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362年 李成桂와 納哈出의 戰鬪

        강수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oop of Yi Seonggye(李成桂) moved to many areas after surrendering to Mongol Army. Eventually, it settled in Hamju(咸州), Ssangseong(雙城) province. Since then, he increased military power and accumulated his economic wealth based on drifting people of Goryeo who moved to Ssansung and Aldong((斡東) residents who lived in Hamju. In 1356, king Gongmin attacked Ssangseong province under the domination of Yuan dynasty. In the meantime, father of Yi Seonggye, Yi Jachun(李子春) communicated with the Goryeo troops secretly, and expelled Jo Sosaeng(趙小生) and Tak Dokyeong(卓都卿). Therefore, Yi Seonggye could grow as a single landed gentry in the northeast. However, Jo Sosaeng and Tak Dokyeong invaded Haeyang(海陽) by force of arms, and they sought for the opportunity to invade Ssanseong province. Since they were connected to Yuan dynasty, Goryeo could not lower military vigilance in the northeast. Therefore, Goryeo kept an eye on the military movement of Jo Sosaeng party and tried to recover the amicable relationship with Yuan dynast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ee Ssangseong province as a disputed region where the invasion of Yuan dynasty did not end rather than considering the Northeast region as a complete land of Goryeo. Meanwhile, Nagacu(納哈出) was a descendant of Muqali(木華黎), and settled down in Shenyang(瀋陽) after the attack of Zhu Yuanzhang(朱元璋). At those days, Shenyang was demolished due to the invasion of Honggunjuk(紅巾賊). Therefore, many people became drifting people and the majority migrated to Goryeo. The movement of people who charged compulsory labor and the duty of tax recipients was the great shock to the ruling class of that province, and it is estimated that it caused a great crisis to Nagacu, who had settled down in Shenyang. Under this circumstance, Nagacu invaded Samsal(三撒) and Holmyeon(忽面) regions located in Goryeo along with Jo Sosaeng in February 1362. Jeong Hwi(鄭暉) who was a governor of northeast asked the king to send Yi Seonggye who had stayed in Gaegyeong(開京) for repelling Honggunjuk(紅巾賊) because he could not prevent the invasion of Nagacu troops. However, before arriving of Yi Seonggye, Nagacu returned to Shenyang. As a result, king Gongmin appointed Yi Seonggye to the Byeongmasa(兵馬使) of northeast in preparation of the invasion of Nagacu. Nagacu attempted the second invasion in July of the same year, and battle occurred due to the confrontation of Yi Seonggye. Yi Seonggye won against the troops of Nagacu in Deoksandongwon(德山洞院) and Hamheung(咸興) plain. The troops of Yi Seonggye set Hamju as the foothold and dominated Goryeo drifting people and Aldong migrants. In addition, he gained economic wealth by taking advantage of them, and the increase of military power was the driving force of victory in the battle. On account that Yi Seonggye repelled the troops of Nagacu and Jo Sosaeng in the invasion of the northeast region, this region completely escaped from the invasion of Yuan dynasty, and this region was acknowledged as the territory of Goryeo. Yi Seonggye gained recognition as an excellent military officer and expanded his base of military and economic power based on Northeast as foothold. 李成桂의 선대는 몽고군에 투항한 이후 여러 지역을 이동하였고, 결국 쌍성지역 함주(咸州)에 정착하였다. 이성계 家는 쌍성지역으로 이동해 온 고려 流民과 咸州지역에 다수 거주하던 알동(斡東)주민을 기반으로 군사력을 증진시키고 경제적 부를 축척하였다. 1356년 공민왕은 반원정책의 일환으로 元의 직속령이었던 쌍성(雙城)지역을 공격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 지역 달로화적 이자춘(이성계의 아버지)은 高麗軍에 내응하여 쌍성총관 조소생과 천호 탁도경을 축출하면서 동북면지역에서 독보적인 토호세력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쌍성(雙城)에서 쫓겨난 조소생과 탁도경은 해양(海陽)을 무력으로 점령하고, 옛 쌍성지역을 침략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이들은 여전히 元조정과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고려는 동북면의 군사적 경계 태세를 늦출 수 없었다. 그리하여 고려는 조소생일당의 군사 동향을 주시하였으며, 元과 우호적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쌍성지역 수복이후 고려 동북면 지역은 완전한 고려 영토가 되었다기보다 元의 침략이 종식되지 않은 분쟁지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納哈出(Nagacu)는 무칼리(木華黎, Muqali)의 후손이며 江浙行省太平路萬戶이었으나 주원장의 공격을 받은 이후 심양(瀋陽)에 정착하였다. 심양은 당시 홍건적의 침입으로 황폐화되어 많은 백성들이 유민(流民)이 되었고 그 중 다수가 고려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대몽항쟁기간 동안 요양행성(遼陽行省) 각지로 이동하였던 고려 유민들도 이 시기에 고려로 되돌아 왔다. 