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 구곡·동천 위치연구

        강기래,이해주,김희채,이현채,김동필,Kang, Kee-Rae,Lee, Hae-Ju,Kim, Hee-Chae,Lee, Hyun-Chae,Kim, Dong-Phil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유교의 사상적 완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곡(九曲)과 동천(洞天)의 문화는 조선시대에 널리 성행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학주자(學朱子), 존주자(尊朱子)의 기치 아래 자연 속에서의 심신수양을 통한 주자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진리의 체득을 위한 과정에 있다는 자기 위안의 행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지의 표출로서 각 지역의 경치가 좋은 곳에 주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모방한 '구곡'과 이상향을 나타내는 '동천'을 설정하고 경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구곡 동천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학계에 보고된 우리나라 전체 구곡은 약 60여 개소에 이르며, 동천은 이보다 더 많지만 정확한 위치나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강원도에 산재하고 있는 구곡 동천에 대한 위치확인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곡과 동천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선행연구와 보고서, 인터넷 검색과 각 지역 문화원의 발간 서적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 지역에 실재하는지에 대한 답사를 진행하였고, 위치정보를 획득하였다. 이 외에 상상 속의 구곡 동천이나 멸실된 곳, 출입이 불가능한 지역 등을 정리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강원도의 구곡은 8개소로 파악되었다. 이 중 그 위치나 기록 등이 비교적 명확한 곳이 곡운구곡과 옥계구곡이다. 벽계구곡과 수회구곡은 서로 위치나 명칭이 서로 겹치기도 하고, 설정한 시기나 경영자가 명확하지 않다. 서울의 우이구곡은 홍양호가 설정하였으나 그 위치가 일부는 확인되고 일부는 위치의 논란이 있으며, 일부는 훼손되어 있다. 서울 경기도와 강원도의 동천은 모두 38개소로 파악되었다. 서울지역에 위치한 동천은 16개소이다. 이 중 실제 존재하지만 출입이 금지된 곳은 도화동천과 양산동천, 쌍류동천 등이다. 경기도 지역의 동천은 13개소이며 온수동천은 개발로 인해 그 위치를 알 수 없으며, 귀래동천은 기록만 있고 실제로 확인은 불가한 곳이다. 강원도 지역의 동천은 9개소이다. 화음동천은 곡운구곡의 상류에 위치한 화음동정사지(華陰洞精舍址)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culture of Gugok (九曲) and Dongcheon (洞天), which tries to reach the ideological culmination in Confucianism, was widesprea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was an extension of the spirit of studying and honoring Zhu Xi (學朱子, 尊朱子); thereby,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expressed the will to follow the teachings of Zhu Xi (朱子) and comforted themselves that they were in the course of attaining the truth. As a realization of this expression of will, scholars designated and operated various scenic sites as Gugoks, following the example of Zhu Xi's Mui Gugok (武夷九曲), and Dongcheons, as a representation of the utopia. These designations are widespread nationwide, with around sixty Gugok locations that have now been reported in academia.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Gugoks exceeds this number, and many of them are currently not identified concerning the exact loc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Gugoks and Dongcheons scattered around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For the coordinates of Gugoks and Dongcheons, this study referred to the literature, web search and the books published by local cultural institutes.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researchers conducted field trip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cord exists as a real location and, if so, acquired their coordinates. This study also provides the tables of Gugok or Dongcheon that only exists in the imagination, existed before but now are lost, or are inaccessible. Eight location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are understood as Gugok. Among them, Gogun Gugok and Okgye Gugok have relatively clear locations and records. Byeokgye Gugok and Suhoe Gugok, on the other hand, has many locations and titles overlapped, and their established time and managers are unclear. As for Ui Gugok in Seoul, it is known to be set by Hong Yangho, but some parts of its locations are confirmed, others are in dispute, and many locations are damaged. Thirty-eight location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are understood as Dongcheon. There are sixteen Dongcheons in Seoul area. Among them, those including Dohwa Dongcheon, Yangsan Dongcheon, and Ssangnyu Dongcheon actually exist but are forbidden to be accessed. There are thirteen Dongcheons in Gyeonggi area. The exact location of Onsu Dongcheon cannot be confirm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Gwirae Dongcheon has historical records, but the actual existence cannot be confirmed. There are nine Dongcheons in Gangwon area. The researcher judged that Hwaeum Dongcheon is the misspelled record of Hwaeumdong Jeongsaji (華陰洞精舍址), which is located at the upstream of Gogun Gugok.

