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강성기(Kang, Seong-gi),정광중(Jeong, Kwang-Jo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를 사례로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리 밭담은 대부분 외담이면서 곡선형이 많고, 최근에 시멘트 밭담이 출현하고 있 다. 둘째, 밭담의 높이는 입지에 따른 특징이 있고, 밭담의 길이는 현장조사와 수치지적도를 통해서 16.514km(두 농 업 지구)로 산출되었다. 셋째, 하도리 농가들은 현재까지도 밭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데 이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서도 밭담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밭담의 지속가능한 보전 방안은 밭담 친환경적인 농업환경 개 선, 마을별 밭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밭담의 변형과 축조 시 지정된 조례에 의한 시행, 지역주민에게 밭담의 가치 인 식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existing forms and farmers’perception of the agricultural dry stonewalls under agri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case of Hado-ri, Gujwa-eup, Jeju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Hado-ri are most external walls, many of which are curvy. Concrete walls have recently shown up to enclose fields. Second, the height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var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ir length was calculated 16.514km(two farming region) based on a field survey and numerical cadastral maps. Third, farmers in Hado-ri perceive a great need for agricultural dry stonewalls. This means tha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have a sustainable value despite rapid social change. Fourth, the methods for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volve improving eco-friendly agricultural environment for the stonewalls, building database by village about them, carrying out their transformation and building according to promulgated ordinances, promoting the value of the stonewalls to Jeju citizens, and educating them to perceive the value of the stonewall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문화경관으로서 제주 밭담의 의미 탐색

        강성기 ( Seong Gi K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3

        문화경관은 인간이 자연을 접하는 과정에서 창출된 의미체로서, 자연 속에서 인간이 생존해 온 자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적인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의 다양한 문화경관 중 밭담을 문화경관으로서의 의미와 가치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밭담은 제주도가 화산섬이라는 지역성과 깊게 연관되어 존재하는 경관요소이다. 둘째로, 밭담은 강한 바람의 영향에 적응한 제주주민들의 지혜와 함께 공동체적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경관요소이다. 셋째로, 밭담은 오랜 세월 동안 이어온 지속가능한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넷째로, 밭담은 그것이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현무암뿐만 아니라 퇴적암(층)과 조면암 등을 활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로, 밭담은 농경지와 농경지 사이를 구분 짓는 경계 기능을 통하여 특정지역의 토지이용의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지표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주의 밭담은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경관으로서 제주의 지역성을 이해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문화 유산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cultural landscape has been regarded as a characteristics value showing the trace of every human being`s survival in the nature as well as a meaningful object created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field walls in Jeju Island as the cultural landscape among many 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walls are a type of landscape existing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as a volcanic island. Second, the field walls show the wisdom and communal living shown by th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who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influence of the strong wind. Third, the field walls hold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which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Fourth, the field walls show the utilization of basalt, sedimentary rock (layers) and trachyte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field walls are located. Fifth, the field walls work as the indicato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land use pattern of a specific region through the boundary function to devide between farmlands. Therefore, the field walls in Jeju Island possess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bsolutely required for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landscape of Jeju Island.

      • KCI등재

        울릉도 돌문화경관 연구

        강성기 ( Seong Gi Kang ),정광중 ( Kwang Joong-jeong ),정주연 ( Ju Yun Jung ),김지수 ( Ji Soo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의 돌문화경관에 대해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릉도의 돌문화경관은 크게 신앙용, 생활용, 경제용 경관 요소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매우 드물게 존재한다. 신앙용 경관 요소는 50여 기의 고분(군)과 신당 돌담이 있고, 생활용 경관 요소는 가옥 및 마을길 주변에 변형된 돌담이 드물게 있으며, 이 외에 용천수 돌담 등이 있다. 경제용 경관 요소는 농경지에 토양 유실 방지를 위한 돌담(축담) 정도가 있다. 둘째, 이렇게 울릉도의 돌문화경관이 탁월하지 않는 이유로는 울릉도가 조면암질 및 현무암질 집괴암 용암류로 구성되어 주민들이 주변에서 돌 자원을 구하기가 쉽지 않은 자연환경적 조건과 함께 울릉도 이주민들이 울릉도에 정착하는데 있어 고향의 문화속성을 고수한 배경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one cultural landscape of Ulleung Islan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one cultural landscapes of Ulleung Island are largely divided into religious, living, and economic landscapes, but it is very rare overall. As for the religious landscape, there are about 50 tombs and the stone wall of the shrine(Sindang), and for the living landscape, there are few deformed stone walls around houses and village roads, and there are the Yongcheonsu stone walls. For economic landscapes, there is only a stone wall(chukdam) to prevent soil loss in agricultural land. Second, the reason why the stone cultural landscape of Ulleung Island is not outstanding is that Ulleung Island is composed of trachyte and basalt collective rock lava, and Ulleung Island migrants adhered to the cultural attributes of their hometown in settling in Ulleung Island.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 : 제주 돌담 경관과 유럽 보카쥬 경관의 사례 비교

