는 어떻게 다른지 비교할 수 있는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하였고, 일반 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부족한 점을 파악하여 교육적 지원의 방향을 고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 집단 내에서의 적응과 조화가 곧 올바른 사회생활의 영위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제 하에, 집단 안에서 구성원들과 긴밀한 상호작용과 협동을 통해 공동의 목표달성을 이끄는 능력으로서의 팀 리더십의 개념을 도입하여 대상과 환경에 맞게 적용하였다. 이는 앞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뿐 아니라 일반 청소년의 사회적 능력이 집단 내에서 발휘되는 지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자기효능감이 팀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고, 자기효능감이 팀 리더십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다문화가정 자녀가 집단 내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인적인 자신감과 신념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 다문화가정 자녀가 소외와 부적응의 문제에서 벗어나 사회의 구성원들과 보다 조화로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그들 자신에 대한 효능감과 자신감, 그리고 자기조절능력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적 &#8729; 사회적 지원을 고찰해봐야 함을 시사하였다.

      • 필라테스 지도자의 지도경험에서의 성찰과 의미

        강주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using significant reflections by Pilates instructors as part of the teaching experience. Six active female Pilates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gathered by information acquisition,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nt observations, field-notes, literature search and archival analysis. The result of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ubject coding, semantic categorization, and implicit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were then summarized through triangulation, member review, and peer debriefing.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as ‘introspection of Pilates teaching’, ’recognition of the need of introspection through teaching experience’, and ‘expected accomplishments of the client (student)’. Sub-categorizations and detailed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introspection of Pilates teaching’ was subgrouped as ‘before class’, ‘in class’, and ‘after class’. The Pilates instructors acknowledged that introspection took place at all stages of the class, but that serious introspection was mostly experiences after the class had completed. Second, ‘recognition of the need of introspection through teaching experience’ was subgrouped as ‘introspection for self-improvement’ and ‘introspection for professional responsibility’. It was observed that when the Pilates instructo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trospection, they were more likely to practice Pilates spontaneously and persistently attend workshops and training courses. Pilates training focusing on professional responsibility may help in the introspection process. Third, ‘expected accomplishments of the client (student)’ was subgrouped as ‘expectation of physical achievement’, ‘expectation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chievement’, and ‘expectation of social and cultural achievemen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ositive effect experienced by Pilates instructors during the teaching and training sessions may have similar positive effects in the client (student). Therefore, this study shows when the Pilates instructors focus on experiences during all stages of the teaching proces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introspection it will inspire the client (student) to grow their own positive achievement as part of the training. 본 연구는 필라테스 지도자들의 지도경험이 자기성찰과정에 어떠한 변화와 의미를 부여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라테스 지도자들이 인식하는 지도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현재 필라테스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및 관찰일지 작성,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실시, 주제별 약호화 과정, 의미 범주화 및 개념화작업을 거친 후 다각도 분석법, 구성원 간 검토 및 동료 검증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필라테스 지도과정에 따른 자기성찰’, ‘지도경험을 통한 자기성찰의 필요성 인식’, ‘교육생에 대한 성취 기대’로 범주화되었으며 이에 대한 하위요소 및 세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지도과정에 따른 자기성찰’의 하위범주는 지도 전, 지도 중 및 지도 후의 과정으로 나누어져 나타났으며, 필라테스 지도자들은 지도 전‧중‧후의 전 과정에서 자기성찰을 경험하였다. 특히 지도자들은 교육생의 지도를 모두 종료한 다음 숙고의 시간을 통해 깊이 있는 성찰 과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경험을 통한 자기성찰의 필요성 인식’의 하위범주로는 ‘자기계발을 위한 성찰과정’과 ‘직업적 책무로서 성찰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도자들이 숙고의 시간을 통해 자기성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필라테스 연수 또는 워크샵 참여 등을 통해 자기계발 함양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도자의 책무감에서 파생된 필라테스 수련과정은 수업준비 과정의 일환이지만 결국 성찰의 시간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생에 대한 성취 기대’의 하위범주는 ‘신체적 성취에 대한 기대’, ‘심리‧정서적 성취에 대한 기대’ 및 ‘사회‧문화적 성취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다. 