      • KCI등재

        경상도지역 동천(洞天)의 위치 조사 연구

        강기래 ( Kang Kee-rae ),이해주 ( Lee Hae-ju ),배준규 ( Bae Jun-gyu ),김희채 ( Kim Hee-chae ),김창준 ( Kim Chang-jun ),이현채 ( Lee Hyun-chae ),김동필 ( Kim Dong-phil ),김차권 ( Kim Cha-kw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도교의 경전에 최초로 기록된 ‘동천’의 의미는 유교의 근본 목적인 본래 심성을 되찾아 안심과 평안을 얻은 자들이 누리는 현실세계의 상징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을 탈피한 이상적인 세계로서의 동경이 ‘동천’이라는 장소성, 그리고 선경(仙境)이 재현된 장소로서의 이상적인 경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동천은 주변 경관에 대한 애착과 장소성을 통한 동질감과 우월의식, 정주 공간의 미화화 등의 목적으로 유학자들이 ‘동천’이라는 용어를 주로 차용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경상도 지역을 대상으로 ‘동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구전되어 오거나, 멸실되었거나, 현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동천’ 각자에 대한 확인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동천’이라는 언어가 포함된 암각문 또는 현판 등에 새긴 음각문은 경상도 지역에 111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경상북도 지역에는 확인된 ‘동천’ 암각문이 79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영주시가 20개소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봉화군이 16개소, 안동시가 11개소, 영양군과 울진군이 7개소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 중 나무현판 형태로 된 것이 2개소이며, 마을회에서 마을의 표지석으로 세운 것이 6개소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된 14개소는 멸실, 또는 미상의 상태이다. 또한 봉화군에서는 16개소 중 9개소가 초서체로 암각 되어 있었다. 경상남도 지역에는 26개소의 동천 암각문이 분포하고 있었다. 함양군과 산청군, 하동군에서 각 3개소의 암각문이 있었고, 마을의 표지석 형태로 제작된 곳이 7개소가 있었으며, 『지봉유설』과 『택지리』에서 등장한 ‘화개동천’과 ‘금산동천’은 둘 다 최치원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현재까지 암각문을 확인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전통 경관관련 연구나 금석문에 대한 연구, 지역의 문화 답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itially from the Taoist scriptures, ‘Dongcheon’ is a term that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place in the real world for the enlightened ones who received relief and peace by restoring the human nature taught in the Confucian school. The long for an ideal world apart from the reality embodied as the labeling some places ‘Dongcheon,’ and the term was used to refer to a scenery where the ideal fairyland is reproduced. Besides, ‘Dongcheon’ was a term often used by Confucian scholars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the attachment to the nearby landscapes, expressing homogeneity and superiority through placeness and the beautification of settlement space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field study on ‘Dongcheon’ in the Gyeongsang-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2018, and we carried out firsthand location surveys on Dongcheons, of which some were lost, others were fairly preserved, and still others could not be located as only their existences were passed down orally.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there were total 111 inscriptions or engravings on the plates in Gyeongsang-Do that include the term ‘Dongcheon.’ There were 79 ‘Dongcheon’ inscriptions confirmed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wenty in Yeongju-City, sixteen in Bonghwa-Gun, eleven in Andong-City and seven in Yeongyang-Gun and Ulgin-Gun. Among them, two were in the form of a wooden sign, and six were erected as rock signposts. Fourteen stops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re lost or unidentified. Also, among the sixteen signs in Bonghwa-Gun, nine were cursive engravings. Meanwhile, there were 26 Dongcheon inscriptions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Hamyang-Gun and Sancheong-Gun anf Hadong-Gun each housed three inscriptions, and seven places were in the form of rock signposts. ‘Hwagaedongcheon’ and ‘Geumsandongcheon’ could not be identified in inscriptions although they appear in Jibong Yuseol and Taengniji with stories of Choi Chiw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es in traditional scenery, epigraphs, or as primary data that helps cultural explora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태백산, 낙산, 경포도립공원의 환경가치비교 평가연구

