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어스타일앱(HairStyle App)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와 거래신뢰에 미치는 영향

        강민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 국문 요약 > 헤어스타일앱(HairStyle App)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도와 거래신뢰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이용자가 3천만시대에 들어서면서 일상생활에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게 되었고 뷰티앱은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피부관리, 패션, 건강, 다이어트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헤어스타일 앱을 이용하는 정보가 미비하고 이용하는 이용자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이용자대상으로 헤어스타일앱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와 거래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뷰티와 멀티콘텐츠를 융합할 수 있는 분야라는 인식을 다시 확인하여 헤어스타일앱의 활용방안과 헤어스타일앱을 이용하는 소비자에 맞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으로 서울·경기지역에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이용자중심으로 75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연령도 20대 전·후반, 학력은 대학교 재학 중 이거나 졸업이 많았으며 직업은 학생이 많았고, 월 평균 총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둘째,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 기기는 갤럭시가 가장 많았고 사용기간은 6개월에서 1년 미만, 앱스토어는 안드로이드(구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1주일 평균 앱 이용시간은 3시간에서 5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휴식이나 기다리는 시간에 자주 이용하며, 뷰티앱에서는 헤어스타일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앱정보원으로 인터넷(구글, 네이버 등)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셋째, 헤어스타일앱 이용동기가 이용만족의 각 차원을 알아결과 이용동기 차원은 사용용이, 정보제공, 커뮤니케이션, 유희, 헤어정보, 뷰티정보의 6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용만족도의 차원은 정보만족, 헤어정보만족, 컨텐츠만족, 가격·서비스만족, 커뮤니케이션만족, 편리만족, 유희만족의 7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거래신뢰의 차원은 추천의도, 구전의도, 재이용의도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헤어스타일앱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앱정보만족에 미치는 요인 중에 헤어정보, 유희, 커뮤니케이션, 뷰티정보가 증가할수록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정보만족에 미치는 요인 중에 헤어정보, 사용용이, 정보제공, 커뮤니케이션, 유희가 증가할수록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컨텐츠만족에 미치는 요인 중에 정보제공, 헤어정보,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할수록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서비스제공에 미치는 요인 중에 헤어정보, 정보제공, 뷰티정보, 유희,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할수록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만족에 미치는 요인 중에 정보제공, 뷰티정보가 증가할수록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리만족에 미치는 요인 중에 헤어정보, 정보제공, 사용용이,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할수록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희만족에 미치는 요인 중에 유희, 사용용이, 커뮤니케이션, 뷰티정보가 증가할수록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헤어스타일앱 이용동기가 추천의도, 구전의도,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추천의도에 미치는 이용동기 요인 중에 유희, 정보제공, 커뮤니케이션, 헤어정보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전의도에 미치는 이용동기 요인 중에 커뮤니케이션, 헤어정보, 유희정보가 커뮤니케이션, 헤어정보, 유희가 증가할수록 구전의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와 뷰티정보요인이 증가할수록 구전의도는 감소하는 부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이용동기 요인 중에는 유희, 커뮤니케이션, 헤어정보, 정보제공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헤어스타일 앱 이용만족도가 추천의도, 구전의도,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추천의도에 미치는 이용만족도 요인 중에 커뮤니케이션만족, 편리만족, 유의만족, 앱정보만족 요인 순으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전의도에 미치는 이용만족도 요인 중에 커뮤니케이션만족, 앱정보만족 요인 순으로 정적영향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이용만족도 요인 중에 커뮤니케이션만족, 컨텐츠만족, 헤어정보만족, 앱정보만족 요인 순으로 정적영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헤어스타일앱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목적에 맞는 무료앱 이나 유료앱을 다운로드 하여 이용하며 헤어스타일앱이 유희할수록 사람과 사람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소통이 되어 구전이나 추천을 통해 재이용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뷰티정보서비스가 다양하여 이용자들에 니즈와 사용하는 범위가 커지면서 앱마케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강민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s that communication sty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by children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for university students. That is, according to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fter dividing it into open type and closed type, we looked into relative influence by injecting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consecutively. For doing this,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ree hundred and fifty male and female students of a four-year -course college in Seoul and capital area and analyzed the data. W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12.0 for analysis.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style gives an meaningful effect but open and closed communication style was statistically meaningless in terms of independent and expressive disposition.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through this relation, we could figure out the facts that th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higher tendency of sociality-friendship and sympathy-acceptance is. Conclusion from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It implies that we need positive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home because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sty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meaningfully. lastly, we presented limit of study and succeeding subject of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즉,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개방형, 폐쇄형으로 구분한 후,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4년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1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유형은 사회관계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독립성향과 표현성향에는 개방형, 폐쇄형 의사소통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정서지능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에 관계없이 사회관계성향에 영향을 미쳤다. 