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독거노인 케어를 위한 개선된 YOLO-KCF 기반 낙상감지 알고리즘

        강경원,박수영,Kang, Kyoung-Won,Park, Soo-Young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0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1 No.2

        독거노인이 증가하면서 낙상 사고 빈도도 높아지고 있다. 낙상은 노인들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생활을 위협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독거노인의 위급한 상태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실시간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거노인을 위해 긴급 상황 중 하나인 낙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YOLO-KCF를 기반 개선된 낙상 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YOLO는 물체의 검출뿐 아니라 서 있는 행동과 쓰러지는 행동 유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서 있는 행동 유형과 쓰러지는 행동 유형간의 경계 박스의 형태 변화를 이용하여 낙하를 검출할 수 있으며, KCF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creases, the frequency of fall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Falls are a threat to the health of older adults and can reduce their ability to remain independent. To solve this problem, we need real-time technology to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critical condi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odified fall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YOLO-KCF that can check one of the emergency situations in real tim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YOLO can detect not only the detection of objects, but also the behavior of objects, namely stand and fall. Therefore, this paper can detect fall using the ratio of change of boundary box between stand and falling situation, and this algorithm can improve the shortcomings of KCF.

      • KCI등재

        아동의 그림을 통해 본 공간인지와 조작능력

        강경원(Kyoung Won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6 No.3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 교과서 내용 중 지리영역 학습내용구성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공간인지발달이론을 초등학교 학생의 그림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공간의 조작능력은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형상적 공간에서 투영적 공간을 거쳐 기하학적 공간을 조작하는 과정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피아제와 인헬데르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제시한 각 조작기별 해당 연령은 실제와 비교하면 조작기 구분의 엄밀한 기준이 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그 이유는 같은 연령의 아동간에도 현격한 개인차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지리 교육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의 내용 중 사진과 그림지도와 삽화 등이 아동의 지적 수준에 맞는지 의문스럽다. 둘째, 3학년 아동에게 그림지도를, 4학년 아동에게 실측도와 유사한 지도를 직접 그리게 하는 것은 기하학적 공간의 조작에 속하므로 큰 무리가 따른다. This paper purpose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better development of geography texts. For this purpose, we have applied spatial cognition development theory to children`s drawings. We have suggested that children`s spatial operation ability has three development stages according to their age: topological space, projective space, euclidean space. This study turns out that Piaget and Inhelder`s spatial concept development theory is on the right track. However, we make clear that their division according to the age is not always accurate due to children`s individual differences. These findings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dubious that most children can understand pictures, pictorial maps and illustrations in the third grader`s textbook. Second, current textbooks require pictorial map understanding and drawing to third grade students and map drawing to fourth grade students.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lacement of these tasks are not fit fo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because both tasks correspond to euclidean space operation. Therefore, we should remove them from the textbook for children at the age.

      • KCI등재

        충청남도 지리정보체계 구축의 기본방향

        강경원(Kyoung Won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199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3 No.2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방정부의 행정에 있어서 공간분석과 정책결정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충청남도는 지리정보체계의 유용성을 인식하여 그것의 도입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의 초기단계에서 흔히 그러하듯이 기술력과 전문인력의 부족, 재원의 한계로 말미암아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지리정보시스템의 추진현황과 여건을 감안하고 여러 나라와 우리나라의 경험적 사례로부터 시사점을 얻어 충남지리정보체계 구축의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지역 실정에 맞는 개략적인 지리정보체계의 개념설계를 시도함과 동시에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지리정보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데에는 무엇보다도 다음과 같은 선결조건 혹은 과제의 충족이 요구된다. 첫째, 합리적인 장기계획을 수립하고 그 계획에 의거하여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지리정보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지리정보체계의 추진주체를 선정하고 조직을 정비하는 일이다. 이는 지리정보체계의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가칭 `지역개발정보화 추진위원회`의 구성과 지리정보를 위주로 하는 `지역개발정보센터`의 설립이 요망된다. 셋째, 국가지리정보체계와 기타 국가수준의 응용시스템과의 연계방안과 그들의 수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비용과 노력의 중복을 방지하여야 한다. 넷째, 위성측위시스템(GPS)과 같은 신기술을 활용하여 정확한 지도작성을 하는 일이 시급하다. 다섯째, 우수한 인력을 자체내에서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일이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의 계통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방향 설정

        강경원(Kyoung-Won K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6 문화 역사 지리 Vol.18 No.3

