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과목 수업에서 음악테크놀로지 기반학습 (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MTBL)이 감성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김은진 ( Eun Jin Kim ),강인애 ( In Ae K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지식과 정보가 급변하는 새로운 시대에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사회, 문화, 교육 전 영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예술교육에도 테크놀로지의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식으로써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이후로 MTBL)"을 제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감성의 활성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차례의 마인드맵(사전·사후), 매 수업 후 성찰저널 작성, 수업 후 남학생 5명, 여학생 5명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본 연구자를 포함하여 교육공학 전문가 1인과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1인, 총 3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MTBL의 수업 결과 학습자들의 감성의 활성화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사전·사후 마인드맵을 분석에서 보이듯 변화된 단어들의 목록을 통해 학습자들의 감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음악 테크놀로지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은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나타내었다. 학습자들은 본 수업에서 음악과 영상을 창작하며 다양한 감성 표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MTBL이 예술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igital Technology actively utilized in all spheres by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knowledge demands transformations not only in the sociocultural and educational spheres but also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Digital Technology becomes a challenging factor for the field of arts education. In this study purposed a new teaching-learning approach method in arts education, called "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hereafter, MTBL), which is to, first, tak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combining various subjects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In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TBL approach to the liberal arts course in university: mind maps derived from 2 sessions (pre-class and post-class), evaluation sheets regard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n voluntary learners after the class were used as methods fordata collection. The result of case study shows positive changes in the terms of the degrees of emotional sensibilities of the learners. Moreover, the research confirmed the potential of MTBL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in art education.

      • KCI등재

        도서관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을 통한 메이커 정신

        강인애(In ae Kang),최성경(Sung Kyung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메이커 활동은 핸즈 언(hand-on) 활동이 중심이 되지만, 개인적인 만족감과 기술습득을 넘어서 협력, 공유, 나눔과 사회적 실천이라는 가치, 곧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s)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메이커 활동은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자율적인 참여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이라는 지역공동체 기관을 중심으로 메이커 할동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이후 메이커 활동을 통한 메이커 정신의 함양에 초점을 두었으며, 특히 프로그램의 결과로서 메이커들 간에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11월 19일부터 12월 24일까지 초등학생 3학년 이상부터 고등학생 2학년의 남녀학생 19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3시간)씩 5차례 메이커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관찰일지, 성찰일지, 면담 내용을 중심으로 코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메이커들은 자율적, 자기주도적 활동을 근간으로 하여, 다른 메이커들간의 협동, 나눔과 공유를 경험하였으며, 나아가 지역사회 일원으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하고자 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서관은 지역 공동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와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메이커 활동을 펼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ker activity goes beyond simple hands-on activity for individual satisfaction or specific skill acquisition, focusing on Maker Mindsets including collaboration, sharing, and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in this context, aimed to design and implement a Maker activity program in a library and then examine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 makers in the program in the process of the making activity, since the Maker activity emphasizes fostering maker mindsets. Especially, a library has been selected as a makerspace in this study, because most of the Maker activities have happened centering around local community by autonomous participation of the makers in the area. The Maker activity program i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19 students of 3rd grade to 11th grade for 5 weeks (three hours per week) from November 19th to December 24th in 2016. And this study conduct a coding-analysis with the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of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of the makers and observation notes of the instructors as well. The results presented the self-directed and autonomous makers could experience collaboration and sharing among other mak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ing their interest i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library has confirmed its potential as a makerspace located in local community of diverse backgrounds and cultures.