즉,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에 대한 사교-우호, 동정-수용 성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유형과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성향에 대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위해 가정 내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정서지능의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 정물 수채화 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강민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ill watercolor painting activities on the self-efficacy and flourishing of preschool children.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 still watercolor painting activities affect children's self-efficacy? Second, do still watercolor painting activities affect children's flourishing? To this research question, 32 5-year-old children (experimental group 13, control group 19) and homeroom teachers in region G participated in the study. Self-efficacy and flourishing scales were used for these subjec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7.00 relationship analysis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ill watercolor painting activity conducted in the practice group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still watercolor painting activity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flourishing than the control group. As demonstra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in th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developed a program that can enhance children's self-efficacy and flourishing. In order to verify and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ed for mor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experimental studies is suggested.

      •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민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후기 아동의 성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및 학교생활적응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및 기타(강원, 경상, 충청, 전라, 제주) 지역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총 248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18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 하나 이상의 척도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32부를 제외한 186부를 본 연구의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 자기결정성동기의 하위변인인 내사된 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내사된 조절을 더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이 전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각각 살펴본 결과, 전체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다음으로는 확인된 조절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첫째는 교사관계에 대해서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다음으로는 확인된 조절 동기, 성취기대의 순위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교우관계에 대해서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는 내재적 조절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는 학습활동에 대해서 확인된 조절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거부적 양육태도, 내재적 조절 동기의 순위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는 규칙준수에 대해서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는 확인된 조절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확인된 조절 동기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규칙준수에 각각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내재적 조절 동기는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의 어려움을 겪는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심리치료 및 적응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late school-aged children’s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their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parental attitude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by the sex of late school-aged children? Second, what is the relativ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on the school adjustment of late school-aged children?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concerning the influence of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48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based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other regions(Gangwon, Gyeongsang, Chungcheong, Jeonla, and Jeju). Of the 218 sets of questionnaires received, the study used 186 sets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incomplete se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1.0,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Macro.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rojected regulation, a sub-variable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by sex.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 of each variable on school adjustment and its sub-variables including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cademic learning and rule observance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adjustment variable was influenced by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the most, followed by identified regulation. To examine by each sub-variable of school adjustment, firstl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the most, followed by identified regul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Secondly, peer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the most, followed by intrinsic regulation. Thirdly, academic learning was influenced by identified regulation the most, followed by acceptance–rejection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Fourthly, rule observance was influenced by acceptance-rejection the most, followed by identified regulation. Third, concerning the effect of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dentified regulation was found to be partial. Also,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on each of the sub-variables that includ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cademic learning and rule observance. It was found that intrinsic regulation had no mediating effec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on peer relationship. By examining the effect of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study has provided supporting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to help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schools and their parents.

