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증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수환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적으로 활동보조 서비스는 병원과 요양원, 생활시설 등의 실천현장에서 장애인들의 기능회복과 잔존능력의 극대화를 위한 서비스로 태동되었다. 활동보조서비스를 추진하게 된 것은 장애인 당사자의 자립생활능력 향상을 통한 사회참여 및 통합의 욕구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함께 정부는 2007년 4월부터 1급 장애인들 대상으로 장애인 활동 보조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장애 정도나 특성에 맞는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보조해줄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조력자역할을 담당해주는 사람이 활동 보조인이다. 활동보조인의 역할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장애인이 새로운 환경이나 문제에 부딪혔을 때, 장애인 스스로가 지닌 능력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완전한 사회참여를 위해서는 장애인의 손과 발이 되는 장애인 활동보조인이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사회복지 같은 대인 서비스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만족은 서비스의 질로 연결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있어서 그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역할이 갖는 중요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개인적 특성, 업무환경적, 근무환경, 들의 어떤 변인들이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현재 업무중에서 정서지원을 하는 활동보조인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자격증을 소지한 활동보조인의 만족도는 그렇지 않은 활동보조인에 비해서 그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인식이 활동보조서비스가 전문적인 서비스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환경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난 요인은 시설유형과 관리부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중증장애인을 주로 담당했던 기관이나 부서에 머물지 않고 보다 특화된 시설과 부서를 위주로 활동보조서비스를 접근해야 한다는 점으로 보여진다.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 가장 중요한이유는 활동보조인의 선택이유에서 사명감이 가장 중요한 이유로 작용했다는 점이며, 앞으로 교육시에 사명감을 강조한다면 보다 높은 만족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을 판단되며, 35~48개월의 경력자들이 전/이직 의도가 낮다는 점에서 신규활동보조인들과 경력활동보조인들간의 교류를 통하여 그들안에서의 활동보조서비스의 활용방안을 익힐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활동보조인의 만족스런 근무여건을 조성하여 중증장애인에게 양질의 활동보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활동보조서비스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활동보조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와 더불어 일선에서 1대 1로 이루어지고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장애인과 활동보조인 함께 연관된 연구가 필요하며, 보다 다양한 요인을 이용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이 선행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활동보조서비스를 통한 복지정책이 세워질 것이다.

      • 디지털 기호학으로의 이행에 관한 매체 철학적 연구 : 테크놀로지 문자와 컴퓨테이셔널 분석을 중심으로

        강수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o understand the signification of the digital sign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surface layer of the produced sign but also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sign, and the condition of communication as the whole. Nowadays, hegemonic media that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of signs, shifts from analog to digital. In this context, this thesis tried to find a way to analyze the signification of the digital sign in a way that responds to today’s conditions through a medi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s the issues of media, human consciousness, and semiotics in general, focusing on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grammatization’. Chapter 3 examines the conditions of digital semiotics by examining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ign,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principle and attribute of sign production. Subsequently, Chapter 4 devises the applicable model to the digital semiotics and summarizes the expected practical importance and risk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gn has a function that writing and remembering human consciousness above all. The ‘letter,’ the oldest media and sign of humankind, sparked a debate on memory. It is the “pharmakon” debate. Pharmakon is a term that has the meanings of ‘remedy’ and ‘poison’. Lette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ore memories outside of consciousness(remedy); at the same time, they also have the disadvantage of impairing internal abilities on recollection or remembrance(poison). As such, the media is a pharmakon, an apparatus that can supplementary record the human memory-consciousness through sign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reconstructing the form of consciousness. After the invention of the letter, technologies of human memories begin to shift slowly from “anamnesis” to “hypomnesis”. After the letter, humans established memory-consciousness through the grammatization technology that Bernard Stiegler called “orthothèse”, which selects letters that correspond to the exact orthographical rules in their mind(orthotès), and which can be thesis(thèsis). Until this era, the writing and interpretation of memory-consciousness have entirely belonged to humans. However, after the invention of analog media, the problem of ‘spatialization of the writing’ began to arise. From this point, the writing of memory-consciousness has become a work that can be performed not only by humans but also outside humans, that is, machines. Analog media also has its own writing system. Technological grammatization is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writing system of the sign after such analog media. The representative analog media, photograph, phonograph, and cinématographe, correspond to the graphs(letters) of photo, phono, and cinéma based on their peculiar writing system. After analog technologies, the media writes memory-consciousness through orthothèse characterizing in its way. As follow to the proposition that “media is pharmakon,” technological gramma also resulted in the reorganization of human consciousness. More specifically, human consciousness is established by synthesizing and perceiving stimulus information applied from inside and outside. At this time, technological grammatization produces a new consciousness by functioning as a writing system that synthesizes and organizes the stimuli of lights(photograph), sounds(phonograph), and moving-images(cinématographe). Besides, technological gramma, by its very nature, involves much more amount and various sensory stimuli than traditional characters. As a result, humans receive information faster and more than before, and also, the cycle of storing information in consciousness becomes shorter and shorter. In other words, the way of memory-consciousness processing has been reorganized. On the other hand, this transformat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s closely related to the dimension of unconsciousness. According to Freud, das Es, the domain of unconsciousness and impulse,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das Über-Ich, agency of rules and bans, and das Ich is produced in the dynamics of such Das Es and Über-Ich.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at rapidly processes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into the realm of oblivion and unconsciousness caused by technological gramma also exerts influence on determining the content and form of production of consciousness and desire(unconsciousness) production. In ‘critical theory’, the outcomes written with technological gramma such as a photograph, phonograph, and cinematograph, were regarded as the product of the ‘culture industry’, and they are criticized manipulating the masses’ consciousness and desires.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 due to the attributes of technological gramma. At this point, the key is that memory-consciousness is written in the external apparatus of humans, causing consciousness and desir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sign is does not mean merely interpreting the sign as reflecting and expressing the contents of human consciousness. On the contrary, since the way of production and writing of the sign can build the content and form of consciousnes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principle of technologies to write it. However, at this stage, interpretation still belongs to the human realm, and on the condition of writing-memory changed by technological grammatization, the field of knowledge and analysis undergoes a developmental transformation. For a representative example, semiotics and psychoanalysis, which brought about a substantial intellectual transformation in the 20th century, correlate with the appearance of phonographs. Semiotics and psychoanalysis could have been possible through the phonograph that recorded all the utterances of sound itself: so that made it easy to grasp elements that are difficult to seize in the traditional letter-writing system(such as phonemes, morphemes, unconscious utterances, etc.). Due to two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ical gramma―which has an own grammatization process, and performs the memorization as orthothèse outside the human consciousness―made it possible to observe with the meta point of view the process such as memorization and signification that had been performed only within human consciousness. Since then, semiotics has developed into a study that analyzes the sign written in technological gramma based on linguistic methodology. Currently, technological