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직후 심산 김창숙의 성균관대학 설립 운영 활동과 그에 나타난 교육관

        강명숙(Kang Myung so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대표적인 유교 지식인인 심산 김창숙(1879~1962)의 해방 직후 성균관대학 설립 운영 활동과 이와 관련된 교육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심산 김창숙은 유림계의 대표로서 유교계를 혁신하고, 유교계의 근대적 대학으로 성균관대학을 정립하고자 노력하였다. 우선 교수진 구성에서 일제시대의 명륜전문학교 관계자를 배제하였다. 그리고 학과 구성에서 경사과(이후 동양철학과로 변경)를 설치하였으며, 유학개론 및 유학특강을 필수과목으로 이수하고, 문묘 삭망에 반드시 참여하도록 함으로서 유교 대학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향사기능을 중심 기능으로 하는 것에는 소극적이었다. 심산은 종교로서의 유교를 인정하면서도 유교 이념이 새로운 국가 사회의 보편적인 교육이념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보았다. 종교로서의 유교와 보편적인 교육이념으로서의 유교를 동시에 추구한 그의 교육사상적 특징은 시중지도로서의 유교를 현대사회에 재정립하고자 한 노력에서 비롯되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review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thought of Simsan Kim Chang-Sook(1879~1962), who was a typical Confucianist. As a representative of Confucian world, Kim Chang-Sook tried to innovate Confucianism and re-establish Sungkyunkwan University as a modern Confucian university. Firstly, he excluded the personnels from the faculty to who had been related Myeongryun professional school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econdly, he emphasized the Confucian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 He established a new department of Confucianism(經史科, Eastern philosophy). He also made it mandatory to take the classes of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and 'Crash course Confucianism' and to participate Confucian rituals. However, he didn't want the university to perform a religious rite of Confucianism. Simsan admitted Confucianism as a kind of religion.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establish Confucianism as universal ideals of education in modern society. His educational thought was originated from his efforts to redefine Confucianism in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윤치호와 미국 남감리교 선교

