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융합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강수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Interdisciplinary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IDEA) and the Refl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ALACT)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ompetenc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1) How can an elementary language arts class be restructured using the IDEA and ALACT models of interdisciplinary multicultural educa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an interdisciplinary and refl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ompet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one 6th grade class, and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Multicultural Awareness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ung-Sik Kim et al. (2021a) was selected as a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and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activity sheets, reflections, interview data, and teachers' class no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e course of the program. To develop the program, we extracted the content elements of the four core areas of the Interdisciplinary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for Elementary Schools (IDEA): identity, diversity, human rights and equality, and coexistence and cooperation. Furthermore, based on the reflective model (ALACT), the program's methodology consisted of procedures such as facing, reflecting, reconstructing, and strengthening the will to act. Specifically,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4 sessions (8 periods) of Korean language lessons and 2 sessions (4 perio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a total of 6 sessions (12 periods), centered on the Korean language cour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students, we found that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areas of identity, diversity, and human rights and equality (p<.05).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activity sheets, reflections, and teacher journals, we found that students showed changes in four areas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ey developed an inquisitive attitude toward identity, showed respect for diversity, responded with a heightened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equality, and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We also found that students' reflection skills were enhanc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refl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gr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had a more positive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multicultural awareness and fostering competencies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hool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programs that can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various subjects and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using the cross-curricular program in this study as a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융합 다문화교육모형(IDEA)과 반성적 모형(ALACT)을 활용하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역량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교과융합 다문화교육 모형(IDEA)과 반성적 다문화교육 모형(ALACT)을 활용하여 초등 국어과 수업을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는가? 둘째, 교과융합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이며,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양적․질적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활용한 혼합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김성식 외(2021a)의 초등학생을 위한 다문화 인식 검사를 양적 평가도구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사전․사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의 학생의 활동지, 소감문, 인터뷰 자료 및 교사의 수업 노트 분석 등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초등학교 교과융합 다문화교육모형(IDEA)의 4대 핵심 영역인 정체성, 다양성, 인권과 평등, 공존과 협력 등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반성적 모형(ALACT)을 기반으로 직면하기, 돌아보기, 재구성하기, 실천의지 다지기 등의 절차로 프로그램의 방법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국어과 4회차(8차시) 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 2회차(4차시)로, 총 6회차(12차시)의 수업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정체성, 다양성, 인권과 평등 영역에서 다문화 인식이 유의미하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5). 또한 학생들의 활동지, 소감문, 교사 일지 등의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문화 인식의 4개 영역에서 변화를 보였음을 발견하였다. 즉, 정체성에 대해 탐구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인권과 평등 의식이 고취된 반응을 나타냈으며, 공존과 협력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학생들의 성찰역량이 함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어교과의 융합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다문화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 인식개선 및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모델로 하여, 향후 초등학교의 다양한 교과와 활동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개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과하주의 특징적 요소의 정의에 관한 연구 : 관능 평가를 통한 전형 탐색을 중심으로