각종 부역과 조세 수취 대상인 백성들이 타 지역으로 이동한 다는 것은 그 지역 지배계층에게 큰 타격 아닐 수 없으며, 심양에 정착한 納哈出에게도 큰 위기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362년 2월 納哈出는 조소생과 함께 고려 동북면 삼살(三撒) · 홀면(忽面)지역을 침입하였다. 이들의 침입을 제대로 막아내지 못한 동북면도지휘사 정휘는 홍건적을 격퇴하기 위해 개경에 머무르고 있던 이성계를 보내줄 것을 왕에게 요청하였다. 그러나 이성계가 동북면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納哈出는 심양으로 회군하였고, 공민왕은 차후에 다시 있을 納哈出의 침입에 대비하여 이성계를 동북면병마사로 삼았다. 그 해 7월 納哈出는 제2차 침입을 감행하였고, 이들을 이성계가 대적하면서 전투가 발발하였다. 13세기 蒙古 침입 때 고려정부는 성곽을 이용한 방어 태세를 갖추거나 蒙古軍이 海戰에 약한 점을 이용하여 고려 백성들을 海島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이성계는 이전의 이와 같은 전술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덕산동원(德山洞院)과 함흥(咸興)과 같은 평야에서 納哈出 군대에 맞서 싸워 승리하였다. 이성계 선대는 함주를 거점으로 삼고 이 지역으로 이동해 오는 고려 유민과 알동(斡東) 이주민들을 지배하였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경제적 부를 창출하고 군사력을 증진시킨 것이 승리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고려 동북면 지역은 공민왕이 다시 수복한 이후에도 元과의 분쟁이 종식되지 않았기에 고려 정부는 이곳의 군사적 경계를 늦출 수 없었다. 이러한 때에 동북면 지역에 침입한 納哈出와 조소생 일당을 이성계가 격퇴하여 이 지역은 元 침략의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었고, 元으로부터 고려의 영토임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이성계는 이번 전투에서 승리하여 병마사로서의 능력을 인정받았고, 이후 동북면 지역을 거점으로 군사적 ․ 경제적 세력 기반을 더욱 확장할 수 있었다.

      • 피아노 초급 레슨 교재 비교 분석 연구 ‘알프레드 기초 피아노교본, 프리미어 피아노 올인원을 중심으로‘

        강수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f two piano textbooks, "Alfred Piano Basic Library" and "Premier all in one piano" is conducted from 7 classifications, such as piano playing posture, smarty and friends, keyboard access, off-staff notation/solfege/notes, stave and score reading, harmony and scale, technique, and creative music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iano teachers choose the proper and effective textbook causing children’s interest based on different teaching methods. When comparing two textbooks the followings are found; First,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 of "Premier all in one piano" is the a bee shape character, Smarty. Smarty explains the crucial musical meaning in every chapter and has children reach and understand the goal of the textbook. Second, Premier suggests new way of reading. There is a certain note given and children could find two more notes whole step(or half step) above and below. The first given note is name as ‘Standard note’. Through standard note and two more notes next to it, children can easily read the musical notes. The concept of ‘Standard note’ is another distinct characteristic of “Premier all in one piano”. Third, both textbooks are suitable for creativity education of children through colorful pictures, interesting songs, arts craft, creative composition, and story telling activity. Through these activities, children could see for the first time, compose and enjoy improvisational musical performance. Also the effects of enhancement in creativity, language command capabilities and self-expression capabilities are expected. 본 연구자는 기존의 알프레드 기초 교본과 프리미어 올인원 피아노 교본의 두 교재를 비교 및 프리미어 교재의 향상된 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같은 목표를 바탕으로 두 교재가 구성 되었지만, 교재의 진도와 설명 방식이 조금씩 다르게 진행되고, 곡의 구성과 강조하는 부분 또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교재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향상된 부분의 핵심을 짚어보면, 첫 째, 프리미어 교재의‘ 스마티’ 라는 캐릭터의 등장이다. 이는 프리미어 교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대화체 형식으로 핵심을 언급해 주고, 각각의 주제마다 등장하여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설명과 함께 상상력과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둘째, 예비악보∙계이름∙음이름인식의 경우 무보표 방식으로 7가지 음을 배웠던 알프레드 교재와 달리 프리미어 교재는 무보표 방식화 함께 병합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프리미어 교재는 ‘가운데 도‘를 먼저 학습했던 기존 교재들 및 ’라‘음을 먼저 학습했던 알프레드 교재와 달리 ‘기준음’이라는 개념을 통해 다양한 기준음들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가까운 음을 찾아보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처음 제시된 기준음으로는 ‘레’가 등장하였고, 이를 통해 양 옆의 ‘도’와 ‘미’를 쉽게 찾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막연하게 피아노의 열쇠구멍 자리를 기준으로 ‘가운데 도’를 찾는 학습이 아닌, 다양한 기준음을 통해 연결고리 음들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음표들의 음가를 따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리듬패턴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음표들의 음가와 리듬을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알프레드 교재에서는 음악용어들을 중심으로 곡을 연주해 보았다면, 프리미어 교재의 경우 음악용어 보다는 아동들의 음악적 표현을 유도하며 ‘음악성’ 에 비중을 둔 교재라고 볼 수 있다. 