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상과 후손의 만남에 대한 동서양 다원적 패러다임 연구 -주자의 감응이론과 칼융의 동시성이론을 중심으로-

        박재갑 ( Jae-gahb Park ),고재석 ( Jae-suk Go ),전철 ( Chul Ch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우리 주위에서 인과관계를 알지 못하는 현상들을 드물지 않게 접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사실이 아니라고 보기보다는 어떠한 중요한 사실을 아직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해가 안 되는 것이 아닌지 반문하게 한다. 이 글에서 근거로 삼은 자료는 논문의 공동필자인 박재갑 교수 집안에서 일어난 두 가지 사건이다. 첫째는 박재갑 교수의 15대 조상으로 1545년에 돌아가신 필재 박광우의 시신을 이장하는 날 밤, 사촌 형인 박재학의 꿈에 필재 할아버지가 나타나 자신이 소장하였던 방울을 찾아오라는 말을 듣고, 이후 파주에 가서 방울을 소장하고 있던 사람에게 방울을 찾아온 사건이다. 둘째는 박재갑 교수의 부친이 돌아가신 날 이모의 출가한 딸 꿈에 박재갑 교수의 부친이 금시계를 가지고 나타나신 꿈을 꾸었다. 이모의 딸은 이모부가 돌아가신 줄도 모르고 있었고 더욱이 이모부의 아들 부부가 금시계를 사갖고 온 것을 알 수가 없었는데, 금시계와 관련된 꿈을 꾼 일련의 사건이다. 과학을 주류 패러다임으로 삼고 있는 현대문명에서 보면, 신비롭고 기이한 현상은 그저우리가 확인하지 못하는 일상이나 정신현상의 일부일 수도 있다. 그런데 주자(朱熹,1130~1200)의 감응이론과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동시성이론은 인과관계를 알 수 없는 현상들에 대해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는다. 인과관계를 알 수 없는 현상은 제한적 합리성의 완고한 세계관 자체가 균열되는 사건이며, 동시에 우리의 삶이 이해의 영역을 넘어선 광대한 현실에서 펼쳐지는 사건임을 말해준다. 실로 미지의 우주,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한 다원적 패러다임의 폭넓은 수용과 진지한 대화가 더 요청되는 시대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조상과 후손의 만남, 감응, 현현의 사례를 성리학의 감응이론과 칼 구스타프 융의 동시성이론의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We frequently witness phenomena which occur around us, not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ship. We can ask ourselves whether such phenomena are hard to understand not because they are not true facts but because they are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reference data for such a phenomenon in this article are the two events that had occurred in the family of Professor Jae-Gahb Park, one of the co-authors of this article. Firstly, on the eve of the night when his fifteenth-generation ancestor’s grave was to be moved, his ancestor appeared in his consin’s dream, telling him to go and find the bell that his ancestor had cherished. Accordingly, his father and relatives went to Paju county, where his ancestor’s grave is located, to remove the grave to another place. In the process, his father told the participants what his consin had dreamt of including a grave keeper who had kept the bell after reburial. The grave keeper returned it to his father after hearing from him. Secondly, On the day when Professor Park’s father died, his father appeared in the dream of his maternal aunt’s married daughter, carrying a gold watch with him. She was not aware that Professor Park’s father was dead. Furthermore, Neither did she know that Professor Park‘s old brother and his wife in America had bought the gold watch for his father. These two case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ancestors’ revelation through dream. According to the modern civilization which regards sciences as its mainstream paradigm, such mystical and arcane phenomena are just a part of mental phenomena that we cannot verify with our knowledge. However, there are two scholars presenting different explanations about the phenomena of which the causal relationship is not understood yet: Carl Gustav Jung (1875~1961)’s phenomenon of synchronicity and Zhu Xi (朱熹, 1130~1200)’s theory of correlation. A phenomenon whose causal relationship is not understood yet is an event in which the obstinate outlook of the restrictive rationality breaks off, and at the same time our life spreads into the vast realm transcending our understanding. We are living in an era when more discussions on the unknown universe and pluralistic paradigms on the questions about life and death need to be made. In this regard, Gustav Jung’s concept of Synchronicity and Neo-Confucian theory of correlation is instrumental in overcoming the phenomenon and case in which the causality breaks off.