gramma is written and transmitted on digital systems. Digital technology is based on the computability (or algorithmization) of all data, and the principle of handling information in quantity. Meanwhile, digital media can convergence and process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in one machine, and then can perform not only writing but also some of the interpretations and judgments that were belonged to only human. In this way, the writing-memory, for the first time, has the possibility of storage outside of human(letter), and then goes through the possibility of writing(analog technological gramma), and reache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and judgment(digital technological gramma, i.e., digital sign). As the technological gramma, the digital sign also has produced new consciousness and knowledge(informatics, cognitive science, etc.) today in a digital way. However, even though the technologies of producing and writing the sign has radically changed to a digital system, semiotics is still confined in the (late) structuralist linguistic methodology devised on analog technology conditions. Since the problem of the sign is also an issue of technological grammatization, semiotics needs to be updated in response to the principles of production and writing of digital signs.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design the digital semiotic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specific conditions of the digital sign: first, the possibility of calculation/algorithmization for all the sign as data, second, the possibility of sending and receiving a large amount of data through the network, and third, the possibility of the universal character based on a numeric system. In other words, the digital semiotics can be explored on the premise that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ign is possible. The approach proposed by this pap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signification of digital signs is the application of a computational analysis model. If the 20th century was a transition era of “from work to text,” it is now “from text to data”. Under the former condition, semiotics had to perform analysis with only the so-called “close reading”. However, in the latter, semiotics can search a quantitative approach to signification through computational analysis by referring to the “distant reading” method. The derived result values ​​can be represented by models such as graphs, scatter plots, networks, and algorithms. Although this paper presented several models in which the results of computational analysis of digital signs can be represented, it has limitation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n addition to the models presented here, there are various possibilities for representation. Second, in particular, it does not broadly illustrate practical analysis and cases. Those will be left as a future task. 본 연구는 디지털 기호의 의미작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지 생산된 기호의 표층뿐 아니라, 기호의 생산체계 및 커뮤니케이션의 조건까지 총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고는 기호의 생산・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는 미디어가 아날로그로부터 디지털로 이행하는 상황에서, 오늘날의 조건에 감응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기호의 의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매체 철학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테크놀로지 문자’ 개념을 중심으로 미디어, 의식, 기호학 일반의 문제 등을 고찰하고, 3장에서는 디지털 기호의 테크놀로지적 특징, 커뮤니케이션 체계, 기호 생산의 원리・속성 등을 검토함으로써 디지털 기호학의 조건을 점검한 이후, 4장에서는 디지털 기호학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고안하고 예상되는 실제적 의의와 리스크를 정리했다. 본고의 요약은 아래와 같다. 먼저, 기호는 무엇보다 의식을 기록‒기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류의 가장 오랜 미디어이자 기호인 ‘문자’는 기억을 둘러싼 논쟁을 촉발시켰다. ‘파르마콘’(pharmakon) 논쟁이 그것이다. 파르마콘은 ‘묘약’과 ‘독약’의 의미를 함께 지닌 용어다. 문자는 기억을 외부에 보관하는 장점(묘약)이 있으면서, 동시에 그로써 인간의 내적 기억력을 손상(독약)시키는 단점도 포함한다. 이렇듯 미디어는 파르마콘으로, 인간의 기억‒의식을 기호들을 통해 보충적으로 기록하는 장치인 동시에, 의식의 형식을 재구성하는 효과를 일으킨다. 문자 이후 인간의 기억 기술은 내적 기억(anamnesis)에서 상기(hypomnesis)로 이행하기 시작한다. 문자 이후, 인간은 머릿속에서 정확한 규칙에 부합하는(orthotès), 그리고 사고를 정립(thèsis)할 수 있는 문자를 선별하는 이른바 정정립(正定立, orthothèse)의 문자화 테크놀로지를 통해 기억‒의식을 성립했다. 이 시기까지 기억‒의식의 기록과 해석은 전적으로 인간에 속하는 영역이었다. 그러나 아날로그 미디어의 발명 이후 종전과 다른 ‘기록의 공간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기억‒의식의 기록은 인간뿐만 아니라 인간 외부, 즉 기계에서도 수행 가능한 작업이 된 것이다. 아날로그 미디어는 그 또한 나름의 규칙과 정립의 과정을 통한 기록체계를 갖는다. 테크놀로지 문자란 아날로그 미디어 이후 기호의 기록체계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아날로그 미디어인 사진, 축음기, 영화는 각자의 고유 기록체계를 토대로 빛(photo-), 소리(phono-), 움직임(cinémato-)을 기록한 문자(graph)에 속한다. 아날로그 테크놀로지 이후 미디어는 테크놀로지 문자를 통해 기억‒의식을 기록한다. 