      • KCI등재

        수체계로 본 수원화성 건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강인애 ( In Ae Ka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18세기 수원 신읍치와 화성 건설에서 나타난 수체계의 형성과정과 계획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화성 일대의 지형특성과 연계하여 형성된 자연형 수계가 화성건설과정에서 정비, 변화되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계획적 의도를 이수와 치수의 관점에서 해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화성 건설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체계를 다양한 계획요소와 연계하여 분석해보고 이를 통하여 물길에 내재되어 있는 계획적 의도를 추출하는 해석적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연구진행과정에서 18세기 화성건설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체계는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화성전도와 1911년 지적원도, 그리고 1917년에 제작된 1/10,000지형도를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화성의 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특성을 도출한 결과 화성의 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수원천의 수계는 계획도시의 공간구조와 읍성의 좌향을 결정짓는 입지요소로 활용되었다. 2. 물길 정비를 통하여 계획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하였다. 3. 화성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체계와 토지이용구조는 물길과 연계하여 계획되었다. 4. 물길을 이용하여 주요 시설구역의 영역성을 확보하였다. 5. 치수와 조경시설로서 계획적인 연못(池)을 조성하였다. 6. 물길은 부분적으로 의도적인 비보요소로 활용되었다. 결국 18세기 화성에서 관찰되는 수체계는 도시입지, 도시구성체계, 도시골격요소로서 도로, 도시공간구조, 재해방지와 수질보호, 경관적 기능, 생활기반시설로서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획요소와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자연수계를 의도적으로 정비하고 새로운 수계를 계획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구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수체계가 18세기 화성이 지니는 계획적인 신도시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of Suwon and Hwa-sung in 18th century from the point of water system. This study has an explanatory approach. The planning intents in the water system was driven out by analyzing various planning elements in relation to water system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Hwa-sung in 18th century. Using Entire Map of Hwa-sung, land registration map made in 1911 and topographic map of 1/10,000 scale made in 1917, water system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Hwa-sung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ystem in Haw-sung in 18th century are as follows). Firstly, in determining the spatial structure and location of Hwa-sung, water system had an important role. Secondly, integrated drainage system was planned by the organ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water stream. Thirdly, the main street system and land use structure were planned in relation with water system. Fourthly, territoriality of main area was planned with water stream. Fifthly, ponds were constructed for flood control and they had important role as landscape elements. Sixthly, water stream was used as intentional BiBo el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weater system of Hwa-sung in 18th century was planned by the organ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water stream in relation with the location of new town and wide area`s spatial structure, street system, land use structure, territoriality of main area, terriflood control, water quality protection, landscape, 비보 and urban daily life.

      • KCI등재

        역사도시구조와 연계한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주, 개경, 한양,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강인애 ( Kang In-ae ),이경찬 ( Lee Kyung-cha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조선후기 신도시로 조성된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도시에서 나타난 도시수체계의 구성방법이 지니는 특성을 파악해보고자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도시입지, 도로, 도시시설 배치 등을 중심으로 도시골격구조와 연계하여 물길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수체계의 구성형태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도시 내 수공간 경영에 투입되었던 기술적, 계획적 요소와 함께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에서는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부분적인 하천 정비와 인공수계를 도입하여 도시수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특히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의 입지를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시구조와 도시발달과정, 도시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져 물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치수, 이수 등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현실적 수요가 중요한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물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시 형성ㆍ발달과정에서 물 공간을 경영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적, 기술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시형성ㆍ발달과정에서 도시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요소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로 연구대상지로 선정된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수원 화성의 도시수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는 배수,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이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수체계의 구축방법이나 활용성에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로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입지의 상징적 요소로서, 그리고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진 도시 입지를 결정하고 도시의 좌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로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의 자연수계는 지형여건과 어우러져 도시 형성ㆍ발달과정에서 구축되는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를 결정하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로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도시수체계는 자연물길과 계획적 인공수로가 결합되어 도시구조의 일부로서 위계별 수계의 활용성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로 도시수체계는 배수체계와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 이외에 도시용지의 확보, 도시시설 배치와 영역 확보, 기능지역 구성, 토지구획과 연계하여 계획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rban water system in the historical cities of Korea, focusing on Gyeongju, Gyeongju, Goryeo, Hanyang, and Suwon Hwaseong, which were created as new tow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examines the meaning of waterways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skeletal structure, focusing on the location of cities, roads, and arrangement of urban facilities, and analyzes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water system. We tried to derive the relationship with the structure.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water and natural water systems act as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city, an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rban structure, urban development process, and urban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in harmony with the geographical concept, realistic demands in terms of water level and water retention are an important background.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demands related to water space, various planning and technical elements for managing water space were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city formation and development. The planning elements of the urban water system in the process of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ite. First,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urban water system in Gyeongju, Goryeo, Goryeo, Hanyang, and Hwaseong, Suwon, which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destinations, the water system in consideration of drainage and disaster is common, but the water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usability are common. shows the difference. Second, water and natural water systems act as symbolic element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city location, and a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ity in harmony with the geographical concept and determining the left direction of the city. Third, the natural water system prior to the formation of a city works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urban water system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harmony with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Fourth, the urban water system built on the basis of natural water systems is constructed by linking natural waterways and planned artificial waterways. Fifth, the urban water system is being built in a plann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utility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structure, such as securing of urban land, arrangement of urban facilities and areas, composition of functional areas, and land division, in addition to the perspective of drainage system and flood control in consideration of disasters.

