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BL 기반 학교컨설턴트 양성 교육프로그램 구안

        정은실(Eun-Shil Jung),임병노(Byoung-ro L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학교컨설팅이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와 학교체제의 발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교컨설팅의 인적자원인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학교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현재 국내 몇몇 대학에서 개설, 운영하고 있으나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테면,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의 경우, 주로 일반적인 컨설팅 지식과 방법론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어서, 학교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실무에 밀착된 내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방법적인 면에서는 기존의 많은 연수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강의와 사례제시의 방법으로 진행됨으로 인해, 현장에서 학교 컨설턴트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지식, 태도의 단계까지 이르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학교컨설턴트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대안적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안적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먼저 학교 구성원들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정하기 위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실질적으로 학교컨설팅의 직접적인 실행자인 교사들과 학교컨설팅의 결과로 인한 실질적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를 중심으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이 ‘학교’라고 하는 구체적인 상황에 기반하여 컨설팅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변화관리, 셀프리더십, 논리적 사고력이라는 세 가지 주제영역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의 방법적 측면에서는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에 기반하여 실무적용성, 실천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학교 변화관리, 셀프리더십,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주요 주제로 한 ‘PBL 기반 학교컨설턴트 양성교육프로그램’(이하 ‘양성프로그램’) 도입의 필요를 도출하였다. 이 필요성에 근거하여 ‘양성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및 교수방법을 제안하고 ‘양성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 need for a new educational paradigm has emerged, and at the present we are witnessing accelerate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movements demanding adaptation to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The efforts to seek major transformations across the entire educational environment have taken a variety of form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teacher now includes not only teaching ability and the capability to fulfill work responsibilities; the scope of responsibilities has broadened in the face of demands for the ability to responds to social changes and innovations and the professional competence to maintain and develop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local social community. To ensure that the school consulting system shall be operated in a manner immediately responding to the demands of the current era, the training of school consultants has become an urgent need. Though a few universities are currently conducting educational programs to train school consultants, these have been noted for problem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in their methodological aspects. Launched from the premise that educational programs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s are of great importance, the present research focuses on two areas which are currently pointed out as problems in the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addresses these problems by presenting alternative methods.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s which is suite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school,’ the research identifies what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s contents should be, proceeding through the stages of objective analysis, work responsibility analysis, and demand analysis. From this three types of broad topics were derived, including change management, self-leadership, and logical cognitive ability. Also, in terms of methodology,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known as PBL was selected as a methodology capable of enhancing actual applicability and practical feasibility to conceptualize a ‘PBL 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s.’ The present research was limited to the stage of conducting a formative evaluation for the proposed program, there remains an urgent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apply the proposed design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chool consultant training to actual situations and thereby confirm the outcome. However, due to the rapid dissemina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such programs in the present time, the demand for educational programs to train school consultants is imperative.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present research consists of having conducted the foundational research taking the first step of conducting a clear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such educational program and illuminating the ‘content composition’ reflecting such identified features, as well as presenting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will properly implement these findings.

      • 구성주의 학습모형에 나타난 다양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분석

        정은실 ( Eun Shil Ju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09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5 No.2

        교사는 수업안과 밖에서 학생들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교실 안수업상황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많은 도움을 주어야한다. 특히 현대의 새로운 학습상황에서는 지식은 새로운 상황에 알맞도록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학습자에 의해 학습이 주체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핵심이며 이는 구성주의 교육의 핵심과 일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실상황에서 구성주의적인 환경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성주의적 관점을 지닌 교사가 실행에 앞장서야 한다. 그러므로 구성주의 학습모형에 따른 PBL 모형, 인지적도제이론, 상황적 학습이론, 인지적 유연성이론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면, 이 시대에 필요한 교사의 역할은 지식의 전수가 아닌 학생의 의견과 관심이 반영된 학습결과를 이끌어주는 안내자의 역할과 교사 스스로도 수업을 통해 새로운 지식, 문화, 경험을 깨닫게 되는 동료학습자 또한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기 전에 학생의 현재 능력과 지식을 이해하고 스스로 학습에 책임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와 조언을 해주어야 한다. In and outside the classroom teacher is a constant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e classroom situation teachers should help in order to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In particular, in the new learning environment knowledge are considered to be changing and growing in the learner structure appropriated to the new situation. In other words, learning that the learner is the core consists of the subjective, this is constructionism will be complemented. From this perspective, the classroom situation, to create the constructionism class, the first time, with a constructionism perspective, the teacher should take initiative to execute. Therefore, a constructionist model of learning in the PBL model,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situation learning theory,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look at the role of teacher, necessary for this era, the role of the teacher, not a transfer of knowledge, opinions and interests of students will reflect the learning results is a guide, classroom teachers with new knowledge, culture, and experience to realize is a fellow learner, In addition, the teacher to understand the student`s current skills and knowledge before authority, Students have the responsibility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teacher should encourage and advice.