        강기래 ( Kee Rae Kang ),김동필 ( Dong Pil Kim ),조우 ( Woo Cho ),백재봉 ( Jae Bong B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강원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태백산, 낙산, 그리고 경포도립공원 3개소에 대한 환경적 가치를 추정,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수단은 도출액의 신뢰성이 검증된 CVM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환경재의 가치는 일반인들이 각 도립공원을 방문 할 때 소요된 비용 이 외에 추가로 얻어질 수 있는 효용의 크기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결과는 자연생태계나 문화경관 이 외에 국립공원으로의 승격여부를 판단하는 기초적인 자료로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수집된 설문부수는 태백산도립공원은 180부, 낙산도립공원은 179부, 경포도립공원은 180부를 이용하였다. 자연환경가치추정을 위한 제시금액에 대하여 ‘예(Y)’, 또는 ‘아니오(N)’의응답에 영향을 미치도록 결정짓는 관찰 가능한 변수들은 강원도립공원 3개소의 환경보존여부(env.), 공원관리정도(manage.), 응답자의 환경보존노력(execu.), 학력(edu.), 소득(inc.) 등을 투입하여 추정하였다. 투입된 변수의 평균과Hanemann이 제시한 로짓 방식을 이용하여 각 모수를 추정하여 계산식에 따라 강원도립공원 3개소가 방문자 1인에게 제공하는 자연환경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방문자 1인당 추가로 얻어질 수 있는 환경가치는 태백산도립공원이44,060원, 낙산도립공원이 41,191원, 경포도립공원이 41,844원으로 추정하였다. 태백산도립공원의 환경가치가 가장높게 추정된 이유는 응답자들이 태백산도립공원의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시설물 등의 관리도 잘 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environmental values of Taebaeksan, Naksan, and Gyeongpo provincial parks located in Gangwon-do.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CVM technique which estimates the economic values for all kinds of ecosystem. Also, the estimated value of environment goods can suggest the magnitude of additional utility other than the cost people pay when they visit the provincial parks. Such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addition to information on natural ecology or cultural landscape to decide whether the park should be promoted as a national park. The questionnaires-collected from Taebaeksan(180 copies), Naksan(179 copies), and Gyeongpo(180 copies) provincial parks were used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value of each provincial park. Variables that affect the response of ‘yes(Y)’ or ‘no(N)’ to the cost suggestion for the economic valuation of environment are estimated under the catagories of environment conservation status (env.), degree of park management (manage.), environmental conservation effort, education (edu.), and income (inc.) of the respondents (execu.), pertaining to the 3 provincial parks in Gangwon-do. The value of natural environment to 1 visitor to the 3 Gangwon provincial parks was estimated by the Logit method that Hanemann proposed using the average of inser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al environmental value that 1 visitor can gain is 44,060 won for Taebaeksan Provincial Park, 41,191 won for Naksan, and 41,844 won for the Gyeongpo Provincial Park. Taebaeksan Provincial Park’s environmental value is estimated at the highest as the respondents judge that its natural environment is well preserved and the facilities are managed well.