      • KCI등재

        육구연(陸九淵)의 강학활동(講學活動)에 대한 연구

        고재석 ( Jae Suk Go )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이 글은 육구연이 강학활동에 대해 살펴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송시기의 학자들은 "精舍"나 "書院" 중심으로 성인의 道를 전하고 자신의 학문적 관점을 견고하게 다지며 문호를 형성해 나갔는데, 呂祖謙이 강학을 펼쳤던 麗澤書院과 張식의 岳麓書院, 주희의 白鹿洞書院, 육구연의 象山精舍등이 그 사례다. 상산정사는 육구연이 晩年에 朝廷에서의 관직 생활을 접고 貴溪에 자리하고 있는 應天山에 올라 精舍를 짓고 자신의 철학을 후학들에게 전한 장소로, 그는 이곳에서 心學의 틀을 보다 확고 하게 자리매김하고 후학양성에 힘썼다. 사실 육구연이 강학활동을 펼친 시기는 이밖에 두 번이 더 있다. 34세에 省試에 급제한 후 臨安에서 강학활동을 하기 시작한 것이 첫 번째고, 그 후 金溪로 돌아와 44세에 관직생활을 시작하기 전까지 집안의 동편에 있던 槐堂에서 10여 년간 강학활동을 한 것이 그 두 번째다. 특히 槐堂강학시기에는 중국철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대한 학술모임인 아호모임과 백록동강의가 있었던 시기이며, 楊簡과 哀燮·舒璘·傅子雲등과 같은 걸출한 제자를 배출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런데 지금까지 몇몇 학자들은 육구연이 淳熙 元年(1174) 臨安에 가서 靖安縣 主簿를 제수 받았고, 또 순희 6년(1179) 崇安縣 主簿로 조정되었다는 『연보』의 기록에 의거해, 이 시기에 관직생활을 하였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行狀』이나 『어류』, 주희의 편지글 등의 관련 자료들을 분석해보면, 이 시기에 육구연은 관직생활에 나아간 것이 아니라 그저 관직의 명을 받고 대기하고 있었을 뿐이었고, 거의 槐堂에서 강학 활동에 힘을 기울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는 순희 9년(1183)부터 시작한 朝廷에서의 관직생활 4년과 荊門에서 1년 반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을 이렇게 강학활동에 전념한 것이다. 그의 강학활동은 대략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육구연은 강제성을 지닌 學規나 외재하는 법도에 의존하지 않고, 학생 스스로의 자율성을 중시하였다. 누구나 지니고 있는 `본심`은 무엇이 옳고 그름을 판단 할수 있고, 늘 때에 맞게 행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기에 그것에 따라 행한다면 굳이 규율과 같은 강제적 방식이 필요 없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글쓰기와 같은 마음 밖의 공부에 너무 힘쓰지 말 것을 당부 하였고, 핵심처에서 학생들을 이끌고 변화시켰다. 둘째, 독서를 중시하지 않았다. 