셈여림을 통한 음악의 고조를 스스로 표현하기, 아티큘레이션, 프레이즈를 만드는 방법과 같이 다양한 활동들을 연습곡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대가의 생애 및 대표곡들을 아동들의 수준에 맞게 가사와 함께 짧게 편곡하여 교사의 웅장한 반주와 함께 연주해보면서 짧게나마 곡을 직접 듣고 연주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한, 음악을 통한 스토리텔링 부분을 통해 초견과 작곡, 즉흥연주를 직접 해 봄으로써 음악에 창의력이 생기고 언어력 발달 및 자기 의사표현 등의 표현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갖게 하였으며, 셈여림을 색으로 묘사하는 부분을 통해 색의 진하기를 음색으로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습 후 직접 그림으로 표현하는 활동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이 두 교재는 각자의 전문영역으로 나누어 만들어진 교재답게 모든 설명이나 내용이 자세하고 전문적이며, 곡의 장르가 다양한 것이 특징으로 알프레드 교재를 보완하여 완성된 프리미어교재의 경우 학습내용 및 진도 구성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음악 외에 다양한 활동을 접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종합적인 성격을 가진 교재의 특성상 우리나라의 음악현실에서 시간적으로 충분하게 교재를 활용할 수 없으며, 학습 분량이 많아 아동들에게 부담을 줄 수 있는 것이 단점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들은 급수별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발췌하여 그 주제를 중심으로 더욱 심도 있게 지도하거나, 중요한 음악개념수업과 음악을 통해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주제의 경우 교사들은 그와 관련된 다양한 교구와 프로그램의 수업자료를 준비하여 활동성 있는 그룹레슨을 통해 협동성을 배우기도 하고 서로 토의도 해보는 수업 또한 아동들에게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 상향적 영향력 전술의 선택에 관한 연구 : 문화간 차이와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강수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영향력 전략 및 전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하향식인 리더십을 주제로 이루어졌다. 최근 영향력의 개념은 상사가 부하에게 일방적으로 행하는 하향식이 아닌 영향력의 행사자와 대상자간의 상호 관계로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방향성에 따라 수평적 영향력과 상향적 영향력이 추가적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 부하가 상사에게 행하는 상향적 영향력은 기존의 권력구조의 의미에서 벗어나 부하도 여러 가지 전술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Kipnis, Schmidt & Wilkinson(1980)이 상향적 영향력 전술통해 전술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Ralston, Gustafson, Mainiero & Umstot(1993)을 비롯한 많은 연구에서는 국가간 비교 문화적 차원에서 상향적 영향력 전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있다. 주로 미국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나 일본, 스위스 등 다른 국가에서도 미국의 측정 분류가 적용되는지 연구함과 함께 국가마다 사용되는 상향적 영향력 전술을 그 국가의 문화적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의 문화적 특수성이 개인들의 가치와 행동을 결정하기 때문에 그 차이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현재 국가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기업들의 세계적 진출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국가간 비교 문화적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비교 문화적 연구에서는 주로 상향적 영향력 전술의 행사자와 대상자를 동일 국민으로 보면서 각 국가별로 전술들을 분류해 왔기 때문에, 행사자와 대상자가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이종문화간의 상향적 영향력 전술에 대해서는 연구가 드물게 이루어져왔다. Rao, Hashimoto & Rao(1997)만이 일본에서 일하는 일본 관리자와 캐나다에 있는 일본 관리자들을 비교하여, 영향력 행사자와 대상자의 국적이 다른 경우의 연구를 시도하였었다. 그러나 한국이 연구 대상이 된 비교 문화 연구나 한국인과 외국인 간의 문화를 반영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 직원 직원을 대상으로 상향적 영향력 전술의 행사자와 대상자가 각각 다른 국민일 경우를 같은 국민일 경우와 비교해보았다. 그리고 행사자의 개인 성격 특성도 상향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데 그 중 마키아벨리어니즘은 행사자의 성격 특성 중 대표적인 것으로, 국가와 같은 관계적 특성 외에도 영향력 전술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종문화를 가진 상향적 영향력 행사자와 대상자간의 관계에 따라 선택하는 전술의 차이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서로 간의 문화를 어느 정도 고려하고 반영하는지 살펴보고, 행사자의 개인 특성인 마키아벨리어니즘을 문화라는 관계적 특성과 함께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문헌 조사와 고찰을 통해 연구 가설을 도출하고, 설문 조사를 통한 실증 연구를 하였다. 아래와 같은 연구 가설을 세우고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 한국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 연구 : 슈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지향을 중심으로

        강수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을 위해 한국 슈퍼바이저가 핵심적으로 갖춰야 할 태도와 행동을 다문화 지향 체계 중심으로 슈퍼바이지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 1은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에서 슈퍼바이지가 경험한 결정적 사건을 탐색하고자 총 9명의 상담심리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인터뷰 질문은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에서 겪은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 슈퍼비전 경험에 따른 슈퍼바이지 반응 및 향후 영향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총 5개 영역, 14개 범주, 53개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5개 영역은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에 관련된 ‘개인적 맥락’, ‘환경적 맥락’, ‘긍정적 경험’, ‘부정적 경험’, ‘향후 기대 및 한계’로 분류되었다. 