      • KCI등재

        창덕궁 지당의 변화과정 연구 - 동궐도를 기준으로 -

        강기래,이기철,Kang, Kee-Rae,Lee, Kee-Cheol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1

        왕조시대의 궁궐은 그 나라의 문화와 예술을 대표할 수 있는 집합체이며, 궁궐은 왕과 그 일가족들의 신분과 안전을 보장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과 한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그들의 사상적 배경인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들 사상을 되새기고자 방지와 원도 등을 조성하였고, 이 방지는 조선시대 궁궐조경의 가장 뚜렷한 특징이다. 이러한 조선궁궐 내 지당(池塘)의 형태를 파악하고 그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원형의 복원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지당조성에 깃든 철학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창덕궁(昌德宮)을 대상으로 이전의 특정기록을 시점으로 하여 원형이 보존된 지당, 변형이 된 지당, 그리고 멸실된 지당을 찾거나 그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리고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 형태가 변형된 지당, 멸실된 지당의 위치추정, 후대에 발견된 지당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동궐도(東闕圖)상에 나타난 지당의 총 개수는 17개소이며,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은 4개소, 형태가 변형된 지당은 5개소, 멸실된 지당은 8개소이며, 새로 나타난 지당은 2개소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로 복원 및 복구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오늘날처럼 지식과 정보가 순간 이동되고 문화와 국경의 구분까지도 모호하게 혼합되어 가는 상황에서 우리의 마음속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이어지는 전통 문화의 하나인 방형 지당을 현 시점에서 점검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Palaces of a country can be representative aggregate of the culture and arts of the country. Palaces were used not only as a living place to protect kings and royal families and to live cultural lives, but also a political place to govern the country. Kings in Choseon founded the country on the Sung Confucianism,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 They built Bangji and Wondo as constant reminders of their philosophy. Bangji is the most apparent characteristic in the palace gardens of the Choseon Dynasty. Finding out the original form of Jidang, restoring the original and passing it on to future generations can be passing on the spiritual culture of our ancestors. This study is done to find out or locate well preserved Jidang, transformed Jidang and lost Jidang in Changdeokgung, which is the best conserved palace of Choseon. This study is composed of Jidang which has been kept in its original state, transformed Jidang, locating lost Jidang and Jidnang which has been unearthed. The total number of Donggwoldo's Jidangs is 17; those that are kept in their original state, 4; transformed Jidangs, 5; Jidangs that were lost and have been located, 8; and newly appeared Jidangs, 2. From the results, opinions on restoration are presented. This study can be a small drop in the thin stream of tradition passing onto future generations in this world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transported momentarily and the classification of culture and border is mixed, yielding vagueness.

      • KCI등재

        가상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경남수목원의 환경가치추정 연구

        강기래,하성근,이기철,Kang, Kee-Rae,Ha, Sung-Gyone,Lee, Kee-Cheol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1