상산정사에서 강학할 때 책이 그리 많지 않았다는 것이나, 槐堂 에서 禮記의 글자해석 보다는 九容에 힘써야 함을 말한 것, 臨安에서 본심의 발현을 강조한 것 등은 모두 경전의 해석보다 우선적으로 힘써야 할 곳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그렇다고 육구연이 독서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상산정사에서 『맹자』의 「고자」편을 읽으라고 한 것 등은, 책이 모두 내 마음을 주석한 것이므로 본심을 세우고 확충하는 방편으로 읽어도 됨을 인정한 것이다. 셋째, 강학의 목표는 누구나 성인됨에 있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선험적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할 수 있는 良知와 바름을 행할 수 있는 良能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저 이 마음을 바로 세우고 부단히 행하는 자는 누구나 성인의 경지를 맛볼 수 있다고 말하였다. 『宋元學案』에서 「象山學案」과 더불어 「槐堂諸儒學案」을 별도로 언급 하고 있는 것도, 모두 그가 一身의 安逸만을 위한 삶이 아닌 聖學에 뜻을 두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힘썼던 강학활동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這篇文章的目的在於考察陸九淵的講學活動. 南宋時期的學者大多以`精舍`或`書院`爲主, 傳播聖人之道, 以鞏固自己的學術觀點, 形成自己的獨立學派. 呂祖謙的麗澤書院,張식的嶽麓書院,朱熹的白鹿洞書院,陸九淵的象山精舍都是其中的事例之一. 其中, 象山精舍是陸九淵晩年離開朝廷官職生涯, 回到貴溪的應天山興建的講堂. 在這裏他向弟子們傳授自己的哲學思想, 潛心硏究和鞏固自己的心學, 努力培養後輩弟子. 實際上, 陸九淵進行講學活動的時期, 除此之外還有兩次. 34歲時, 通過省試及第後, 最初在臨安進行了講學活動, 而後回到金溪在他44歲的開始官職生活之前, 在居所東邊的槐堂進行了10餘年的講學活動. 特別是, 在其槐堂講學期間具有中國哲學史上不可忽視的著名的`鵝湖之會`和`白鹿洞講義`, 同時在此期間培養了諸如楊簡,哀燮,舒璘,傅子雲等傑出弟子. 但是, 現在有些學者們根據陸九淵在淳熙元年(1174)到臨安任職靖安縣主簿, 竝於淳熙6年(1179)改任崇安縣主簿的《年譜》記載, 認爲在這個時期他經歷了官職生活. 但是, 根據《行狀》,《語類》以及朱熹的書信等資料分析, 在這時期陸九淵竝沒有完全赴任官職, 而只是接受官職後處於待命狀態, 竝且幾乎在槐堂熱衷於他的講學活動. 也就是, 他在淳熙9年(1183)開始任4年朝廷官員以及在荊門度過一年半的官場生活之外, 大部分時間都專注於講學活動. 他的講學活動大致具有如下特點. 第一, 陸九淵竝沒有拘泥於强制性學規或外在的法規制度, 强調學生自身的自律性. 他認爲, 任何人所具有的“本心”可以判斷自己行爲的正確與否, 同時本心可以提示適中的標準, 因此按照這種本心行事, 就不需要一成不變的限制制度或類似的强制性方式. 他主張, 不要過分專注于類似寫文章一樣的心外之物, 以本心爲主的核心思想引導和改變弟子. 第二, 不過分强調讀書. 在象山精舍講學時, 他的藏書竝不多, 竝且在槐堂主張與其解釋《禮記》中的文字, 不如更加重視“九容”, 在臨安强調“本心”的發現等都表明, 他相比對經典的解釋, 更加强調存在著其他優先應關注的東西. 盡管如此, 陸九淵竝沒有否定讀書. 在象山精舍, 他要求熟讀《孟子》的〈告子〉篇等表明, 他認爲書籍作爲解釋人們內心的注解, 作爲樹立和擴充本心的輔助方法有必要進行熟讀. 第三, 講學的目標是任何人都可以成爲聖人. 人自出生開始就會擁有先驗性的, 能구判斷對與錯的良知以及正確處事的良能, 因此, 任何只要樹立這樣正確的心境, 不斷付諸行 事的人都可以到達聖人境界. 在《宋元學案》中, 與〈象山學案〉一起特別提到〈槐堂諸儒學案〉, 這些都是他竝未一味追求安逸的生活, 而是懷췌聖人之道, 努力實踐聖學之道, 從事講學活動的結果.