이는 필라테스 지도자들이 지도 및 수련의 과정에서 경험한 긍정적인 효과가 교육생에게도 나타나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필라테스 지도자가 지도의 전 과정에서 겪는 숙고의 과정, 특히 자기성찰 과정에서 경험한 긍정성이 교육생들에 대한 성취 기대로 직접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지향이 도시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주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도시는 유기체로서 성장과 쇠퇴를 반복한다. 도시가 성장하고 쇠퇴하는 과정에서 경제적·사회적·정책적 요인 등에 의해 도시특성이 변화하는데, 우리나라 도시는 정책적 요인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는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다만 정책적 요인에 대해 토지이용규제 등 도시계획 관점의 연구만 다루어지고 있어서 지방정부 정책 등의 도시 행정 관점의 연구가 부재하다. 행정적 관점에서의 지방정부 정책은 정책지향과 관련하여 설명되는데, 이는 지방정부가 어떤 기능에 상대적 비중을 두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복지지향론과 개발지향론으로 대표된다. 그러나 한국의 지방정부는 이 중 어느 한 이론을 따른다기보다는 자치계층이나 도시화 수준 등으로 유형화된 지방정부 유형에 따라 정책지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지방정부 유형론을 따르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행정 관점의 정책적 요인에 의한 도시특성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지방정부의 정책지향과 도시특성의 관계를 지방정부 유형론을 고려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지방정부 유형론을 고려하기 위한 지방정부의 범위는 지방자치 실현의 기본단위인 기초자치단체로 설정하여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지향이 도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지향을 고려한 도시공간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민선2기~민선6기 224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첫째, 기초자치단체 유형에 따른 도시특성 및 정책지향의 차이를 민선시기별로 분석하고, 둘째, 기초자치단체 유형과 정책지향이 도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민선시기별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기초자치단체 유형별로 정책 지향이 도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민선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자치단체 유형별 도시특성 및 정책지향의 차이를 민선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특성은 수도권·비수도권 여부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민선2기에서 민선6기로 진행될수록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지향을 살펴 보고자 복지정책과 개발정책의 세출 추이를 분석한 결과, 민선4기 이후부터 복지정책 세출이 증가하고 개발 정책 세출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지향이 개발지향에서 복지지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초자치단체 유형별 정책지향은 특·광역시 자치구, 대도시, 중소도시의 순으로 복지지향이 높고, 반대로 중소도시, 대도시, 특·광역시 자치구의 순으로 개발지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서 도시특성은 수도권·비수도권 여부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정책지향은 행정구역체계와 도시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기초자치단체 유형과 정책지향이 도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민선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도시특성 변화는 정책지향보다 기초자치단체 유형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중앙집권적인 재정구조로 인해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으로는 도시특성을 변화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민선6기에 이르러서 개발정책이 도시특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처음 나타났는데, 이는 지방자치단체 사업추진에 소요되는 정책사업예산의 비중이 해마다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여서 정책사업예산 비중증가에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초자치단체 유형별로 정책지향과 도시특성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기초자치단체 유형에서 정책지향은 물리적 도시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의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기초자치단체의 재정한계 때문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인구수, 2·3차산업 사업체수, 재정자립도 등의 사회·경제적 도시특성변수는 복지지향이 높은 특·광역시 자치구와 수도권 대도시에서 복지정책과 부(-)의 영향관계가, 개발정책과는 정(+)의 영향관계가 민선4기 이후부터 나타났다. 반면 개발지향이 높은 비수도권 중소도시에서는 인구 변수가 개발 정책과는 부(-)의 영향관계를, 복지정책과는 정(+)의 영향관계를 민선3기 이후부터 나타냈다.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지향과 지역의 현실여건이 상충되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기초자치단체 유형별 획일적인 정책지향에서 탈피하여 각 기초자치 단체의 현실여건에 맞는 정책지향 설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자치단체 유형별 지역 맞춤형 정책지향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역여건을 고려한 적절한 정책유형 간 비율조절이 필요하다. 특·광역시 자치구와 수도권 대도시는 개발정책의 적정비율 증가를 통하여 민선3기 이후 줄곧 감소 추세인 경제성장률을 극복할 경제 성장방안으로서, 물리·사회·경제·환경을 종합한 도시개발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비수도권 중소도시는 적절한 복지정책 비율증가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이를 통한 인구유입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초자치단체의 지역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기초자치단체의 자주재원 증대와 지역간 재정격차 완화방안이 필요하다. 현재의 중앙집권적인 재정구조와 수도권 집중의 도시 공간구조하에서는 기초자치단체가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여 도시정책을 시행하고 도시공간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에한계가 있음이 연구결과로 증명되었다.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 에서도‘균형국토’를 계획목표로 제시하고 있는바,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적극적 추진이 필요하며, 공간적 균형발전 정책과 함께 재정적 균형발전 정책인 기초자치단체의 재정권한 확대방안을 마련하여 기초자치단체의 도시정책 영역에서의 지방자치 실현을 도모할 수 있어야겠다. 본 연구는 도시특성 변화의 정책적 요인을 도시행정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도시계획과 도시행정 분야를 연계한 도시공간 발전방안을 도출 하였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연구범위를 광역자치 단체까지 확장하여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의 비교분석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도시공간 발전을 위한 보다 종합적인 시사점이 마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