        숲과 식물은 누구나 소중하다고 인식은 하지만 언제나 우리 주변에 있어 왔기에 그 중요함을 간과해 왔다. 수목원은 이러한 숲과 식물에 대한 자연학습장의 역할과 생태계의 식물을 수집, 전시하여 이용자들에게 환경에 대한 교육과 휴양, 식물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시설의 하나이다. 누구나 방문 비용을 투입하면 맑은 공기와 쾌적한 환경, 다양한 식물에 대한 지식과 여가 환경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용객들이 소비한 금액이 누리고 있는 수목원의 올바른 가치인지는 고려해 봐야 할 과제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수목원이 제공하고 있는 환경은 비시장재(Extramarket Goods), 또는 공공재(Public Goods)이며, 이러한 공공재의 가치를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방법들이 경제학자와 통계학자, 수학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그 중 가상가치측정법(CVM)은 환경재의 평가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대법원에서 환경의 복원 비용 배상을 위한 추정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CVM을 수목원의 가치 측정에 접목시켜 이용자 및 일반 국민들이 막연하게 생각하던 특정한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용되는 화폐액으로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제시금액에 대한 응답에서 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교육적 가치(envedu)가 높을수록, 소득(inc)이 높을수록 "예"의 응답을 할 확률이 유의한 수준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남수목원을 방문하고 있는 이용객 일인당 인식하는 환경의 가치는 WTPmean 15,648원, WTPmedian 13,648원, WTPtruncated 15,449원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연간 경남수목원이 제공하는 환경적 가치로 환산하면 WTPmean 8,408,265,024원, WTPmedian 7,333,589,024원, WTPtruncated 8,301,334,762원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제시된 금액은 수목원의 보전가치로 볼 수 있으며, 비 이용자들에게도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워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인들에게도 수목원과 숲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가치를 인식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forests and plants are appreciated by all of us, but it is often overlooked because we are surrounded by it. The arboretum is one of facilities which provide users with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knowledge about plants, and recreation, playing a role as a nature school by exhibiting and collecting plants of various ecosystems. Anyone can enjoy fresh air, a pleasant environment, and knowledge about a wide variety of plants on the condition that they aactually visit it and pay the entrance fee. However, it has not been measured whether the expense which users pay to enjoy an arboretum is a true value of arboretums. The environment that arboretums offer is extra-market goods, or public goods. A variety of ideas and methods to measure the value of public goods have been researched among economists, statisticians, and mathematician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is most widely used a s an assessment method on environment goods and adopted as an estimation method for compensation for restoration of the environment by the American Supreme Cou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urrent monetary value correspondingent to the value of arboretums by applying the CVM. The survey suggested that when an arboretum provides a high educational value and when the respondents have a higher income, it is more likely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for entrance into the arboretum. The quantified value in monetary terms for the environmental value of Gyeongnam Arboretum is WTP mean \15,648; WTP median \13,648; and WTP truncated \15,449 per visitor. In annual terms, the amounts are calculated at WTP mean \8,408,265,024; WTP median \7,333,589,024; and WTP truncated \8,301,334,762. These quantified amounts can be thought to represent the value of conservation of arboretums and awaken users to the precious value of nature. Also, they are helpful to let the general public have proper knowledge about and recognize the value of arboretums and forests.

      • KCI등재

        대구수목원 이용객 만족모데을 통한 운영 방안 연구

        강기래 ( Kee Rae Kang ) 한국산림과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1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and plants offered by arboretum for today`s people not only contribute to foster a better natural environment in urban region but also provide visitors with decent refreshment environment and beyond. In the study, the author undertook the observation on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model of arboretum visitors expect and investigated the facilities and programs to be offered by arboretum in order to propose the opinion regarding the service. For observation size of variable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is influencing satisfaction rankings walks the line of flow,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environment, cleanliness of the facility, visits pay, natural beauty, diversity of trees, accessibility and friendliness of staff, expansion of facilities in the arboretum and appeared as a complement. In case of visitor attribute, the residents living near the facility showed the highest visit frequency of more than 5 times, especially as part of taking a walk. This proves that the visit to arboretum is considered as part of everyday life, and thus a new program and walk path as well as movement route are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 visitors. In the question relating to the facilities and operation programs in Daegu Arboretum, particularly the requests by visitors, they responded that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event, beautiful natural scenery, refreshment and convenience facilities is the most critical issue. In addition, the management on withered trees and bare lands is an urgent issue as well. In this sense,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upon the visitor behaviors and model of satisfaction are needed to deal with the adoption of diverse events and festivals joined by local residents, ombudsman program, environmental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s and teachers within the region, negligent bare lands and withered tree replacement, and cafeteria facility improvement and supplement as well as the bench marking of other facilities than arboretums located in other regions. These items are thought to be sufficiently dealt with by Daegu Arboretum having no more external resources. It is recognized that the visitor satisfaction begins from a minor thing, and a small difference determines a great satisfaction, and thus the software approach rather than hardware one is in need.

