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브랜드 연상 지도를 활용한 역사 도시 브랜드 비교 연구

        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도시가 가지는 역사, 문화적 가치가 중시되면서, 도시들은 역사적 자산을 활용하여 문화산업과 도시의 경제적 발전을 꾀하고 있다. 브랜드 이미지는 사람들이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다양한 생각이 조합된 것으로,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브랜드 연상 지도이다. 본 연구는 브랜드 연상 기법을 사용하여 국내 역사도시들의 브랜드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역사도시와 브랜드 연상에 대한 문헌연구와 브랜드 연상 지도 작성을 위한 설문조사와 분석으로 진행된다. 브랜드 연상은 제품, 조직, 인물, 상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역사도시는 상징으로서 브랜드 성격이 강하며, 이에 시각적 이미지, 메타포, 브랜드 유산이 관계한다. 역사도시로의 인지도는 경주가 가장 많으며, 부여, 전주, 안동 순으로 응답했다. 역사도시에 대한 브랜드 연상 조사에서 경주는 불국사과 석굴암, 안동은 하회마을과 하회탈, 수원은 화성, 공주와 부여는 백제, 전주는 비빔밥이 도시 별로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경주는 유적에 대한 연상이많았으며, 안동은 전통, 유교, 양반과 같이 정신문화에 대한 연상이 두드러졌다. 수원은 화성이 강력한 연상 어휘이나 살인, 범죄와 같이 부정적인 연상도 함께 응답되었다. 공주와 부여 모두 연상되는 것이 없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부여가 백제 문화를 대표한다고 응답했다. 전주는 음식에 대한 어휘가 많았으며, 한옥마을도 동등하게 언급되었다. 역사도시 브랜드로 사람들은 건축과 유적을 시각적 이미지로 기억하며, 음식에 대한 연상비율이 높았으며, 브랜드 유산의 연상은 많지 않았다. 해당 도시들의 차별화된 역사문화를 보유한 만큼, 브랜드 연상의 결과를 고려하여 ‘선택과 집중’의 브랜드 전략 수립과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As historical, cultural values of cities are getting more important, historic cities aim economic development using their historical assets. Brand image are made with peoples" thoughts for the brand. Brand association map is a good method to evaluate brand images of peopl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brand perceptions of people. This study is done with literature research to examine historic cities and bran association and with survey for making brand association map. Brand association is classified as product, organization, person, and symbol. Brand for historic city should be understood with respect to brand-as-symbol, and it has to do with visual imaginary, metaphor, and brand heritage. People perceive Korean historic city by order of Gyeonju, Buyeo, Jeonju, and Andong. In survey of brand association, Bulgugsa-temple and Seogguam are the most frequent mentioned for Gyeonju, Hahoi-village and hahoi-tal for Andong, Hwaseong for Suwon, Baekje for Gongju and Buyeo, and Bibimbap for Jeonju. People associate historic site for Gyeoju, spiritual culture for Andong. Suwon evokes Hwasung and muder/crime at the same time. Blank answers are found for Gongju and Buyeo association. People thinks food and hanok of Jeonju. Since these cities have differentiated history and cultur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brand strategy is required considering brand association results.

      • KCI등재

        정보 시각 표현의 최적성과 잉여성에 대한 연구

        강성중 ( Kang Sung Jo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6 한국디자인포럼 Vol.13 No.-