        강성기(Seong Gi Kang) 제주학회 2010 濟州島硏究 Vol.34 No.-

        지역을 잘 이해한다는 것은 지역에 대한 많은 사실들을 모두 열거할 수 있다고 해서 잘 이해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 보다는 대상 지역의 지역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하지만 현행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재를 살펴보면 내용이 연관되지 않고 끊어지며, 어떤 원리에 의한 것보다는 단순한 사실 나열에 치우친 경향이 많다. 지역의 지역성을 잘 드러나는 것 중 하나가 문화경관이다. 문화경관은 자연과 인간이 만나서 만들어낸 가시적·정신적 상호관계를 나타내면, 자연 속에서 인간이 생존해 온 자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습할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인 제주 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제주 의 대표적인 문화경관인 돌담 경관 을 선정하였고, 비교 대상으로써 이와 비슷한 모습을 지닌 유럽 보카쥬 경관 을 통해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교재화 하였다. 교재의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수업에 적용 후 학습자와 참관 교사의 질문지를 분석하여 파악했다. 본 연구는 단순한 사실을 나열해 놓은 현행 지역화 교육 내용을 학습자들에게 의미 있게 학습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의 관계들을 비교 지역 관점을 제시하고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재에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Understanding an area is knowing the concepts of elements characterizing the area correctly and examining how the concepts are interconnected with one another. In today s localize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owever, contents are disconnected and most of them are merely listing facts without organization based on a certain principle. One of factors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area is its cultural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represents visible and spiritual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and displays the traces of human life clearly, so it is worthy of learning. Thus, in order to help learners understanding of Jeju , the present researcher s space of life, this study selected stone wall landscape , a representative cultural landscape of Jeju , and extracted elements of learning and produced a teaching material through comparing it with similar European bocage landscape . In order to test the learning effect of the teaching material, we applied it in an actual class and surveyed the learners and participant teachers after the cla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cross area comparison as a method for teaching the contents of localized education, which simply enumerated facts, and to discuss its utilization in localize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by doing so, to show the importance of cross area comparison.