      • 국내 무용예술영재 교육환경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강민아 공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plan by conducting an open questionnaire for domestic dance artistic gifted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who are teaching dance gifted students in Korea.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about one year from the selection of the topic to the questionnaire data processing. Throug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posal of the development plan of the gifted artistic gifted, the open questionnaire was selected by the selection process, the curriculum, System, and characterization of gifted education in dance art. The researcher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m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gifted education teachers"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revitalizing gifted education in dance arts" by Jang Ok-ju (2010)  The questionnaire procedure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open questionnaires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of development of dance art gifted educa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task classifies the same words and classifies words that are not the same by grouping words with similar meanings. The results from the first classification work are categorized by discussing with three experts,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econd classification work are appropriately categorized into sub-factors through the process, And finally classified it as a top factor through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ly, 18 source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total responses to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the gifted arts gif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based on the same contents and meaning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e first responders was as follows: physical condition, genetic body, appearance, flexibility, talent potential, natural talent, basic period, order memorization ability,(Rhythm), Understanding and Completeness of the Work, Creativity, Personality, Passion, Interview, Parent Interview, Writing, and 18 Sub - Factors and Physical Ability, Dance attitude, and dance response. secondly. A total of 17 original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overall response contents to the dance arts gifted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based on the same contents and meaning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were as follows: music lesson, musical instrument lesson, acting lesson, major lesson in other genre, dance theory lesson,17 sub-factors of rhythm education, expressive ability education, artistic education (master), creativity lesson, individual dance style creation (creative), mixed art class, various repertoire lessons,, Dance theoretical education, dance practical training, body understanding education, practical training. Thirdly,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total responses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 gifted artistic gifted instructors and obtained nine kinds of original data.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based on the same contents and meanings, it was found that the qualities of the instructor, the leadership, the expertise in the major, the education instruction method suitable for the gifted,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m into the following three factors: 9 sub-factors of open mind (open thinking), professors' professionalism, instructor teaching method, and instructor's thinking ability, who are able to transfer know-. Fourth, we collected 10 kinds of raw data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the total response contents of the dancer artistic gifted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based on the same contents and meanings, it was found that scholarship support, follow - up support, opportunity for social settlement, various budget formation,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in dance art,, The lack of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the edu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dancers, the discovery of gifted and talented lecturers, the support of gifted and talented