한국 슈퍼바이지는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및 슈퍼비전을 둘러싼 개인적 맥락과 환경적 맥락 내에서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과 권위에 대한 태도로 인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슈퍼비전 경험을 겪고 있었고, 이 경험은 향후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및 슈퍼비전에 대해 가지는 기대와 한계에 영향을 주었다. 보고된 슈퍼비전 경험들은 다문화 지향 슈퍼비전 체계에서 논의하기에 적합하였다. 연구 2는 연구 1에서 도출된 논의점을 토대로 슈퍼바이지가 지각한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지향 수준과 그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2-1은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을 경험한 적이 있는 총 120명의 슈퍼바이지를 대상으로 다문화 지향을 구성하는 척도들을 한국 실정에 맞춰 번안 및 타당화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 겸손-슈퍼비전 척도와 문화적 기회-슈퍼비전 척도는 구성 타당도, 수렴 타당도, 준거 타당도,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한국 슈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지향이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2는 모의 연구를 통해 슈퍼바이지가 지각한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지향이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1, 2-1 및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지향 수준에 따른 2개의 가상 시나리오(실험: 다문화 지향 슈퍼비전, 통제: 비[非]다문화 지향 슈퍼비전)를 제작하였다. 일정 수준의 상담 및 슈퍼비전 경험을 갖춘 총 82명의 슈퍼바이지가 무선 할당되어 모의 슈퍼비전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 지향 슈퍼비전 집단이 비다문화 지향 슈퍼비전 집단에 비해 문화적 겸손-슈퍼비전, 문화적 기회-슈퍼비전, 슈퍼바이지 자기개방 기대, 슈퍼비전 성과, 슈퍼비전 만족도 모두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큰 효과크기를 보고했다. 추가적으로, 다문화 지향 슈퍼비전 집단에 속할수록 슈퍼바이지 자기개방 기대와 슈퍼비전 성과가 슈퍼비전 만족도로 향하는 병렬 이중 매개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이에 따라 슈퍼바이지가 지각한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지향이 슈퍼비전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에 대한 제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d examine supervisors' core stance and behaviors for effective MSJC(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counseling) supervision, with a focus on supervisors' MCO(multicultural orientation) perceived by supervisees. Study 1 conduct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9 counseling psychologists respectively to explore their critical incidents in MSJC supervision as a supervisee. Main questions included positive or negative experiences of MSJC supervision, and responses and subsequent impacts of supervisees based on the experience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total of 5 domains, 14 categories, 53 sub-categories were derived. A total of 5 domains consisted of 'personal context', 'environmental context', 'positive experiences', 'negative experiences, and 'further expectations and limitations', regarding MSJC supervision. With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related to MSJC and MSJC supervision, supervisees in South Korea went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based on a supervisor's MSJCC and attitude towards power. Those experiences have influenced the supervisees' expectations and limited views. Also, MCO framework was suitable to interpret and discuss the experiences from the interviews. Study 2 examined the level and the effect of a supervisor's MCO perceived by supervisees, which was based on the discussion of Study 1. Study 2-1 translated and validated measurements of MCO-S(multicultural orientation-supervision) into Korean for 120 supervisees who had experienced MSJC supervision. As a result, both CHS-S(cultural humility scale-supervision) and COS-S(cultural opportunities scale-supervision) achieved construct, convergent, and criterion validity with reliability. Thus, MCO-S perceived by supervisees in South Korea consisted of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s. Study 2-2 identified the effects of a supervisor's MCO on the MSJC supervision process and outcomes perceived by supervisees using an analogue method. Based on Study 1, 2-1, and the previous studies, two mock scenarios were differed by the level of a supervisor's MCO(experiment group: MCO supervision, control group: non-MCO supervision). A total of 82 supervisee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supervision cond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CO supervision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MCO supervision in all the variables, CHS-S, COS-S, SESD(supervisee's expectation of self-disclosure), SOS(supervision outcome Scale), and SSQ(supervisory satisfaction questionnaire) with large effect sizes. In addition, a parallel dual mediation model was fully mediated, in which MCO supervision led to higher SESD and SOS, and both mediators increased SSQ. Accordingly, the result examined the effect of a supervisor's MCO perceived by supervisees on the process and outcomes of the super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mmendations for MSJC supervision in South Kore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키덜트의 소비행동분석