        강수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하주는 조선 중기 이전부터 한양을 중심으로 빚어지기 시작한 우리 선조들의 삶의 지혜와 양조 기술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명주이다. 도작(稻作) 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우리 선조들의 생활에서 삼국시대를 거치며 빚어지기 시작한 발효주와 고려 시대를 지나면서 유입된 증류주는 발효주와 증류주를 혼합한 혼양주로 과하주가 탄생할 수 있는 충분한 토양을 제공하였다. 사계절이 분명한 지리적 특징으로 봄에 밀을 수확하여 여름에 누룩을 디디고 가을에 곡식을 추수하여 겨울에 술을 빚는다는 우리의 농경 문화와 더불어 제례(祭禮)를 중시한 유교 사상으로 인한 제주(祭酒)의 필요성은 더운 여름에도 변하지 않은 술을 빚어내도록 요구하였다. 과하주에 대한 기록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과 이후 여러 문헌에 등장하였다. 조선 중기의 고조리서에 과하주 주방문이 기록되었다는 것은 이미 그보다 훨씬 이전에 중양주(重釀酒) 기법을 활용한 발효주의 양조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의미하며, 동시에 증류주(소주)를 생산하기에도 충분한 기술과 도구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주방문들은 과하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주재료의 사용량과 전처리 방법을 상술하고, 소주의 품질과 투입 시기와 양만을 제시하는 것으로 술의 맛과 걸러 쓰는 시기를 알도록 하였을 뿐, 관능 평가를 할 수준의 맛과 향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 제시나 언급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다만, 음식디미방에 나타난 과하주의 전형적 특징에 관한 표현인 ‘독하고 단 술’이라는 문장과 증보산림경제의 세 가지의 주방문에 나타난 과하주의 이화학적 분석을 근거하여 과하주라고 정의할 수 있는 특징적 요소를 오늘날의 관능 평가로 규명하고자 한다. 고조리서에 나타난 과하주는 얼마나 독해야 하고 또 얼마나 달아야 하는지를 음식디미방에 적시된 주방문과 같이 과하주를 제조하여 그 독하고 단 정도의 차이에 대하여 일반인 그룹과 전통주 전문가 그룹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고조리서의 이화학적 분석에서 독한 술의 알코올 도수를 25% 정도로 하고, 덜 독한 술의 알코올 도수를 15% 정도로 하였다. 단 술의 당도(Brix)를 28Brix 정도로 하고, 덜 단 술의 당도를 23Brix 정도로 하여 모두 네 가지 유형의 과하주 시음주를 제조하였다. 또, 과하주의 특징적 요소라고 정의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척도를 한가지 선택하는 최대 차이 척도법(MaxDiff)으로 설문하여, 과하주의 전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단맛이나 목넘김이 아닌‘알코올 도수’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독하고 단 술, (2) 독하고 덜 단 술, (3) 덜 독하고 단 술, (4) 덜 독하고 덜 단 술의 네 가지 시음주 중에서 가장 과하주의 전형에 가까운 시음주로 (1) ‘독하고 단 술(알코올 25% 내외, 당도 28Brix 내외)’을 응답자 중 63.3%가 선택하여 음식디미방의 맛에 대한 정의와 일치하는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관능평가를 통한 선호도 조사를 겸한 항목에서는 전문가 집단에서는 시음주 (3)의 덜 독하고 단 술을 46.7%가 선택하였고, 일반인 집단에서는 시음주 (4)의 덜 독하고 덜 단 술을 35.5%가 선택하였다. 시음주에 대한 이와 같은 선택은 시음주의 단맛의 정도와 상관없이 알코올 도수가 낮은 술을 일반인 집단과 전문가 집단에서 모두 선호한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저도주 선호 경향은 오늘날의 주류 소비성향이 알코올 도수가 낮은 술들을 선호하는 세대가 주류 소비를 주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농림수산축산부가 발행한 2021년 주류시장 트렌드 보고서와 롯데멤버스가 리서치 플랫폼 라임(Lime)을 통해 실시한 주류 소비 설문조사(2022)의 결과에도 부합하며, 주류회사들이 저도주 제품들로 MZ세대들의 기호에 부응하려는 경향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는 발효주와 증류주를 혼합한 혼양주로써 과하주의 알코올 도수와 단맛의 조화를 과하주의 전형으로 규정하되 알코올 도수가 특징적 정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규명하였다. 그러나, 비록 알코올 도수가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나, 오늘날의 주류 소비 패턴은 알코올 25% 내외의 도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15% 내외의 낮은 도수의 과하주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과하주는 우리 민족의 지정학적 특징을 잘 살린 과학 양조를 기반으로 꽃피운 조상들의 생활 속의 지혜가 돗보이는 문화적 산물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품격있는 명주의 탄생을 기대해 본다. Gwahaju is a famous wine that contains the life wisdom and brewing skills of our ancestors, which began to be brewed around Hanyang from before the mid-Joseon Dynasty. The fact that the recipe of Gwahaju was recorded means that the brewing technology of fermented liquor using the heavy brewing technique had reached a considerable level long before that, and at the same time, enough techniques and tools were developed and utilized to produce distilled liquor.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Maximum Difference Scaling Method(MaxDiff), which select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ales that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Gwahaju. Gwahaju, which appeared in the old cooking book, was prepared like the recipes indicated in Eumsikdimibang how strong and how sweet it should be, and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group and the traditional liquor expert group was investigated for the difference in strength and sweetness. This study defined the harmony of alcohol content and sweetness of Gwahaju as a typical Gwahaju as a blended liquor of fermented and distilled spirits, but identified that the alcohol cont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haracteristic definition. However, although alcohol content is an important factor, it was confirmed that today's liquor consumption patterns tend to prefer fruit wine with a low alcohol content of around 15%, which is relatively lower than alcohol content of around 25%. Gwahaju is a cultural product that shows the wisdom in the lives of our ancestors who blossomed based on scientific brewing that made good use of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our natio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the birth of more scientific and outstanding liquor that can represent our nation.

