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으로 본 한국체육사학회지 (1996∼2022) 연구동향과 과제
김미숙,변현,전상완 한국체육사학회 2022 체육사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996∼2022년까지 한국체육사학회가 발행하는 한국체육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은 27여 년간 발표된 총 478편의 논문으로 제목과 초록을 발췌하였다. 소셜 매트릭스 프로그램 텍스톰을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을 그리고 Ucinet6과 NetDraw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 및 시각화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1996∼2011년까지 발표된 논문에서는 스포츠, 한국, 연구, 올림픽, 체육, 경기 등에서 높은 중심성 값이 나타났다. 또한 군집분석 결과는 ‘시공간 및 집단’, ‘스포츠의 내재화와 세계화’, ‘움직임과 지향점’, ‘시대⋅지역별 스포츠의 다양성’ 등 4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2012∼2022년까지 발표된 논문에서는 한국, 올림픽, 스포츠, 태권도, 중국 등에서 높은 중심성 값이 나타났다. 또한 군집분석 결과는 ‘종목과 대회의 확장’, ‘체육인의 등장과 활약’, ‘근대 및 확산’, ‘전통과 무예’, ‘지역 체육 및 인물’, ‘국제 무대로의 도전’, ‘스포츠와 민족주의’, ‘스포츠의 대중화와 체계 확립’ 등 8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한국체육사학회지 구술사, 구술생애사 주제 검토: 2013∼2023년을 중심으로
최승아,김지훈 한국체육사학회 2024 체육사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체육사학회지에 발표된 구술사와 생애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체육사 연구에서 구술사의 역할과 한계를 탐구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 연구 주제와 참여자 특성, 긍정적⋅부정적 표현 사용을 조사하고, 체육사 분야 구술사의 성과 중심 서술 경향과 이에 따른 편향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체육사 분야 구술사는 엘리트 체육인의 업적을 부각하는 경향이 강하며, 연구자가 듣고자 하는 성과 중심의 이야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정부와 제도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내어 구술사의 비판적 시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육사 분야 구술사가 성과 뿐 아니라 개인의 다양한 경험과 체육계 구조적 문제를 포괄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oral history and biographical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History from 2013 to 2023, exploring the role and limitations of oral history in physical education history research.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the study examines research topic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identifying the trend toward performance-focused narratives in oral history and the resulting biases. The analysis reveals a strong tendency within sports oral history to highlight the achievements of elite athletes, with a focus on performance-driven stories aligned with the interests of the researchers. Additionally, participants often express positive views regarding government and institutional policies, indicating a lack of critical perspective within oral histories. This study suggests that sports oral history should evolve to encompass not only individual accomplishments but also the diverse experiences of individuals and structural issues within the field of sports.
이승수 ( Lee Seung-soo ) 한국체육사학회 2018 체육사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hosun branch of a foundation named Gangdogwan was treated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profoundly in advanced research in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history and find out the meaning of it. As a study method, this author has analyzed and examined primary materials dealing with the Chosun branch of Gangdogwan inten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cess that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authorities treated reverted properties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e military legislations did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authorities’ monopolistic rule about the physical education·sports groups. In the beginning of its rule,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protected Japanese’s private property rights and handled ‘the relatives’ as well in the process. Lee kyung-suk transformed the Chosun branch of Gangdogwan into a Korean corporation. Nationally, this means that it made the corporation and its properties public,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marked a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judo history.
국궁의 射風에 관한 역사⋅철학적 고찰- 正間拜禮를 중심으로 -
최석규 한국체육사학회 2018 체육사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is in the identification of concreteness and truthfulness for the survival of tradition and jeonggan baery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story of jeongganbaerae is based on the rules and customs(射員射亭進時必先正間拜禮後射班立) of the Jeonju cheonyangjeong In 1912. Second, jeongganbaerae is a practical philosophy of action as a courtesy for the adults, when enter or out Hwalte. Third, jeongganbaerae is respect and caring for the adults, Also today, studying hard the bow. Towards of dignity. After all, jeonggan abolitionism is not clear that basis. It started in the Jeolla provinces. In the 1960s and 1970s, or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jeongganbaerae is a central thought of a symbol of traditional archery. Moral values of ‘Sauigwandeok’, Action philosophical value of ‘Eupyangiseung’, The meaning of ‘Bangujeogi’ toughness educational value. It is to arrange and salute the body Looking at the sacred places in the spatial sense to emphasize Jeongganbaerae by connecting it with the divine image of heaven and the descendants of the river. 본 연구는 ‘정간배례’의 존폐논쟁에 대한 역사⋅철학적 고찰을 통해 그 실체를 파악하고 정간배례의 찬반논리에 대한 정체성과 당위성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간배례는 1960-70년대 전라도지방에서 급조된 것이며, 일제의 잔재라는 정간폐지론은 1912년 제정된 전주 천양정 규례의 ‘射員射亭進時必先正間拜禮後射班立’에서 그 근거가명확하지 않음이 드러난다. 둘째, 정간배례는 집을 들고 날 때 이를 어른께 고하는 존경과 예의와 같은 실천적 행동철학으로서, 어른을 정중히 모시는 우리민족의 생활풍속에 녹아 규범화된 공경과 배려인 동시에 오늘도 활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는 묵시적 존엄을 향한 다짐이다. 셋째, 정간배례는 ‘사의관덕’의 도덕적 가치, ‘읍양이승’의 행동 철학적 가치, ‘반구제(저) 기’의 인성 함양적 가치를 내재한 전통 활쏘기의 중심사상이며, 공간적 의미에서의 대상과 존엄처에 대한 공경으로서의보이지 않는 대상, 즉 하늘의 자손 또는 강을 다스리는 신과 같은 신성한 이미지의 상징으로 부각시키고 연관시킴으로서정간배례의 당위성을 강조하고자 했던 것이다
