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한국 고전문학 연구에 수용된 탈근대, 탈민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고미숙과 강명관의 논의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본고는 2000년대를 전후로 한국 고전문학 연구에 본격적으로 수용된 탈근대·탈민족 담론의 이론적 가능성과 한계, 정치적 효과 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특히 이 글에서 필자가 주목하고 비판적 고찰의 거점으로 삼은 것은 고미숙과 강명관이 제출한 탈근대·탈민족 담론이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탈근대·탈민족적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기존의 한국 고전문학 연구를 비판하는 고미숙과 강명관의 핵심적인 입장 혹은 논리를 탈근대주의, 탈민족주의, 탈문학주의라는 세 가지 논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해보았다. 이어서 3절에서는 고미숙과 강명관의 탈근대·탈민족 담론에서 충분히 해명되지 못했거나 간과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필자가 제시하고자 한 논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탈역사화된 근대 개념에 기반한 탈근대주의는 낭만적인 반근대주의·반문명주의로 치달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근대=서구적 근대=자본주의적 근대'라는 등식이 반드시 유효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보편적이면서도 다양한 '복수의 근대성'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고미숙에 의해 재구성된 연암은 표상체제의 동요를 통해 사회 현실을 내파하고자 하는 문화적 급진주의자의 형상에 가깝다. 민족/민족주의 담론 자체는 근대적인 발명품이지만, 중세에도 대외적인 종족의식과 대내적인 정치적 통합에 대한 관념은 존재했다. 탈근대적 문화 연구는 근대적 문학 연구에 의해 불구적으로 재단된 중세문학을 새롭게 재구성할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텍스트를 문화나 풍속의 한 풍경처럼 취급함으로써 텍스트에서 그 '깊이'를 제거해버리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ostmodernism/post-nationalism discourses that are in fashion within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is critique is targeted toward Go Mi-suk and Gang Myeong-gwan's discussions in particular, since they are the typical post-modernism/postnationalism theorists in the field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heir logic and positio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theses: post-modernism, post-nationalism, and post-literarism. These theses had a strong impact on both the academic society and popular readers, but they presented certain problems and issues. The absence of objective review about historical modern/modernity led to the romanticized notion of anti-modernti-civilization. Also, the equation of "modern=western modern=capitalist modern" is not always a valid one and the notion of "multiple modernities" should be considered. Surely, nationalist discourse is a modern construct, but medieval notion of ethnic and political integration that set people apart from what they have defined as the outside existed even before the modern. Post-modern cultural studies provide possibilities to reconstruct and rethink medieval literature that has been obscured and crippled by modern cultural studies, however, it also has a downside of depriving 'depth' of the textual interpretation by treating texts as mere part of some cultural landscape.

