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브제 기반학습(Object-Based Learning)’ 활용과학·미술 통합수업을 통한 초등 인성교육사례

        강인애(In ae Kang),김명기(Myeong ki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OBL을 활용한 교과통합 수업사례를 제안하고, 수업결과 학생들에게서 어떠한 인성 가치덕목의 습득을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BL 기반 교과 통합수업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7명에게 5주에 걸쳐 적용하였고, 매 차시가 끝난 뒤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와 면담자료를 수집한 후 질적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결과로서 OBL 수업단계(오브제 탐구, 작품 창작, 작품 공유)에 따라 수업을 진행한 결과, 개인적 가치덕목(심미적 감성역량, 자율, 자기존중)과 관계적 가치덕목(소통, 존중, 책임, 협동, 배려, 공감)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심미적 감성역량’이라는 가치덕목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OBL에 의한 인성교육의 독특함이라고 할 수 있겠다. OBL은 박물관에서의 대표적인 교육방법이지만 학생들의 감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교과통합 수업방식으로서 학교교육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좀 더 실천적이고 효과적인 인성교육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Object-based learning (OBL, hereafter) as an interdisciplinary teaching method for character education, a method which indicates a wholistic approach including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aspects of learning, and is used in subjects other than mo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 8-session interdisciplinary (art and science) program through OBL,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27 4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for 5 weeks. Data for the result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journals and interviews. The OBL program proceeded according to three process of OBL (object inquiry, hands-on practices for making, and outcome sharing), and produced positive results from both the individual (aesthetic sensitivity, autonomy, self-esteem) and relational (communication, mutual respect, responsibility, collaboration, consideration, empathy) categori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OBL, regardless of its popularity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can be utilized in school education as an effective and practical method for the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수분흡수율: 목재수종, 충진제 입자크기 및 상용화제의 영향

        강인애 ( In Aeh Kang ),이선영 ( Sun Young Lee ),도금현 ( Geum Hyun Doh ),전상진 ( Sang Jin Chun ),윤승락 ( Seung Lak Yoon ) 한국목재공학회 2010 목재공학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목분 첨가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수분흡수 특성에 목재수종, 화학조성분, 충진제 함량, 입자크기 및 상용화제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알아보았다. 500, 1,000, 1,500, 2,000, 2,500 및 3,000 시간동안 물에 침지시킨 후, 상수리나무(Quercus accutisima Carr.)와 다릅나무(Maackia amuresis Rupr. et Maxim)는 낙엽송(Larix kaempferi Lamb.)에 비하여 훨씬 낮은 물흡수도를 보였다. 모든 수종에서 목분의 함량이 10wt%로부터 50wt%까지 증가할수록, 주어진 시간동안 물에 침지시켰을 때 복합재의 수분흡수율이 증가하였다. 목분의 입자크기는 복합재의 수분흡수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제의 첨가는 복합재의 수분흡수율을 낮추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가장 낮은 수분흡수율은 다릅나무 목분을 이용하고, 목분의 함량이 낮을수록, 목분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그리고 상용화제를 첨가했을 때 얻을 수 있다. 복합재의 두께팽창은 수분흡수율과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The effects of wood species, chemical components, filler loading level, filler particle size, and coupling agent on the water absorption property of the wood flour filled polypropylene (PP)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fter 500, 1,000, 1,500, 2,000, 2,500 and 3,000 hr water immersion, Quercus (Quercus accutisima Carr.) and Maackia (Maackia amuresis Rupr. et Maxim) showed significantly lower water absorption properties compared to Larix (Larix kaempferi Lamb.). As wood flour loading increases from 10 to 50 wt%, most wood species showed increased water absorption after a given immersion period. Particle size of wood flour proved to have very significant effects on water absorption of the composites. The effect of coupling agent was positive in terms of lowering water absorption of the composites. As the treatment level of coupling agent increases, the water absorption of the composites decreases. The lowest water absorption was obtained at the lower wood flour loading (Maackia), smaller particle size and by the addition of coupling agent. Thickness swelling of the composites shows close dependency on water absorption.

      • KCI등재

        도서관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을 통한 메이커 정신

        강인애(In ae Kang),최성경(Sung Kyung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메이커 활동은 핸즈 언(hand-on) 활동이 중심이 되지만, 개인적인 만족감과 기술습득을 넘어서 협력, 공유, 나눔과 사회적 실천이라는 가치, 곧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s)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메이커 활동은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자율적인 참여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이라는 지역공동체 기관을 중심으로 메이커 할동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이후 메이커 활동을 통한 메이커 정신의 함양에 초점을 두었으며, 특히 프로그램의 결과로서 메이커들 간에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11월 19일부터 12월 24일까지 초등학생 3학년 이상부터 고등학생 2학년의 남녀학생 19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3시간)씩 5차례 메이커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관찰일지, 성찰일지, 면담 내용을 중심으로 코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메이커들은 자율적, 자기주도적 활동을 근간으로 하여, 다른 메이커들간의 협동, 나눔과 공유를 경험하였으며, 나아가 지역사회 일원으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하고자 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서관은 지역 공동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와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메이커 활동을 펼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ker activity goes beyond simple hands-on activity for individual satisfaction or specific skill acquisition, focusing on Maker Mindsets including collaboration, sharing, and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in this context, aimed to design and implement a Maker activity program in a library and then examine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 makers in the program in the process of the making activity, since the Maker activity emphasizes fostering maker mindsets. Especially, a library has been selected as a makerspace in this study, because most of the Maker activities have happened centering around local community by autonomous participation of the makers in the area. The Maker activity program i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19 students of 3rd grade to 11th grade for 5 weeks (three hours per week) from November 19th to December 24th in 2016. And this study conduct a coding-analysis with the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of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of the makers and observation notes of the instructors as well. The results presented the self-directed and autonomous makers could experience collaboration and sharing among other mak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ing their interest i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library has confirmed its potential as a makerspace located in local community of diverse backgrounds and cultures.