성제훈 한국체육사학회 2018 체육사학회지 Vol.23 No.2
The study is focused on the technical aspects of Horseback Archery.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analyzing ‘Horseback Archery Icons’ displayed in The Goguryeo Tomb Murals. First, The horses are suitable for mountainous terrain, The bow and arrow are small and short. Importantly, it is necessary to use the reins empty handed and to control with the lower body only. Second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cons, it was found that ‘Multiple Angle Horseback Archery Technique’ can be conducted by tactical riding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games and shooting. This means that the ‘Horseback Archery Encirclement Tactics’ is able to be conducted. Lastly, It was also found that ‘Serial Horseback Archery Technique’ techniques involve high speeds in proportion to the speed of the horse after pursuing the game, At the same time, a ‘Multiple Serial Horseback Archery Tactics’ has appeared. In conclusion, Angle and Velocity are important principles, and various tactics are possible by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horse and harness, bow and arrow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사(騎射)를 재현할 수 있도록 고구려 고분벽화의 기사도상(騎射圖像)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기사의 형태와 방식을 검토하는 데 있다. 먼저, 기사도상(騎射圖像)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산악지형에 적합한 형태의 말, 작은 활과 화살이 보인다. 주목할 점은 양손 혹은 한손으로 그리고 고삐를 놓은 채 하체만으로 말을 통제하는 기마술(騎馬術)이다. 다음으로 사냥감의 위치변화에 따라 말을 몰 수 있는 전술적인 기마술이 필요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여 활을 쏘는 전방위기사법(全方位騎射法)이 드러났고, 이 기사법을 기반으로 한 몰이 사냥의 형태인 포위기사전법(包圍騎射戰法)이 보인다. 마지막으로 사냥감 추격 속도에 비례하여 기사자(騎射者) 역시 고속으로 연달아 활을 쏘는 연속기사법(連續騎射法)이 보이는데 이 기사법을 기반으로 한 목표에 집중하여 연발(連發)하거나, 동시에 다수(多數)의 목표에 연발(連發)하는 다연발기사전법(多連發騎射戰法)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사도상(騎射圖像)에는 방위와 속도를 원리로 하는 기사법과 이를 기반으로 말과 마구, 활과 화살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 전법들이 나타나 있다.
채규민,우승호,조용인 한국체육사학회 2018 체육사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backgrounds of the introduction for Teeball in Korean physical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Teeball in now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be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eball tried to enter into sports for all through an establishment of national Teeball alliance in Korea Sports for All after the foundation of Korean Teeball association in 1998; Second, it was a turning point that a former President Kim Young-Sam was appointed as a president of Korean Teeball association. After then, vary projects for the spread of Teeball were promoted, for inst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eball competition, girls’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competition, and national education universities’ Teeball competition through financial sponsorship from general company and national sports promotion corporation. In addition, Teeball was introduced into school physical education via class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Plus, Teeball was chosen as a regular sporting event in the National School Sports Club and became a popular sport.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체육에서 티볼이 가지는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티볼의 도입과 전개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한국티볼협회는 1998년 창립 이후 국민생활체육 전국티볼연합회 결성을 통해 생활체육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2008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총재 취임으로 전환점을 맞이하며 티볼 보급과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 기업 및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재정후원을 통해 초등학생 티볼대회, 여자중학생⋅여자대학생 티볼대회, 전국교육대학교 티볼대회 등을 개최하며 빠르게 확산되었다. 특히 초⋅중등 교원강습회를 통해 학교체육에 적극 진입함으로써 전국학교스포츠클럽의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인기 종목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하웅용 ( Woong Yong Ha ) 한국체육사학회 2018 체육사학회지 Vol.23 No.3
Won Shin-hee, a man of tenacity and perseverance, had outstanding performance in weightlifting field, won his first three gold medals in the Asian Games. As a leader, he worked hard to improve Korean weightlift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 had a childhood when he was able to get easily access to exersize, and because of health-conscious father, he could have had strong physical strength. Second, the important thing in his life was that he walked his own way in the face of injury and slump rather than winning many new records and medals. Third, Won Shin-hee’s triple crown at the Asian Games was not only a product of his hard work, but also a valid result of sports science and proper strategies. Fourth, he has fostered a number of students as a leader and is now working with them to improve Korean weightlifting. Finally,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it will be a meaningful historical reference for Korean weightlif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