      • KCI등재
      • KCI등재

        고소설 해석의 방법과 윤리에 대하여- 몇 가지 단상과 제언

        강상순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8 No.-

        This paper aims to study several issues related to “analysis” which is common ground in both the research of ancient novels and in education. Ancient novels carry many implicit analytical issue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especially considers the implied analytical rules that should be followed by analysts while analyzing ancient novels. During this process, this paper reveals personal opinions about how bibliographies and analytics are related to the research of ancient novels and education and how an agreement is made during the process of analysis. In the third part, this paper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and analysts during the process of analyzation of ancient novels, and the roles of a “teacher" who leads an analysis of a text.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uses a number of psychoanalytical concepts such as “subject supposé savoir,” “pathological subject,” and the “analyst’s position," thus these concepts are considered to be useful tools to stud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exts and subjects. In addition, this paper also stresses that the “teacher" asks questions rather than provides answers. In the fourth and final section, this paper considers the purpose and ethics of analysis. First, it figures out the pros and cons of literary therapy which focuses on healing the reader’s pain through the analysis of ancient novels. And it also discusses the ethical attitude which the analyst must have while analyzing ancient novels by conceptually separating out “morality,” which is transcendentally provided by the community, and “ethics,” which is chosen by personal decision. 본고는 고소설 연구와 교육의 공통 기반이 되는 ‘해석’에 관한 몇 가지 문제들을 성찰해보기 위해 작성된 글이다. 고소설 해석에는 많은 해석학적 쟁점들이 내포되어 있지만, 특히 이 글의 2절에서는 고소설 해석에서 해석주체들이 암묵적으로 지켜야 할 해석학적 규칙들과, 다양한 해석들이 배치될 수 있는 방법론적 좌표들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그리고 고소설 연구와 교육에서 문헌학과 해석학이 지니는 위상과 상호 관계 등에 대해서도 논의해보았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고소설 해석에서 텍스트와 해석주체와의 관계, 텍스트 해석을 지도해야 할 ‘교사’의 역할 등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알고 있다고 가정된 주체’와 ‘병리적 주체’, ‘분석가의 위치’ 등 정신분석학에서 기원하는 개념들을 적극 활용하였는데, 이는 텍스트와 해석주체 간에 맺어지는 역동적인 관계를 성찰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개념적 도구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해석의 과정에서 ‘교사’는 답을 제시하는 역할이 아니라 오히려 질문을 던지는 역할을 맡아야 함을 역설했다. 마지막 4절에서는 고소설 해석의 목표와 윤리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고소설 해석에는 다양한 목표가 있을 수 있지만, 타자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한 주체의 성숙은 해석의 주요한 목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문학 해석이 주는 치유를 어떻게 이해하느냐 하는 문제는 고소설 해석의 목표와 윤리를 성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에 대해 필자는 공동체에 의해 선험적으로 제시된 ‘도덕’과 화용론적 상황에서 해석주체의 실존적 결단에 따라 선택되는 ‘윤리’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면서, 고소설 해석에서 해석주체가 지녀야 할 윤리적 태도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 KCI등재후보

        The regulation of FE65 through GSK 3β phosphorylation

        강상순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0 한국교육논총 Vol.31 No.2

        Glycogen synthase kinase 3β (GSK 3β) is a constitutively active sirine/threonine kinase that regulates many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by phosphorylating substrates such as β-catenin. In our previous report, we suggested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between GSK3β and FE65 (Mol. Cells 26. 100-105; 2008). We also noticed that the putative GSK 3β phosphorylation site is localized on the S245 and S249 residue of Fe65, with the consensus sequence information (S/Txxx(p)S/(p)T). Thus, we demonstrated in this study that Fe65 protein and the fluorescein-labeled Fe65 (Ser residue in 245QGNSP250) is phosphorylated by GSK 3β in vitro. Phosphorylation of the Wer245 residue was also demonstrated using a serine residue phospho-specific antibody and a site directed mutagenesis. The phosphor Fe65 was detected mainly in the nucleus, while a mutant of Fe65 *S249A) which does not undergo phosphorylation in the presence of GSK 3β was found primarily in the cytoplasm.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GSK 3β phosphohrylates the S245 and S249 residue of Fe65 and that phosphorylation promores th migration of Fe65 to the nucleus of the cell.

      • KCI등재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강상순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ree types of Guishin(鬼神) and to survey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first type is a tutelary spirit to support symbolic order of the neo-confucianism. The second type is victims of social violence and suppression. The third type is an alien substance that impossible to capture in the language of neo-confucianism. 본고는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출몰하는 다양한 형상의 귀신들을 성리학적 상징질서와의 관계에 따라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역사적 변모 양상을 검토하며 그 속에 투사된 역사적 주체들의 무의식적 관념을 분석하고자 한 글이다. 우선 필자가 1유형으로 분류한 귀신은 성리학적 가치와 도덕체계를 지지하고 종법적 가족질서를 수호하는 신령한 귀신이다. 『어우야담』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조령은 이 유형을 대표하는 귀신으로, 이들은 종법적 가족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현실에 출몰한다. 그런데 성리학적 귀신론에 반하여 개별적인 욕망과 의지를 지닌 채 후손들의 내면까지 감찰하는 이 父性的 귀신은 강화된 부권과 가문의식, 이로 인해 더욱 증식된 오이디푸스적 애증 갈등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자아로서의 귀신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2유형의 귀신은 성리학적 상징질서의 실패와 한계로 인해 발생한 귀신들로, 사회적 억압과 희생에 대한 공동체의 부채의식을 그 바탕에 깔고 있다. 원귀와 여귀로 대표되는 이 유형의 귀신들은 제대로 된 죽음을 요구하는데, 그런 점에서 이 유형의 귀신은 뒤틀려 발신되어 제대로 해독되기를 요구하는 일종의 사회적 증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3유형의 귀신은 성적 충동이나 사회적 적대, 죽음 같이 동시대의 지배적 도덕·가치·언어체계 속에 포획되기 어려운 근본적인 이질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귀신들이다. 어떤 목적도 의미도 알 수 없는 기괴한 사물로서의 이 귀신은 성리학적 상징질서에 근본적으로 포획 불가능한 실재의 차원을 상상적 이미지의 형태로 드러내는 존재들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고전과 해석 Vol.9 No.-