      • KCI등재

        경주국립공원의 문화유적과 자연환경의 가치추정 비교연구

        강기래 ( Kee Rae Kang ),김동필 ( Dong Pil Kim ),백재봉 ( Jae Bong B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사적지형 경주국립공원의 자연환경 가치와 문화유적의 가치를 동일한 방식으로 추정하여 그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수행 되었다. 각각의 가치 추정방식은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CVM 기법을 이용하였다. 투입된 변수와 추정모형은 동일하며 응답자에게 자연환경을 보존하는데 지불할 금액과 문화유적을 보존하는데 지불할 의사액을 구분하여 질문하였다. 그 결과 경주국립공원의 자연환경을 보전하는데 지불할 의사액 WTP는 1인당 17,838원으로 추정되었으며 문화유적을 보전하는데 지불할 의사액 WTP는 1인당 316,248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경주국립공원이 연간 방문객에게 제공하는 자연환경의 가치는 470억원, 문화유적의 연간 가치는 8,457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두 가지 가치요소를 합하면 경주국립공원 1회 방문 시 얻는 자연환경과 문화유적의 가치는 334,086원, 연간 가치는 8,934억 원으로 추산 할 수 있으며 문화유적의 가치가 자연환경의 가치보다 18배가량 높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경주국립공원에 분포하고 있는 국보 11점, 보물 23점, 사적 13개소, 사적 및 명승 1개소, 지방문화재 18개소 등 총 66건으로 보유한 문화재가 자연환경의 가치보다 월등히 높다고 응답자들은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경주국립공원의 운영관리계획은 물리적 구성요소의 특성을 감안하여 관련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차별화된 운영전략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has estimated Gyeongju National Park`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 value in the same way and then been performed to compare the size of the value. Representative method to measure environmental property is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The variables and estimated models adopted for the calculation were same and the respondents were aske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amount which they would pay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at which they were willing to pay to preserve the cultural relics. As the result, WTP(Willing to pay), the amount that they were willing to pay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of Gyeongju National Park was 17,838 won per person and that to preserve the cultural relics appeared to be 316,248 won per person. Based on this, it was estimated that the value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which Gyeongju National Park provided annual visitors was 47 billion won and that the annual value of the cultural relics was 845.7 billion. I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cultural relics value elements are unite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 value got at the time of people`s first visit to Gyeongju National Park is 334,086 won and that the annual value is 893.4 billion won. In this study, the value of the cultural relics has been estimated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reason was that visitors judged that a total of 66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11 national treasures, 23 treasures, 13 historic places, one historic sites and scenic spot and 18 local cultural properties ,etc. which were distributed in Gyeongju National Park were worth far more than the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operating management plan of Gyeongju National Park should include a differentiated operation strategy through consultation with relevant experts by taking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components.

