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용자 경험에 기반의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리밍샤(Ming-Xia Li),조정형(Joung-Hyung Cho)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7 No.-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공공디자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부이다. 도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은 더욱 규범적이고 인간적인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필요하다. 어떻게 하면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사용자의 요구를 더욱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는 현재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이다. 이에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사용자경험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사용자 경험”은 점차 사회경제와 문화 발전의 유행어가 되고 있으며, 디자인과 관련된 많은 업계 분야가 '사용자 경험'의 발전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다. “사용자 경험”은 디자인 업데이트를 위한 종합적인 가치를 생각하고 검토한다.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의 특징, 기능, 종류 및 문제점을 조사·분석하고 사용자 체험을 결합해 평가한다. 먼저 문헌조사법을 통해 공공시설물의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둘째, 현장조사를 통해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을 분류하여 비교·평가하였다. 셋째, 우수한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에 기반의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현황을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으로 향후 미술관 공공시설디자인의 디자인 활용방향으로서 의미가 있다. Public facility design is an indispensable part of public design.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people need more normative and human design of public facilities. How to increase the user experience of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and further meet the user's needs is the problem facing public facility design.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User experience” is gradually becoming a buzzword for social economy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many industries related to design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user experience.” The “user experience” considers and reviews the overall value for design updates. The characteristics, functions, types, and problems of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user experiences are combined and evaluat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the user experience is clar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method. Second, through field surveys,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were classified, compared, and evaluated.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excellent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cases, the direction of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based on user experience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facility design at the Busan Museum of Art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and it is meaningful as a direction of design utilization of public facility design at art galleri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중국과 한국 공공기관의 인포그래픽 유형 비교 분석

        최진(Zhen Cui),김응화(Eung Hwa Kim)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6 No.-

        본 연구 목적은 빅데이터 시대 인포그래픽의 의미를 고찰하고, 중국과 한국의 공공기관 인포그래픽의 활용 현황과 표현방식을 비교 분석해 디자인 문제를 발견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중국과 한국의 주요 업무가 같은 6개 공공기관이 홈페이지에 게시한 인포그래픽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국내외 정보디자인 관련 논문 및 문헌 자료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해 중국과 한국의 공공기관 인포그래픽 실증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우수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해 중국과 한국 공공기관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장단점을 찾아냈다. 연구 결과는 공공기관과 인포그래픽의 관련성이 기관 기능과 정보의 성질을 근거로 그래픽, 색채, 서체, 레이아웃 등의 요소에 대한 디자인 배열을 통해 대중의 인지 본능을 유도하고 정보의 소통과 전달을 촉진한다. 분석 결과 중국과 한국의 공공기관 인포그래픽은 흡인력, 간결성, 탈문자화 측면에서 자체적인 미흡함이 있어 공공기관 인포그래픽의 디자인 원칙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value of infographics in the era of big data,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sentation of infographics in public authorities in China and Korea, identify problems in the design of infographics in public authorities, and propose solutions. The infographics published on the official websites of six public authorities with the same main operations in China and Korea were used as the object of stud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first, an explor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and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information design.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of empirical examples of infographics in Chinese and Korean public authorities was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based survey and SPSS statistical methods. Thirdl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fographics design in Chinese and Korean public authorit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outstanding design works. The findings are that the relevance of public authorities to infographics is based on the functions of the authorities and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and that the design and arrangement of graphics, colors, fonts, and typography are used to guide the cognitive instincts of the public and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and delivery of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the Chinese and Korean public authorities infographics are lacking in attractive, simple, and wordless with the public, and therefore research into the design principles and methods of public authorities infographics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한국 공공디자인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최성호(Choi Sung Ho)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1 No.-