        강명숙(Kang Myung-sook)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4

        1885년부터 1893년 가을까지 중국과 미국 남부에서 유학한 윤치호는 귀국 후 개성상인들의 풍부한 자본과 상재(商材)를 조선의 산업발전에 이용하기 위해 남감리교의 개성선교를 계획하고 추진하였다. 그러나 남북전쟁의 폐허에서 벗어나지 못한 미국 남감리교는 남부의 발전을 위해 흑인선교와 아프리카 선교에 몰두하였으므로 아시아 선교는 소극적이었다. 중국 선교부와 윤치호의 노력으로 조선 선교가 시작되었으나 남감리교 선교본부의 지원은 여러 가지로 부족하였다. 더구나 조선에 파견된 남감리교 선교사들은 중국 선교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 중심 말씀 중심의 선교를 고집하여 윤치호가 계획한 조선 근대화를 위한 개성 선교는 크게 진전되지 못하였다. 윤치호는 남감리교 중국 선교부의 선교정책을 극복하기 위해 개성으로 이주하여 ‘한영서원’을 설립하고 농업중심의 실업교육에 나섰다. 윤치호의 실업교육은 농업을 육성하여 생산을 증진하고 그를 바탕으로 조선의 산업화를 추진하려는 중농주의 산업화였다. 그러나 농업중심의 실업교육(반공과)은 일제가 제정한 ‘사립학교령’과 ‘개정 사립학교령’에 의해 공업부로 재편되어 일제가 요구하는 노동자 교육으로 변질되었다. 또한 한영서원의 실업장은 선교사들의 주도로 근대 공장으로 변모하였으나 조선의 산업화를 견인하지 못하고, 가난한 학생들의 학비를 제공하는 선교부의 공장으로 전락하였다. 1907년 안창호와 손잡은 윤치호는 개성상인들을 민족자본가로 결집하려는 ‘신민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윤치호는 모범촌을 만들고 개성상인들을 모범촌에 참여시킴으로 ‘신민회’ 회원을 모집하려 하였다. 그러나 선교본부의 지원이 미진하여 모범촌을 설립하지 못했고 산업화의 방법도 제시하지 못하여 이재에 명민한 개성상인들의 참여를 도출하지 못했다. 그래도 윤치호는 미국을 방문하여 선교본부의 지원을 호소하고, 학생 YMCA운동을 전개하였으나 개성상인들의 ‘신민회’ 참여를 끝내 유도하지 못했다. 윤치호가 추진한 개성상인들의 민족자본가화는 실패하였고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루어야 했다. 윤치호가 파트너로 설정한 개성상인들이 조선의 근대화운동을 외면한 이유는 개성상인들의 자본이 토지와 대부업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개성상인들은 일제의 조선미 수탈정책과 인삼전매제도 그리고 금융경영에 편승하여 인삼과 미곡 중심의 토지 경영과 고리대금업에 안주하면서 산업자본가로의 변신을 외면하였다. 그러므로 개성상인을 근대화의 파트너로 선택한 윤치호는 개성상인들의 변화를 촉구하는 종교운동과 교육운동 사회운동 등을 전개하면서 개성상인들의 변화를 기다렸다고 하겠다. 윤치호는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고 민족 발전에 투신할 기독교 자본가의 출현을 남감리교 선교를 통해 도모하였으나 선교와 변혁의 대상이었던 개성상인들은 윤치호의 노력을 외면하였다. 윤치호는 유학시절 입장료를 내면서 쫓아다녔던 존스(Samuel P. Jones :‘남부의 Moody’로 불림)의 부흥운동이 조선에서도 재현되어 라이먼(T. G.Ryman)과 같은 희생적인 자본가가 나타나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윤치호가 간절히 바라던 조선의 근대화는 이기적인 식민지 토착자본의 논리와선교사들의 자기편의적 선교정책 그리고 일제의 탄압에 둘러 싸여 갈 길을 잃었다고 하겠다. After studied in China and America from 1885 to 1893, Yun Tchi-ho(Yun) came to Korea and promoted the Mission of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MECS) in Gaeseong. Through the Mission of MECS Yun wanted to modernize Korea with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Say in other words, in order to develop the agriculture and industrialize the Korea, Yun chose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to utilize their capital and abilities of management. But the South(America), defeated in Civil War, wanted to reconstruct the economy of the South. In oder to develop the economy and prevent the Blacks’ emigration, the South made an investment in Black and Africa mission. Since the resources of MECS were exhausted and they hated Chinese, the Mission of Asia were difficult and Korean Mission were more difficult. Besides korean mission in Gaeseong region was more difficult for the policies of missionaries. Missionaries wanted to take mission in Seoul and evangelize instead of setting up the schools and dispensaries. In oder to enlarge the mission of MECS in Gaeseong, Yun emigrated to Gaeseong and erect the Anglo-Korean School. Through teaching the agricultural and the industrial skill, Yun wanted to modernize korea. By the way Japanese ‘Law Governing Private Schools’ was distorted the education of skills in Anglo-Korean School. Skill for agriculture was changed into skill for factory. Also the policies of missionaries were distorted the skill education. C. H. Deal(teacher in Anglo-Korean School) changed the manual factory into machine industry. In spite of exporting the cotton textile, the machine industry was not developed the korean cotton textile industries. And Yun Participated the New People’s Society to gather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Also Yun wanted to make them into national capitalists. But they disregarded the Yun’s efforts and went on board japanese’ appeasements in production of rice, ginseng, and loan markets.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did not want any economical damage. By the japanese’ colonial oppression,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self-centered minds and the egoistic missionaries’ policies, Yun’s efforts of korean modernization were failed.