      • KCI등재

        국내 박물관에서의 모바일 러닝 현황 분석연구

        강인애(In Ae Kang),이소현(So Hyun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2

        디지털 시대에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전은 교육 분야에도 막강한 영향을 미치면서 학교 교육 뿐 아니라 비형식 교육의 대표적 기관인 박물관에서도 모바일 러닝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의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바일 러닝 현황을 분석하고자, 그 연구 대상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사업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에 참여한 전국 국·공·사립·대학박물관 중 모바일 기기 및 앱을 활용하여 박물관 체험활동을 진행한 총 62개의 ‘스마트 교육’ 사례들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모바일 러닝에 대한 개념과 박물관에서 모바일 러닝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박물관에서의 모바일 러닝의 분석틀을 마련하고, 그 분석틀 (기술적 측면과 페다고지적 측면으로 구성)에 따라 박물관에서의 ‘스마트 교육프로그램 수업지도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박물관 모바일 러닝은 제공되는 태블릿 PC와 앱을 활용하여 기기 활용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프로그램이 대다수였다. 물론 프로젝트 기반학습, 모둠학습을 중심으로 페다고지적 특징을 접목하여, 기술적, 페다고지적으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도 있었지만, 아직은 모바일 러닝을 모바일 기기와 기술을 활용하는데 치우쳐있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상시성’, ‘개별성’, ‘상호작용성’의 모바일 러닝의 페다고지적 특성을 덧붙여져 진정한 ‘박물관 모바일 러닝’으로서의 모습으로 진행되어야할 필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학교와 박물관의 연계한 모바일 러닝 확산, 박물관 교육담당자 대상 연수 제공, 박물관의 물리적 환경 재정비 등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along with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 the Digital age has influenced enormously to bring out educational paradigm shift, which lead to lots of attention toward practices of mobile learning in museum a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informal learn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quo of museum mobile learning in Korea, for which, the total 62 museum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under the name of ‘smart learning’ fund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nce 2013 to 2015 have been analyzed as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For the purpose, this study started with defining the meaning of mobile learning in general,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museum mobile learning, from which an analytical framework was generated to the status quo analysi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in Korea. Lesson plan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from the 62 museums were,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tical framework which was consisted of 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most museum mobile learning approached the mobile learning simply as the use of mobile devices and apps in education, they, simultaneously, tried to add pedagogical approaches such as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to their mobile learning programs, hence, integrating technology with pedagogy. This study also included to present several issues and concerns to be considered for more active practice of museum mobile learning in Korea.

      • KCI등재

        근대 읍성도시구조의 변천과정과 신흥주택의 근대성 -함열읍내 근대 부농주택을 중심으로-

        강인애 ( In Ae Kang ),이경찬 ( Kyung Chan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0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6 No.1

        Daedongbub of 18C and coloniz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provide a momentun to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housing spatial structure and urban plan of Up-seong city. In special, the growth of modern rich class, with their settlement in urban cental area and expansion of land possession, makes a great change of urban plan and landscap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odernity in modern prosperous farmer house & transformation of urban plan of ``Ham-yeol``. In comparison of traditional houses, which have housing spatial structure based on geographic situation and Confucian ideas, modern prosperous farmer houses nearing urban cental area make a different morphological style based on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by the restriction of land ownership and change of life style. Especially modern prosperous farmer houses The modernity in modern prosperous farmer houses & urban plan of ``Ham-yeol`` are as follows, Firstly the urban plan changes from facility oriented structure based on geographic situation to street oriented structure based on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Secondly the control power of street and plot on housing plan are reinforced. Thirdly the norm based layout and structure of houses changes to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based layout and structure. Fourthly the traditional layout system of external housing spaces, which has length oriented layout, changes to width based layout. Especially the character of front yard in the male quarters and rear garden of the female quarters are changed to more private and quiet viewing spaces. Fifthly modern detail elements are used in many parts of houses, such as windows, Japanese style porch, brick wall, and so on.