        강수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pite the dominant views that kidult culture is a temporary trend, the number of people that enjoy kidult culture is increasing more and more. Accordingly, the kidult market is also expanding day by day. Early on, it was recognized as a subculture composed of only a small number of fanatics and also viewed with strong negative image, but the recent kidult factors are emerging as a new trend. The perspective on kidult culture has changed in a positive direction and there is an increase of people who enjoy the culture, but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issue. Therefore, in Study 1, the factors that accelerate kidult product consumption, factors that deter consump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dults were observed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ore specifically,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methods. In Study 2, the empirical impact on the affection of toys and purchasing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Study 1 were observed as well as the gender differences in kidults. The subjects of Study 1 were people who were experienced in purchase of toys, collection of toys, and have high interest in toys, and they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subjects of Study 2 were people who think of themselves as kidults, who have purchased more than 10 toys in the last 3 years and collects toys such as plastic models, figures, and die-cast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through a survey method. SPSS WIN 21.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hich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The comprehensive conclusions of Study 1 and Study 2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umption of toys by kidults is a self-fulfilling consumption. It can be explained as an increase in kidult consumption, a self-fulfilling consumption,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value conscious consumption, which is drastically investing in products that the consumer values despite the high price. Second, the biggest motive of toy consumption by kidults is pursuit of hedonic value. Comments related to hedonic value was found to be very high in Study 1 and hedonic value among consumption intention was also the biggest influence on affection of toys in Study 2. This was also confirmed through the high frequency of reasons such as “When I have extra money” and “When I am stressed out.” Third, subjective norm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oy consumption. Consumption was inhibited when the subjects’ wives or girlfriends didn’t have the same interest,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consumption when families and lovers had similar interests. The influence of subjective norm on purchase intention was also shown through the research hypothesis 3-2 in Study 2. Fourth, kidults were found to have high tendencies toward impulse buying despite placing their value in cost-effectiveness. This is because kidults have high tendencies toward impulsive purchasing and seek material possession. Fifth, kidult culture isn’t simply about childhood nostalgia. Male kidults are purchasing things that they couldn’t buy as a child based on their lack of compensation rather than nostalgia. Contrastingly, despite the nostalgia on animation characters that female kidults liked during childhood, the actual significant motive of purchasing toys were found to be hedonic value, urge to complete something, and realization of utopia(fantasy). Based on such study results, one can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kidult culture, implic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marketing by kidult-related distributors, and precautions that should be taken when kidults purchase toys. Key word: sub-culture, kidults, purchasing motivation, affection of toys, impulse buying,material possession, purchasing intention 키덜트 문화는 일시적 유행으로 지나갈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키덜트 문화를 향유하는 이들이 갈수록 늘어가고 이에 따라 키덜트 시장도 갈수록 팽창하고 있다. 