lecturers, a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gifted and talented lecturers.And three factors. Therefore, I could suggest the development plan of gifted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opinions of teachers. An evaluation system that can distinguish dance gifted should be developed. Instructors who teach dance gifted students are able to demonstrate accurately, and teachers who can improve their abilities by believing and following the instructor will become professors. These instructors will not be able to focus on the technical aspects of students who are selected as dancers, but will be able to focus on basic principles of dance and creativity.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dance arts gifted students are given temporary education to ensure that giftedness is not converted into universality by temporary support.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gifted students will be developed one by one as they develop various ways of develop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gifted arts and dance gif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무용예술영재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교육환경과 발전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무용예술영재 교육기관에서 무용영재들을 지도하고 있는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주제선정부터 설문지 자료처리까지 약 1년간의 연구기간을 두고 실시하였으며, 무용예술영재의 교육환경과 발전방안 제안을 의해 개방형 설문지의 경우 선발과정, 교육과정, 지도자 전문성, 행·재정 지원체계, 무용예술영재교육의 특성화 등의 5가지 분야로 나누었으며, 김미숙. 정경란(2008)의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만족도 분석」과 장옥주(2010)의 「무용예술 영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을 참고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 하여 구성하였다. 설문 절차는 무용예술영재교육의 발전방안의 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개방형 질문지에 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응답지를 모두 회수하여 단어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분류작업은 완전히 동일한 단어를 분류하고 동일하지 않은 단어는 그 의미가 유사한 단어들을 묶어 분류하였다. 1차 분류작업을 통해 나온 결과를 가지고 전문가 3인과의 토의를 거쳐 요인을 범주화하고, 2차 분류작업을 토대로 도출된 결과를 타당성있게 재범주화시켜 이 과정을 통하여 하위요인으로 분류한 후 3차 분류작업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상위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무용예술영재 선발기준에 대한 전체 응답내용의 빈도분석을 통해 총 18가지의 원자료를 얻었다. 이를 같은 내용과 의미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1차로 응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체격조건, 유전적 신체, 외모, 유연성, 향후 인재가능성, 타고난 재능, 기본기, 순서암기능력, 표현능력, 음악이해능력(리듬감), 과제작품에 대한 이해와 완성도, 따라하기(순발력), 창의성, 인성, 열정도, 면접, 학부모면담, 논술의 총 18개의 하위요인과 신체유능성, 무용동작이해능력, 무용 잠재력, 무용태도, 무용에 대한 응답까지 5가지 상위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무용예술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전체 응답내용의 빈도분석을 통해 총 17가지의 원자료를 얻었다. 이를 같은 내용과 의미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1차로 응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음악수업, 장단실기, 악기수업, 연기수업, 전공 외 타장르 수업, 무용이론수업, 인문학수업, 예술에 대한 이해, 기초실기, 창의성수업, 개인춤스타일찾기(창작), 융복합예술수업, 다양한 레파토리수업, 유명예술가(대가)의 수업, 생리학, 신체요법, 무대경험의 총 17개의 하위요인과 리듬교육, 표현력 교육, 무용이론교육, 무용실기교육, 신체이해교육, 실기실습교육의 총6가지 상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무용예술영재 교수자전문성에 대한 전체 응답내용의 빈도분석을 통해 총 9가지의 원자료를 얻었다. 이를 같은 내용과 의미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1차로 응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수자의 자질, 지도성, 전공에 대한 전문성, 영재에 맞는 교육지도법, 학생의 잠재력을 유도 할 수 있는 능력, 정확한 시범이 가능한 자, 분야별 경험이 풍부하여 노하우를 전수 할 수 있는 자, 영재교육의 이해도, 열린마음(열린사고)의 총 9개의 하위요인과 교수자 전문성, 교수자 교수법 ,교수자 사고력의 3가지 상위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무용예술영재교육의 행·재정 지원에 대한 전체 응답내용의 빈도분석을 통해 총10가지의 원자료를 얻었다. 이를 같은 내용과 의미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1차로 응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학금지원, 후속지원, 사회정착기회, 다각도의 예산편성, 무용예술영재교육 전문기관 신설, 무용예술영재교육 기관 정보부족, 무용예술영재교육 전문기관 부족, 영재전문강사 발굴, 영재전문강사 교육지원, 영재전문강사 선발기준마련의 총 10개의 하위요인과 무용예술영재 후속지원, 무용예술영재 교육기관, 무용예술영재 강사지원 3가지 상위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교수자들의 의견들을 통해 무용예술영재 교육환경의 발전방안을 제안할 수 있었다. 무용예술영재 발전방안은 무용영재를 구분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무용영재를 교육하는 교수자들은 정확한 시범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교수자를 믿고 잘 따라주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 교수자가 되어한다. 이러한 교수자들은 무용영재로 선발된 학생들의 기술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교육을 지양하고, 1:1 레슨으로 토론적인 실기교육을 지향하며 특정스타일을 교육시키는 것이 아닌 춤의 기본원리와 창의력 사고를 치울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발전 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무용예술영재들은 일시적인 지원으로 영재성이 보편성으로 전환되지 않도록 특화된 지속적인 교육이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용예술영재 교육환경의 발전방안들을 다각도로 형상화시켜 나아갈 때 무용예술영재들의 교육이 한 층 발전 될 수 있을 것이며 무용예술영재를 양성함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동요의 발전과정과 현 창작동요에 대한 비교