        2005년 공공디자인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진 후 현재까지 공공디자인은 수많은 정책과 사업, 연구의 성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한국 공공디자인의 15년간 변화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으며, 개별적인 사업에의 참여 또는 몇몇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들과 같은 파편적 형태로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고 있다. 또한 공공디자인 학문분야에 처음 입문하거나 행정분야, 사업분야의 업무를 시작하는 담당자에게도 연대기적 기록과 정리된 역사적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05년 공공디자인의 태동부터 현재까지 추진되어진 정책과 주요사업, 법제도의 추진 및 공공디자인법의 탄생, 공공디자인 진흥계획과 실태조사 등 주요한 사건을 가급적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면서 사업의 의미와 성과, 한계와 문제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의 결과 한국 공공디자인의 역사를 ‘태동기’, ‘확산기’, ‘제도 도입기’, ‘진흥 초기’의 네 가지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특징적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디자인 학문분야에서 역사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뿐 아니라, 흩어져 있는 개별 사건과 기록들을 학문적 틀로 정리해 제공함으로써 관련 연구 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coined word “public design” was coined in 2005, public design has shown the achievements of numerous policies, projects, and research. However, the record of changes in Korean public design over the past 15 years is not clear, and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information in fragmentary forms such as participation in individual projects or research results of some researchers is required. In addition, chronological records and organized historical records are very important for those in charge of entering the public design field for the first time or starting work in the administrative and business field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project is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inception of public design in 2005 to the present, major events such as policies and major projects, the promotion of legal systems and the birth of the Public Design Act, and public design promotion plans and surveys and perform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story of public design in Korea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birth period , diffusion period , act introduction period , and early promotion period , and the characteristic contents of each period were summarized. Through this, not only will it be possible to provide a basis for histor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in the future, but it will also be possible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lated research fields by organizing and providing scattered individual events and records in an academic frame.

      • 디자인기획, 건축기획, 행정기획의 비교를 통한 공공디자인 기획의 특성 연구

        강성중(Sung Joong Ka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5 No.-

        기획은 공공디자인 사업의 전략과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적 행위이나 공공디자인 기획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이론 정립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디자인 경영에서의 디자인기획, 건축기획과 행정기획을 공공디자인 기획과 비교함으로써 공공디자인 기획의 개념과 특성을 구체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비교 분석으로 진행되며, 비교 대상은 기업의 디자인 기획, 건축서비스산업의 기획 업무, 행정 기획의 이념으로 한정하였다. 기획은 사업을 위한 절차와 과정을 의미하는 반면 계획은 구체화된 활동 목표와 수단을 지칭한다. 디자인 경영에서 디자인기획은 제품, 공간, 브랜드, 서비스 등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단계로서 전략적 관점의 총체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기획은 기업의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고 시장과 소비자 분석을 통해 기업 디자인 개발의 방향을 설정한다. 행정에서 기획은 법적, 경제적, 정치사회적 이념을 가져야하며, 공공성을 중시하는 공공디자인 기획에서도 동일한 이념에 적용되어야 한다.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은 공공건축을 위한 기획의 역할과 범위를 규정하고 있으며, 건축기획 업무 가이드라인을 통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공공디자인 기획은 일반적인 디자인 기획과 달리 공익을 위한 철학과 가치를 가져야 하며, 기업의 디자인과 차별되는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절차와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Although planning is core action to set up strategy and direction of public design projects, academic studies for public design planning are not sufficient. The study aims to shape up notion and properties of public design planning through comparison of design planning at corporate management, adminstration planning, and architecture planning. The study is done by literature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focuses on design planning at private companies, planning tasks at architecture planning, and ideologies at administration planning. While planning means procedure and methods for projects, plan means detailed activity goals and steps. Design planning at design management is overall activity of strateg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process for design development of product, space, brand, and visual output. Design planning establishes design strategies for companies, sets up the direction of corporative design development through analysis of market and customers. Planning at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have legal,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ideologies. Public design planning should share ideologies of administration planning for publicity. Architecture service promotion law defines roles and range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guideline for architecture planning presents detailed methods. Public design planning should have philosophy and value for public interest, and procedure and methods to secure publicity.

      • KCI등재후보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공공시각매체 관련 규정에 관한 고찰

        은덕수(Duk-Soo Eun)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7 No.-

        Public visual media is a Public Design area that plays a major role in promoting public design. In terms of public visual media, based on the Act on Public Design Promotion, most local governments are presenting directions for integrated improvement through enactment of public design promotion ordinances, establishment of public design guidelines, and operation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mittee. but road signs, traffic safety signs, and private information signs are all separated and treated as separat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visual media, focusing on traffic safety signs and public design guidelines, defined its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ce, individuality, ambiguity, inefficiency and non-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items were derive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hierarchy of public visual media consider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integration of facilities and standardization of location, and the role of integrated administrative coordination of public design. 공공시각매체는 공공디자인 진흥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공공디자인 영역이다. 공공시각매체는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을 토대로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공공디자인진흥 조례 제정,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 수립,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운영 등을 통해 통합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공성을 지닌 대표적 시각매체인 도로표지, 도로명판, 교통안전표지, 사설안내표지 등은 설치와 관리 등의 행정이 모두 분리되고 개별적 시설로 다루어져, 경관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내기능을 서로 약화시키는 등의 근본적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공공시각매체 현황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다양한 규정들을 검토하고, 그 중 공공디자인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교통안전표지 관련 규정과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의 세부 항목들을 점검하여, 공공시각매체의 핵심 문제와 특성을 독립성, 개별성, 모호성, 비효율성과 비체계성으로 정의하였으며, 공공시각매체의 당면과제 해결과 관련 규정의 개선을 위하여 경관특성에 따른 공공시각매체의 통합적 정보위계 구현, 시설물 통합과 설치 위치 표준화, 통합적 행정 조정자로 공공디자인 역할 확대 등 세 가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 한국 공공디자인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최성호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2 No.-