      • KCI등재

        양명 만물일체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연구

        고재석(Go, Jae-suk)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1

        萬物一體는 주체의 상징인 인간[人]과 객체의 상징인 사물[物], 혹은 인간과 인간, 사물과 사물이 횡적 관계인 宇宙의 시간과 공간에서 어떤 구조로 한 몸[一體]을 이루고 있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物은 만물의 이치를 내포하고 있어, 만물일체의 문제는 心과 物의 존재적 이해를 넘어 心과 理의 본체적 이해까지 확대된다. 양명은 만물에 대한 존재론적 구조 형식과 일체에 대한 본체론적 의미 규정을 통해 자기만의 차별화된 방식으로 그 의의를 정립하고, 만물과 일체를 실현하는 수양공부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양명에게 영명한 마음은 만물을 주재하는 주체가 된다. 만물은 영명한 마음에 의존하여 그 가치와 의의를 획득한다. 행위 주체의 의식과 무관한 만물은 의미 없는 대상일 뿐이다. 동시에 영명한 마음은 만물과의 감응 속에서 인식 대상에 따라 자기 모습을 새롭게 규정한다. 만물이 없으면 영명한 마음도 존재할 수 없다. 영명한 마음과 만물은 주객의 구분이 없고 본래 합일되어 있는 ‘無間’의 관계인 것이다. 또한 양명은 만물은 인식 이전 一氣가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유행하고 감통한다고 보았다. 약이나 침 같은 약재를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천지만물이 同體의 존재적인 구조에 놓여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다만 양명에게 一氣의 존재론적 流通은 영명한 마음에 기초했을 때 성립 가능한 전제이다. 영명한 마음의 눈으로 만물을 관찰하면, 자연현상이나 광물, 식물, 동물 등의 모든 존재는 상관적인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또 생명을 살리는 仁心이 인간 마음의 본체라고 여겼다. 仁은 현상 너머에 내재하는 형이상학적 본성의 추상적 세계가 아니라, 현상세계에서 순수한 마음으로 현시되는 공감의 감정이다. 물론 타자를 자기처럼 아끼는 살리는 마음의 仁心은 親親-仁民-愛物의 점차적인 확장이 전제이다. 진정성 있고 지속가능한 감정은 자연스런 발현이기 때문이다. Yangming has established his significance through the definition of the intrinsic meaning of all forms of ontological structure and in all things. “Liangzhi (良知)” created and supervises all things. All things depend on liangzhi to acquire its value and significance. All things irrelevant are merely meaningless objects. At the same time, liangzhi regulates its appearanc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object in response to all things. Liangzhi cannot exist without all things. Liangzhi and all things is the relationship of the “wujian (無間)” which originally means unity without distinction. Yangming believed that all things “yiqi (一氣)” is about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fore it is formed in our consciousness. It is ture that, Yangming"s ontological “liutong (流通)” of “yiqi (一氣)” is a premise that can be established based on liangzhi. He also believed that “shengyi (生意)”, which saves life, is the essence of the human mind.