      • KCI등재

        가상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한 한남정맥의 환경적 가치 추정연구

        강기래(Kang, Kee-Rae),김동필(Kim, Dong-pil),조우(Cho, Woo) 인천연구원 2015 도시연구 Vol.- No.9

        본 연구는 인천지역을 관통하고 있는 한남정맥의 환경적 가치 추정에 대한 연구이다. 가치추정법은 도출액의 신뢰성이 NOAA Panel에 의해 검증된 방법인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하였다. 인천광역시를 관통하고 있는 한남정맥의 환경재의 가치 추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연구대상지의 물리적인 범위는 한남정맥과 그 인근으로 정하였다. 분석자료는 303부를 이용하였다. 한남정맥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주요 방문객의 특성은 3-40대이며, 당일방문을 하고, 2-3명이서 자가용을 이용해서 2시간 이내의 거리에 있는 목적지에 도착해서 비용을 약 5만원 정도 소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남정맥의 보존을 위한 제시금액에 대하여 “예(Y)”, 또는 “아니오(N)”의 응답을 하도록 결정짓는 변수들은 한남정맥이 속한 산이나 정맥을 방문한 횟수(time), 한남정맥의 방문 만족도(bliss), 한남정맥의 환경보존여부(env), 응답자의 학력(edu), 응답자의 소득(inc) 등을 투입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한남정맥의 방문객이 1회 방문시 얻을 수 있는 자연환경의 가치는 1인당 19,651원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환경재의 가치 추정에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CVM 방식으로 추정한 자연환경의 가치이며 한남정맥을 1회 방문 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자연환경의 효용가치가 1인당 추가적으로 발생한다는 의미이다. 이를 한남정맥의 직접적인 이용권에 속한 인구로 환산하면 한남정맥의 연간 환경적 가치는 약 1,500억원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치는 일반인들이 한남정맥을 방문할 때 추가로 얻어질 수 있는 효용의 크기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방문객에게는 방문시 소요된 비용 이외에 한남정맥의 또 다른 가치를 인식하도록 하고 한남정맥의 이용권에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한남정맥의 인식에 대한 운영관리계획을 수a립하는 데 기초적 자료로도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stimates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Hannam Jeongmaek which runs across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We employ the virtual value estimation method that the NOAA panel has verified to be credible.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stimate the value of the Hannam Jeongmaek. The CVM method is employed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Hannam Jeongmaek for the visitors. We analyzed the 303 questionnaires. The visitors arein their 30s to 40s, using private cars to visit the destinations, and spend about 50,000 won. With regard to the suggested cost value to preserve Hannam Jeongmaek, the variables to determine the response of “Yes(Y)” or “No(N)” includethe time of visits to the mountains belonging to Hannam Jeongmaek(time), its visit satisfaction(bliss),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of Hannam Jeongmaek(env), the education of the respondents(edu), and the income of the respondents(inc). As a result, the value of natural environment after onetime visit of the visitor to the Hannam jeongmaek is about 19,651 won. This is the natural environment value derived from the CVM method. Such utility value of natural environment is additionally gained per visit. By multiplying it by the the actual number of the population within its direct usage, the yearly environmental value of Hannam jeongmaek is estimated at about 150 billion won. Such estimate is meaningful in that the additional amount of utility is expressed in current currency. Also, visitors can learn other values of Hannam Jeongmaek. These estimates can be used as the essential data to promote the value of the Hannam Jeongmaek among citizens by th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 KCI등재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강기래 ( Kee Rae Kang ),이기철 ( Kee Cheol Lee ),이현택 ( Hyun Taek Lee ),유병로 ( Byong Ro Ryu ),김동필 ( Dong Pil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5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수목원의 비시장적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CVM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치추정의 방법은 대상재의 설정, 지불수단의 결정, 지불의사 유도 방법 결정, 가상적 상황설정, 설문, 분석, 추정액 도출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수목원의 비시장적인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가치 추정은 DBDC방식으로 진행 하였으며 분석의 방법은 도출된 추정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알려진 logit분포를 가정한 함수의 분포 형태별로 각각의 추정액을 도출 하였다. 통계적 적합성을 바탕으로 1인당 대구수목원을 방문하여 얻는 연간 휴양의 가치는 WTPmean 12,718원, WTP median 11,033원, WTPtruncated mean 11,468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대구수목원이 제공하는 연간 환경의 가치는 약 160억 원에서 190억 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가치추정법은 그 연구 대상지나 대상 재화만 변경하여서 기타의 환경재 가치 추정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An arboretum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facilities that conserve plant species by surveying, collecting, and proliferating and preserving the plants in nature, perform diverse researches on plants and display the plants in exhibition spaces or outdoors as well as provide the public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reshment spaces according to the laws concerned. The public, however, recognize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functions on plants of arboretum more importantly compared with the roles to survey, collect, and proliferate plants as regulated by the laws. In particular, arboretum plays a role to offer a pivotal educational place in urban area where the public can obtain an hands-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estimate the non market environmental values of Daegu Arboretum opera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which yields the current monetary estimates for the arboretum. The value estimation was undertaken by using the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DBDC) method, and each estimated value was derived from respective functions based on a logit distribution known to include relatively stable estimat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statistical fitness test results, the author estimated the amounts of the Willingness To Pay (WTP) such as mean WTP of 12,718 KRW, median WTP of 11,033 KRW, and truncated mean WTP of 11,468 KRW, which represented the annual recreational values per a person visiting Daegu Arboretum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ed that Daegu Arboretum created the annual environmental values which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6 to 19 billion KRW. The study also has an implication that the valuation method for the environment of Daegu Arboretum may be effectively applied for estimating the values of other types of environmental goods by altering the locations or goods to be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