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과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침습적 반추와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강선모(Kang Sun Mo),임혜경(Lim Hye 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과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는 변인인 침습적 반추와 탈중심화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여론 조사 업체에 의뢰하여 업체가 보유한 전국의 패녈 53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5일부터 21일까지, 7일간 실시하였다. 학교폭력 피해경험, 침습적 반추, 탈중심화, 삶의 만족을 측정하였으며, 이 자료들에 근거하여 상관분석과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모형 검증에 무리가 없음을 확인하고, 측정모형 검증, 구조 모형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차례로 실시하였다. 또한 개별 경로별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침습적 반추를 통해 삶의 만족에 이르는 간접경로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침습적 반추와 탈중심화를 통해 삶의 만족에 이르는 간접경로는 모두 유의하였다. 결론 과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개인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침습적 반추를 높이고 탈중심화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학교 폭력을 경험한 개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을 고려할 때 이전 학교폭력의 경험이 간접적으로 미친 영향을 살피고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 증가된 침습적 반추를 감소시키며 탈중심화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life satisfaction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decentering in early adulthood aged 19-24 years. Methods To this end, we commissioned a polling company to measure the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intrusive rumination, decentr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533 members of the panel that the company owns for 7 days from October 15th to 21st, 2020. Based on these data, we analyzed and measured basic statistic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sequentially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 indirect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6.12.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arly adulthood of the past school violence victim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both the indirect path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life satisfaction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indirect path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decentering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effect of the past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on life satisfaction as an overall evaluation of an individual s life act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intrusive rumination and decreasing decentering. Therefore, when consider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We will consider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previous school violence experiences, reduce the intrusive rumination caused by school violence, and increase decentraliz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과 초등학생 자녀의 그릿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강선모(Sun-Mo K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이 어머니 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그릿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관적 안녕감의 세대 간 전이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을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 사(KCYPS 2018)의 2차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생 자녀와 어머니의 응답이 모두 있는 2,417명 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 육태도를 향상시켰고,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은 자녀의 그릿을 향상시켰다. 둘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양육태도를 통해 간접영향을 미쳐 세대 간의 전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이 자녀의 그릿에 이르 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양육태도를 매개로 하는 경로,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을 매개로 하는 경로, 양육태도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의 모든 간접 경로가 유의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her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affects the mother s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grit, whether the intergenerational transition of subjective well-being occurs, and whether parenting attitude mediates the process. To this end, the secondary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used to analyze using data from 2,417 people with responses from bo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ot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mother improved the mother 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hild improved the grit of the chil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mother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hild,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ough the parenting attitude, resulting in a transition between generations. Third, the direct path from the mother s subjective well-being to the child s grit was not significant, but all indirect paths from the path through parenting attitude, the path through the child 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th through sequentially mediating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subjective well-being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s were conduct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부모화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강선모(Kang, Sun-M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시절 부모화가 이후 개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소재한 2곳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60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자기자비, 안녕감 검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을 통해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부분매개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이 자기자비와 안녕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는 유의미하였고, 자기자비가 안녕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매개효과 검증에서 부모화 불공평이 자기자비를 거쳐 안녕감에 이르는 매개경로는 유의한 것에 반해 부모화 돌봄이 자기자비를 거쳐 안녕감에 이르는 매개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self-compassion as a mediator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To this end, a total of 260 students in Busan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ir parentification, self-compassion, and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compare complete mediation models to partial mediation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Specifically,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In addition, self-compassion turned out to havedirect effects on well-being. However, self-compass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well-be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

        강선모(Kang, Sun Mo),조리경(Jo, Le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P도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1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부갈등, 유아의 우울⋅불안, 어머니의 부모분노 변인으로 이루어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에 근거하여 상관분석과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하였으며, 최종 채택된 모형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부모분노의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채택되었다.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이 유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이 유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어머니의 부모분노를 매개로 이르는 간접적 경로는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부부체계인 부부갈등이 유아의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부부갈등이 자녀의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로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자녀의 우울⋅불안을 감소시키는 개입을 위해 양육장면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부모분노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장기적 개입에 있어서는 부부갈등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infant’s depression⋅anxie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60 mothers of infants aged 3 to 5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15, 2020. Based on these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Confirm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and the fully mediated model, the fully mediated model was adop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dopted model was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 effect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the mother on the infant s depression⋅anxiety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path through mothers parent anger was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of the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the mother on the infant s depression⋅anxiety.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marital conflict can affect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infants,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 anger as a mechanism by which marital conflict affects the depression⋅anxiety of childre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explore mothers parent anger in the parenting scene for interventions to reduce depression⋅anxiety in infants, and also to examin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in long-term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강선모(Kang Sun Mo),형정은(Hyung J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 determine self-discrepancy as mediators. For this study, 432 college students(215 men & 217 Women) in Busan answered the questionnaire set about family strength, self-discrepancy, and career indecision from March 2 to 11, 2017. Th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which could make work basic data structure model validly and AMOS 2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family strength as general variable for predicting career indecision had impacted on career indecision directly. It indicated high family strength of college students decreased career indecision. Second, self-discrepa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This indicated that the family health, which is the developmental aspect of the individual from the structure of the family, affects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elf-discrepancy, which is an individual internal aspect. This conclusion provide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both family strength and self-discrepancy when we prepare intervention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career indecision.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32명(남: 215, 여: 217)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2일부터 11일까지 가족건강성, 자기 불일치, 진로미결정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 21.0을 이 용해 기초자료분석을 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해 구조모형 검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미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진로미결정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자기불일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구조로부터 오는 개인의 발달적 측면인 가족건강성이 개인 내적 측면인 자기불일치를 통해서도 전문대학생의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상담을 하는데 있어서 가족건강성과 자기불일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디자인 요소와 감성어휘의 Mapping에 관한 연구

