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키덜트 소비자의 장난감 소비동기와 소비행태

        강수정(Kang, Sujung),이제성(Lee, Je Sung),이준영(Lee, June Yo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20 소비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소비문화로 나타나고 있는 키덜트 문화에 주목하여 키덜트 소비자들의 동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혼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먼저 정성적 연구방법의 심층 면접법을 통해 설문지 내용 구성을 하였으며, 이를 정량적 연구방법인 설문지법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주요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덜트는 장난감 가운데 피규어, 아트토이, 프라모델, 미니어처 등 순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타인보다는 혼자 구매하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덜트는 자신을 위해 장난감을 구매하는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여윳돈이 생겼을 때, 가격 할인, 신제품 및 한정판 출시 등의 소비상황에서 구매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키덜트의 장난감 소비 동기는 쾌락적 가치, 노스탤지어, 이상향(로망)실현, 완성욕구, 보상적 결핍, 심미적 가치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장난감 애착에 소비동기가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쾌락적 가치, 노스탤지어, 이상향(로망)실현, 완성 욕구, 심미적 가치는 정적인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상적 결핍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키덜트의 소비행태와 내재적 동기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소비문화로서 키덜트 소비자 분석의 기초 자료 및 관련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sumption motivation of kidult consumers (adults who purchase toys intended for children) by focusing on kidult culture, which has emerged as a new consumption culture in modern society. A combined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was determined through a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technique,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quantitative technique of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iverse types of toys, kidult consumers most frequently collected figures, followed by art toys, plastic models, and miniatures. Kidult consumers showed a strong tendency towards purchasing toys alone, rather than shopping together. Also, kidult consumers bought toys mostly for themselves, instead of for others. Among the various consumption circumstances, having extra money, price cuts, and the launch of a new product or limited edition were the most common. Kidult consumers’ motivations for purchasing toy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hedonic value, nostalgia, realization of fantasy, desire for completion, compensatory deficiency, and aesthetic value. Finally,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motivation on the attachment to toys revealed a positive impact for hedonic value, nostalgia, realization of fantasy, desire for completion, and aesthetic value. However, compensatory deficienc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which examined kidult consumers’ behaviors and internal motivations, provided fundamental data regarding this new consumption culture.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developing goods and services that satisfy kidult consumers and building corresponding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다문화교육’ 관점에 따른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실행 검토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재’를 중심으로-

        강수정(Kang, Sujung),임정원(Lim, J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 관점에 따른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목표 설정의 체계성과 실제 내용 구성측면에 있어서의 그 적절성을 검토하여 향후 개선점을 모색 하는 데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교육과정과 단계별 표준한국어 총 6권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그 주요 목표원리 검토는 Gay(1994)를, 구체적인 내용 통합 정도의 검토는 ‘Banks(2008)의 내용통합 4가지 접근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음은 도출된 결과이다. 첫째, 목표원리에 따른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목표에 해당하는 내용이 두루 발견되었으나 교재에서는 ‘민족 적․문화적 문해개발’과 ‘다문화적 사회적 역량’만이 실현되고 있었다. 둘째, 내용통합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 교육과정과 교재에서는 모두 ‘기여적/부가적 접근법’만이 주로 실현되거나, 미미한 ‘변혁적 접근법’ 적용이 교재에서만 발견되었다. 셋째, 2016 년 교육과정과 교재 간의 상호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양쪽 모두 다양한 목표원리를 지향하면서도 그 실현 정도는 약하고 연계 정도도 낮아 보였다. 그럼에도 본 연구에서 발견된 이러한 한계점들은 향후 다문화교육 관점을 바탕으로 진정한 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충분히 의미 있는 결실임은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review the organization of setting a KSL goal in term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xt and the relevance of the actual contents. To do so, I analyzed the curriculum from 2008 to 2009 and ‘Standard Korean’ in six volume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I analyzed the extent of realization of ‘goal principle’ based on ‘major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Gay, 1991) and the detailed degree of integration based on four contents integration approaches. (Banks, 2010)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while all of the curriculum after 2012 found to have included the contents which correspond to the goal principl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textbook, only ‘Developing Ethnic and Cultur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Social Competence’ were realized through high ratio of culture-related subject and expressions. Second, as for contents integration, only the Additive Approach and the Contributions Approach have been realized, but the Transformation Approach was also found in the textbook, which only briefly covers the relevant topics or subjects. Third, according to the review of relationship between a curriculum and a textbook in 2016, the goal principle for ‘Educational Equity and Personal Development’ exclusively appeared in curriculum, whereas ‘Attitudes and Value Clarification’ appeared only in a textbook. Also, in terms of the contents integration, the curriculum aimed to meet all of the goal principle and diversely apply it to actual textbooks but the realization and mutual relationship seemed quite weak. To conclude, the study discovered some limitations of curriculum and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tual connection. Nevertheles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would be used as a basis to set the genuine principle and also as preliminary data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hereafter.