또한, 미디어는 파르마콘이라는 명제에 따라, 테크놀로지 문자는 새로운 의식을 생성하고 의식의 형식을 재편하는 결과를 일으켰다. 더 자세히는, 인간의 의식은 내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극 정보를 종합・지각함으로써 성립하는데, 테크놀로지 문자는 빛(사진), 음성(축음기), 움직임(영화)의 자극을 새로운 형태로 종합하고 체계화하는 기록체계로 기능하여 새로운 의식을 생성한다. 또한, 테크놀로지 문자는 속성상 전통적인 문자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많은 양의 감각 자극을 수반한다. 그 결과 인간은 이전보다 정보를 더 빠르고 많이 수용하게 된 대신, 의식에 기억되는 정보의 사이클은 점점 더 짧아지게 된다. 즉, 기억‒의식을 처리하는 방식이 재편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정보처리 방식의 변화는 무의식의 차원과도 밀접히 관계하게 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무의식・충동의 영역인 이드는 규칙과 금지의 작인인 초자아와 깊은 상관관계를 맺으며, 그러한 이드와 초자아의 역학 속에서 자아・의식은 생산된다. 즉, 대량의 정보들을 빠르게 망각과 무의식의 영역 속으로 처리하는 테크놀로지 문자의 방식은 의식과 욕망(무의식) 생산의 내용과 형식을 결정짓는 데에도 영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비판이론’에서는 사진, 축음기, 영화처럼 테크놀로지 문자 기호로 기록된 결과물을 ‘문화산업’의 산물로 파악하고, 그것이 특히 대중의 의식과 욕망을 조작한다는 점을 문제시했는데, 이는 테크놀로지 문자의 속성에서 기인하는 효과라 할 수 있다. 이때 관건은 기억‒의식이 인간의 외부 장치에서 기록되어 의식과 욕망을 발생시킨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호를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해당 기호가 인간 의식의 어떤 내용을 반영하고 표현하는지만을 해석하는 일이 아니다. 오히려 기호의 생산 및 기록 방식이 의식의 내용과 형식을 주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을 작성하는 테크놀로지의 원리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단계에서 해석은 여전히 인간의 영역에 속하며, 테크놀로지 문자가 변화시킨 기록‒기억의 조건 위에서 지식과 해석의 장은 발전적 전환을 맞게 된다. 대표적으로 20세기 거대한 지적 전환을 불러온 기호학과 정신분석학은 모두 포노그래프의 출현과 상관을 맺는다. 포노그래프가 발성된 소리 자체를 모두 기록함으로써 문자의 기록체계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요소(음소, 형태소, 무의식적 발화 등)들을 파악하게 만듦에 따라 기호학과 정신분석학은 가능할 수 있었다. 이는 고유의 문자화 프로세스를 가지며, 인간의 의식 외부에서 정정립의 기억화를 수행한다는 테크놀로지 문자의 두 가지 특징이, 이전까지는 인간의 의식 내에서만 이루어졌던 기억, 의미작용 등의 과정을 메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후 기호학은 테크놀로지 문자로 작성된 기호들을 언어학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학문으로 발전해갔다. 현재 테크놀로지 문자는 디지털 체계에서 기록・송수신되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계산 가능성/알고리듬화, 그리고 정보를 양으로 다룰 수 있는 원리로부터 출발한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는 하나의 기계 안에서 다차원의 정보를 컨버전스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기록뿐만 아니라, 인간 고유의 영역이었던 해석과 판단 일부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기록‒기억은 최초 인간 외부에 대한 저장 가능성(문자)을 갖고, 작성 가능성(아날로그 테크놀로지 문자)을 거쳐, 해석・판단 가능성(디지털 테크놀로지 문자)에 이른다. 디지털 기호도 마찬가지로 오늘날 새로운 의식의 생성과 그에 따른 (정보학, 인지과학 등등) 새로운 지식을 발생시켰다. 하지만 기호의 생산・작성 테크놀로지와 원리가 디지털 체계로 변화한 상황임에도, 지식으로서의 기호학은 여전히 아날로그 테크놀로지 조건 위에서 고안된 (후기)구조주의 언어학적 방법론을 고수하고 있다. 기호의 문제는 곧 테크놀로지 문자의 문제라는 점에서, 기호학은 디지털 기호의 생산・작성 원리와 감응하는 방향으로 갱신될 필요가 있다. 본고는 디지털 기호가 지닌 다음 세 가지 특징적 조건에 근거하여 디지털 기호학을 기획하고자 했다. 첫째, 모든 기호에 대한 계산/알고리듬화의 가능성, 둘째, 네트워크를 통한 대량의 데이터 송수신 및 확보의 가능성, 셋째, 수적 체계에 기초한 보편 문자적 가능성이 바로 그것이다. 즉, 디지털 기호학은 기호의 양적 계산 분석이 가능하다는 전제 위에서 모색될 수 있는 것이다. 디지털 기호의 의미작용을 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본고가 제안한 접근법은 컴퓨테이셔널 분석 모델의 적용이다. 20세기가 ‘작품에서 텍스트로’ 이행하는 시기였다면, 현재는 ‘텍스트에서 데이터로’ 변화하고 있다. 전자의 조건에서 기호학은 오직 이른바 ‘가까이 읽기’(close reading)의 방식으로 분석을 수행해야만 했다. 하지만 후자에서는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의 독법을 참조하여, 컴퓨테이셔널 분석법을 통해 의미작용의 양적 접근을 도모할 수 있다. 도출된 결과값은 그래프, 산점도, 네트워크, 알고리듬 등의 모델로 재현이 가능하다. 비록 본고는 디지털 기호의 컴퓨테이셔널 분석 결과가 재현될 수 있는 몇 가지 모델들을 제시했으나, 여기서 제시된 모델 이외에도 더 다양한 재현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 특히 실제적인 분석 및 사례들을 폭넓게 예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 기업지배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삼성·LG·SK의 지배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강수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는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인하여 재구조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한국사회 운영방식이 글로벌 자본주의의 운영방식으로 동형화되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따라, 한국의 기업지배구조가 영·미형으로 수렴되었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주장에는 두 가지 한계가 있다. 하나는 재벌체제의 다면적 구조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다른 하나는 제도변화 분석이 외인론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두 가지 한계를 지적하고 보완하고자 한다. 먼저 제도변화 분석에 있어 지나친 외인론에서 벗어나 다양한 제도변화 내용을 포착한다. 지나친 외인론은 외환위기라는 외부적 요인으로 모든 것이 단절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historical institutionalism)를 통해 제도변화에 있어 외부적 요인만이 아니라 기업지배구조 내부의 특성을 고려한다. 둘째로, 한국의 기업지배구조를 소유구조, 재무구조, 그리고 사업구조로 나눠서 기업지배구조의 특징을 세분화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기업지배구조가 단순하게 영·미형으로 수렴된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한국의 기업지배구조가 영·미형으로 쉽게 수렴되지 않으며, 각 기업의 기업지배구조별로 서로 다른 변화의 내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경제체제의 다양성을 논할 때 살펴보는 것이 노사관계, 정부와 기업 간의 관계, 기업 간의 관계 등이다. 본 연구는 이 중에서도 기업지배구조에 주목하여 그것의 다양성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 한국의 대표적 재벌인 삼성, LG, SK를 중심으로 외환위기 이후 기업지배구조 변화를 분석한다.