        2005년 공공디자인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진 후 현재까지 공공디자인은 수많은 정책과 사업, 연구의 성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한국 공공디자인의 15년간 변화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으며, 개별적인 사업에의 참여 또는 몇몇 연구자들의 연구성 과들과 같은 파편적 형태로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고 있다. 또한 공공디자인 학문분야에 처음 입문하거나 행정분야, 사업분야의 업무를 시작하는 담당자에게도 연대기적 기록과 정리된 역사적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05 년 공공디자인의 태동부터 현재까지 추진되어진 정책과 주요사업, 법제도의 추진 및 공공디자인법의 탄생,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과 실태조사 등 주요한 사건을 가급적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면서 사업의 의미와 성과, 한계와 문제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 해 연구의 결과 한국 공공디자인의 역사를 ‘태동기’, ‘확산기’, ‘제도 도입기’, ‘진흥 초기’의 네 가지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특징적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디자인 학문분야에서 역사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뿐 아니라, 흩어져 있는 개 별 사건과 기록들을 학문적 틀로 정리해 제공함으로써 관련 연구 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coined word “public design” was coined in 2005, public design has shown the achievements of numerous policies, projects, and research. However, the record of changes in Korean public design over the past 15 years is not clear, and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information in fragmentary forms such as participation in individual projects or research results of some researchers is required. In addition, chronological records and organized historical records are very important for those in charge of entering the public design field for the first time or starting work in the administrative and business field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project is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inception of public design in 2005 to the present, major events such as policies and major projects, the promotion of legal systems and the birth of the Public Design Act, and public design promotion plans and surveys and perform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story of public design in Korea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birth period', 'diffusion period', 'act introduction period', and 'early promotion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 contents of each period were summarized. Through this, not only will it be possible to provide a basis for histor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in the future, but it will also be possible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lated research fields by organizing and providing scattered individual events and records in an academic frame.

      • 지역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방향에 관한 연구

        최성호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18 공공디자인학연구 Vol.3 No.1

        공공디자인법이 제정 시행되고, 중앙정부 단위의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 합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리고 여러 지자체에서 공공디자인 진흥 조례가 본 격적으로 제정되면서, 법률 및 조례에 의한 지역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수 립해야 할 시점에 놓였다. 그러나 지역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에 대한 방향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지방자치단체 등에서의 접근에 어려움이 있어 다양 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법에 명시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특성과 지향성을 파악하고,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 획과 지역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연계성 부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 고 과거 공공디자인법 이전의 지역 공공디자인 계획 수립의 문제점을 밝혀 향후 지역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시 필요사항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협력적 조직구성, 초기 단계 프로세스 관여중심의 사업, 주민 의 생활체감을 위한 지역 현안중심 접근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blic Design Act was enacted and the first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of the central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Ordinance has been enacted in various municipalities, and it has been put in place at the time when the local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by laws and ordinanc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the local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it is difficult to access from the local governments.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grasped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specified in the Public Design Law and tried to understand the linkage between publ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and local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In addition, it clarifies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public design plan in the past, and summarizes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the local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 a project centered on the early stage process, and a regional issue - oriented approach to the residents' life experience.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공공공간디자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부산 유라시아플랫폼을 중심으로

        양명인(Yang, Ming-Yin),조정형(Cho, Joung-Hyu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2 No.-