      • 병원의 CRM활동이 고객의 관계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수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병원은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의료 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다. 정부의 의료 정책이 변화하고 의료의 공급 또한 수요를 초과하고 있고, 의료 시장 개방도 눈앞에 두고 있다. 또한 지식 사회의 많은 정보는 의료 구매자의 인식을 변화시켜 의료기관 선택의 기회를 확대 시키는 등 과거에 비해 의료기관 운영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경쟁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우리나라 병원들도 앞다투어 고객관계관리(CRM)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병원의 CRM에 대한 지금까지 연구의 대부분이 공급자 관점 및 정보기술에 대한 기술적 관점에서 주로 이루어졌을 뿐, 고객중심의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실증 조사를 통해서, 병원에서의 CRM 활동 유형을 조사하고 CRM활동이 고객의 관계몰입과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효율적인 CRM을 시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병원을 이용 중이거나 병원 이용 경험이 있는 300명을 모집단으로 하였고, 조사시점은 2011 5월 23일부터 2011 6월 1일까지 수거된 총 262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가설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al equation model)을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병원의 CRM활동 요인들과 관계몰입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차별적 관리와 물리적 보상은 관계몰입과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고객의 충성심을 높인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중 물리적 보상이 차별적 관리보다 관계몰입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원의 CRM활동 요인들과 관계단절과의 관계에서도 차별적 관리와 물리적 보상이 관계단절과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몰입과는 다르게 관계단절에 있어서는 차별적 관리가 물리적 보상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몰입과 관계단절, 충성도와 전환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앞서 가설을 설정한 대로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여주었다. 넷째, 병원의 CRM활동 요인 중 지속적 접촉은 관계몰입과 관계단절 양쪽 모두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중심의 실증연구를 통해서 병원의 CRM활동이 관계몰입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는 데 의의를 두었다. The modern hospitals are experiencing a serious change in medical environments where have been changed over and over again. The government’s medical policy has been changed, and medical supplements have surpassed medical demands, and medical markets will open up for other countries soon. Also, As the information from today’s knowledge-based society alters the awareness of medical customers and provides a wider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the reality of medical institution management is struggling compared to the past. CRM was introduced to domestic hospitals as marketing strategy to dominate the competition under varying medical environment. However, because most of the CRM research among korean hospitals were focused on supplier standpoint or technical angle of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and concrete research oriented toward customers is very limited and inadequat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s on CRM activity types used in hospitals and the effects of CRM activity toward customer relationship commitment and loyalty through customer-based research which targets customers with medical treatment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possible direction in operating efficient CRM that will accommodate customer nee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three hundred customers who are using hospital settings or who had experience with using the hospital settings. The researcher collected 262 survey questionnaires from May 23th, 2011 to June first. In order to evaluate the hypothesis in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by using AMOS 18.0’, following results were produced. First of all,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s’ CRM activity factors and relationship commitment, study found preferential treatment and tangible rewards to affect cause-and-effect relationship similar to relationship commitment as the same as elevated customers’ loyalty. Among these factors, tangible rewards influences relationship commitment greatly more than preferential treatment. Secondl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s’ CRM activity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Dissolution, preferential treatment and tangible rewards also affect the Relationship Dissolution. As opposed to relationship commitment, the preferential treatment more influenced the Relationship Dissolution than the tangible rewards. Thirdly, relationships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and between loyalty and switching intention, demonstrate similar significant cause-and-effect relationship. Fourthly, consistent contact, among CRM activity factors, has no association with relationship commitment or switching intens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for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commitment and customer’s loyalty through customer-based research.

      • 大學 排球 競技要因別 結果와 勝敗의 相關에 關한 硏究

        강수영 우석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구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는 스포츠에서 먼저 개인의 기능적 조건을 이해하고, 합리적인 훈련계획을 세워 지도하는데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단체의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집단능력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발달과정을 고려해 볼 때, 배구 경기력에 대한 연구도 이제는 집단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주제를 선택하고, 합리적 논리를 발견하도록 노력할 때라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 착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배구의 대표적 경기인 '98 한국 배구 슈퍼리그의 경기내용을 공격과 수비 영역별로 구분하여 총 32개 경기요인별 결과와 승패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두었다. 1) 배구경기의 내용은 대한배구협회 경기 기록 항목에 준하여 32개 요인으로 국한하였다. 2) 연구대상은 각각 25개의 승리팀과 패배팀으로 국한하였다. 3) 배구경기의 자료는 '98년 한국배구 슈퍼리그전의 대학부 경기결과로 국한하였다.

      • 일-생활 균형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강수영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 of cultivating organizational goal-oriented human resources that emphasizes the long work hours and the loyalty and commitment for organizations, work-life balance is in the basis of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perceived as psychological destructive phenomena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its employees, rather than the organization. Its role is remarkable to a generation that focuses on work and displays high self-awareness. Moreover, work-life balance is accepted as either a primary component or a psychological process that underlines individual identity in modern organizations beyond the role of individuals for organizations through the balance of individual self-awareness as well as a change from environment and general values. Namely, work-life balance has moved from an organizational goal-oriented approach to an individual goal-oriented on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has led to various studies in the organizational behavior area, and the present study has a trial to test about work-life balance with comprehensive approach. Firstly, the role of support from family and organization as the antecedents on