        본고는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받아들이고 실천하고자 한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정신세계에 어떻게 귀신이 귀환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우선 1절에서는 성리학적 사유체계와 귀신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성리학적 사유체계는 귀신을 자연원리화함으로써 혹은 자연의 운동 그 자체를 귀신화함으로써 인격적 실체로서 초자연적인 성격을 지닌 귀신의 존재 근거를 제거해버렸다. 하지만 성리학적 귀신론은 그 체계성과 논리성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의 틈새, 곧 이론적․윤리적․실재적 틈새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균열들을 안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2절에서는 이러한 틈새에 대해 검토한다. 우선 귀신을 음양의 운동으로 자연화하는 성리학의 역학적 우주론과 제사를 흠향하는 조상 신령의 실체적 존재를 요청하는 실천적 윤리학 사이에 이론적 균열이 존재했다. 이 틈새는 종법적 가족질서가 강화되고 유교적 상제례가 중시될수록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성리학의 일원론적이고 현세주의적인 사유체계와 목적론적이고 도덕주의적인 세계관 또한 심각한 자기모순 혹은 균열을 노출할 수 있다. 특히 전란이나 전염병, 사화나 당쟁 같이 부조리해 보이는 재난은 이러한 균열을 더욱 심각하게 인지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귀신에게는 성리학적 귀신론으로 결코 해소할 수 없는 비논리적인 존재감과 주체를 매혹하는 무의식적인 힘이 있다. 이는 성리학적 이념과 도덕에 의해 억압되거나 배척된 욕망과 충동들을 환기시키는 그와 같은 외밀한 존재들에게 주체의 무의식이 공명하기 때문이다. 귀신은 이와 같은 틈새들을 통해 상징화/의미화될 수 없는 실재가 환각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되돌아올 때, 그리고 주체가 상상적 이미지의 형태로 되돌아온 실재의 조각을 통해 틈새를 봉합하고 재구축하고자 시도할 때 출현한다. 3절에서는 특히 어우야담 에서부터 대거 출몰하기 시작하는 祖靈을 중심으로 그러한 귀신이 두드러지게 출현하게 된 역사적 맥락과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조령은 16세기 이래 사족층을 중심으로 고조된 상제례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적 열의를 타고 재래의 신비주의적이고 주술적인 귀신 숭배 관념과 결합하였다. 즉 재래의 다양한 귀신들을 배척하고 추방하여 생긴 빈 공간을 새롭게 채우며 존재론적 불안을 달래준 것은 조상귀신들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란으로 인한 도덕적 무규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성리학적 예의 규범, 특히 유교적 상제례를 더욱 강조했던 것도 이러한 귀신에 대한 믿음을 더욱 확산시킨 계기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러한 조령의 존재는 한편으로는 성리학적 가치와 도덕을 고무하고 지탱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성리학적 귀신론이 해체하고자 했던 주술적이고 신비주의적인 귀신 관념을 다시 불러들인다. 그런 점에서 조선 중기 이후 유교적 상제례와 함께 조령 숭배 관념이 확산되어 간 것은 유교화의 진전이면서 동시에 유교의 신비주의화 과정이기도 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guishins returned in the spiritual world of Joseon Dynasty scholar(士大夫). The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naturalized the supernatural being, or described movement of the universe as pantheism. Therefore, supernatural guishins was expelled in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But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had fissures of three dimensions: theoretical․ethical․réel fissures. First, there was the theoretical fissure between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that naturalized the supernatural being and the practical request that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ghosts undergone ancestral rites. Next, there was the ethical fissure between the secularism and moralism of neo-confucianism. Finally, there was the réel fissure between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that denied the supernatural being and a unconscious fascination to the guishin. Guishins returned through these fissures. Guishins revealed and sutured the fissures of the symbolic. The ancestral spirits was the representative present among these guishins returned. The ancestral spirits performed a role that supported the neo-confucian moral and patriarchal family system. But at the same time it reinstated mysticism that neo-confucian intellectuals was trying to deconstruct.