      • 대학 순위평가체계의 조건과 영향에 관한 연구: 규범, 제도적 논리, 그리고 지위집단

        강수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Research on the ranking system has long been a key topic in the social science field. However,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and on the organizational changes due to its effects. Existing studi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critic aspects’ that deal with possible negative problems due to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and ‘strategic aspects’ that focus on factors that affect the rise of the ranking. Surprisingly, these studies excluded ‘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impact of the ranking system. This implicitly presupposes that the existence of ranking system itself has a large social impact on promoting competition among actors under any conditions. However, the ranking system is one of several evaluation methods, which is unique in its operation, and the way in which it is accepted and utilized is socially different. Therefore, this paper wanted to confirm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expanding ranking evaluation system among universities in Korea. In the period 2008-2015, when the government had a strong influence on higher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article is “How does the ranking system of universities work in Korean society? And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the operation?” The ranking system can be maintained when ‘universities’ seek to develop into an excellent research institution through ranking evaluation, ‘governments’ consider policies to improve the ranking of their universities, and ‘students and parents’ select a university by the results of ranking evaluation. This is why this study analyzes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operated in university society through ‘norm, institutional logic, and status groups’ as an existence embedded in society. Each concept is three perspectives to understand how the university’s ranking system works. The first is, “Does the ranking system exist as a ‘competition goal’ among universities?” If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is socially accepted, it can serve as a guide to operations to improve excellence among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universities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index, based on the concept of norm. Second, “Does the ranking assessment system work as the audiences’ judgment criteria for competition?” This is to check whether stakeholders surrounding universities judge excellence in quality based on a ranking evaluation system. There are various evaluation criteria for determining university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i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ased on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logic. Third, “What characteristics does have the ‘consequences of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due to the ranking system?” This is to see what happens when universities compete around rankings. If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plays a role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xcellence of universities, there is a corresponding change among groups formed by universities. This paper discusse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in terms of organizational strategy, audience judgment, and organizational positioning. We then analyzed whether each condition could ultimately lead to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This article confirmed that although there are some conditions for the ranking evaluation system to work, there are still strong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excellence of universiti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accepted. Accordingly, this paper warned that the existence of a ranking evaluation system just alone could not create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investment in students and higher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ranking system does not caus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but may work as a tool to recreate and strengthen existing order. 순위평가체계 관련 연구들이 사회과학 분야에서 핵심주제로 자리 잡은 지 오래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순위평가체계의 영향과 영향으로 인한 변화내용에 주목하였다. 내용상으로는 순위평가체계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부정적 문제를 다루는 ‘비판적 측면’과 순위의 상승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초점을 두는 ‘전략적 측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놀랍게도 이 연구들에는 순위평가체계의 영향을 둘러싼 ‘사회적 조건’이 배제되었다. 이것은 순위평가체계는 그 존재만으로도 어떤 조건에서든지 행위자 간 경쟁을 촉진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암묵적으로 전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순위평가체계는 여러 평가방식 중 하나로 작동방식에 있어 독특성이 있으며, 그것이 수용되고 활용되는 방식은 사회적으로 다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순위평가체계가 한국사회 내 대학들 사이에서는 어떠한 방향과 내용으로 작동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고등교육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이 강하였던 2008-2015년 시기에 “한국사회에서 대학의 순위평가체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그리고 그 작동의 결과는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순위평가체계의 유지는 ‘대학’이 순위평가를 통하여 우수한 연구 전문기관으로의 발전을 모색하며, ‘정부’는 자국 대학의 순위향상을 위해 고등교육의 질을 보장하고 제공하기 위한 관련 지원정책을 고민하며, 그리고 ‘학생 및 학부모’는 순위평가의 결과를 놓고 교육과 연구의 질을 판단하고 대학을 선택할 때 가능하다. 이러한 내용이 본 연구가 ‘사회에 배태된 존재’로서 대학사회에서 작동하는 순위평가체계를 ‘규범, 제도적 논리, 그리고 지위집단’을 통하여 분석하는 이유다. 각각의 개념은 대학의 순위평가체계 작동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세 가지 관점이다. 첫째로, “순위평가체계는 대학들 사이에서 ‘경쟁의 목표’로서 존재하는가?”이다. 