      • KCI등재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부도 구성 및 내용 비교 연구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강성기 ( Seong Gi K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부도의 전체적인 구성체제와 내용체계에 대해주로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비교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현행 사회과부도는 사이즈가 큰 판형 체제로 변화하여 관련 자료가 많이 탑재되었고 또 자료 자체의 크기도 커진 영향으로, 이전의 사회과부도에 비교하면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는데 크게 일조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영역별 내용의 양적 구성에서는 지리영역과 역사영역에서 본문이 모두 대폭 증가한 대신에 부록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였다. 특히, 현행 사회과부도에서는 기존의 사회과부도와는 달리 ‘지리 주제도’ 편을 따로 편성하여 우리나라와 세계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도를 제시함으로써 학습 자료로서의 구체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있으며, ‘학습 활동지’ 편은 기존사회과부도에서 소홀했던 지도학습이나 국내·외 인문환경과 자연환경 관련 주제에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부록’ 편에서는 지명(또는 위치) 찾는 방법에 대하여 기존 사회과부도의 경선과 위선이라는 지리 용어 대신에 ‘쪽수’, ‘세로열’, ‘가로행’이라는 일반 용어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추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점은 적어도 5∼6학년의 고학년 군에서는 경선과 위선이라는 지리 용어의 개념 습득이 필요하다는 사실과 관련지어 볼 때 앞으로 다소 수정·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구성적 측면에서는 학습의 효용성이 전제된 실질적인 사진자료가 대폭 추가되었고, 그림자료와 도표자료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지역에 대한 모습과 시기에 따른 변화모습을 한층 더 상세히 안내하고 있다. 지도자료는 우리나라와 세계에 대한 일반도와 주제도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최근의 국·내외 변화 상황을 정확하게 담아내고 있고 또 전체적으로 지도의 축척이 커짐과 동시에 우리나라와 세계의 대륙별 지도를 세분화하여 제시한 점 등이 기존 사회과부도와는 비교되는 특징으로 주목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overall composition and content systems of the elementary school atla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and 2009,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geography conten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current atlas changed to be bigger in size, a lot more relevant data was printed. The data size increase is judged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have more interest in and pay more attention to the atlas, compared to the previous atlas. Concerning quantitative composition by subject domain, the main text was greatly increased in terms of geography and history content, but the appendix was relatively decreased. In particular, the current atlas separately organized geography thematic map parts, unlike the previous atlas: concreteness and utilization as learning data are enhanced by presenting various thematic maps related to Korea and the world. The learning activity part enables self-driven learning by the students regarding map learning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human environments and natural environments, which were neglected by the previous atlas. The appendix part seeks to be learner friendly by using general terms such as number of page, vertical row, and horizontal column, instead of geographical terms such as longitude and latitude that were used by the previous atlas as the method to find place names. However, this part needs to be slightly revised and supplemented in relation with the fact that higher graders (fifth to sixth graders) need to learn geographical terms such as longitude and latitude. From the aspect of data composition, realistic photo data had been greatly expanded to enhance learning utility, and a more detailed guide to images related to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eas and changed images, according to period, is presented in the figure and chart data. The map data shows many changes, centered on general maps and thematic maps of Korea and the world. The map data, especially, reflects accurately recent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the map scale has become larger overall. Also, map presentation by segmenting the Korean map and the world map by continent is a striking addition to the previous atlas.

      • KCI등재

        제주 선흘 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강성기 ( Seong Gi Kang ),최형순 ( Hyung Soon Choi ),김찬수 ( Chan Soo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nalyzed charcoal production among other economic activities of the residents in Seonheul Gotzawal in Jeju Islan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wo types of charcoal kilns in Seonheul Gotzawal. One is called the Gomsoot kiln that has an arch-shaped top and the other is a disposable charcoal kiln(discarded kiln) where the fireplace(site) to make charcoals has only been discovered. In terms of time periods when both types of kiln were used, the Gomsoot kilns were used approximatel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disposable kilns were used from the perio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1945) to the 1960s. These kiln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ose areas that are fairly abundant in ingredients such as charcoals, lumbers(woods) or other materials essential to building kilns including stones, soil, and water(water bucket). Second, the disposable charcoal kilns were mainly used by the generation after liberation. The process of making charcoals with kiln takes place in the following order: selecting the site→obtaining ingredients→building kilns→holding a ritual ceremony→making fire→pouring water→taking away the stones→taking out the charcoals. The size of the disposable kilns, in particular, vari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wood and the whole process of charcoal production took about seven to twelve days. Third, the Gomsoot kilns(first stage) in their original forms discovered at examination are regarded as having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that is high enough to be designated as a local cultural asset, given the period or the remained form.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perate a system to preserve the remnant Gomsoot kilns.