          This paper purposes to make out some problems with the assumption that Korean falls into the category, Altaic language. For this goal, I have reviewe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Altaic language and derivational process for typological study to find out where Korean belo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ltaic language is a technical term pretty familiar to general people, but doesn"t have clear definition that we can lean on. Clear and simple definition would prevent us from getting out of the right track. But in fact the term is not up to the level. It is just a guessing, not a fact that Korean is a part of Altaic language group. We have pointed out that the methodology in comparative linguistics doesn"t fit in with Korean. (2) We need to introduce syntactic ideas to geographical cognition of language distribution. In this way, we will pick out languages closely related to Korean out of the border. (3) So many wars and famines caused people to move away and break up. When we study the root and variation of a specific language, we have to consider cultural and physical factors.   본 연구는 한국어에 대한 기존의 "알타이어 가설" 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한국어의 계통을 밝히기 위한 지리학적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하여 알타이어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점을 파악하고, 한국어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방법론적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알타이어의 존재여부는 아직도 의문이며, 한국어가 알타이어에 속한다는 가설도 증명 되지 않았다. 특히 한국어의 계통 연구에는 비교언어학적 연구방법의 적용이 어렵다는 것이 명확히 드러났다. 향후에는 언어학의 현대 조류(패러다임)에 따라 통사론(Syntax)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계통을 연구하여야 한다. 즉 문장 구성소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유사한 언어 유형을 정확히 분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 지리학의 연구는 "언어" 연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모국어화자가 지닌 문화요소도 함께 연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문화요소에 관한 증거자료들을 수집하여 그것들과 언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의 적용 효과 분석

        강경원 ( Kyoung Won Kang ),지경준 ( Kyoung Jun Jee ),최도성 ( Do Sung Cho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과학 교과의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시도하는 교수·학습전략이다. 현재 노래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교육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가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학년 1학기 과학과 교육과정에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 활용 수업을 단원별 2차시씩 총 8차시를 적용하여 학업 성취 수준별 상·중·하 집단 및 남·여 집단 별로 학업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를 적용한 수업반의 상·중·하위 집단 모두 학업 성취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성별 집단의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 남·여 집단 모두 평균 값 상승 폭은 컸으나 통계적으로는 남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학업 성취 수준별 집단의 과학태도 검사 결과, 중위 집단의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 범주를 살펴보면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상위 집단의 과학 지식의 절대성, 중위 집단의 과학자의 필요성과 책임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하위 범주에서는 중위 집단의 과학 교과에 대한 선호, 만족, 재미 과학 시간의 즐거움 부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성별 집단의 과학태도 검사 결과, 여학생 집단의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범주를 살펴보면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남학생의 과학자의 필요성, 책임 부분에,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 부분에 유의미한 값을 보였고,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하위 범주에서는 여학생 집단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 만족, 재미, 즐거움, 과학 수업 활동 세 범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래가사 바꿔 부르기를 활용한 수업은 남학생들의 학업 성취, 여학생들의 과학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위그룹의 학생에게 과학교과와 관련된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노래 가사 바꾸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학업 성취도가 낮은 남학생들과, 과학 교과에 흥미가 낮은 여학생들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제시되면 과학 교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과학과 학업 성취도 향상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he science class of utilizing singing songs changed words. therefoe, in this study, we have restructured science curriculum of 4th graders` 1st semester, and applied it twice at each lesson, eight times in total. Then, we analized the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ahievements divided by gender group and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in the science class of utilizing singing songs changed words. Results are followed: The results imply singing science songs improve attitudes toward science for girls as well as for the middle group of science accomplishment test and help to get academic satisfaction toward science for boys. Also, singing science songs is an effectiv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for boys especially who have a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for girls who has no interest in learning science. The strategy could br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a subject and it can le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learning.

      • KCI등재
      • 무선 전송방식의 홈시어터 설계 및 이의 성능 분석

        강경원(Kyoung-Won Kang)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Wireless home theater and speaker system was designed. That has 20W output per channel, 0.1%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and automatic algorithm avoiding noise. The 3D stereophonic sound was realized through the wireless 5.1channel speaker system designed. That could be secured 0.4% improvement effect of THD compared with wire speaker systems. Specially in transfer sound with Wirele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was superior tha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in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and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at radiated noise similar with ISM Band using 2.4㎓.