이것은 행위자들이 순위평가체계에서의 결과를 중심으로 움직이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순위평가체계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대학 사이에서 우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영의 길잡이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규범(norm) 개념을 중심으로 대학들이 평가지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대학의 실질적인 향상이 순위평가의 결과에 반영되어 누구나가 사회적 질서로 받아들이고 추구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둘째로, “순위평가체계가 수용자의 ‘경쟁에 대한 판단기준’으로 작동하는가?”이다. 이것은 대학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순위평가체계를 근거로 품질에 대한 우수성을 판단하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학의 성과를 판단하는 평가기준은 다양하다. 대학의 우수성을 판단하고자 하는 수용자들은 각자 저마다 원하는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대학을 평가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도적 논리(institutional logics) 개념을 중심으로 순위평가체계가 사회적으로 대학의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셋째로, “순위평가체계로 인한 대학 간 ‘경쟁의 결과’는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가?”이다. 이것은 대학들이 순위를 중심으로 경쟁하게 될 시에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순위평가체계가 대학의 우수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면, 대학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집단 사이에는 거기에 맞는 변화가 나타난다. 순위평가체계가 대학 사이에 경쟁을 유발함으로써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내는 것인지 아니면, 순위평가체계가 기존의 질서를 재현하는 도구에 불과한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지위집단(status group) 개념을 중심으로 순위평가체계와 대학집단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순위평가체계의 사회적 조건을 조직의 전략, 수용자의 판단, 그리고 조직 포지셔닝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조건들이 최종적으로 대학 간 경쟁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글에서는 순위평가체계가 작동하기 위한 조건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지만, 기존에 관습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대학의 우수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여전히 강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순위평가체계의 존재만으로 대학 간 경쟁이 형성되고 학생들에 대한 투자와 고등교육의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는 맹목적인 믿음은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왜냐하면 순위평가체계가 대학 간 경쟁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질서를 재현하고 강화하는 도구로서 작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 부레옥잠에 의한 軍부대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적용

        강수환 한양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군단 사령부급 이하 부대는 대부분 읍, 면 단위의 행정구역에 주둔하고 있고, 환경 규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나 오폐수처리에 있어 거의 대부분 완전 처리시설이 없이 SS, sediments만 제거하는 원초적인 1차 처리 밖에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폐수 내 N, P를 비롯한 각종 영양소는 제거하지 못한 채 부대주변에 방류하고 있다. 사실, 軍에서도 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재래식 종말처리장을 건설하기에는 방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한정된 국방예산으로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물리화학적 처리법에 비해서 소요경비가 저렴하며, 미생물적 처리법에 비교하여 가시적이면서도 bulking의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는 대형수생식물이며, 그 중에서도 성장속도가 빠르며, 뿌리를 통한 N, P등의 영양염류 흡수율이 높은 부레옥잠(Water hyacinth)을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목적이다. 부레옥잠은 각종 연구기관의 실험결과 수생식물중 수질정화에 가장 효율성이 높다는 견해이고 국내 일부 업체에서 수질정화 처리에 활용되고 있으며 문헌상 계절별 오수 체류시간별 구체적인 실험통계는 없으나 오염물질 제거 영향은 재배지 온도 22∼32 ℃ 에서 12시간에서 2일차까지의 오염물질 제거영향을 고찰결과 체류 시간이 길수록 수질정화의 효율성이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계 적정온도에서 성장속도가 빠른 부레옥잠의 특성상 성장과 비례하여 오염물질 분해능력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경제성을 고려하여 HRT를 2일 전후로 방류함이 적합하다. 부레옥잠 재배지 설치시 고려할 사항으로 재배지는 지표면 하에 설치하되 외부 벽체는 주변의 지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지면보다 20∼30 cm 정도 높게 설치하고, 우수의 흐름이 특정 위치에 정체되지 않도록 칸막이를 통과하는 물의 통로로 상·하로 번갈아 설치하고 평면적 위치도 좌·우로 번갈아 설치해야 한다. 재배조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6 inch 이상의 블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부대 내에서부터 유출지점으로 집수관을 설치하되 동계 수온 유지를 위해 동결 깊이 이하로 지하 매설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부대 규모별로 적절한 부레옥잠 자연정화법을 설계 용량 및 건설비, 운전비를 제시함으로서 향후 軍지역에서 오수정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 법리에 관한 연구 : 상품거래유형에 따른 청약철회권을 중심으로

        강수환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revealed the legal principles for protecting consumers and suggested rational legal improvements, focusing on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based on the types of transactions of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in recent e-commerce. This study has reviewed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from electronic commerce, which was not discussed enough, based on the types of transactions of tangible goods such as traditional products and of intangible goods such as digital contents and services, and also indicated the rational directions for legal improvements. In this study, the rights of civil law were reviewed with a theoretical basis for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under the Consumer Protection Act, focusing on the method of studying literature. In addition, despite the same intention of each individual law to protect consumers through fair trade, individual laws dispersed in the Special Act on Consumer Protection were discussed, and the problems in our legal system were posed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transaction of each commodity. In other words, as to the installment transaction, door-to-door sales, and communication sales which are currently regulated by the Installment Transaction Act, Door-to-Door Sale Act, Electronic Commerce Act, and Content Act etc., the right to withdraw the subscrip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and its occurrence, exercise and its effect were reviewed separately, and the problems in the current laws were indicated. Moreover, the regulations of the laws of the foreign government,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suitable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were reviewed, and the