        정보디자인은 정확한 정보를 필요한 사람에게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정보디자인은 맥락에 맞게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고 정보를 분류, 정렬하는 구조화, 그리고 정보수용자가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표현하는 시각화로 구성된다. 시각화는 정보의 이해를 도울 수 있지만, 불필요한(잉여의) 표현과 요소에 의해 정보 전달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쉐논과 위버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서 전송 신호에 잡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술적 측면에서 이 잡음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대상이지만, 의미론적 측면에서는 정보 이해를 보강할 수 있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에드워드 터프트의 데이터 잉크는 불필요한 요소를 측정함으로서 정보전달의 효율성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식이다. 정보이론의 잉여성 개념은 언어적 측면에서 메시지의 중복과 재확인으로 의미전달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잉여성과 데이터 잉크는 상반된 개념이나 정보디자인에서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통계 그래픽과 같이 정량 정보로 시각화하는 경우 객관성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데이터 잉크의 개념이 중시된다. 반면 시간 공간의 다이어그램이나 이야기를 구성하는 정보디자인에서 정보의 잉여성은 정보수용자에게 흥미와 경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된다. 정보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정보 그래픽의 잉여성과 최적성의 선택과 균형이 필요하다. Information design is a series of process and activities to provide right information to right person at right time with efficient methods. Information design goes through organization to group, classify data and visualization to apply graphical elements for enhancing users` cognition. Redundant elements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can de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ferring messages. At Shannon and Weaver`s communication model, noise can be generated at signal. While noise should be removed with technical perspective, noise could help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with semantic view. Data-ink, suggested by Edward R. Tufte, is the formula to measure the redundant graphic element in data-information graphics. In communication theory, redundancy is not erasable because it makes communication clear and evident with repetition and reconfirmation of messages. For statistical information, notion of data-ink is critical for objectivity of visualizing data. Redundancy is a factor to facilitate interest and experience for audiences by creating participation and storytelling in time-space diagram and narrative information graphics. According to attribute and purpose of information, selection and balance of redundancy and data-ink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도시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도시디자인 전략 연구

        강성중(Sung Joong Ka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4 공공디자인연구 Vol.12 No.-

        지역의 주력 산업의 붕괴를 맞이한 도시는 지역 경제 재건과 활력 회복을 위해 도시 비전의 재설정, 새로운 성장 산업 발굴, 도시공간 재정비 등을 추진한다. 스웨덴의 항구도시 말뫼는 1990년대 지역경제를 지탱하던 조선업이 파산하면서 재정파탄의 위기에 몰렸으나, 환경도시로의 미래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위한 주요 사업과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첨단산업 유치와 인구 유입으로 2000년대 유럽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말뫼의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유사한 위기에 처한 도시들이 참조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으로 진행하였다. 말뫼는 도시구성원이 참여하는 토론을 통해 ‘환경도시’를 미래 비전으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도시계획을 수립하였다. 첨단산업을 성장동력으로 삼았지만, 도시디자인은 사람들의 정주환경을 우선시 하였으며 도시 미래 비전을 가시화한 사업에 집중 투자를 하였다. 도시 비전인 ‘환경도시’를 실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세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녹지와 자전거도로, 자원순환 등 일상에서 친환경을 경험하고 실천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을 적용하였다. 말뫼는 도시 비전의 협력적 설정, 정주 중심의 도시디자인, 도시 비전과의 실질적 연계, 도시기능을 가지는 랜드마크 등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A city that takes on collapse of regional core industry would reset vision of city, seek new growth engine industry, and establish urban planning to rebuild regional economy and recover city's vitality. In 90s Malmö city of Sweden encountered a financial catastrophe resulted by bankruptcy of shipbuilding industry which had supported Malmö's Economy. Malmö city set ups Eco City as future vision of city, and drives related projects and policy to achieve goals. As result, high tech industry companies flow in and population of city grows and Malmö is chosen as the best lively city in Europe. The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y and methods of urban design for reference of Korea city where meet similar crises through analyzing success of Malmö. Even Malmö selects high-tech industry as new engine for city, urban design of Malmö focuses on life quality of citizen, and invests projects to visualize city vision. The city establishes detaild design guideline to realize ‘eco-city’, and develop urban design to practice and experience eco-life such as green area, bike path, and energy recycle. Malmö gives lessons including cooperative setting of city vision, urban design centered on residence, linkage with vision and design, and importance of landmark.