      • KCI등재

        사이버 과학관(Cyber Science Museum)을 활용한 초등과학 수업이 학습자의 흥미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강인애 ( In Ae Kang ),강연경 ( Youn Kyoung K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학습공간으로서 사이버 과학관을 활용한 수업사례를 실시함으로 인해 사이버 과학관을 활용한 과학수업 방식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사이버 과학관을 활용한 수업을 설계하여 경기도에 있는 초등학교 한 학급 29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그 결과로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이버 과학관이 실제 학교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분석을 위한 자료로서 학생들의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 수업을 진행한 교사의 성찰저널을 활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사이버 과학관을 활용하여 과학학습을 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과학학습에 대한 참여 의지와 실생활과 과학을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사고가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이버 과학관이 현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완적 학습의 장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사이버 과학관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나 자료들이 학교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제공되어야 하며,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와 필요성에 부합될 수 있는 환경으로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할 때, 사이버 과학관을 활용한 과학수업은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Digital age requires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which are mostly technology-enabl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supplementary way to support science education by utilizing ``virtual science museu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with twenty nine 5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Kyung Ki province,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in terms of how students` satisfaction with and interest in science education have been changed and what would b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the virtual museums and science classes. For the analysis of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methods of survey and 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 students were used along with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he teacher who had conducted this case study. The results showed, first, the positively increased interest and satisfaction rate of the students for science as a subject matter, and secondly, presented several suggestions for more solid and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the virtual museums and science classes. In conclusion, the virtual science museums as learning archive and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well are expected to play the alternative role of a new and supplementary learning environments for science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STEAM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 사례연구

        강인애 ( In Ae Kang ),김희주 ( Hee Ju Kim ),김다미 ( Da Mi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오프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STEAM 교육 수업을 설계, 8주간 적용한 뒤에 STEAM교육이 목표로 하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과학흥미 조사도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학생들의 성찰저널과 사전ㆍ사후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 과학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발견할 수 있음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활용 STEAM교육은 STEAM교육의 기대한 바를 달성하는데 촉진적 작용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반강의식으로 진행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에서는 사전. 사후에 어떤 변화도 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STEAM교육에서의 과학기술분야에 좀 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적극 도입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웹 환경에서만이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와 특성을 지닌 STEAM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first, to develop a high school STEAM education class using open source software, and second to examine the effects in terms of students` interests i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fields. This study especially tried to highlight how the use of software might affect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wo groups (experiment group in the STEAM education class and control group in a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 respectively) with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two survey tools for students` interests i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ir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for both subjec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positive growth and changes in the two aspect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show any changes after the class. Especially the use of open sources software in the STEAM education class functioned to harness the effects of their positively changed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which were det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after the class. The study suggests more practices of software-based STEAM education to diverse subjects, and more developments on open sources software for the STEAM education purpose.

      • 위키(Wiki)활용 수업의 교육적 함의: 초등학교 수업사례

        강인애 ( In Ae Kang ),김현미 ( Hyun Mi Kim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09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5 No.2