        강민아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요는 어린이의 정신생활을 지배하고, 인성을 고루 갖추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것은 그들에게 음악적인 기초 개념을 마련해 주고 음악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며 나아가서는 그것을 향상시키는 일을 담당한다. 현재 동요는 어린이들의 일상에서 잊혀져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동요 부르기는 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동요가 사회적인 역할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의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과서에 나오는 동요에 대해 잘 인식해야하지만, 체계적인 자료부족으로 동요 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을 갖기가 어렵게 되고 많은 문제와 마주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한국동요의 발전과정을 알고 교과서에 나오는 창작동요 96곡과 전래동요22곡을 박자, 조성과 음계, 노랫말, 형식과 가락, 리듬, 음역, 임시표의 사용, 음정의 면에서 그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창작동요에서는 4/4박자가 96곡 중에서 34곡으로 가장 많았다. 조성에서는 다장조의 곡이 43곡으로 나타났는데 단조의 곡도 7곡으로 나타나 창작동요에서는 다양한 조성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음계에서는 6음 음계가 39곡으로 가장 많았으며 7음 음계도 6음 음계와 비슷하게 37곡으로 나타났다. 창작동요에서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를 고루 사용하였다. 노랫말에서는 자연을 소재로 한 곡이 가장 많았고 놀이를 소재로 한 곡도 많았다. 형식에서는 두 도막 형식 즉, 16마디의 곡이 많았는데 이외에도 5마디에서 32마디까지 다양한 형식을 사용한 곡이 많았다. 가락에서는 화음이 나타나고 그 화음은 3도 간격으로 쌓여져 3화음 혹은 7화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음역에서는 c'-d''와 c'-c''를 사용한 곳이 36곡과25곡으로 나타났다. 창작동요에서는 넓은 음역을 사용한 동요가 많이 그만큼 수준 높은 가창 능력을 요구했다. 임시표의 사용은 고학년에서만 볼 수 있는 창작동요의 특징으로 주로 반음정의 사용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6도 이상의 도약 음정이 사용된 곡은4학년과 6학년에 각각 5곡과 7곡으로 나타났다. 음정이 6도 이상 도약한다는 것은 고도의 음악성과 가창 실력을 요구하는 것이며, 이는 4학년과 6학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래동요에서는 전체 22곡 중 12/8박자의 곡이 11곡으로 가장 많았다. 전래 동요의 조성은 모두 민속조로 장단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서양 음악의 조성으로 분석할 때 단조가 많았다. 음계에서는 도, 미, 솔, 라를 사용한 4음 음계 곡이 가장 많았다. 노랫말의 유형에서 전래동요는 놀이, 동물, 생활, 자연을 소재로 한 곡이 골고루 있었으며 형식은 한 도막 형식이 6곡으로 가장 많았지만, 일정한 형식보다는 4마디에서 19마디의 형식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가락은 가사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는 듯 하며, 장단의 기본형을 변형하여 가락을 다양하게 연주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창작동요와 달리 전래동요에서는 좁은 음역이 사용되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음역은 e'-c〃으로 우리나라 5음 음계를 기본으로 사용한 음계가 음역에 영향을 미쳤다. 전래동요에서는 6도 이상의 도약은 없는 반면 3도와 4도의 안정감 있는 음정의 사용이 많았고, 임시표는 한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창작동요와 전래동요는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동요는 조성이나 음정의 면에서 살펴볼 때 편성의 순서에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조성의 특성에서 2학년은 단조의 곡이 수록된 반면, 3학년에서는 장조의 곡으로만 수록되었다. 음정에서는 1학년부터 어려운 6도 음정과 8도 음정이 수록되어 가창의 난이도와 각 학년의 학습수준을 고려한 것이라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전래동요는 내용 전달에 있어서 직접적 표현뿐만 아니라 즐거움의 요소까지 갖기 때문에 더 많은 전래동요가 수록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창작동요에 비해 곡의 수가 부족했으며, 이제는 교과서도 음악적 교육수준과 배우는 학생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조금은 더 복잡한 화성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고,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음역의 차이 또한 고려해도 좋을 것이다. 동요 연구를 마무리 지으면서 어린이들이 부르기에 적합한 동요에 대한 제안으로 끝을 맺으로 한다. 첫째, 가사가 정서적이며, 교육적인 것으로 발음하기 쉽고 분명한 악절의 느낌을 주어야 한다. 둘째, 리듬은 가사의 악센트와 일치하고 선율이 어울려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어야 한다. 셋째, 어린이를 위한 창작동요는 그들의 음악적 특성과 발달 특성에 따른 능력이나 수준 및 생활감각에서 창출된 것으로 흥미에 알맞아야 한다. 넷째, 선율에 따른 반주의 화음은 주요 3화음뿐만 아니라 부3화음, 7화음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다양한 음색을 경험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Children's songs are sung and enjoyed by children in their daily lives. By singing children's songs, they come to learn words, get acquainted with music as a musical language, and get familiar wit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as well. Besides, games and physical expression accompanied with singing motivate them to behave themselves desirably in groups, increase their independent spirit,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cultural consensus. However, with all those roles of children's songs, children usually don't enjoy singing them It's not caused only by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which has