direction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consumers were provided by indicating more efficient regulations of the subscription withdrawal right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merce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is a period in which the consumer has signed a contract, gives a reason to reconsider the need for a genuine purchase even after it has been effective, and has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without causes attributable to the consumer, which is the core of protecting the consumer. However, new sales methods, such as e-commerce, pose problems where consumers do not enter into contracts with the licensee after making reasonable purchase decisions in purchasing goods. Moreover, in transactions targeting intangible goods such as digital contents and coupons, the issue is whether or not consumers have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in relation to the occurrence of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or to the requirements of the event.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erformance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goods, and that the right to withdraw the subscription is recognized in principl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ature of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is to give consumers the opportunity to change their decision on purchasing without consideration, the right to withdraw subscription can be recognized in relation to intangible good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legally accept the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goods concerning the right to withdraw electronic commerce subscription. In the case of tangible goods, the effect of the subscription withdrawal exercise is that the consumer returns goods, which in the case of intangible goods can not be returned in digital form. Once the download or streaming has been made, the return is not possible or meaningles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introduce the concept of deletion and prohibition of use corresponding to the return, and to exclude the withdrawal of subscription after the intangible material has been used. As the e-commerce environment changes, the improvement in the subscription withdrawal exercise to protect consumers was discussed clearly in three dimensions: the period, method, and effect of the exercise, about which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criteria depending on many sorts of commodity and the method of transaction. Legislative discussions can be considered in two dimensions: integrating laws and independent legislation(revision), which should be approached in a phased manner, taking into account e-commerce and the lega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basis and the complement of general institutional regulations are needed to protect consumers in line with the overall trends of e-commerce changes. After all,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protected consumers' posi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where E-commerce is common, and provided legal implications for a shift in consumer protection paradigm that is appropriate for E-commerce change trends. 이 논문에서는 최근의 전자상거래에서 나타나는 유체물과 무체물의 상품거래유형에 따른 청약철회권을 중심으로, 소비자 보호의 법리를 밝히고, 합리적인 법제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가 미흡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청약철회권에 있어서, 전통적인 재화 중심의 유체물 거래와 디지털콘텐츠 및 서비스와 같은 무체물 거래의 유형에 따른 청약철회권 법리를 검토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법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소비자 보호 특별법상 청약철회권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함께 민법상 제권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공정한 거래를 통하여 소비자를 보호한다는 각 개별법들의 동일한 취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보호 특별법들에 산재하여 상이한 내용으로 운영되고 있는 개별법들을 논의하고, 상품거래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법체계에 의해 제기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즉, 우리나라의 할부거래법, 방문판매법, 전자상거래법, 콘텐츠법 등에서 규율하고 있는 할부거래, 방문판매, 통신판매 등에 있어서, 유체물과 무체물의 청약철회권을 그 발생, 행사, 행사의 효과로 구분하여 검토함으로써 현재 우리 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법제를 개선하는데 있어서 참고할 만한 자료가 될 외국의 입법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에 적용되고 있는 청약철회권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통합하여 규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소비자보호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제도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청약철회권이란 소비자가 계약을 체결하여 효력이 발생한 후에도 진정한 구입의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재고할 기간을 부여하고, 그 기간 내에 귀책사유나 이유를 제시할 필요 없이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계약을 소멸시키는 권리이며, 이는 소비자보호의 핵심이다. 그런데, 전자상거래와 같은 새로운 판매방식은 소비자가 재화를 구매함에 있어서 합리적으로 구매의사를 결정한 후에 사업자와 계약을 체결하지 않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더구나, 디지털콘텐츠, 쿠폰 등 무체물을 대상으로 하는 거래에서는 그 무형적 속성으로 인해 청약철회권의 발생 및 행사요건과 관련하여 청약철회권 인정여부와 방법 등이 쟁점이 된다. 그러나 무체물은 이행방식이 일반 재화와는 다를 뿐, 청약철회권이 원칙적으로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청약철회권의 본질은 소비자가 숙고 없이 행한 구매의사결정을 추후 번복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무체물 거래에 있어서도 청약철회권을 인정하는 것은 이의 본질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 청약철회권에 있어서 무체물 거래의 특성을 법률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유체재화의 경우에는 청약철회권 행사의 효과로 소비자는 재화를 반환하게 되는데, 무체물의 경우에는 디지털 형태의 재화를 반환할 수가 없다. 일단 다운로드나 스트리밍이 이루어지고 나면 사용 또는 이용 후 반환이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하다. 따라서 반환에 상응하는 삭제 및 사용금지의 개념을 도입하고, 무체물이 사용된 후에는 청약철회를 배제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청약철회권 행사상의 개선은 행사기간, 행사방법, 행사효과의 세 가지 차원에서 논의하였는데, 이에 관해서는 입법 취지를 고려하여 다양한 상품 및 재화유형, 거래방식에 맞춰 그 기준을 보다 세분화하고,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입법론적 논의는 법률의 통합과 독자적 입법(개정)의 두 가지 차원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데, 이는 전자상거래 및 법적 환경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전반적인 전자상거래 변화추세에 알맞은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일반적인 제도적 규제를 보완하고, 사회적 기반의 구축도 필요하다. 결국, 이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가 보편화된 21세기 디지털환경에서 소비자의 지위를 보호하고, 전자상거래 변화추세에 알맞은 소비자 보호 패러다임 전환의 법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기업의 지위남용행위 규제에 관한 연구