초기에는 소수의 마니아 문화인 하위문화로 인식되었으며 부정적 이미지가 강했지만 최근 키덜트적 요소는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trend)로 부각되고 있다. 키덜트 문화에 대한 시선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키덜트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은 증가하였으나 키덜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연구1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인터뷰와 관찰법을 이용하여 키덜트 제품 소비를 촉진시키는 요인과 소비를 방해시키는 요인, 키덜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2에서는 연구1에서 도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장난감 애착과 장난감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으며 키덜트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1의 조시대상은 장난감 구매 경험이 있으면서 장난감을 수집하고 장난감에 관심도가 높은 사람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행하였다. 연구2의 조사대상은 본인이 키덜트라고 생각하며, 최근 3년간 구매한 장난감이 10개 이상이고, 프라모델, 피규어, 다이캐스트 등을 모으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이변량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회귀분석 차이분석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1과 연구2의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키덜트의 장난감 소비는 자신을 위한 소비로 자기만족을 위한 것이다. 최근 자신이 가치를 두는 제품은 다소 비싸더라도 과감하게 투자를 하는 가치소비가 증가하면서 자신을 위한 소비인 키덜트적 소비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키덜트가 장난감을 소비하는 가장 큰 동기는 쾌락적 가치 추구이다. 연구1에서 쾌락적 가치에 관한 언급이 매우 높았으며, 연구2에서도 소비 동기 중 쾌락적 가치가 장난감 애착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윳돈이 생겼을 때‘, ‘스트레스가 클 때‘가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주관적 규범이 장난감 소비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아내나 여자 친구가 싫어할 때 소비가 억제되었으며, 반대로 가족이나 애인이 좋아하는 경우에는 소비가 증진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2의 연구가설 3-2를 통해서도 주관적 규범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키덜트는 가성비를 중시하면서도 충동구매를 하는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키덜트는 구매 충동성 성향이 높으며 물질적 소유를 추구하는 성향이 높기 때문이다. 다섯째, 키덜트 문화는 유년시절의 노스탤지어가 전부가 아니다. 남성 키덜트는 노스탤지어보다는 보상적 결핍으로 어릴적 사지 못한 것을 구매하는 것이다. 반면 여성은 어릴적 좋아했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대한 향수는 있지만 실제로 장난감을 구매하는 동기는 노스탤지어보다 쾌락적 가치, 완성의 욕구, 이상향(상상)실현의 동기가 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키덜트 문화가 나아가야할 방향, 키덜트 관련 유통업체가 마케팅에 활용할만한 시사점, 키덜트가 장난감 소비 시에 주의해야 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하위문화, 키덜트, 구매동기, 장난감애착, 구매충동성, 물질주의, 구매의도

      •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지역내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기도 도시재생뉴딜사업 사례 중심으로

        강수정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ation'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nationwide since the 2013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was enacted with interest in "urban regeneration," a new model of urban growth that is qualitative and sustainable in "new development," and is now one of the national tasks,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in 2017. However,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which is currently in operation, has been pushing ahead with the project with the goal of achieving results for four to five years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Roadmap in 2018, but it is not easy to find a selected area for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nationwide, which is showing tangible results despite the middle of the project.