        본 연구에서 스토리텔링은 공공디자인과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연구로 이어 질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공공디자인에 대한 분석연구를 진행하고, 그 중에서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스토리텔링을 통해 더욱 특색 있게 공공디자인의 미래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크게 보면 3가지로 되었다. 첫째, 기본적인 이론적 고찰, 둘째는 주로 본 연구 영역의 현황과 필요성, 중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사례를 조사한다. 셋째, 본 연구에 혁신 대상지 연구이다. 대상지 부산역 및 유라시아플랫폼의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최종은 설문결과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도출한다. 본 연구는 필요성에 관해서만 조사하였으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공공디자인의 구체적인 실행에 관한 연구의 한계가 있으며, 이 부분은 향후 연구에서 진행 할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공공디자인 영역에서 위상을 높임으로써 더욱 발전이 되고 연구가 되어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In this study, storytelling can be conducted through public design and fit. Through this study, the goal is to conduct analysis studies on public design from different angles, to find out what can be supplemented,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public design in a more distinctive way through storytelling. There were three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First, it is a basic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case studies are mainly conducted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is study area. Third, this study is a study of innovation targets.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the target Busan Station and Eurasian platform and conduct a survey. Finally,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to derive research results on the necessity of public design to which storytelling is applied. Although this study only explored the need, there is a limit to research on specific implementation of storytelling-applied public design, which will be seen in future research, and we hope that this study can be further developed or utilized by increasing its status in the public design area of storytelling.

      • 도시 공공공간에서 영상전시 디자인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임소남(Ren, Xiao-Nan),조정형(Cho, Joung-Hyu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2 No.-

        본 연구는 도시 공공공간을 연구범위로 하여 국내외 도시에서의 영상전시 현황을 조사하여 영상전시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영상전시 디자인의 도시 공공공간에서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구방법은 해외 관련 사례를 조사하여 도시 공공공간 영상전시 디자인의 발전상을 파악하고, 영상전시 디자인의 표현방식을 연구하여 도시 공공공간에서의 필요성을 분석한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전시 중 화면 크기가 시각 체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영상전시 과정에서 관람객과 상호작용 부족하다. 셋째, 도시 공공공간에서 영상전시 콘텐츠의 공공성이 약하다. 즉, 도시 공공공간에 영상전시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 충족이 부족하다는 연구의 결과가 나왔다. 영상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이를 개선하고 도시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공공성도 요구된다. 본 연구가 도시 공공공간의 영상전시에 대한 효과적인 디자인 방식과 명확한 발전 방향을 제공하기를 기대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video exhibitions in domestic and foreign cities with urban public spaces as the research scope, finds out how to apply them to video exhibition designs, and raises the need in urban public spaces of video exhibition design.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the necessity in urban public spaces by investigating overseas-related case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urban public space image exhibition design, and researching the expression method of image exhibition desig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screen size during image display may affect the visual experience. Second, there is a lack of interaction with visitors during the video exhibition process. Third, the publicity of video exhibition contents in urban public spaces is weak. In other words, a study found that people s needs for the interactivity of video exhibitions in urban public spaces were insufficient. The content of the video is relatively simple, which improves it and requires close publicity with the lives of urban residents.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effective design method and clear development direction for image exhibitions in urban public spaces.

      • 서울시 디자인 정책으로서의 도시 공공미술 현황과 개선 필요성

        박재은(Park, Jae-Ean),장영호(Jang, young-Ho)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2 No.-

        본 논문은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한 공공미술 정책의 흐름을 통해 작가주의를 넘은 도시형 공공미술의 필요성을 설명하며 도시디자인정책으로써의 서울시 공공미술 정책사례를 소개한다. 더불어 제도적 관점에서 공공미술과 관련되어 혼재되어있는 관련 제도들을 살펴본다. 특히 유관 정책으로 공공디자인진흥법과 조형물(造形物)을 다루고 있는 여러 제도들간의 관계성 정리를 통해 공공미술 정책발전의 필요성을 비평적인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현재 공공미술 정책은 다양한 이유로 각자 다른 법령에 의해 외연을 확장하고 있으나, 중심을 이루는 모법(母法)의 부재로 조형과 관계된 시설, 물품 등으로 각 유관법령 안에 분산되어 적용되고 있는 제도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공공미술 정책 발전의 방향 모색을 위하여 교차적 영역으로써 공공디자인분야에서 선행된 법제도화와 기준정비의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공공미술 정책진흥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thesis explain the need for urban public art in urban space beyond the artistism through the flow of public art policies, and introduces the cases of urban art projects in Seoul city as an urban design policy. In addition, from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looks into the related policies and deliberation systems confusedly mixed with public art. Especially, the necessity to develop public art policies is explain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by the theorem orga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Act and various institutions dealing with sculptures. Currently, although the public art policy expands its boundary by other different laws for various reasons, there are systematic problems distributed and applied in related laws such as facilities and goods for sculptures due to absence of mother law.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ture public art policy promotion by comparing with preceding legal systems and revised regulations for public design art a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