      • KCI등재

        문화 경관 개념에 기초한 공공디자인 방향 연구

        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경관은 경관법에 기초하여 지자체들이 공공디자인 관련 행정에서 다루어온 대상이다. 공공디자인이 물리적 환경에서 시민의 삶과 문화로 중심이 이동하면서, 경관의 역할도 새롭게 규정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관이 가지는 문화적 속성에 기초한 공공디자인의 적용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공공디자인에서의 경관의 역할과 접근법을 새롭게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에 기초한 법률 분석으로 진행된다. 도시 황폐화에 따른 자연에 대한 동경으로 등장한 경관은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으로 구분되었다. 자연과 인공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경관으로 문화 경관의 개념이 등장했다. 문화경관은 설계된 경관, 민속지학 경관, 역사유적, 토속경관의 유형을 가지며, 문화지리학에서는 자본, 권력으로 만들어진 경관까지를 포함한다. 사회, 사람들이 만든 시간적 누적물을 포괄하는 문화경관은 문화 향유권의 증대를 중시하는 공공디자인법의 목적과 일치한다.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중시하는 경관법은 경관을 통제적 접근이라면, 문화경관은 발생적 경관의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공공디자인의 역할이 물리적 공간 조성에서 사회적 문제 해결로 확대되는 추세에서 문화경관의 접근법은 공공디자인의 새로운 방향과 일치한다. 문화경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디자인 사업의 초기단계에서 지역의 문화 조사와 연구가 포함된 기획이 강화되어야 한다. 문화경관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만큼, 지역주민과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문화경관은 지역의 고유성과 경관의 다양성이 근간이 되므로, 전문 분야별 관행적 영역을 넘어 유기적 협력이 요청된다. Landscape is administrative realm which local governments deal with based on law of Landscape. As the focus of public design moves from physical environment to life and culture of citizen, the role of landscape needs to be redescrib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role and approach of public design based on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This study is done by literature and analysis of related laws. Due to devastation of city, landscape is introduced as longing for nature. To overcome dichotomy of landscape as nature and man-mad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is introduced. Cultural landscape has four types: designed landscape, Ethnographic landscape, historic site, and vernacular landscape. Culture geography includes landscape shaped by capital and power into Cultural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which covers accumulated things by people is matched to goal of public design. While law of landscape has administrative view to landscape to manage efficient use of land, cultural landscape has generative approach to landscape. As role of public design shifts from creating physical space to solution of social problems, approach of cultural landscape is accorded to new direction of public design. Considering properties of cultural landscape, the planning including research for regional culture at initial stage has huge importance. Since cor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is interaction of environment and human, public design should be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citizen. For originality of region and diversity of landscape, cooperation of professional fields is required.

      • KCI등재

        고령자의 보행 지원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 연구

        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고령자의 의료비는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다. 걷기는 고령자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건강유지 수단으로서, 많은 연구에서 고령자의 걷기는 고령자의 건강 유지와 더불어 의료비 절감, 커뮤니티 활성화 등 많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고령자를 위한 보행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로 진행된다. 고령자의 걷기는 쾌적하고 안전하며 편리한 보행환경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고령자의 걷기를 장려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국내의 걷기 좋은 가로조성 사업은 도심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구도심, 농어촌마을과 괴리를 보이고 있다. 고령자를 위한 보행환경은 고령자의 신체, 인지적 특성을 고려와 더불어 보행행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고령자들이 걷기를 통한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보험 등의 복지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고령자를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은 미시적으로 고령자 행태에 기초한 가로환경 조성과 민간과 공공의 협력을 통한 걷기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있다. 거시적, 장기적 관점에서 콤팩트시티의 개념을 적용한 보행자 중심의 도시로 공간구조가 개편되어야 한다. The pace of Korea toward aged society is singular in history. It brings the huge social burden including medical cost for aged persons. Walking is the best methods to keep healthy of aged perso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public design policies of walk for aged persons to cope with hyper-aged society. It goes through by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Many studies show that walking of aged persons brings good health of them, reduction of medical cost, and vitalization of community. Many projects to make walkable streets in Korea focused on economic and cultural outcomes, which shows gab from practical needs of aged persons in rural area. Building safe and convenient pedestrian space is required for aged persons to walk. And programs are needed to encourage walking for aged persons. To build better pedestrian space for aged persons, It is Critical to consider of phys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 lifestyle and walking behavior of aged person. It is required to make a connection of walking and welfare program such as insurance to provide socio-cultural benefit for aged persons through walking. Policies of pedestrian space for aged persons are making walkable environment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nd enforcing social program to encourage walk with cooperation of public and private microscopically, and reforming walk-centered city structure applying compact city 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