        차세대 웹으로서 웹2.0은 ``사용자 참여, 공유, 사회적 네트워킹`` 등의 특성으로 폭넓은 인식과 지지를 받고 있음과 동시에 새로운 교육적 측면에서의 활용과 적용으로도 그 관심의 범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웹2.0 기술의 하나인 위키(wiki)는 누구나 편집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며 실시간 동시 작업을 통한 공동 집필 등 기존의 저작권과는 상반된 개념의 글쓰기 등의 특징을 가지면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협동적 글쓰기를 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개방성과 유동성(flexibility)으로 인하여 교육 분야에 있어 세계적으로 급속한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4명의 5~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0주간(2007. 10. 1 ~ 2007. 12. 15)에 걸쳐 ``초등영어심화프로그램``에 협동학습의 공간이자 학습도구로서의 위키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위키 활용 학습 활동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학습과정의 특징과 교육적 함의를 찾아보려 하였다. 연구 결과, 위키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1) 역동적인 선의의 경쟁공간으로서 활용되었으며 2) 효과적인 협동학습의 공간으로 받아들여졌고 3) 친밀감 및 사회도덕성형성의 공간임과 동시에 4) 사용하기 편리한 배움의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인식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위키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특징은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미래 교육에서 더욱 요구되는 자기 주도적이며 협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수 있으며, 새로운 온라인학습 도구로서의 무한한 교육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ki is a major component of Web 2.0, the emergent generation of web tools and applications. Web 2.0 has the potential to complement, enhance, and add new collaborative dimensions to the classroom. A wiki is a web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 that can be used to engage students in learning with others with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This is a case study to examine how wikis are working as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10 weeks ``Elementary English Intensive Program`` to 24 elementary students in which a wiki service called ``Springnote``, free of charge, is used as an online learning space and tool of 1) collaborative team work for the given projects and 2) individual or group discussion and diary-writing. After the collaborative or individual online study during weekdays,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had off-line face to face classes on every Saturdays to present and discuss what they had studied online class. Data for the result analysis was collected from both a questionnaire and an 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s involved in the class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wiki was a convenient and effective space for 1) experiencing positive competition among the students; 2)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and 3) collaborative learning space over their studying. In conclusion, wikis seem to include meaningful educational potential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future education in which emphasized would be autonomous engagement,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participation to learning. This case study indicated that wikis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cooperative/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constructivist paradigm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s a new online technology.

      • KCI등재

        개더 스커트와 플레어 스커트의 3차원 가상착의 평가

        오순 ( Oh Soon ),강인애 ( Kang In-ae ),김정실 ( Kim Jung-sil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는 3차원 가상 의복 시스템을 통해 실현되는 개더 스커트와 플레어 스커트의 주름 표현 방법 및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보다 나은 3차원 가상의복의 주름 실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결과 개더 스커트의 경우 i-Designer와 Marvelous에서 제작된 스커트의 형상과 밑단 모양 주름의 크기와 밀도 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특히 밑단의 모양이 i-Designer에서 제작된 스커트는 양옆보다는 앞뒤 길이가 조금 긴 원형모양을 하고 있으며, Marvelous에서 제작된 스커트는 주름의 모양이 매우 불규칙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플레어 스커트의 경우 스커트 형상의 볼륨에 있어서 Marvelous에서 제작된 스커트가 비교적 슬림한 편으로 나타났으며, 주름의 노드수는 i-Designer에서 제작된 스커트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름의 너비와 폭은 Marvelous에서 제작된 스커트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the fundamental study for 3D apparel cad system of the future through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Marvelous and i-Designer. For this study, gather and flare skirt was selected as a comparative item of the virtual clothes. In case of gather skirt, the shape of gather skirt created in i-Designer is widen back and forth in the sectional diagram of the bottom hem, and the side-line of the skirt shape more extended than skirt created in Marvelou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ize and density of gather. While gather skirt created in i-Designer has tight and various size gathers, skirt created in Marvelous has thick and wide tucks. The sectional diagram of the bottom hem was transformed into rounded shapes in i-Designer. In Marvelous, the bottom hem was transformed into irregular shapes. In case of flare skirt, flare skirt created in i-Designer is widen back and forth and also widen both sides in the sectional diagram of the bottom hem. But skirt created in Marvelous has slim silhouette. There ar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node and size of flare between i-Designer and Marvelous. The skirt created in i-Designer has 12 nodes, skirt created in Marvelous has 11 nodes. The average depth of flare is 7.101cm in i-Designer, 8.482cm in Marvelous. The average width of flare is 13.831cm in i-Designer, 14.025cm in Marvelo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