work-life balance was tested. This trial is an empirical process to get meaningful results overlooked from researchers, in addition, it is also a focus on the subject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ategorization such as the support from spouser and family members, and from organization, supervisors and colleagues. Secondly,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test the ambivalence roles of work-life balance for its effectiveness and it is beyond the positive role of work-life balance on productive behavior in the literatures and enables to explain why work-life balance needs to be addressed as a main issue in modern organizations in terms of productivity. Thirdly, the current study is tried to expand the ambivalent roles of work-life balance as mediators with two types of outcome variables and this approach enables to give an opportunity for the verification of mediational process of work-life balance in addition, enables to extend the its mediational roles from job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rthly, this study is capable of the explanation of its conditional roles on and by work-life balance. It is meaningful approach to explore situational variables in the two paths and to enables to provide the significant results on situational variables which restrictively account for the conditional variables on work-life balance. The research model consists of 4 sorts of variables. Family support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were predictors, work-life balance was mediators, initiative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were outcome variable, and resilience, job efficacy,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work-family boundary, were moderators. The focus of this research modeling was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s and work-life balance, and work-life balance and ambivalent outcome variables, to account for 4 types of psychological process predictor-work-life balance-outcome variable and to verify conditional effects by resilience and work-family boundary in the links between predictors and work-life balance, in addition, job efficacy and goal- focuse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two types of outcome variabl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o supplement problems in the previous studies of work-life balance. Existed studies on work-life balance that collect data on office workers mainly focused on this procedure from both married and unmarried employees. However, this approach of previou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considering differences of perceiving balance (leisure, growth, family) perceived by each construct in work-life balance due to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restrict data collection to increas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and it included to collect data only from married employee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s in this research. In this procedure, the number of the survey target was set to totally 400 considering the observed variables of the main variables. The procedure was conducted with married people among those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andom sampling method was applied for data collection. The survey carried out toward 400 people in total, and this process was lasted from Oct, 1, 2021 – Nov, 30, 2021 around 60 days with an off-line method which was used to visit the survey target and distribute and collect data. In the procedure of data collection, the other challenge was to collect data twice from the same responder as to reduce common method bias regarded as a critical issue in analysis. 286 sets of data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mposed with validity for scales and the test of hypothesis. In demonstration of scale’s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methods was conducted. In test of hypothesis, the procedure was with the correlation for relationship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was carried in advance, with the main effect to demonstrate causality between the variables, with the mediating effect to confirm intervening variable and with the moderating effects. In results, family support and family-friendly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work-life balance, and work-life balance displayed ambivalent effects on initiative and deviant behavior respectively. In the mediation, there were differential results in the paths. The path, family support – work-life balance – initiative behavior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 work-life balance – initiative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upported but not supported in the paths related to deviant behavior. In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was significant situational variables in the path of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in addition, the other was goal-focused self-regulation in the path work-life balance on initiative behavio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not supported in the remaining path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ntecedent boundary of work-life balance was expanded to the family and organizational domains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Secondly, the ambivalent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its effectiveness were proved and it enables to add the expansion of its effectiveness beyond positive roles in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function in behaviors in which spontaneity and relational aspects that occur in organizations are highlighted. Thirdly, it provides grounds for the role of work-life balance as a mediator. Literatures has accounted for the mediating role of work-life balance wherea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it toward the spontaneity and relationship-based behavior. It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work-life balance. Fourthly, the role of primary situational factor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was confirmed. As an outcome variable, it i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is strengthened by resilience, an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initiative behavior of work-life balance is reinforced by goal- focused self-regulation.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ategory of situational factor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Finally, empirical findings on an integrated approach to work-life balance are provided. This founding can serve as a major basis for future researches on work-life balanc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a systematic approach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maintain and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of organizational employees, and emphasize that support for work-life balance should be spread to the view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it requires the attention of family members to maintain and expand work-life balance. The role of organizations that can recognize work-life balance is required to promote and reduce intentional behaviors produced by employees in organizations. Key words: Work-life Balance, Family Suppor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Initiative Behavior, Deviant Behavior. 