exposed children rather to children's songs than to popular song and music. It's mainly because music teachers are not enlightened enough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s songs and schools lack systematic research resources for the teachers to refer to. For a systematic study of children's songs, 'Joyful life' which are music textbooks of the 1st and the 2nd grades, and those of the 3rd through the 6th arades were the main resourses, from which 96 recently-composed children's songs and 22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er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ng were studied by sorting out beats, tonality, scales, lyrics, forms, melodies, rhythms, musical ranges, the use of accidentals, and intervals with the basic concept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Composed by adults according to the format of curriculums, newly-composed ones of textbooks are various in beat, rhythm, and tonality. But traditional ones are composed anonymously and handed down by oral tradition, and repetitive in rhythm and interval, free in form, and improvisational in lyric. In respects of tonality and interval, new ones of textbooks are found to have problems in the orders of arrangement. In terms of tonality, many songs of the 2nd grade are minor, where as majority of the 3rd grad are major. In case of interval, the difficult 6ths and the 8the are used even for the first grade, which reveals the lack of continutiy among the whole grades and in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and learning levels among all the grades, and results in the decrease of learning effect. The number of traditional ones are small for that of new ones. Traditional ones improve children's imagination and provide a lot of fun for them because of the direct expression in conveying th meaning and the personalization of thing. Consequently, mor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hould be incluede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future.

      • 부모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민아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부모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 민 아 지도교수 : 신 수 경 유아교육전공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부모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리더십과의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부모의 촉진적, 개방적, 일방적 의사소통이 유아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리더십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에 따라 다음의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 총 6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213명의 유아이며, 연구기간으로는 2020년 5월 20일부터 6월 9일 까지 총 3주 동안이다. 본 연구는 부모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자녀용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리더십 설문지를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가 유아에게 질문함으로써 응답 결과를 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로는 부모의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심성경과 김나림(1997)이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척도 PACI를 연구대상에 맞춰 수정·보완하였으며, 본 척도는 부모용, 자녀용 두 질문지로 구성되어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녀용 질문지만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리더십을 알아보기 위해 이채호와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바탕으로 장영숙과 황윤세(2009)가 수정·보완한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를 김보영(2012)이 주도성과 사교성이 포함되는 문항을 추가하여 재수정한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이영선, 2016). 연구 분석은 부모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리더십 연구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상관분석과 각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부모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리더십의 상관관계는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리더십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부모의 의사소통의 하위 영역 중 촉각적 의사소통과 개방적 의사소통의 경우 유아 리더십과 정적상관 관계가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일방적 의사소통의 경우 유아 리더십과 부적상관 관계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의사소통의 하위 영역 중 촉각적 의사소통과 개방적 의사소통의 경우 유아 리더십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일방적 의사소통 경우 유아 리더십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통하여 부모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리더십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모의 의사소통이 촉진적, 개방적일수록 유아의 리더십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