      • KCI등재

        주자의 성학 실현 공부에 대한 연구

        고재석(Go, Jae-Suk) 한국동양철학회 2018 동양철학 Vol.0 No.49

        본 논문은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가 제시한 성학 실현 수양공부 방법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인성함양 교육의 이론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자는 사람이면 누구나 성학의 근거인 ‘明德’을 품부 받고 태어나, 도덕적 사고와 행위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명덕에는 마음 [心] 과 [性] 이 합일되어 있고, 앎 [知]과 실천 [行] 이 일치되고 자기 [己] 와 타인 [人] 이 일체를 이룰 수 있는 근거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성학 실현의 방법으로 內聖의 修己공부와 外王의 治人공부를 제시하였다. 수기의 미발 공부는 심 측면에서 고요한 가운데 본심을 보존하는 공부 [靜中存心] 와 성 측면에서 움직이는 가운데 본성을 함양하는 공부 [動中養性] 이고, 수기의 이발 공부는 지 측면에서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고 앎을 지극히 하는 공부 [格物致知] 와 행 측면에서 뜻을 참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는 공부 [誠意正心] 이다. 치인의 추행 공부는 기 측면에서 스스로를 새롭게 하는 공부 [自新] 와 인 측면에서 백성을 새롭게 하는 공부 [新民] 이다. 명덕을 함양하여 도덕적 인격을 완성하고, 명덕을 확충하여 도덕적 사회를 구축하는 것은 주자가 수양 공부를 통해 도달하고자 했던 성학의 궁극적 이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of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y analyzing the methodology of self-cultivation of Sage Learning that Zhuxi presented in Daxuezhangju, which is a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neo-Confucianism. Zhuxi thought that every human being is capable of moral thinking and behavior because everyone has the innate ability of the ‘Illustrious Virtue (明德) ’ as the foundation of Sage Learning even though the person is not exposed to any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Illustrious Virtue (性體) is the Original Nature which is the essence of Nature (本然之性) , and the Original Mind (心體) , which is the essence of the Mind (本心) . When the Illustrious Virtue is manifested, people are capable of moral thinking and behavior of their own accord without even making a conscious effort. It is because the Illustrious Virtue is complete with mind (心) and nature (性) in unity knowledge (知) and practice (行) in harmony, and the self (己) and others·in concord. Zhuxi argued that in order to cultivate oneself (修己) , it is necessary to study Motion (動) and Rest (靜) in the state of the Unmanifest Mind and study knowledge (知) and practice (行) in the state of the Manifest Mind; and in order to learn how to govern the people (治人) , it is required to study the Essence and Utilities·when one applies what one has learned to the outer world. Cultivating oneself before the Mind is manifested pertains to studying Rest of the Mind and studying Motion of the Nature, whereas cultivating oneself after the Mind is manifested pertains to studying Ge Wu Zhi Zhi (格 物致知) concerning knowledge (知) and studying Cheng Yi Zheng Xin (誠意正心) concerning practice (行) . It is the ideal of Zhuxi’s theory of Sage Learning (聖學) he wanted to attain that people achieve moral character by cultivating the Illustrious Virtue and build a moral society by expanding the Illustrious Virtue.

      • KCI등재

        조선 전기 심학의 전개에 관한 연구

        고재석(Go, Jae-Suk)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49

        이 글은 조선 전기에 해당하는 14-16세기 성리학자에 의해 이단의 학문으로 배척되었던 ‘한국 심학’의 전개 양상을 검토하여, 한국 심학 및 한국유학사 연구의 다각적인 이론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심학에 대한 국내학계의 연구는 이미 ‘한국 양명학’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상당한 수준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필자는 ‘한국 양명학’이라는 학술 용어가 600여년의 시간동안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된 조선의 심학 전부를 개괄하는 용어로 규정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조선의 심학은 양명학이 전래된 시점에서 비로소 시작된 것이 아니라, 고려시기 불교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당시의 학술경향이나 화담의 기학 등이 형성의 토대가 되었고, 성리학과 함께 동시에 유입된 상산 심학 역시 그 기초가 되었다. 이에 여기서는 우선 14-16세기의 조선의 학자들이 상산에 대해 지녔던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관점을 검토하고, 상산의 학문을 비판적으로 논박한 성리학자들의 이론을 분석하여, 조선 초기 한국 ‘심학’의 전개 양상을 규명하였다. 상산과 양명의 철학사상은 조선 초기 유입되어, 각기 다른 시간과 공간 속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그 정신을 표출하였다. 그런 면에서 성리학과 대비되는 보편가치인 ‘한국 심학’이란 개념으로, 심학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 양상을 규정하는 것은 의미 있다. 게다가 근현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한국 양명학’ 개념은 정치적 의도에 의해 이용되고 왜곡된 측면 역시 존재한다. 일제시기에는 식민주의 침략 정당화를 뒷받침하는 이론으로 이용되었고, 최근 중국에서는 문화중심주의 확산 개념으로 협소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국 양명학’은 일제 침략 정당화의 이론근거로 이용한 시각에 머물러서도 안 되고, 중국 철학사상의 지역적 확산 개념으로 한정되어서도 안 된다. ‘한국양명학’을 고수한다면 조선시기 역사적 흐름 속에서 양명의 학설만이 아닌 다원적 관점을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고려해야 하고, 근현대 격변기에 정치적 의도에 의해 왜곡된 의미 역시 제거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for the presentation of theoretical foundation for diverse studies of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the Philosophy of Mind in Korea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the Philosophy of Mind, which was expelled by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the era of 14-16 centuries. Domestic studies, delved into the Philosophy of Mind, have produced significant achievement center around the concept of Korean Yang-Ming Studies. However, author of this paper assumes the term Korean Yang-Ming Studies would be inadequate as a term comprehensively covering the extent of the the Philosophy of Mind, which had been developed in diverse aspects over 600 years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dynasty of Joseon.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positive attitudes and negative standpoints of the scholars of Confucianism in the dynasty of Joseon in the era of 14-16 centuries. Further, the theories of the scholars of Neo-Confucianism, who refuted the studies of Xiangshan (象山), were analyzed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the Philosophy of Mind in Korea in the early age of the dynasty of Joseon.