      • KCI등재

        ‘한반도’의 개념과 내재적 문제

        강경원(Kyoung won Kang)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3

        본 연구는 ‘한반도’의 개념과 유래를 살펴보고, 그 개념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헌법의 영토조항이 지닌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라는 어휘는 16세기에 그 기원을 두며 그 뜻은 삼면이 수역으로 둘러싸인 육지의 일부분이다. 반도라는 어휘를 동아시아에서는 19세기에 일본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였고 우리나라에는 이에 상응하는 용어가 없었다. 둘째, ‘한반도’는 1655년경에 최초로 ‘COREA PENINSVLA’라는 이름으로 지도상에 표기되었다. 후에 일본인들이 韓半島, 韓土半島, 朝鮮半島 등으로 다양하게 불렀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방 후에 한반도로 통일하여 부르기 시작했다. 셋째, 한반도의 지리적 범위나 경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어떠한 사회적 합의가 없는 가운데 학자마다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라우텐자하가 제시했던 청천강 하구와 성천강 하구를 잇는 선을 지지한다. 넷째, 헌법의 영토조항에서 ‘한반도’를 명기하고 있으나 범위를 규정하지 않았다. 현재의 영토조항은 지리 교육적 측면에서 오 개념을 형성하게 하며 평화통일 정책과 통일 후 영토 확보에도 걸림돌이 되므로 삭제하든지 수정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when and how to use the term of Korean peninsula. We need to think twice about the term of peninsula. It started to be used by Japanese rul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rm of peninsula has its origin in the 16th century AD. It means a body of land enclosed on three sides by the water, jutting out from a larger body of land.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first showed up in Japanese documents. There was no matching term in Korean. Second, ‘Korean peninsula; 한반도’ first appeared on the map in 1655. The name has been wide spread since 1945 in South Korea. Third, we have no consensus of the geographical boundary of the Korean peninsula so far. I suggest that the boundary of the ‘Korean peninsula’ lies in entry of Cheongcheon river and Seongcheon river. It is like Lautensach’s idea. Fourth, we have just referred to the term without exact definition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erefore, we face two problems. So many students are confused in education. Another problem might take place in political matters. Talking about one Korea with superpowers around us, we might have hard time in reaching a goal. Therefore, the territorial clause in Korean Constitution shouldbe rescinded or amended.

      • KCI등재

        언어유형 구분에 의한 한국어 유사언어와 그 분포

        강경원(Kyoung-Won K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어의 계통을 밝히기 위해 한국어와 유사한 유형의 언어를 추출하고 그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언어 유형 구분의 기준을 도출하고, 그 기준에 의거하여 세계의 많은 언어들 중에서 한국어와 가까운 것들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어에 가장 가까운 언어는 일본어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유사성이 큰 언어들은 추바슈어와 할하 몽골어로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이들 언어와 한국어의 유사성이 왜 생겼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밖에 명사구의 구조와 내포절의 위치까지가 같은 38개의 언어는 구조적으로 유사하므로 고고학적, 역사학적, 언어 집단의 유전적 접근방법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도의 드라비다어계, 코카사스 지역의 언어, 히말라야 산지의 일부 언어, 인도의 인도-아리아계, 안데스 산지의 케추아 언어, 파푸아 뉴기니의 언어 등이 한국어와 유사하다. 그러나 우랄어계와 동남아시아 제어와의 유사성은 비교적 크지 않았다.   This paper purposes to find out what languages are close to Korean and where they are used. For this purpose, I have made clear how to categorize many languages and sorted out some languages showing common features so close to Korean. I conclude that Japanese is closest to Korean in the world. The second is Chuvash and Khalkha Mongolian. Considering the whole language map, 38 languages are structurally similar, including Dravidian language group in India, some languages in Caucasus, some languages in Himalaya, Quechua in Andes, some languages in Papua New Guinea. However, Uralic like Hungarian, and South-Eastern Asian languages have no relation to Korean.

      • KCI등재

        지리 교과의 통합교육적 접근방안

        강경원(Kyoung Won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7 No.1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은 그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학교 급별로 다양한 유형의 통합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사회과는 교육과정의 개발에 있어 사회과학의 내용을 완전하게 단원 속에서 통합한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설득력 있는 통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여러 분야의 내용이 한 단원 속에서 혼합됨으로써 지리학습의 내용이 지리학적 지식의 구조를 반영할 수 없었고, 지리적 관점을 흐려 놓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전한 통합은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 통합의 의미를 실제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리교육의 통합적 접근방안을 모형화하였다. 지리교육의 통합적 접근방안은 통합된 지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생활 세계를 이해하도록 하는 인식의 틀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방안에 의하면 지리교육의 중핵개념은 자연환경, 인간과 환경, 공간구조이며, 이에 대한 학습과정에서 인접 관련 학문분야와 관련을 맺도록 되어 있다.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이 방안이 검토되고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초등 교사들이 이를 구체화하여 적용할 것을 권한다.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is not conceptually established, but various forms pursuing so-called perfect integrated subject have appeared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But we cannot find out desirable integr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ough the apparent goal is to integrate all kinds of social concepts into one unite. The current method of integration has some problems over advantages people initially expected by integration. It is problematic in that students learn fragmental knowledges of geography without capturing the whole geographical concept structure or obtaining their own geographical viewpoint. Therefore, we purpose to reinterpret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and reorganize the current textbook into the right direc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simple mixture of knowledges is far from our goal of true integration. For this purpose, we suggest a new method for social studies as an integrated subject. Instead of providing knowledges unrelated to each other into one bundle, it helps students to see the real world in his own knowledge framework equipped with geographical viewpoint. The text we claim will show students that geography consists of three key concepts: physical environment, man and environment, and spatial structure. With this text, they will have an easy access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concepts and details, and between geographical concepts and similar concepts from other disciplines. The proposal contributes to both upcoming textbook development and classroom teaching by eliminating problems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