      • KCI등재

        창의적인 갈등 해소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참여형 교육 사례 연구

        김승철 ( Kim Seung Chul ),정은실 ( Jung Eun Shil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18 분쟁해결연구 Vol.16 No.2

        우리는 도시화·산업화 과정을 거치며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IMF 사태를 겪으며 도시집중 현상은 점차 농촌으로 회귀하는 변화를 거치고 있다. 귀농·귀촌의 증가와 더불어 한편으로는 농촌주민과 귀농·귀촌인 간의 갈등이 새로운 농촌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계층간 갈등은 결국 귀농·귀촌에 실패하고 다시 도시로 돌아가는 「역 귀농·귀촌」 현상을 불러 오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 방안으로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콘텐츠 중 ‘갈등관리’는 매우 미약할 뿐더러 교육에 할애되는 시간도 매우 부족해 일회성 교육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귀농·귀촌 예비자를 대상으로 갈등관리 교육을 강의식 교육과 적극적인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의 참여형 학습방식을 적용하여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효과적인 갈등관리 대안을 교육생 스스로가 직접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전의 강의 중심 학습방식을 탈피한 PBL 학습방식을 통해 보다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갈등관리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나아가 마을 주민들과의 원만한 관계 형성을 위한 솔루션(solution)을 교육생들이 직접 도출함으로써 귀농·귀촌인과 주민간의 상생적인 관계형성을 위한 갈등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제고하며 기존 갈등관리 교육이 갖는 한계점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Population in Korea had been concentrated in urban areas during urbanizing-industrializing period since 1960’s. However, IMF foreign currency crisis in 1997 reversed the trend and people returned to their home town in rural areas gradually. As the number of the people returning are increasing, conflict between existing residents and returning people has been on the rise in rural societies. The conflict between two parties caused the phenomena that returning people go back to urban areas again due to settlement failure in some cases. To solve the problem, the government has offered the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people that included the course titled conflict management. However, not only the 2 hour program is not sufficient time but also rather transient concepts in contents to recover the serious conflicts concerned.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several conflict management contents and programs that enable the people involved in conflicts to find proper solution by themselves and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between rural residents and new comers from urban areas by applying the new education methods that include lecture and participation learning with facilitation skill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research is surmounting the limitations that the past conflict management programs had as well a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 for human relations in rural areas.

      • KCI등재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활동 만족도 : 질적 자료 분석에 의한 사례연구

        강인애(Inae Kang),정은실(Eun-Shil J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3

        학습공동체를 경험할 수 있는 출발점은 소그룹 팀 구성에 의한 학습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협력적 학습력을 익히면서 자연스럽게 학습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경험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학습의 활성화 방법으로서 소그룹 학습 팀을 구성하여 구성 방법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질적 연구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인 Nvivo8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양 교직수업을 듣는 S 대학의 동일전공 학생들로서, 친분관계에 따라 학생들 스스로 구성한 학생자율팀과, 학습유형 측정결과에 따라 이질 유형으로 구성된 학습유형 팀으로 2개 반을 나누어 한 학기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4항목으로 구성된 개방형 질문지를 나누어주어 소그룹 학습팀으로 운영되는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성찰저널과 함께 자료는 Nvivo8 이라는 질적 자료 분석 방식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그룹 학습팀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두 팀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불만족도에서는 학생자율팀이 학습유형팀보다 훨씬 다양한 이유와 더불어 더 높은 수치가 나왔다. 학생자율팀이 지적한 만족과 불만족의 이유는 대부분이 친한 관계에서의 편안한 학습 분위기라는 사실에서 비롯되 었는데, 결과적으로 이 팀은 ‘사회적 공동체적 관계’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학습유형팀은 팀 활동과 관련하여 불만족스러운 이유는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이 만족스럽다는데 높은 점수를 주고 있었다. 이는 이들 팀은 수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학습공동체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진지한 학습활동, 문제해결과정 자체에 몰입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소그룹 학습 팀에 의한 수업은 팀 구성방식이 어떤 것이든 간에 학생들에게는 분명학습 환경으로서는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만일 학습활동 자체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학습유형에 따른 이질집단으로 구성된 학습유형팀이 학생들 간에 친분관계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구성한 학생자율팀보다 좀 더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ifferent would be the satisfactory levels on the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eam-organizing methods. This study, first, divided the total 62 students of the same majors in a 2 year college into two learning groups: The first group is called ‘student-selected teams’ which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riendship as the team-organizing criterion, while the other group was called 'learning style-based teams' which were organized the students with different learning types based on the result of 'Learning Style Inventory' by Kolb, which was conducted before the class began. Each group(i.e., Student-selected teams and Learning style-based teams) which was consisted of several subgroups with 4 to 5 students per group and lasted for the whole semester, was supposed to write their thoughts on the given ‘open-ended questionnaire’ with 4 question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ir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ir specific reasons and contents for or against the team-based learning environments by using Nvivo8, a program for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satisfactory levels to the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both groups were almost equally high (more than 70%), 2) yet, more specific content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by Nvivo clarifi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student-selected teams were inclin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unity', in which friendly relationships in relaxed, comfortable environments were highly valued and appreciated, and which, in turn, rather became disturbing factors for then serious learning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style-based teams were, from the beginning of the class, characterized as 'learning community' where the team members worked hard with a strong sense of community, thus, responsibility for their roles as a team member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fully immerging into the learning activity for problem-solving as a team.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collaborative learning groups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as a way of learning activities. Ye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howed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results from the learning style-based teams than the student-selected teams in terms of learning engagement and effects.

      • KCI등재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 대학에서의 수업사례

        강인애,정은실 한국교육방법학회 2009 교육방법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flective journal in two aspects: 1) After categorizing the contents or themes included in the reflective journals, to analyze how the students' concerns shift over the whole semester; 2) to verify the 3rd and 4th stage of Kolb's learning cycle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reflective journa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PBL class in an University, in which the participant students had submitted their reflective journals 10 times after each class over the semester.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content analysis method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 categories of reflective journal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i.e., reflection on learning environments, their identity as learners, what and how they've learned, and how to practice on their real life) and also have shifted their focus over the semester, while both the stages of ‘generalization’ and ‘implication’ in the Kolb's learning cycles were clearly detected from the reflective journals of the students. The study, therefore, reconfirmed the educational importance and value of reflective journal as a learning activity and evaluation tool which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of being ‘reflective practitioners’ for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