      • KCI등재

        실천적 인성리더 양성을 위한 미래형 수업 모델 개발 연구 ─ 성균 ‘仁’ Dream ─

        高在錫 ( Go Jae-suk ),權敬子 ( Won Yong-joon ),金庾坤 ( Kwon Kyoung-ja ),元勇準 ( Kim You-gon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본 연구팀의 < 성균 ‘仁’ DREAM >은 동아시아 사상문화의 토대를 이루었던 고전의 지혜와 수업에 활력과 깊이를 더해주는 혁신적 교수법 ‘Flipped Classroom’의 결합을 통해, 대학인성리더양성의 미래형 교육의 미래형 실천적 수업 모델을 만드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1세기 문턱을 넘은 세계는 인성리더에 대한 기존의 가치기준을 근본적으로 수정하고, 새로운 방식의 보완이나 또 다른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근대화의 상징이었던 ‘찻잔’과 같은 기능적 지식인이나 ‘똑똑한 바보’와 같은 편협한 전문가는 더 이상 ‘최고 인재’가 될 수 없다. 대학은 앞 다투어 지성과 인성을 겸비하고, 폭 넓은 시각으로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전인적 인재양성을 하는데 그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많은 대학들이 교육의 비전, 발전계획, 교육과정개편 등을 제시할 때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노력하고 있는 사실은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인성 교육에 대한 각 대학들의 의지에 비해 실제로 각 대학에서 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인성 교육 콘텐츠의 문제에 들어가면 빈약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많은 경우가 이론교육 내지는 사회봉사라는 측면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며, 서구식 인성이론이나 종교적 기반에 의지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수신 · 제가ㆍ치국ㆍ평천하’로 요약되는 동아시아 고유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응용하고, 학습의 주도권을 학생으로 옮겨주는 Flipped Classroom 혁신교수법 적용은 인성교육의 다원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이론위주의 매너리즘을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미래형 수업 모델이며, 향후 동아시아 인성리더십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 SUNGKYUN IN DREAM > is to establish a future class model for the practical training of moral leaders in colleges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an innovative teaching method, the “Flipped Classroom,” that adds vigor and depth to classical wisdom and learning, the foundation of East Asian ideas and cultures. The 21st century has attempted to fundamentally revise the standards of traditional values for moral leaders, develop new methods, and switch to a different educational paradigm. Mechanical intellectuals, as expressed in the metaphor of the “tea cup”―the symbol of modernization―or one-track specialists (so-called “smart fools”) can no longer be the “top talents.” Universities are eagerly taking turns to cultivate holistic talents who have the qualities of both intelligence and humanism and can perceive the world from diverse perspectives. This is evident from the number of universities attempting to demonstrate their advocacy for moral education through their educational visions, development plans, and curriculum reforms. However, in reality, when it comes to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uch as what to teach in order to cultivate character, universities inevitably convey an impression of not matching up to their declared visions and intentions. In many cases, they cannot overcome theory-oriented education or social services, and show a tendency to rely on Western personality theories or religious foundations. The innovative teaching method of the Flipped Classroom, which involves the application of East Asia-specific traditional values, as epitomized by the famous Confucian saying “Self-discipline is the basis for managing the house and governing the nation, and ultimately bringing the world peace,” to a modern setting and which provides learning initiatives for students, is a “futuristic class model” that can both overcome typical mannerisms and effectively cultivate students’ moral character. In the future, Flipped Classroom, the innovative teaching method that transforms the above mentioned saying into a reality,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and consolidate a new paradigm for moral leadership education in East Asia.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철학적 인간론 연구