      • KCI등재

        Phosphorylation of human chromosome maintenance 1 mediates association with 14-3-3 proteins

        강상순,신성화 한국통합생물학회 2013 Animal cells and systems Vol.17 No.3

        Human chromosome maintenance 1 (CRM1) was originally cloned based on homology to a yeast gene. CRM1,which belongs to the family of importin b-related nuclear transport receptors, directly and specifically associates with nuclear export signals (NESs) and mediates nuclear export of proteins containing leucine-rich NESs. We present evidence that CRM1 associates with a 22-kDa 14-3-3 scaffolding protein that is a principal structural and regulatory component of Human embryonic kidney (HEK 293) cells. We found a potential 14-3-3-binding motif (1049KHKRQMSVPG1058) in the CRM1 C-terminal domain that depended on serine 1055 phosphorylation by Protein Kinase A (PKA).We demonstrated that CRM1 is a PKA substrate using an in vitro assay. Using a pull-down approach and co-immunoprecipitation, we found that CRM1 interacted with the 14-3-3 motif in vivo and in vitro. We also detected colocalization of CRM1 and 14-3-3 proteins using confocal microscopy. Nuclear pore localization of CRM1 was disrupted by treatment with a PKA activator or inhibitor or by a S1055D/S1055A mutation in the CRM1 14-3-3-binding motif. Transient transfection assays showed that the apoptosis rate of cells with the S1055D construct was twice that of cells with wild type (WT) or S1055A construct. Our observations indicated that phosphorylation on the serine 1055 residue of CRM1 by PKA promoted 14-3-3 binding and cytoplasmic localization, resulting in enhancement of cell apoptosis.