      • KCI등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STEAM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 사례연구

        강인애 ( In Ae Kang ),김희주 ( Hee Ju Kim ),김다미 ( Da Mi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오프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STEAM 교육 수업을 설계, 8주간 적용한 뒤에 STEAM교육이 목표로 하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과학흥미 조사도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학생들의 성찰저널과 사전ㆍ사후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 과학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발견할 수 있음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활용 STEAM교육은 STEAM교육의 기대한 바를 달성하는데 촉진적 작용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반강의식으로 진행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에서는 사전. 사후에 어떤 변화도 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STEAM교육에서의 과학기술분야에 좀 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적극 도입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웹 환경에서만이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와 특성을 지닌 STEAM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first, to develop a high school STEAM education class using open source software, and second to examine the effects in terms of students` interests i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fields. This study especially tried to highlight how the use of software might affect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wo groups (experiment group in the STEAM education class and control group in a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 respectively) with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two survey tools for students` interests i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ir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for both subjec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positive growth and changes in the two aspect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show any changes after the class. Especially the use of open sources software in the STEAM education class functioned to harness the effects of their positively changed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which were det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after the class. The study suggests more practices of software-based STEAM education to diverse subjects, and more developments on open sources software for the STEAM education purpose.

      • KCI등재
      • 위키(Wiki)활용 수업의 교육적 함의: 초등학교 수업사례

        강인애 ( In Ae Kang ),김현미 ( Hyun Mi Kim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09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5 No.2

        차세대 웹으로서 웹2.0은 ``사용자 참여, 공유, 사회적 네트워킹`` 등의 특성으로 폭넓은 인식과 지지를 받고 있음과 동시에 새로운 교육적 측면에서의 활용과 적용으로도 그 관심의 범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웹2.0 기술의 하나인 위키(wiki)는 누구나 편집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며 실시간 동시 작업을 통한 공동 집필 등 기존의 저작권과는 상반된 개념의 글쓰기 등의 특징을 가지면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협동적 글쓰기를 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개방성과 유동성(flexibility)으로 인하여 교육 분야에 있어 세계적으로 급속한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4명의 5~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0주간(2007. 10. 1 ~ 2007. 12. 15)에 걸쳐 ``초등영어심화프로그램``에 협동학습의 공간이자 학습도구로서의 위키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위키 활용 학습 활동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학습과정의 특징과 교육적 함의를 찾아보려 하였다. 연구 결과, 위키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1) 역동적인 선의의 경쟁공간으로서 활용되었으며 2) 효과적인 협동학습의 공간으로 받아들여졌고 3) 친밀감 및 사회도덕성형성의 공간임과 동시에 4) 사용하기 편리한 배움의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인식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위키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특징은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미래 교육에서 더욱 요구되는 자기 주도적이며 협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수 있으며, 새로운 온라인학습 도구로서의 무한한 교육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ki is a major component of Web 2.0, the emergent generation of web tools and applications. Web 2.0 has the potential to complement, enhance, and add new collaborative dimensions to the classroom. A wiki is a web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 that can be used to engage students in learning with others with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This is a case study to examine how wikis are working as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10 weeks ``Elementary English Intensive Program`` to 24 elementary students in which a wiki service called ``Springnote``, free of charge, is used as an online learning space and tool of 1) collaborative team work for the given projects and 2) individual or group discussion and diary-writing. After the collaborative or individual online study during weekdays,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had off-line face to face classes on every Saturdays to present and discuss what they had studied online class. Data for the result analysis was collected from both a questionnaire and an 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s involved in the class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wiki was a convenient and effective space for 1) experiencing positive competition among the students; 2)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and 3) collaborative learning space over their studying. In conclusion, wikis seem to include meaningful educational potential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future education in which emphasized would be autonomous engagement,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participation to learning. This case study indicated that wikis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cooperative/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constructivist paradigm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s a new online technology.