일-생활 균형은 장시간 근무와 충성과 몰입을 강조하는 조직목표 지향적 인적자원 양성이라는 전통적 측면에서의 접근과 달리 조직과 구성원 사이에서 부정적인 심리적 인식으로 평가될 수 있는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지각, 조직보다 일 중시, 자아에 대한 높은 자각을 보이는 세대에서 그 역할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일-생활 균형은 환경과 세대 간 가치관 변화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의식에 대한 균형을 통해 조직을 위한 개인으로의 역할을 넘어 조직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주요 요인 또는 심리적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즉, 일-생활 균형이 조직 목표를 지향하는 접근에서 개인 목표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일-생활 균형에 관한 중요성 인식은 해당 분야의 다양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생활 균형을 중심으로 포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일-생활 균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조직과 가족 지원의 역할을 검증으로 기존연구에서 간과되고 있던 대인 간 관계 형성과 관련된 주체들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과 상사/동료의 조직차원과 배우자와 가족구성원의 가족차원으로 범주화 하여 이들 변인들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긍정적 역할을 규명이다. 둘째, 일-생활 균형의 효과성에 있어 양면적 역할을 입증하는 것으로 생산적 행동에 미치는 일-생활 균형의 긍정적 역할을 넘어 왜 일-생활 균형이 생산성의 측면에서 조직에서 주요 이슈로 언급될 필요성이 있는가에 대한 대답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예측변인과 양면적 결과변인 사이에 작용하는 일-생활 균형의 매개역할 판명으로 선행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는 일-생활 균형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인데 기존연구에서 직무특성과 개인특성의 효과성의 경로에서 일-생활 균형의 매개역할을 검증에서 양면적 결과변수로 그 심리적 영향력 검증 경로로 확대하고자 한다. 넷째,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조건부 변인들의 역할을 두 가지 경로 확인으로 기존연구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결과를 찾기 어려운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상황요인에 검증이며 상황요인을 일-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과 일-생활 균형이 개인차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경로에서 상황요인이다. 연구모형은 예측변수로 가족지원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으로 구성되고 매개변수는 일-생활 균형, 결과변수는 선제적 행동과 일탈행동으로 구성되었고 상황요인으로 조절변수는 회복탄력성, 일-가정 경계, 직무효능감, 목표중심 자기조절로 설계되었다. 연구모형을 통해 설명되는 접근 과정은 예측변수와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과관계, 일-생활 균형과 결과변수간의 양면적 관계, 예측변수→일-생활 균형→결과변수의 4가지 경로의 매개효과, 예측변수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조건부 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일-가정 경계의 조절효과, 일-생활 균형의 준거변수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직무효능감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조절효과까지 포괄하는 5가지로 구분되었다. 자료수집 과정은 기존연구의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었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일-생활 균형에 관한 연구들은 연구대상의 범주를 주로 기혼자와 미혼자를 모두 조사대상에 포함하여 전반적인 일-생활 균형의 역할을 검증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의 이러한 접근은 결혼 여부의 차이로 인한 일-생활 균형에 있어 대상별로 인식하는 균형의 대상(여가, 성장, 가족)에 차이를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생활 균형은 조사대상의 결정에 있어 그 범주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공헌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의 특징을 고려하여 직장인 가운데 기혼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사대상의 규모는 주요 변수들의 관찰변수를 고려하여 총 400명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과정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고 있는 공기업과 사기업 재직자 가운데 기혼자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방법은 무작위표본추출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총 400명 이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자료수집 과정은 2021. 10. 1–11. 30일까지 60일 정도 소요되었다. 자료수집은 조사 대상을 직접 방문해서 자료를 배부 및 회수하는 off-line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를 사전적으로 보완하였다. 분석에는 총 286명으로부터 획득된 두 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은 포괄적으로 척도의 타당성 검증과 가설검증으로 구성되었다. 측정에 활용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으로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을 중심으로 분석이 진행되었다. 가설 검증 과정은 연구의 주요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는 사전적으로 변수들의 관계 방향성과 유의성을 확인하는 상관관계, 변수들 간의 인과과계를 검증하는 주 효과, 연결변인의 역할을 확인하는 매개효과, 조절효과로 구성된다. 또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검증 과정에 관한 주요 이슈를 보완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결과 가족지원과 가족친화적 지원은 일-생활 균형에 긍정적인 역할이 확인되었고, 일-생활균형은 선제적 행동에 대한 촉진역할과 일탈행동에 대한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매개효과 검증에 있어서는 결과변수에 따른 매개효과 경로에 대한 결과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가족지원과 가족친화적지원이 선제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일-생활 균형은 양자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두 원인변인의 일탈행동에 대한 영향력 경로에서는 매개효과의 가설이 지지되지 못하였다. 또한 개인특성의 상황요인에 대한 역할 검증의 경우 가족지원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력 경로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일-생활 균형의 선제적 행동에 대한 경로에서 목표중심자기조절의 강화효과가 판명되었다. 그러나 두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경로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는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일-생활 균형을 촉진하는 원인변인을 가족과 조직 차원으로 확대하여 그 역할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며 이는 기존연구에서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식의 범주를 대인관계 측면으로 확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일-생활 균형에 있어 대인관계 대상을 가족과 조직 및 그 구성으로 확대하는 특징이 있다. 둘째, 일-생활 균형의 효과성에 있어 양멱적인 역할을 확인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은 기존연구에서 조직이 지향하는 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이에 더하여 본 연구결과는 일-생화 균형이 조직에서 발생하는 자발성과 관계적 측면이 부각되는 행위에 있어 순기능을 촉진하고 역기능을 저감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생활 균형 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 확대에 공헌하고 있다. 셋째, 매개변수로서 일-생활 균형 역할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일-생활 균형은 매개변수로 역할이 확인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당 변수가 양산하는 자발성과 관계기반 행동에 있어 영향력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순기능 강화의 경로와 역기능 저감의 경로에서 일-생활 균형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차이가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주요 상황요인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결과변수로서 일-생활 균형에 대한 가족지원의 영향력은 회복탄력성에 의해 강화되고 일-생활 균형의 선제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은 목표중심자기조절에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생활 균형에 관한 상황요인 범주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생활 균형에 대한 통합적 접근에 관한 실증적 결과물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일-생활 균형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주요한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조직구성원의 일과 생활 균형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조직차원의 시스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일과 생활 균형을 위한 조직구성원의 지원이 조직문화 차원으로 확산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일-생활 균형 유지 및 확대를 위한 가족구성원의 관심을 요구하고. 조직에서 구성원이 양산하는 의도적 행동 촉진과 저감을 위해 일과 생활 균형을 인식할 수 있는 조직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주제어 : 일-생활 균형, 가족지원, 가족친화적 조직지원, 선제적 행동, 일탈행동.