      • KCI등재후보

        조선 전기 성소화의 향유 양상과 존재 논리

        강상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2 No.-

        이 글은 조선 전기 사회에서 성소화가 어떻게 향유되었으며, 그것을 기록하고 향유한 사대부들의 지식체계 속에서 어떤 존재 근거와 위상을 지니고 있었는지 검토해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조선 전기 사회에서 성소화가 향유되는 구체적인 양상을 검토해보았다. 사실 『태평한화골계전』이나 『용재총화』 같은 조선 전기 소화·필기집에는, 구체적인 성 묘사가 없어 좁은 의미의 성소화로 분류할 수는 없을지라도, 성소화와 매우 유사한 웃음의 코드를 지니고 있는 외설적인 호색담 혹은 풍류담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전기 소화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와 같은 외설적인 소화들은 협의의 성소화와 유사한 문화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으며 유사한 향유의미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선 전기 성소화의 존재 논리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협의의 성소화만 예외적 별종처럼 주목하기보다 사대부 풍류담·호색담 같은 ‘유사 성소화’들도 포함해서 폭넓은 맥락에서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조선 전기 성소화의 존재 논리와 담론적 위상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조선 전기 성소화에는 당시 지배이념으로 군림했던 성리학적 이념에 반하는 요소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런데, 때로 도덕적 비판의 표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소화가 사대부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재생산·향유되었던 것은 그 나름의 긴요한 효용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 전기 성소화는 심심풀이라는 기본적 효용뿐 아니라 사대부 남성으로서 알아야 할 성에 관한 다양한 지식들을 자연스럽게 전수하는 성 교본의 역할 또한 수행했다고 여겨진다. 즉 성소화에는 제대로 된 ‘사람구실’·‘사내구실’을 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성에 관한 구체적이고도 경험적인 지식 혹은 지혜들이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성에 관한 지식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구축된 공적 지식체계에서 적절한 위상을 지니지 못하며 제대로 기입되기도 어렵다. 사람살이에 꼭 필요하지만 공적 지식체계 속에 등록되기 어려운 공공연하면서도 은밀한 지식, 유가적-성리학적 지식체계의 결여를 은밀히 보충하면서도 동시에 가시적인 영역에서는 은폐되는 이러한 지식을 이 글에서는 ‘잉여의 지식’이라고 불렀다. 양성지나 서거정, 성간 등은 경전이나 사서에서 배울 수 없는 경험적 지식의 습득(博聞)을 패관소설의 가치로 든 바 있는데, 이는 경험적이고 구체적이지만 동시에 비공식적이고 비가시적인 이러한 지식의 가치와 위상을 변호하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4절에서는 조선 전기 성소화에 내재된 인간 이해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조선 전기 성소화에는 인간의 성적 욕망을 통제해야 할 불온한 힘으로 본 성리학적 인간학과는 다른 인간 이해가 내장되어 있다. 성소화에서 성적 욕망은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니고 있으며 적절히 운용할 줄 알아야 하는 보편적 욕망으로 인식되며, 그것에 무지하거나 그것을 지나치게 억압하는 인간은 불구의 인간처럼 희화화된다. 하지만 이러한 성에 대한 급진적 관점이 곧 반중세성이나 근대성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공적 지식체계의 권위에 도전하지 않으며 기존의 성적·신분적 위계에도 도전하지 않는다. 이처럼 조선 전기 성소화에는 급진적인 성 인식과 보수적인 계급의식이 공존하고 있는데, ...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wo matters: the way sexual funny stories in funny story books were enjoyed at that time; the raison d’etre of sexual funny stories for sadaebu(士大夫) who wrote and enjoyed it, and its status among sadaebu’s knowledge system. To do so, in the second chapter, detailed examples of enjoyment of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un society were investigated. In funny story books and pilgi(筆記) such as Taepyong-hanhwa-golgyejeon(太平閑話滑稽傳) and Yongjae- chonghwa(慵齋叢話), specific description of intercourses or genitals were not written so that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em into the sexual funny stories in a narrow sense. However, they contain numbers of pornographic and amusement stories with similar laugh inducing codes with sexual funny stories. These obscene funny stories, the ones which presumably take the largest portion among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share similar cultural base with the narrow meaning of sexual funny stories and create similar meaning of enjoyment.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I suggest that the narrow sense of sexual funny stories should be examined in the broader context along with analogous sexual funny stories like amusement stories of sadaebu and pornographic stories rather than regarded as an exceptional case to clarify the raison d’etre of sexual funny stories in Choson. In the following third chapter, I investigated the raison d’etre and discursive status of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contained plenty of elements against the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dominant ideology at that time. Then how was it possible the sexual funny stories with knowledge about human and sex coexisted with sadaebu’s knowledge system built on neo-Confucianism?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sexual funny stories became the target of the moral judgement, sexual funny stories seemed to have its own utility and this made it possible to be reproduced and enjoyed continuously among sadaebu. In this writing, I argued that the sexual funny stories functioned as text books of sex education for sadaebu male to learn various information about sex in a natural way beside its primary use, killing time. In other words, sexual funny stories contained detailed knowledge and empirical wisdom about sex. In short, sexual funny stories seemed to discipline agents by showing the socially permissible range of sex. However, this kind of knowledge is difficult to earn a proper status nor be recorded within the public knowledge system based on neo-Confucianism. I call it a ‘knowledge of surplus’ that a kind of knowledge which is necessary to human life but difficult to be registered within the public knowledge system, which confidentially supplements the lack of Confucian/neo-Confucian knowledge system but be hidden in visible space. Yang Seong-ji(梁誠之), Seo Geo-jeong(徐居正), and Seong Gan(成侃) pointed out the acquisition of the empirical knowledge which cannot be learnt from Confucian classics nor history books as a value of Paekwansosol(稗官小說). This can be understood as a proper explanation about the value of empirical, detailed but unofficial knowledge. In the final fourth chapter, understanding of human inherent in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will be reviewed. Obviously,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exhibit different kinds of views on human from neo-Confucian anthropology which saw the sexual desire as rebellious power to restrict. In sexual funny stories, sexual desire is universal so that everyone can have it, and ascetics who excessively depress it or either ignore it became caricatured. However, it does not meant that this radical point of view on sex did not directly lead to the anti-feudalism nor modernity. It did not challenge public knowledge system nor the order of existing caste system. Like this, radical ideas about sex and conservative awareness...