      • KCI등재

        일제 말기(1938~1945) 전문학교 정책의 변화

        강명숙 ( Kang Myung-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 개정 이후 전문학교 교육 목적으로 충량유위한 황국신민의 양성을 내세우며 교학쇄신을 추진하고, 전문학교 특히 사립전문학교에 대한 관리 통제를 강화하고, 교육내용 및 방법에서 국체명징을 강조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4차 조선교육령 개정과 전시비상조치를 통해 전문학교 입학 정원을 조정하고, 연성을 강조하는 일본적 교학체제를 정립하려는 시도를 살펴보았다. 전시동원체제의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전시 이과계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전문학교를 증설 개편하여 전문교육 기회를 기형적으로 늘였다. 그리고 전문학교 교육에 적극 개입하여 교원 임용 및 교육 내용 검열을 강화하고, 일본학 교과를 도입하여 국체 이데올로기를 가르치고, 학무국에 전문교육과를 두어 효율적인 인력 동원에 힘썼다. 식민지배 말기 전시비상조치로 주로 조선인이 다니던 문과계 사립 전문학교를 개편하거나 폐쇄하고, 일본인 학생 비율이 높은 의학 실업 사범 계열의 전문학교를 확대하였다. 그 결과 ‘민족사학’의 공간은 줄어들었고, 일본인과 조선인의 전문 교육기회의 격차는 더욱 늘어났다. 전시기 기형적인 전문교육기회 확대의 결과였다. Since the third revision of Chosen Education Ordinance in 1938,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promoted loyal and useful subjects of Japanese Empire as the educational purpose of professional colleges, strengthened the control over professional colleges, especially private professional colleges, and emphasized Kokutai Theory in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fterward the fourth Chosen Education Ordinance and the wartime emergency programs abnormally adjusted the entrance quota of professional colleges and attempted to establish a Japanese training system which emphasizes Kyo(敎) as an ideology. The professional college polic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It increased and reorganized professional colleges, tightened the ideological control over professors and teaching materials, introduced Japanese Studies as a subject to teach Kokutai Theory, and created the Depart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Bureau. The private liberal arts professional colleges with high proportions of Korean students were reorganized or closed, while the medical, vocational and normal professional colleges with high proportions of Japanese students were expanded. As a result, it widened the gap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Furthermore, it narrowed the space for “Nationalist” private colle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총독부 학무국 조선인 관료 연구

        강명숙 ( Kang Myung-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20 한국교육사학 Vol.42 No.1

        조선총독부 학무국 조선인 관료의 규모와 인적사항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논의하였다. 1941년까지 조선총독부 학무국에 근무한 조선인 관료 74명을 조사하고, 사무관 편수관 시학관 등의 조선인고위 관료 20명의 면면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조선총독부 학무국은 유일하게 조선인 국장을 배출했고, 조선인 고위 관료와 조선인 관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서였다. 학무국 내의 과별 조선인 고위 관료 상황을 보면 학무과에는 조선인 고위 관료가 없었고, 편집과에는 장기 근무의 조선인 편수관이 1~2명 있었으나 1명은 시학관 겸직이었다. 사회과에는 제국대학 졸업 혹은 고등문관 시험 합격 등의 배경을 가진 학력 엘리트 조선인이 과장으로 근무했다. 그리고 1921년 이후 전문적 교육을 받고 풍부한 교육 경험을 가진 조선인 시학관이 매년 1명씩 있었다. 그러나 조선인고위 관료들이 조선인의 입장에서 조선 사정을 고려하며 정책을 실행했다고 보기 어렵다. 그 결과 영향력이나 파워가 없는 “양념용” 이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웠다. 해방 후에도 이들이 교육계에서 청산되지 않았음은 경계해야 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size and features of Korean educational bureaucrats in the Chosen Colonial Government General. It surveys 74 members of staffs who work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Chosen Colonial Government General until 1941 and examines the features of 20 high-ranking Korean bureaucrats such as deputy director.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the only ministry which had Korean heads an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its staff was Korean. As to high-ranking Korean bureaucrats in each department within the ministry, there was no Korean high-ranking bureaucrat in the department of academic affairs, one or two long-serving Korean editorial director in the department of editorial, one of whom is also academic supervisor(Sihakwan). In the department of social affairs, there were many promising Korean directors who graduated from Imperial College or passed the higher civil servant examination. Additionally, every year after 1921, there was one Korean academic supervisor(Sihakwan) who got professional training and had plentiful experiences in education. It is hard to say that Korean high-ranking bureaucrats considered the situation of their own nationality. However, it needs a precautious approach that they were not settled out even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개인연구 : 국립서울대학교 설립 과정에 대한 재론(再論)

        강명숙 ( My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4 한국교육사학 Vol.26 No.1

        This paper focused on providing a explanation of the progres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proposed by the Korean officer from the Bureau of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efficience in the eduaction. The plan of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substituted for the Great School plan and American University plan which was drawn by the an American officer working at the Bureau of Education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While the great school plan insisted that the old Seoul University should be expanded to a university, the plan of establish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ggested that the old Seoul University and other public special colleges around the Seoul area should be abolished and a new university consisting of diverse colleges should be newly founded. In addition, an operation based on a Board of Regents was proposed. The plan was marked by the will to overcome the old obsolete conventions of the Imperial University and to clear away the remaining vestige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ut a Board of Regents and the appointment of Korean president was introduced against to the objection by the Korean educator and stud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