      • KCI등재

        베트남인 교수자의 국내 베트남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경험 사례 연구 — 교육과정 생성 관점에 근거한 교사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태에 대한 탐색을 중심으로 —

        강수정(Kang Sujung),쩐반뜨(Tran Vantu) 한글학회 2021 한글 Vol.- No.331

        이 연구는 베트남인 교수자가 국내 한국어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 겪는 경험에 주목, 그 의미를 탐색하여 향후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개선하는데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수업 관찰에서 ‘강의 개요나 교수-학습 자료’ 등과 같은 문서, ‘반구조화된 면담’ 등까지 다양한 방법과 자료들을 수집 대상으로 삼아 교육과정의 재구성 측면 등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애초에 한국어 교육과 정을 재구성하게 된 동기와 그 목적은 학교 측의 글쓰기 수업에 대한 요구와 학생들의 어려움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방법적 측면은 주로 교수-학습 자료나 교수-지도안 부분 등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재구성 과정에서 겪은 그 어려움과 문제점의 요인은 한-베 간의 문체나 표현 방식의 차이점, 성조나 발음 등에 대한 부담감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베트남인 교수자가 전술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지향하는 바는 교재나 부교재에 대한 개발이나 전공 진입 직전의 고급 과정에 대한 개발, 혹은 베트남 학습자만이 겪는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멘토 역할 등의 제안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번 연구는 기존 교육과정을 변형, 재조정할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하고, 그것을 통해 적절한 교수-학습 방안 등을 고안할 수 있도록 긴요한 정보 등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the Vietnamese instructor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courses in Korea and sought for implications for developing or improving curriculum in the future. To this end, documents such as ‘class syllabus’, ‘teaching learning material’,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ther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study analysis provided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education curriculum was modified in the first place in response to the school’s demand for writing classes and in response to the students’ difficulties. Second, the methodology of reconstruction mainly involved modifying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lesson plans. Third,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that arose during the modification process were due to the differences in style, expression, tone, and pronunci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Fourth, Vietnamese instructors considered developing main or auxillary textbooks and advanced courses that are entry courses to a major as possible solutions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suggested assigning mentors to help the Vietnamese students with emotional difficulties. Thus the study succeeded in introducing a new perspective that the current curriculum may be revised and modified, and provided information that is essential to design appropriate teaching-study methods.

      • KCI등재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일지의 적용과 그 효용성: CEFR기반 언어포트폴리오를 통한 질적 평가 방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강수정(Sujung Ka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CEFR의 평가 원리 가운데 질적 평가 유형의 하나인 ‘언어포트폴리오’를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계하고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렇게 본 연구에서는 CEFR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언어포트폴리오’ 유형 가운데 하나인 ‘학습일지’를 실제 적용해 본 결과, 단순한 교육 자료로서의 의미뿐 아니라, 교수-학습과정과 결과를 진솔하고 타당하게 드러낼 수 있는 근거 자료와 질적 평가 도구로서의 기능까지 지닌 유용한 방안임을 확증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본 연구를 계기로 ‘학습일지’와 같은 ‘언어포트폴리오’가 실제 자기 주도 학습과 자기평가를 유도할 유용한 방안임에 대한 확인과 그 활용을 위한 실천적 실마리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formulate a language portfolio,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following the assessment principles of CEFR, for immigrant adolescent Korean learners, and to propose its usage. Looking at the research in this approach, After scrutini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CEFR, and actually applying the ‘Learning Journal Writing’ of applied ‘language portfolio’, it could be verified it is an useful solution that not only has its usefulness as a simple educational data, but also as a data evidence and qualitative evaluation tool that honestly and reasonably show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o restate, the research being the starting point,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language portfolio’ such as ‘personal assessment’ is a useful solution to promote self-initiated learning and self-assessment and serves as a guide for real-life applications.

      • KCI등재

        한국어 평가연구의 역사적 고찰

        강수정 ( Kang Suju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7 언어와 정보 사회 Vol.31 No.-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trends and issue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ssessment, which have begun since 1990s. First,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was developed based on the main principles, issu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ssessment. With a purpose to apply this framework to selected academic journals/ researches (183,243 articles each), three major categories, were investiga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tudies on Korean language assessment were rather limited to TOPIK, as it began to be conducted in 1997; however, from 2011, researches on KSL and assessment for special purposes have become active, as Korean society entered the phase of multicultural society with a diverse learners group of Korean. Secondly, due to the emphasis on accuracy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omputerbased objective assessment, discussions about `writing and speaking`, which are expressive language skills, have become more active. Thirdly, the discourse competence emerged as the core competency for the language register of discours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it had an influence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perceptional constructivism. As a result, the discussions about interaction, proper learning strategy and skills, literacy, and deductive skills received attention.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master`s program specifically, discussions about linguistic knowledge, including pragmatics, pronunciation, comprehension skills for reading and listening, and feedback of curriculum were revealed to be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duced meaningful insights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a systematic criteri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