        강수환 동국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정거래법」상 거래상 지위남용 행위 규제는 법 제정 후 고시된 “불공정거래행위지정고시” 제9조에서 규정한 ‘우월적 지위 남용’으로부터 출발되었다. 거래상 지위남용 규정은 거래관계에서 경제력 등의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사업자와 거래상대방 간 대등한 지위를 확보하게 하여 공정거래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정거래법」은 처음부터 거래당사자 간 불공정 문제를 법적용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이는 사업자가 우월적 지위를 기반으로 그렇지 못한 상대방에게 불이익을 가하여 거래상대방에게 불이익과 생존기반 저해 및 공정거래의 토대를 훼손한다는 현재의 지위남용 규제의 목적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위남용행위에 대한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한 거래 관행은 개선되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거래상 지위남용행위 규제에 있어서의 문제점으로 우선 공정거래위원회의 독립성·전문성 부족에 대한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위법성 판단기준으로서 경쟁제한성과 불공정성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불공정성 판단을 각 사안에 따라 구체화하고 있지 않는 것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피해자구제절차에 관하여 중소기업이 손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이 대기업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소송 역시 현실적으로 매우 큰 부담이 있다는 비판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법률적 제도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의과정에서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위원장의 임기를 법률상 보장하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사법기능과 정책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위원의 전원 또는 절반 이상을 상임화하는 동시에 전문심판관제도를 도입하여 위원회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정 분야의 경험과 전문적 식견을 갖춘 위원 및 조사관을 공개적으로 채용하는 제도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현행 전속고발제도는 사실상 모든 실체법 위반행위에 대하여 형사처분이 가능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정거래법상 형사처분 대상을 축소할 필요성이 있다. 즉 비난가능성과 억지 필요성이 현저하고 과징금 등 행정적 제재만으로는 억지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만을 형사처분의 대상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시장지배적 사업의 우월한 지위를 이용한 중대 위법행위에 대하여는 피해자가 3배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행위가 악의적이고 반복적일 경우에는 3배∼10배 이내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강화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집단소송제도는 동일 유사한 사건에서 피해자 일부가 소송을 진행하여 다수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제도이다. 이러한 집단소송제도는 존재 그 자체만으로 불법행위를 억제하고 집단의 이익충돌을 사전에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경제 체제 및 사회의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공정거래법」 제23조에 규정된 경쟁관계에서의 불공정행위 중 성격이 상이한 불공정행위의 유형과 구별하여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금지’를 별도의 조항으로 독립하여 규정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그 법적 성격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법의 적용과 해석에 있어서 명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 Regulator of G-protein Signaling 2 단백질에 의한 유방암 세포 성장 억제 기전

        강수환 경북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유방암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새로운 마커를 찾는 것은 조기 진단의 목표를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유방암 환자에서 RGS2 발현은 정상조직에 비하여 암조직에서 낮게 나타났다. RGS2 발현은 유방 상피세포인 MCF10A 세포보다 유방암 세포인 MCF7에서 낮게 나타났다. RGS2 일시적 과발현은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doxycycline 유도에 의한 RGS2 안정적 과발현도 HEK29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Genechip을 이용한 microarray는 벡터를 투여한 세포에 비하여 RGS2를 과발현한 MCF7 세포에서 발현이 감소된 다양한 유전자가 나타났다. 이중에는 암세포 성장을 증진시키는 TSPYL5도 포함되었으며, RGS2 과발현은 TSPYL5 단백질 발현을 시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p21 유전자 발현은 MCF10A보다 MCF7 세포에서 낮게 나타나고, MCF7 세포에서 RGS2를 과발현시키면 TSPYL5 발현은 낮아지고 p21 발현이 증가하였다. TSPYL5 단백질은 polyubiquitination 되었으며, RGS2 과발현은 TSPYL5의 polyubiquitination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는 RGS2에 의한 TSPYL5의 단백질 분해를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를 종합하면, RGS2는 세포 주기를 억제하는 p21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TSPYL5 단백질을 분해시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여 암억제 유전자로 작용 할 것으로 생각한다. Search of new markers regulating breast cancer cell growth can be helpful for early diagnosis. Cancer tissues, compared to normal tissue, showed lower levels of RGS2 ex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RGS2 expression also was lower in MCF7, breast cancer cells, compared to MCF10A, breast epithelial cells. Transient overexpression of RGS2 inhibited MCF7 cell growth, and inducible overexpression of RGS2 by doxycycline also inhibited HEK293 cell growth. Microarray using genechip showed decrease of numerous genes in MCF7 cells overexpressed with RGS2 plasmid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vector. Among the genes, TSPYL5, a cancer cell enhancer, was also shown, and RGS2 overexpression decreased TSPYL5 protein expression in a time dependent manner. p21 gene expression was lower in MCF7 cells compared to MCF10A cells. On the contrary, when RGS2 was overexpressed in MCF7 cells, TSPYL5 expression was decreased and p21 expression increased. TSPYL5 protein was polyubiquitinated, and RGS2 overexpression potentiated the polyubiquitination of TSPYL5. These results suggest that RGS2 accelerates the degradation of TSPYL5 protein. As summary, RGS2 increases p21, which inhibits the cell cycle, and degrades TSPYL5 protein, which accelerates cell growth, and thereby inhibits breast cancer cell growth, providing its potential as a tumor suppressor g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