      • 의사소통(commognitive) 관점에서 중학교 증명 수업 분석

        강수영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사소통(commognitive) 관점에서 연역적 추론을 결과로서가 아닌 사고의 과정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자료를 적용하였을 때, 수학적 담론들의 분석을 통해 연역적 추론에 대한 특징을 기술하여 증명 교육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의사소통 관점의 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연역적 추론을 사고의 과정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나. 의사소통 관점의 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연역적 추론에 대한 담론이 지닌 특징을 분석한다. 연구 문제 가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역적 추론의 구조와 공리, 정의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세 가지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추론 역량, CCSSM의 수학적 실천 항목, IB DP의 연결성을 분석하여 여섯 가지 교수-학습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와 교수-학습 개발 방향을 바탕으로 학습 내용에 대한 교수-학습 필수 요소를 각각 추출하고, 교수-학습 필수 요소를 바탕으로 8차시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 문제 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역적 추론의 구성 요소, 의사소통 관점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의사소통 관점의 연역적 추론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는 연역적 추론의 구성 요소인 추론 방법, 조작적 불변자, 논리의 구성을 네 개 또는 세 개의 수준으로 나누고 각 수준별로 수학적 담론의 네 가지 속성인 단어 사용, 시각적 매개체, 루틴, 내러티브에 대한 특징을 정리한 분석틀로 구체화되었다. 이 분석틀을 바탕으로 담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 문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의사소통 관점의 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연역적 추론을 사고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1~2차시의 내용은 정의와 공리에 대한 비형식적 활동을 통하여 정의와 공리, 연결 관계를 친숙하게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3~4차시의 내용은 추론을 거슬러 올라가 전제가 참인지를 확인해보고, 중학교 교과서 연역의 출발점인 공리를 직접 찾아보는 것이었다. 5~8차시의 내용은 평행사변형 모양의 활동 타일의 성질을 찾고, 공리로부터 연결 관계를 통해 활동 타일 성질을 이끌어내며, 체계를 조직하면서 정의하기에 이르는 것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의사소통 관점의 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연역적 추론에 대한 담론이 지닌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론 수준의 발전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추론 방법’에서는 경험적 추론을 사용하는 학생들과 연역적 추론을 사용하는 학생들 사이에 의사소통적 갈등이 있었지만 학생들은 연역적 추론을 받아들였다. 또한 중학교 수학의 3가지 공리 중 삼각형의 합동은 공리로 찾아내지 못했지만, 평행선에서의 엇각에 대한 성질을 공리로 삼아서 평행선에서의 동위각에 대한 성질을 이끌어내고 또 동위각의 성질은 삼각형의 내각의 합을 이끌어내어 체계가 확장됨을 이해하는 국소적으로 형식적이고 공리적인 추론 수준으로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조작적 불변자’에서는 평행선에서의 엇각의 성질에서 엇각의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2수준의 모습도 보였지만, 합동에서 대응변을 확인하다 반례를 정확히 찾아내는 3수준의 모습도 보였다. 정의에 대한 조작적 불변자는 정의의 필요성을 이해하는 일상적인 정의를 사용하는 1수준에서 정의를 연역적인 사슬의 연결 고리로 이해하고 동치 명제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의로 삼을 수 있는 수학적인 정의를 사용하는 3수준까지 발전하였다. ‘논리의 구성’에서는 역 관계에서 명제와 명제의 역을 구분하지 못하기도 하였고 명제가 참이면 명제의 역도 참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였으며, 명제에서 명제의 역을 이끌어내려고 하는 2수준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연결 관계의 삼단논법을 이해하고 한발 더 나아가 연결망에서 복잡한 연결 관계를 이해하여 이를 통해 평행사변형 모양 타일의 기본 성질을 찾을 수 있는 3수준까지 국소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는 학생들이 연역적 추론의 구조를 익히고 연역적 추론을 사고의 과정으로 경험하도록 도와주며,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분석은 증명 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 so that they can experience deductive reasoning as a process of thinking rather than as a result, and to apply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rom a commognitive perspectiv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ductive reasoning through changes in mathematical discours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oof classes. So I set up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A.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learn deductive reasoning as a process of thinking in middle school proof classes from a commognitive perspective. B.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n deductive reasoning in the middle school proof classes from a commognitive perspective. To solve research problem A,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deductive reasoning, axiom, and defini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 reasoning competency of the Korean Revised Curriculum(2015),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of CCSSM, and the connectivity of the IB DP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basic guideline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were set up.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basic guidelines, essential elements of teaching-learning for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were extrac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essential elements of teaching-learning. To solve research problem B,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deductive reasoning and a commognitive perspective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the framework of deductive reasoning from a commognitive perspective was developed. First, method of reasoning, operational invariant, and organization of logic which are components of deductive reasoning were divided into four or three level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word use, visual mediator, routine, and narrative which are property of discourse were described for each level. Based on this framework of deductive reasoning, the change of discourse was analyzed. The results of each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problem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can experience deductive reasoning as a process of thinking in middle school proof classes from a commognitive perspective. The contents from first period to second period are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definition, axiom, and logical chaining relationships through informal activities on definition and axioms. The contents from the third period to the forth period are to go back to the reasoning to check whether the premises are true and find the axiom,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deduction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e