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utilizing the urban decline indicators applied when selecting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and analyzing the impact of selecting areas subject to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in Gyeonggi Province on nearby real estate prices by type. Meanwhile,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in Gyeonggi Province has a solid role as a facilitator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including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dedicated organizational system and detailed strategy plan for the project. Using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Difference (DID), a panel session analysis method that measures policy effects for analysis, the government compares real estate prices in urban renewal project zones and nearby townships before and after the selection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on nearby real estate pric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examined the impact of urban renewal projects on real estate prices by urban renewal indicators, which are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criteria for selecting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and finally compared the effects of selecting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by type. According to the analysis, after the selection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selection area was slightly lower than the real estate price in the neighboring area. The impact on real estate pric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is still minimal, and it is analyzed that the price changes are caused by changes in real estate market demand similar to the overall surrounding areas rather than the effect of selecting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This is because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period is relatively short with four to five years, and only small-scale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urban renewal echoing centers, land purchases for rental housing construction, road expansion and pavement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being promoted,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at the urban regeneration effect is occurring due to tangible result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ec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selecting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by declining indicators is minimal for the overall type of projects, but in the case of 'general neighborhood' type, the index of manufacturing workers, the ratio of old houses, and the ratio of new housing units among urban decline indicator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real estate prices as the number of workers and the number of business surveyors rises. In other words, the urban decline index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urban regeneration differed in the impact on the price of nearby real estate by indicator.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 selection of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on nearby real estate prices is still minimal, and there is no clear difference in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impact of the selection of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areas on nearby real estate prices locally. It also suggests that the degree of urban revitalization can be compared and evaluated by measuring and managing urban decline indicators as performance indicators in city units by analyzing the impact on urban decline indicators in town including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areas. However, this study should pay attention to limiting the spatial scope of Gyeonggi-do among urban renewal New Deal areas and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roject period within a short period of three to four year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time series index of city, which can cover economic,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ill need to be embodied as a factor. 우리나라의 도시재생사업은 과거 ‘신개발’에서 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의 새로운 성장 모델인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과 함께 2013년 도시재생특별법을 제정 이후, 현재는 국정과제 중 하나로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그런데 현재 운영 중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2018년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발표 이후 사업기간을 4~5년을 두고 성과 달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사업 중반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 당시 적용된 도시쇠퇴지표를 활용해 유형별로 경기도지역의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인근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정책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경기도는 서울과 인접한 최대의 광역지자체이고,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하는 전담 조직체계와 세부전략계획을 수립해 운영하고 있는 등 다른 지자체에 비해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확고하여, 도시재생뉴딜사업의 효과에 대해 중간평가로 적정한 지역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분석대상지의 공간범위로 경기도 내 도시재생사업지역과 인근 읍면동을 정하고,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2018년 도시재생뉴딜사업 로드맵 발표 이전인 2017년부터 2020년 9월 현재까지로 한다. 