        박재갑(Jae Gahb Park),전철(Chul Chun),고재석(Jae Suk Go)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6

        본 연구는 문명의 전환기의 중심에서 인간과 세상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구성했던 다산의 사유구조를 밝혀, 다산 사상이 지니는 철학적 인간이해의 고유한 지평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료적 측면에서 다산과 서학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조명하였고, 사상적 측면에서 다산과 서학의 上帝와 天主개념, 靈明과 靈魂개념을 분석하였다. 다산은 젊은 시절 보유론적 漢譯西學書를 접하고, 당시 사회통치의 이념이었던 노론계열의 성리학 폐단을 극복하고, 조선사회의 재건 방향을 주도할 새로운 유학의 희망을 찾았다. 상제는 만물을 초월하면서 만물을 창조하고 주재하는 존재라 하더라도, 지금 바로 여기의 순선한 도덕 감정에서 현현되고, 마음과 분리되지 않으면서 마음에 내재되어 본래상태를 이루고 있다. 理는 그저 자연사물에 현현되는 文理이거나 인간마음에 드러나는 條里이고, 無極과 太極도 ‘無形而有理’의 天理가 아니라 혼돈상태에 머물러 있는 元氣일 뿐이다. 靈明無形의 도심은 마음을 초월하여 실재하거나 몸을 초월하여 자아를 관찰하는 존재가 아니다. 순선한 감정에서 확인되는 마음의 본래 상태가 體이므로, 體와 用은 구분되지 않는다. 하늘[天]은 인간의 도심에 온전히 내재되어 인간의 본래 마음과 간극이 존재하지 않아, ‘天人無間’의 상태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양지와 양능처럼 知와 行이 합일되어, 도심에는 강력한 도덕실천의 힘이 확보되어 있다. 물론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성향이 상제의 현현이라 할지라도, 인간의 주체성은 결여되지 않는다. 도덕적 사고와 행위를 지속하는 책임은 ‘自主之權’을 지닌 마음에 달려 있다. 惡은 氣質때문이 아니라, 마음이 상제의 기호인 道義之性을 따르느냐 형기의 기호인 形軀之性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비롯된다. 문명전환기에 다산이 두 문명과의 역사적 대화 속에서 구상한 심신이론과 도덕본체는 21세기 철학적 인간론의 창조적 재구성을 위한 통찰과 유산으로 우리에게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ason structure of Dasan(茶山丁若鏞Jeong Yak-Yong, 1762~1836), which newly recognized and reconstructed the human and the world at the center of the transition period of civilization, and to present a uniqu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human understanding of Dasan’s thought. For this, this study illuminates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Dasan and Seohak (西學, Western Thoughts), which functioned as an important cornerstone of forming Dasan’s thought in the aspect of Historical Resources, and analyzed the concepts of Sangti (上帝, God of governing the Sky) and Tienju (天主), which constitutes the core of ontology in Dasan’s thought, and Spiritual Brightness(靈明, língmíng) and spirit of Dasan and Seohak (西學, Western Thoughts) in the aspect of ideology. In his youth, Dasan encountered the Western Books translated in Chinese about the Mission Theory to Spread Catholicism(補儒論) and found a hope for a new Confucianism to lead the reconstruction of the Chosun society that would overcome the defunct of Neo-Confucianism in the Noron (the Old Scholars, 老論) line, which was the ideology of social rule at that time, and lead the reconstruction of the Chosun society. Although Sangti (上帝) transcends all things and creates and presupposes all things, it is now here manifested in the subtle moral sentiment and is intrinsic to the mind and forms the original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ind. The idea of Li (理, Principle) is just a reason manifested in natural objects, or a Jiri (條里, logic) that reveals itself in human mind. Rather, the Supreme Ultimate (tàijí, 太極; the Supreme Polarity) and the nothingness Ultimate(wújí, 無極) are not the Heavenly Principle (天理,tiānlǐ) of a formless reason but the originally Vital Enery(元氣, yuánqì) to stay in a chaotic state The intangible Daosim (道心, dàoxīn) of the Spiritual Brightness is not a Being that transcends the mind or observes the self beyond the body. Since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confirmed by the pure emotion is the Substance (體, tǐ), the Substance and the Usefulness (用, yòng) are not distinguished. Heaven is fully inherent in the Daosim of man, and there is no gap with the human mind, it can be said to be in a state of no gap between Heaven and Man beyond the idea that Heaven and man are one. Also, since the Daosim of man is the idea that Knowledge and Action becomes one such as the cultivated wisdom and the cultivated ability, the strong power of moral practice is secured in the Daosim of man. Of course, even if the tendency to love good and dislike evil is manifestation of the Shangti, human subjectivity is not lacking. Responsibility for sustaining moral thinking and behavior rests on the mind of ‘autonomy.’ The origin of evil is not in the quality, but it depends on whether the mind pursues the Nature which is the fondness of Supremacy, or the Nature of Shape and body which is the fondness of Shape material. The Moral Theory and the Psychoanalogy, which Dasan conceived in the historical dialogue with the two civilizations in the civilization of the transition period, remain for us as a valuable insight and heritage for the creative reconstruction of the 21st century philosophical Humanism.