contents from the fifth period to the eighth period are to find the properties of the tile in the shape of a parallelogram, to derive the properties of the tile through chaining relationships from the axioms, to 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ies of the tile and define the til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n deductive reasoning in the middle school proof classes from a commognitive perspective, the second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he level of discourse could be observed. In the ‘method of reasoning’, there was a commognitive conflict between students using empirical reasoning and students using deductive reasoning, but the students accepted deductive reasoning. Students could not find the congruence of triangles as an axiom, one of the three axiom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However, the students understood that if the property of the alternate angles in parallel lines was taken as an axiom, the property of the corresponding angles in parallel lines was derived, and this led to the sum of the interior angles of a triangle, and the system was expanded. That is, the level of 'method of reasoning' has developed to the level of locally formal and axiomatic reasoning. In the ‘operational invariant’, the students were at level 2 who did not know exactly the position of the alternate angles in the properties of the alternate angles in parallel lines. In the congruence of triangles, the students were at level 3 who accurately found counterexample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corresponding sides. The operational invariant of definitions developed from level 1 using colloquial definitions to level 3 using mathematical definitions. That is, the students could understood the definition as a link of a deductive chain and select one of the equivalence as the definition. In 'organization of logic', students were at level 2, students could not distinguish the inverse of proposition and proposition, thought the inverse of the proposition was also true if the proposition is true, and sometimes derived the inverse of proposition from the proposition. However, the students understood the syllogism of chaining relationships and even comprehended the complex connections in relational networks. The level of organization of logic has developed locally to level 3 where the basic properties of the tile in the shape of a parallelogram can be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help students learn the structure of deductive reasoning and experience deductive reasoning as a process of thinking.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nalysis apply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provides implications for methods of teaching-learning about proof.

      • '보이지 않는 것'의 내재적 의미에 대한 표현

        강수영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존재이면의 보이지 않는 무형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관심은 사회학, 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논제이다. 논문을 앞두고 나의 작업은 실제로 '보이는 사실'과 '보이지 않는 실재' 사이에서 오히려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 이것을 형상화하는 과정은 '인간 부재'와 '공허', '허무'와 같은 보편적인 개념을 대상과 소재에 투사 시켜 개인적인 시각과 경험으로 일체화 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개념을 주관적 해석을 넘어 객관성과 보편성에 부합되는 감성으로 끌어내기 위하여 '몸과 옷'이라는 두 가지 상징을 함께 사용하였다. 이것은 '껍질과 알맹이'로서, 보이는 것과 보이는 것 너머의 이야기를 상징한다. '보이지 않는 것'이 내재한 의미는 공간적으로는 '공(空)'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고 존재론적 개념은 '부재(不在)', 또 언어적 측면에서는 '침묵'으로 해석하여 그것이 환기시키는 정서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옷이면서 몸인 그 대상들은 살아있는 몸과 생명 없는 옷 사이의 공간을 시각적 사실이 아닌 개념적 사실로 드러낸다. 이러한 이미지는 현실과의 끈을 놓지 않으면서도 시공을 넘나드는 초현실적 느낌을 가지고 있다. 은폐되거나 노출되고, 비어 있거나 또는 막혀 있음으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공존을 의도하였다. 빈 공간과 막힌 공간의 교차는 부재(不在)를 나타내며 이 동시성은 오히려 은폐된 것을 드러내고 존재의 본질을 쫓게 한다. 옷과 몸에서 읽혀질 수 있는 특유의 상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작은 조각의 오브제로 제작하였으며, 현실과 초현실의 연결고리로 거울과 같은 소재를 선택하여 보는 이의 내적 시선이 '보이지 않는 것'에 일관되게 머무르기를 의도하였다. The attention into intangible experience and value residing behind existence has been the focus of the subject in various areas including sociology, philosophy and arts. Between `visible facts' and `invisible existence', an `invisible object' has been the important motive of my work for this thesis. The process of materialization of such an invisible object is to embody the universal concepts like `absence of human-beings' and `a feeling of emptiness' using pers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by projecting them into objects and materials. In order to evoke senses that are more objective and universal beyond subjective interpretation I used two symbols of a `body' and `cloth', which represents `shell and substance' as visible and invisible objects. The inherent meaning of `invisible objects' has been embodied in the form of `emptiness' in terms of physical space, `absence' in terms of ontology, and `silence' in terms of language, so as to convey the sentiments generated from it. The objects existing as a cloth and body express the physical space between a living body and lifeless cloth as a conceptual fact rather than a visual fact. Such image has surrealistic feeling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while not losing sight of reality. I have sought co-existence of `visible objects' and `invisible objects' that as they are concealed or exposed, and empty or filled. A crossing between an empty space and filled space represents absence and this synchronization exposes the concealed objects in pursuit of an essence of being.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unique symbolism residing in a cloth and body, objects in small pieces have been manufactured. By choosing a material like a mirror as a link between reality and surreal, I intended to a viewer's mind can consistently focus on `invisible objects'.