분석을 위해 정책효과를 측정하는 패널회귀분석법인 이중차분법을 활용해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 전후로 도시재생사업 사업지와 인근 읍면동지역의 부동산가격을 비교해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인근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 기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시쇠퇴지표를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로써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의 효과를 유형별로 구분지어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후 도시재생뉴딜사업선정지역은 인근지역 부동산가격 보다 소폭 낮게 나왔다. 즉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에 따라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는 미미하며, 그 사유는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효과 보다는 전반적인 주변지역과 유사한 부동산시장 수요변화에 따른 가격변화로 분석된다. 도시재생뉴딜사업기간이 4~5년으로 비교적 짧고, 도시재생어울림센터 건립, 임대주택 건설을 위한 토지매입,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도로확장, 포장 등 소규모 사업들만 추진되고 있어 가시적인 뚜렷한 성과로 도시의 재생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재생사업 선정 기준과 성과지표인 도시쇠퇴지표별로 도시재생뉴딜사업 이 인근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사업 전체 유형으로는 미미하지만, ‘일반근린형’의 경우 전형적인 도시재생지역으로 분류된 지역으로 도시쇠퇴지표 중 제조업종사자수, 노후주택비율, 신규주택비율 지표는 순위가 올라갈수록 부동산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고, 종사자수 및 사업체당조사자수는 순위가 올라갈수록 부동산가격이 낮아지는 효과로 나타났다. 즉, 도시쇠퇴지표의 도시재생 성과는 지표별로 인근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역이 인근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영향을 국지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역을 포함한 읍면동 단위의 도시쇠퇴지표와 인근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읍면동 단위로 도시쇠퇴지표를 성과지표로 측정 관리하여 도시 활성화정도를 비교 평가할 수 있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역 중 경기도라는 공간적 범위를 제한한 것과 사업기간이 3~4년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영향을 분석한데 유의해야 하며, 도시쇠퇴지표 외에도 경제적, 물리적, 환경적 요인을 포괄할 수 있는 읍면동 단위의 시계열 지표를 요인치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역사성과 장소성을 고려한 제주 4.3 기념관 계획안 : 제주시 북촌리 너븐숭이를 중심으로

        강수정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주 4.3은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대학살 극으로 남북한의 이념갈등이 발단이 되어 봉기한 남로당 무장대와 미군정과 국군, 경찰 간의 충돌과정과 이승만 정권 당시 벌어진 초토화 작전 및 무장대를 학살한 사건이다. 제주도 동쪽에 해안가를 따라보면 작은 해안마을인 북촌리가 위치해 있다. 겉으로 보기엔 조용하고 한적한 시골마을이지만 여기에는 엄청난 슬픔과 아픔이 담겨 있는 곳이다. 사건이 점점 극에 달했을 당시 1947년 1월 17일 북촌리에는 군인 두 명이 무장대의 습격을 받고 사망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군인들이 현재 북촌초등학교 운동장으로 불러 모아 400여 채의 집을 태우고 300명 이상을 학살하는 등 처참하게 마을을 초토화시켰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주민들을 끌고 학교 인근 주변 당팟과 현 사이트로 선정한 너븐숭이에서 학살을 감행하였으며, 이 학살은 늦은 밤까지 계속되어 하루동안 400명 정도의 민간인들이 희생당한 곳이다. 이 곳 너븐숭이 터는 학살된 주민들이 이 일대에 무차별하게 임시매장이 되어있던 곳으로 제주 4.3의 대표적인 장소로 꼽히는 곳이다. 건축은 장소에 담겨 있는 이야기를 시각화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장소성은 다른 공간과 구분되는 자신만의 가치를 가지며 그곳만의 강한 개성적인 이야기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자신만의 가치를 가진 북촌리는 4.3의 아픔과 슬픔을 모두 가지고 있는 곳이라고 생각이 된다. 더 깊숙히 들어가보자면 북촌리 너븐숭이 터는 대학살의 아픔을 가지고 있고 가족과 이웃을 한꺼번에 잃어버린 남은 사람들의 슬픔을 가진 곳이라고 이야기할 수가 있다. 기억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는 기념관은 역사를 되새길 수 있는 역사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다. 흔히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게 한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는 곳이기도 한다. 사건이 일어난지 70주년이 되는 현재,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유족들의 아픔을 보듬어줄 수 있는 공간이 없다고 생각이 된다. 제주 4.3 기념관은 아직 드러나지 않은 자료를 정리하고 교육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기억과 긴밀하게 관련된 기념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가 의문이 된다. 이러한 사건을 후대의 우리가 보듬어주고 안아주고 사건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이 된다. 현재 너븐숭이 기념관과는 다른 방법의 추모공간과 후세에 알릴 수 있는 교육의 장을 만들어주어 4.3사건의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 아픔과 슬픔이 공존하는 이 곳 북촌리의 장소에 담겨있는 너븐숭이만의 이야기를 가지고서 이 곳에 기념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