      • KCI등재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5 No.-

        본고는 중세적 정전 체계가 해체되고 근대적 정전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20세기 전반 고전소설이 봉건적 잔재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다가 점차 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민족문화의 유산으로 재평가되기에 이르는 과정, 곧 고전소설의 정전화 과정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2절에서는 근대 이전의 정전 체계에서 소설이 지니고 있었던 위상에 대해 논의했다. 소설은 중세적 정전 체계에서 배제되어 엘리트층의 비주류 문화 혹은 여성·중하층의 통속 문화로서 존재했으며, 조선 후기로 갈수록 후자의 성격이 더욱 강화되어 갔다. 3절에서는 1900~10년대 들어 소설이 무지한 대중을 근대적 국민으로 계몽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진보적인 장르로 "재발견"되었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고전소설은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되기에 이르렀음을 검토했다. 이러한 고전소설 부정론은 여성이나 중하층 독자들을 계몽의 대상으로만 파악했던 계몽적 지식인들의 엘리트주의의 산물이지만, 동시에 식민화의 고착과 민족의 소멸을 타개하고자 했던 그들의 탈식민적 저항의 실천이기도 했다. 4절에서는 1920~30년대 들어 고전소설이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민족문화의 소중한 유산으로, 근대적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재평가되는 과정을 검토했다. 우선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앞서 주로 이방의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고전소설의 번역과 해외 출판이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식민지 지식인들에게 일정한 자극을 주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근대 초 계몽적 지식인들 가운데 드물게 고전소설에 관심을 보였던 인물로 최남선과 안확을 들고 이들의 국학적 고전 연구를 검토했다. 고전소설에 대한 본격적이고도 근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고전적 가치를 널리 인정받게 된 것은 1930년대 전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성제대에서 근대적 연구방법론을 익힌 김태준의 연구는 고전소설을 그 역사적 조건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그것을 현재적 맥락에서 재평가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전소설에 대한 근대적 연구와 재평가를 촉발하고 고무시킨 것은 1920년대 초반부터 거세게 불기 시작한 문화민족주의 바람과 그에 기반한 "조선학" 운동, 그리고 그러한 식민지 지식인들의 열망을 제도적으로 수렴하면서 근대 학문의 권위를 통해 그것을 지배하거나 학술계 밖으로 배제하고자 했던 일제의 "조선연구"였다고 여겨진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고전소설 연구의 학문적·제도적 기초는 "조선학"과 "조선연구"의 길항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the modern reperception and cano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The Korean classical novel-it had been called Soso(小說) or Faeso(稗說) and so on- had been excluded in the medieval canon system, was present as non-mainstream or popular culture. The value of the novel was "rediscovered" and reassessed between 1894~1910. It was charged with the enormous responsibility of enlighting the nation. But the Korean classical novel was evaluated more negatively why it entangled the ignorant masses in blindness. Changing attitudes towards the Korean classical novel had to await the Korean Studies movement of the 1930's. This movement rose at the intersection of several trends that was prevalent in the 1920's~1930's; cultural nationalism, Marxism,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says such trends. Kim Tae-jun stood on the cutting edge of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in the 1930's. In his work of "History of the Korean Novel" he attempted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e-evaluation for some works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Kim Tae-jun's interpretation was one which brought theoretical tools to the then trend to publish classical novels; by doing so, he established them as canonical works of Kore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