      •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강수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행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자기표현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은 실시 전과 후 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발표불안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발표불안은 실시 전과 후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진주시에 소재한 J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1개 반 23명, 통제집단 1개 반 23명으로 총 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 실시한 자기표현훈련은 5주에 걸쳐 총 10회기로 주 2-3회씩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소요시간은 80분(40분실시 후 10분 휴식)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기표현 검사와 발표불안 검사이다. 자기표현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자기표현 검사는 Rakos와 Schorocder(1980)가 제작한 자기표현 행동 척도를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번안하여 고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발표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엄은남(2002)의 발표불안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 자기표현훈련 실시 전에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고, 자기표현훈련 실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결과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능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 사후검사 점수는 실시 전 사전검사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발표불안 점수가 유의마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인 자아 평가 불안 및 불안증상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보아 자기표현훈련이 자아 평가 불안 및 불안 증상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발표불안 사후검사 점수는 실시 전 사전검사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은 초등학생들에게 자신의 생각, 느낌, 감정 등을 적절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하여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고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sertive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ech anxiety and self expression.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experimental group make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self-expression? 2. Does the trained group about assertive training mak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elf-expression after the education? 3. Does the experimental group make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speech anxiety? 4. Does the trained group about assertive training mak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peech anxiety after th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in two classes extracted from third 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in-ju city - 23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23 students i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is pre-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assertive training was only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it was carried out for 10 times during 5 weeks. The measuring tool for self expression was diagnostic examination developed by Byun Chang-Jin , Kim Seong-Hui(1980). The measuring tool for speech anxiety was diagnostic examination developed by Byun Chang-jin , Um Eun-Nam(2002).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y t-test of SPSS 18.0.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the assertive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tal scores on the self-expression than control group. 2. The emperimental group improves score of the self-expression meaningfully after assertive training. 3.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the assertive training, didn't show significant dropping in total scores on the speech anxiety than control group.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assertive training was helpful for dropping sub factors, that was, in the area of self esteem anxiety, simple anxiety symptoms. 4. The emperimental group drops score of the speech anxiety meaningfully after assertive tr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assertive training g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self-expression and speech anxie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한방약초복합추출물의 특성 평가

        강수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demand for atopy-improving functional cosmetics using natural ingredients increases, herbal complex extract (DA-001) was estimated its atopy-improved effect which was constituted of eight herbal extracts(Orostachys japonica, Eclipta prostrata, Portulaca oleracea, Sasa borealis, Zizania latifolia, Artemisia princeps, Eriobbotrya japonica, Dendropanax morbifera). Standardization and quality evaluation was also established by TLC and HPLC methods with raw material crude drugs and complex extract (DA-001). From thin-layer chromatography, the marker compounds of Orostachys japonica, Eriobbotrya japonica, Sasa borealis, and Artemisia princeps was identified. Quantitative analysis of Eclipta prostrata and Dendropanax morbifera was done by HPLC followed by the methods of Chinese Pharmacopoeia. Herbal complex extract (DA-001) was tested in vitro on the antioxidant and anti-atopy effect using keratinocytes, mast cells, and macrophages. It showed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ytokine inhibitory activity and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Through the study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kin, the skin permeation formulation was studied. The multiple substances contained in each crude drug have been confirmed, and quality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ese substances by standardization of DA-001. DA-001 has an inhibitory effect on active oxygen species, and cell death protection effect against inflammatory damage, cytokine suppression, keratinocyte, mast cell, and atopy improvement effect using macrophages. I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opic dermatitis through the action of suppressing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inflammatory factors that mediate the inflammatory immune response of keratinocytes. Therefore, DA-001 is considered to have high utility value in improving atopy as a functional herbal cosmetic material. if research on variou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evaluation of various efficacy, and development of the latest technology will be conducted,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as functional natural herbal medicines in the future. Keywords: herbal complex extracts, quality contol, atopic improvement effect, formulation, HPLC 천연 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8가지 약초(와송, 한련초, 쇠비름, 조릿대, 줄풀, 쑥, 비파, 황칠)로 구성된 한방약초복합 추출물(DA-001)의 아토피 개선 효능에 관한 특성 평가를 하였다. 원생약 및 복합추출물의 표준화를 위하여 와송, 비파엽, 산죽, 쑥은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확인시험을 진행하였고 한련초와 황칠은 중국 약전의 HPLC를 이용한 지표물질의 정량법을 활용하여 평가하였습니다. 한방약초복합추출물 (DA-001)은 각질 세포, 비만 세포 및 대식 세포를 사용하여 항산화 및 항 아토피 효과에 대해 in-vitro 평가를 하였으며,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 사이토 카인 억제 활성 및 아토피 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보였다. 피부의 물성 연구를 통해 피부 투과 제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각 생약에 포함된 여러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DA-001은 표준화를 통해 품질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A-001은 활성산소종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으며 염증성 손상에 대한 세포사멸 보호 효과, 사이토카인 억제, 각질 세포, 비만 세포, 대식 세포를 이용한 아토피 개선 효과가 있었다. 각질 세포의 염증성 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염증 인자의 발현과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아토피 성 피부염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DA-001은 기능성 한방 화장품으로 아토피 개선에 높은 효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 다양한 효능 평가, 최신 기술 개발이 진행된다면 향후 기능성 천연 한방 소재로서 화장품 및 의약품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