        강선모 ( Seon Mo Kang ),백승렬 ( Seong Youl Paik ),박범 ( Peom Park ) 한국감성과학회 1998 추계학술대회 Vol.1998 No.-

        Design factors are very important and deterministic in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of products and environment. The final 30 adjectives were extracted from the Audio Unit.LCD Panel, the array of channel button and thenumber of channel button were chosen as a design factors at the Audio Unit. Then, we made the 8 types of prototype. with combining the design factors for experiment. Subjects rated the SD(Semantic Differential) evaluation sheets which have the 30 adjectives after watching each prototype. With the evaluated values, we simula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design factors and the adjectives using Neural Network. As a results, we could abstract the affective adjectives on each 8 type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ilities that we can infer the optimal design factors and types using Neural Network, if adjectives were given.

      • KCI등재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발 1. 염장조건의 최적화

        이원동,장동석,강선모,윤지혜,이명숙,LEE Won-Dong,CHANG Dong-Suck,KANG Sun-Mo,YOON Ji-Hye,LEE Myung-Suk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2

        재래식 창란 젓갈은 정치상태로 제조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염장 및 숙성 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높은 수분함량으로 변패가 빠른 단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조공정 중에 교반염장 과정 및 염지 유출수 제거과정을 도입하여 염장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원료창란에 $12\%$의 식염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10rpm으로 교반한 경우 염장 2시간만에 목표염도인 $11\%$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정치염장의 경우 6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비교하면 염장시간을 4시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교반염장 후 2시간째에 유출수를 제거한 경우의 Aw는 0.88이었으며, 반면 유출수를 제거하지 않은 창란의 Aw는 0.94인 것으로 나타나 높은 수분함량 때문에 나타나는 품질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Changran-Jeotgal (salt fermented viscera of Alaska Pollack) produced by conventional process has been exposed to several problems, such as quality variation, salty taste and relatively short shelf-life. Therefore, Improved manufacturing process of Changran-Jeotgal was designed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optimization of salting process. The result showed that salting stage must be maintained $11\%$ to acquire $8\%$ NaCl concentration of final products, when $12\%$ NaCl was added at $20^{\circ}C$, salting process was maintained $11\%$. Also, agitation with 10 rpm shortened salting time from 6 hours to 2 hours. To resolve the problem of water contents due to released extract from salting process, the released extract was removed at 2 hours after agitating-salting process, and it caused the water activity of products to be reduced from 0.94 to 0.88.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초기 성인기 생활만족도의 관계 :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태용(Ahn, Taeyong),강선모(Kang, Sun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만 19~24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3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학교폭력 피해경험, 용서, 침습적 반추,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 변인으로 이루어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회불안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알아본 후, 학교폭력 피해경험에서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여러 개별 경로의 단독 매개효과와 순차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모든 연구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불안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용서와 침습적 반추를 매개로 사회불안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을 매개로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개별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용서의 단독 매개효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침습적 반추의 순차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는 용서의 단독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침습적 반추의 순차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와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 및 용서, 침습적 반추,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용서 수준의 증진을 통해 침습적 반추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학교폭력 피해경험에서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ulthood,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Methods To this end, we collected 533 data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men and women aged 19-24 across the countr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posed of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the indirect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Then, the single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veral individual pathways from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the study variables.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i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ocial anxiety through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life satisfaction through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pathways,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social anxie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Moreover,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reduce social anxiety by reducing the level of intrusive rumination by enhancing the forgiveness level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Moreover, it shows the need for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pathways from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자기불일치가 전문대학생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진로미결정의 매개효과

        형정은(Hyung jung-eun),강선모(Kang sun-m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진로미결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588명(남: 270, 여; 318)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진로미결정, 안녕감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해 기초자료분석을 하였고 Amos 22.0을 이용해 구조모형 검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검증을 한 결과 부분매개 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전문대학생의 높은 자기불일치는 안녕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의 관계를 진로미결정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대학생에 안녕감에 연령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변인인 자기개념으로서 자기불일치가 연령 특수적 변인인 진로미결정을 통해서도 안녕감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에 있어서 자기불일치 수준과 함께 진로미결정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determine career indecision as mediators. For this study, 588 college students(270 men & 318 Women) in Busan answered the questionnaire set about self-discrepancy, career indecision, and well-being. Th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which could make work basic data structure model validly and AMOS 22.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indec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elf-discrepancy as general variable for predicting well-being had impacted on well-being directly. It indicated high self-discrepancy of college students decreased well-being. Second, career indeci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It indicated self-discrepancy as general variable for predicting well-being impacts on well-being directly and career indecision as variable reflecting the age characteristics. This conclusion provide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both self-discrepancy and career indecision when we prepare intervention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