      • KCI등재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활동 만족도 : 질적 자료 분석에 의한 사례연구

        강인애(Inae Kang),정은실(Eun-Shil J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3

        학습공동체를 경험할 수 있는 출발점은 소그룹 팀 구성에 의한 학습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협력적 학습력을 익히면서 자연스럽게 학습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경험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학습의 활성화 방법으로서 소그룹 학습 팀을 구성하여 구성 방법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질적 연구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인 Nvivo8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양 교직수업을 듣는 S 대학의 동일전공 학생들로서, 친분관계에 따라 학생들 스스로 구성한 학생자율팀과, 학습유형 측정결과에 따라 이질 유형으로 구성된 학습유형 팀으로 2개 반을 나누어 한 학기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4항목으로 구성된 개방형 질문지를 나누어주어 소그룹 학습팀으로 운영되는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성찰저널과 함께 자료는 Nvivo8 이라는 질적 자료 분석 방식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그룹 학습팀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두 팀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불만족도에서는 학생자율팀이 학습유형팀보다 훨씬 다양한 이유와 더불어 더 높은 수치가 나왔다. 학생자율팀이 지적한 만족과 불만족의 이유는 대부분이 친한 관계에서의 편안한 학습 분위기라는 사실에서 비롯되 었는데, 결과적으로 이 팀은 ‘사회적 공동체적 관계’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학습유형팀은 팀 활동과 관련하여 불만족스러운 이유는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이 만족스럽다는데 높은 점수를 주고 있었다. 이는 이들 팀은 수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학습공동체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진지한 학습활동, 문제해결과정 자체에 몰입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소그룹 학습 팀에 의한 수업은 팀 구성방식이 어떤 것이든 간에 학생들에게는 분명학습 환경으로서는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만일 학습활동 자체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학습유형에 따른 이질집단으로 구성된 학습유형팀이 학생들 간에 친분관계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구성한 학생자율팀보다 좀 더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ifferent would be the satisfactory levels on the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eam-organizing methods. This study, first, divided the total 62 students of the same majors in a 2 year college into two learning groups: The first group is called ‘student-selected teams’ which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riendship as the team-organizing criterion, while the other group was called 'learning style-based teams' which were organized the students with different learning types based on the result of 'Learning Style Inventory' by Kolb, which was conducted before the class began. Each group(i.e., Student-selected teams and Learning style-based teams) which was consisted of several subgroups with 4 to 5 students per group and lasted for the whole semester, was supposed to write their thoughts on the given ‘open-ended questionnaire’ with 4 question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ir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ir specific reasons and contents for or against the team-based learning environments by using Nvivo8, a program for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satisfactory levels to the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both groups were almost equally high (more than 70%), 2) yet, more specific content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by Nvivo clarifi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student-selected teams were inclin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unity', in which friendly relationships in relaxed, comfortable environments were highly valued and appreciated, and which, in turn, rather became disturbing factors for then serious learning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style-based teams were, from the beginning of the class, characterized as 'learning community' where the team members worked hard with a strong sense of community, thus, responsibility for their roles as a team member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fully immerging into the learning activity for problem-solving as a team.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collaborative learning groups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as a way of learning activities. Ye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howed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results from the learning style-based teams than the student-selected teams in terms of learning engagement and effects.

      • KCI등재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강인애(Inae Kang),진선미(Sun-mi Jin),여현숙(Hyun-suk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21세기 핵심역량은 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크게 세 가지 영역, 자율적 행동, 도구활용,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학습방식은 전통적 강의중심, 교사중심의 수업과는 달라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서 e-PBL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규명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핵심역량을 분석틀로 하여, ‘e-PBL’ 수업사례의 학습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로서 과연 e-PBL 수업방식이 21세기 핵심역량을 강 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방법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시작하여 2013년에 이르기까지 국내 KCI등재 e-PBL 관련 논문 중, 47편의 e-PBL 수업사례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이들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효과를 앞서 분석한 핵심역량 3영역 16요소와 연결해보았 다. 그 결과, 첫쨰, e-PBL의 학습효과는 핵심역량 중 자율적 행동 역량(43.6%, 180편), 도구 활용 역량(28.3%, 117편),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28.1%, 116편)영역 순으로 비교적 골고루 모든 역량 함양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약간의 비율적 차이는 보였지만, 모든 대상학령에서, 그리고 사용된 매체에 상관없이 e-PBL 수업 효과는 핵심역량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e-PBL 수업방식은 21세기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방법의 하나로서 매우 긍정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are defined diversely according to with institutions; however, it may be summarized largely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such as autonomous behavior, tool utilization, and social interaction competences. The learning method to cultivate such core competences, however, should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lecture-oriented and teacher-led classes, hence, ‘e-PBL’ in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pedagogy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ased upon the analysis framework of core competences, reviewed learning effects of 47 “e-PBL” studies selected out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at the KCI during 2000 to 2013, and then analyzed how well the learning effects of the selected e-PBL studies have matched with each category and sub-element of the core competences.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effects of the e-PBL classes mostly have satisfied all the specific categories and sub-elements of the core competences. Second, despite a slightly different ratio, both k-12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e-PBL class, regardless of subject matters and used technologies, showed positive increase in all the categories of the core compet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insists that e-PBL, the technology-enabled learner-centered pedagogy, may be seen as an alternative to meet the needs of fostering the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