      • KCI등재

        코로나시대 고전기반 온라인 인성교육 교육효과성 분석 ― 성균관대학교 <성균논어> 교과교육을 중심으로 ―

        조재형 ( Cho Jae-hyung ),고재석 ( Go Jae-su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71

        현대사회는 인성의 가치와 덕목을 내면화하여 의사소통과 갈등해결 능력을 습득하고, 타인존중과 협업소통을 중시하는 민주시민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을 제정하고, 청소년들의 인성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성균관대학교에서는 2013년부터 교양필수로 동아시아 고전 『論語』 기반 인성교육을 실시중이다. 이는 논어에 인간에 대한 강한 신뢰가 담겨있을 뿐 아니라, 인간다움의 실현을 위한 현실적이면서도 쉬운 길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사상문화의 진수를 담고 있어, 한국형 인간의 길을 모색하는 데에도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직 논어 수업이 실제로 대학생들의 인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계량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논어 인성 척도를 바탕으로 성균관대학교 성균논어 수업 6개반 210명을 대상으로 수업 이전·이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여자 전원의 인성 점수는 문항당 0.0625점(5점 만점)이 증가하였으며, 유의도는 0.131이다. 통계적 유의도(p<.05)를 충족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수업의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수업 이전부터 문항별 평균 값이 4.101점(5점 만점)으로 높다는 점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지나치게 평이한 문항들에 대해서는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16개 세부역량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총 5개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p<.05)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수신 중 존양(0.005)과 성찰(0.002), 제가 중 친친(0.026), 이인(0.033), 치국 중 인정(.042)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적어도 위의 5가지 역량에 대해서는 수업의 효과가 있던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In modern society,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internalize the values and virtues of personality to acquir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to develop democratic citizenship capabilities that emphasize respect for others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government enact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2015 and is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character education of youth. In the background above, Sungkyunkwan University has been conducting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East Asian classic 『論語』 as a compulsory liberal arts education since 2013. This is because the Analects not only contain strong trust in humans, but also suggest a realistic and easy way for the realization of humanity. In addition, it contains the essence of East Asian ideology and culture, including Korea, so it has an advantage in seeking the path of a Korean-style human being. However, there are still very few quantitative studies on whether the Analects class actually affects the personality change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personality changes of 210 students in 6 class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nalects class at Sungkyunkwan University. First, the personality score of all participants increased by 0.0625 points (out of 5 points) per question, and the significance was 0.131. Since it did not mee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the class is not clear. The reason for these results is that the average value of each item was 4.101 points (out of 5 points), which was high even before clas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too plain questions. However, in the results of analysis by 16 sub-competenc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p<.05) can be confirmed in a total of 5 competencies. One of the reasons why this effect appeared in specific specific competencies was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 instructor to explain all the parts in the 15-week class, and the emphasis was different. Therefore, in the future, if the students are taught more intensively on the areas lacking, and if the instructors share the teaching know-how, a greater effect can be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