      • KCI등재

        반도부의 숯가마 실태와 숯 생산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연구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과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을 사례로

        정광중(Jeong Kwang-joong),강창화(Kang Chang-hwa),강성기(Kang Seong-gi),부혜진(Bu Hye-jin)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6 No.-

        본 연구는 제주도의 숯가마 형태와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도부의 숯 생산지역을 탐방하여 실마리를 얻고자 시도되었으나, 현 시점에서 그 단초를 찾기에는 이른 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소 부족하지만 이번에 현지 조사한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은 1960년대 이전부터 숯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조사 시점에서는 13개 농가가 일정한 부지 내에서 참나무 숯을 생산하고 있으며, 한 농가를 제외한 모든 농가가 검탄이고 이들은 전국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판매되고 있다. 진천군 백곡면의 숯가마는 일정한 부지 내에 고정시켜 연중 생산하는 개량된 숯가마 형태라 할 수 있는데, 과거와는 달리 숯가마의 규모가 다소 커진 상태로서 여러 개의 숯가마를 연계시켜 동시다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과거와 비교할 때 숯가마의 구조에서 달라진 점은 아궁이의 위치 정도이고, 그 외에는 숯가마를 지탱하는 내·외벽 재료가 현대화(철제 빔, 철제 연통 등)됨에 따라 크기와 위치가 변화한 정도이다.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은 백탄 위주의 생산지역으로 추측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숯 생산농가의 정량적 실태 파악은 물론 과거의 숯가마와 현재의 숯가마 사이의 변회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현지 조사한 농가의 숯가마와 숯 생산정보를 토대로 생각해 보면, 영월군 상동읍도 과거보다는 숯가마의 규모가 다소 커지고 동시에 현대로 오면서 여러 개의 숯가마를 연계하여 대량 생산화를 꾀하는 과정만큼은 분명하게 걸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현재 상동읍에서 백탄을 생산하는 농가의 사례와 함께 숯가마를 활용한 현대식 숯 치유센터를 만들어 활용하려는 사례에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제주지역 숯가마의 원류를 찾기 위한 반도부와 국외지역과의 비교 연구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gain dues by inspecting charcoal production areas on the peninsula as a means to identify the form and structure of charcoal kilns on Jeju Island. The results are inconclusive at this point but the following findings summarized in the field research below do provide indicators. Baekgok-myeon, Jincheon-gun in Chungcheongbuk-do has been widely known as a charcoal producing area before the 1960s. 13 farms were producing oak charcoal within a certain scope of these areas at the point of research, and all farms, except for one, were producing black charcoal and selling it for multiple purposes nationwide. Charcoal kilns in Baekgok-myeon, Jincheon-gun can be referred to as improved forms that make charcoal year around by being installed within the parameters of certain types of areas. These charcoal kilns increased in size from those in the past with systems of mass production by connecting several charcoal kilns simultaneously. Compared to the past, what changed in the structures of charcoal kilns are furnace locations as well as the size and place of charcoal kilns, due to the modernization of inner and outer wall materials that support these charcoal kilns. Sangdong-eup, Yeongwol-gun in Gangwon-do is estimated as an area that mainly makes white charcoal. Due to the lack of relevant data, it is difficult to discuss in detail the actual quantitative conditions of charcoal producing farms in conjunction with their past/present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is research. However, given the information of charcoal kilns and charcoal production information farms researched, the size of charcoal kilns in Sangdong-eup, Yeongwol-gun had increased from the past, and there was a dear process of pursuing the mass production of charcoal by connecting several charcoal kilns as of late. This is sufficiently apparent in the case of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ized charcoal healing center used in combination with charcoal kilns, as well as in the case of white charcoal production farms in Sangdong-eup. Lastly, it is recommended to continue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peninsula and overseas areas to find the origins of charcoal kilns located on Jeju Island.

      • KCI등재
      • 難削材의 超硏磨材 加工特性에 관한 硏究

        이준호(Jun-Ho Lee),김원일(Won-Il Kim),이윤경(Y. K Lee),강성기(Seong-gi Kang) 한국산업융합학회 2005 한국산업응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terests in advanced materials have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due to their unique physical, chem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instance, the heating treated super alloys, one of the harder materials on the earth,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areas because of its high hardness. The grinding for hard-to-machine materials, such as ceramics, super alloys etc., has proven to be very difficult. In order to conduct high efficiency machining of such materials, grinding process using super abrasives wheels and applying suggested truing method have been attempted on a surface and profile grinding machine. This study explains the effects of grinding parameters, and grinding technologies using super abrasives have been evaluated in view of surface roughness, grit sizes, grinding resistance as well as loading in continuous grinding of workpie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