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유림 고암(鼓巖) 황병중(黃炳中) 삶과 시 세계 고

        한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8

        Hwang Byeong-joong, a modern Confucian scholar, was a Confucian scholar and writer from Gwangyang, Jeollanam-do. He was an ordinary local intellectual who stayed in his hometown and worked hard to inherit the studies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However, in 1908, his brother and uncle resisted Japan, which led him to escape to Seoul and be arrested by Japanese military police.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he settled his family affairs and practiced it for the original intention as an old man. His literature contains the complex inner thoughts of Confucian intellectuals at the time, and the main emotions were agony and sighing. In particular, poems mourning the deaths of people around them embodied the righteous deaths of intellectuals at the time in literatu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world were the intransigence and intellectual belief in Japanese imperialism that lasted for about 30 years. This was a characteristic that contrasts with other works of the same period with many non-political and unrealistic themes.

      • KCI등재

        물와(勿窩) 김상욱(金相頊)의 「중주기행(中州記行)」 고찰 - 북경행의 배경과 기행시의 시정(詩情)을 중심으로 -

        한길로 ( Han Gil-r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80

        본고는 영남 창원의 유림 물와(勿窩) 김상욱(金相頊, 1857~1936)이 남긴 「중주기행(中州記行)」에 주목한 연구이다. 「중주기행」은 지우들의 제안으로 1913년 4월, 동경하던 이상향과 같았던 ‘중국’행에 올라 압록강을 건너 북경까지 유람한 소회를 서술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른바 ‘장부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그는 중국행을 결정했지만 당대의 중국과 유교의 면모는 과거의 것과 상이하였고 나라는 식민지로 전락했기에 그의 시에는 기대보다는 회한과 탄식의 정서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국치와 이민족의 압제를 피해 압록강 너머의 서간도 일대에 머물고 있던 국내의 유림들과 함께하고, 또 ‘화인(華人)’과 교류하면서는 다소간의 기대와 긍정의 내면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러한 회한과 기대감 속에 북경에 당도했지만 그곳은 ‘구제(舊制)’의 면모와 중화의 위용을 찾기 어려운 공간으로 변했고 오히려 쇠망과 무상(無常)의 흔적을 보지하고 있는, 탄식을 그치기 어려운 곳이 되어 있었다. 요컨대 「중주기행」은 이주를 통해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 했던 유림이 아닌, 국내에 남아 있던 유림들의 내면과 대외 인식의 일면을 잘 담고 있다. 또한 그의 기록은 연행시의 전통에 자리하면서 변혁이 일던 ‘중화민국’ 기행의 소회 역시 잘 드러나 있어, 20세기 구지식인의 근대 중국 기행문의 특징적 국면을 보여주고 있다. 즉 구지식인에게 근대 중국과 북경이라는 공간이 어떻게 인지되고 있는지와 함께 중국 기행을 통한 당시의 시대상과 현실인식을 매우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Joongju-Gihaeng(中州記行)」 created by Mulwa Kim Sang-wook(勿窩 金相頊, 1857~1936). This document describes his thoughts on traveling across the ‘Ap-lok river’ to Beijing in April 1913 at the suggestion of his friends. At that time, the state became a colony, so his poetry had many sentiments of sadness and sorrow. There, he met Confucian scholars who stayed in Seo-gando, Manchuria, who lived there to escape the humiliation and immigration rule of the country, and also had a conversation by writing(筆談) with the Han Chinese(漢族, 華人), which revealed some expectations and optimism. However, he was disappointed when he arrived in Beijing. Because Beijing was hard to find its past and the traces of the Ming(明) Empire were hard to find. In other words,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his ideal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Beijing. Against this backdrop, the sentiment of his poem went from remorse to expectation and ultimately to futility. In short, his work records the travel of modern Confucian intellectuals to China and shows the sorrow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the view of China and the encounter with Korean intellectuals in China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ravel records during this period, which are different from Yeonhaengrok(燕行錄) of the past. This text reflects the landscape of Beijing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 perception of Confucian intellectuals in reality.

      • KCI등재
      • KCI등재

        장석영의 러시아 체험을 통해 본 근대기 중화 사상의 일면

        한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용봉인문논총 Vol.- No.60

        회당 장석영의 『요좌기행』은 한문으로 작성된 20세기 북만주 및 러시아 기행문으로, 당대 유림의 대외인식과 현지의 실정을 매우 잘 담고 있는 유의미한 기록이자 한국 한문학의 영토를 넓힌 문학 작품이다. 당시 62세의 노유였던 그는 1912년 음력 1월, 맹동의 추위를 뚫고 만주와 러시아로향하여 약 100여 일 동안 15,000리를 돌아본다. 이민족의 지배를 피하고 유도의 회복을 위해 새로운 이거지를 모색하려던 그는 북만주를 넘어 지금의 극동 러시아까지 당도했다. 그곳에서 직접 눈으로 확인한 러시아의 문화와 재러 한인들의 삶은 그에게 대단히 큰 인상을 남겼다. 기차에서 만난 러시아 순검을 통해 ‘인(仁)’의 보편성을 확인하기도 했지만 러시아 문화는 그에게 상당한 당혹감을 주며, 결코 수용할 수 없는 이질감을 갖게 했다. 또한 ‘한인 독립운동 단체의 분열과 갈등·러시아 정교회를 긍정하고 이를 받아들인 한인 사회, 또한 정처 없이 각지를 떠도는 한인 청년들의 모습과 유교 전통이 붕괴’되는 한인 사회의 실황은 그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온다. 결국 정통 성리학자였던 그에게, 러시아에 산다는 것은 곧 한국인의 정체성을 잃은 채 “아호(俄胡)”가 되는 것으로 각인된다. 즉 직접 해외로 떠날 수 있었던 근대 유림 장석영에게 과거의 구제(舊制)와 중화의 전통은 더욱 절실하게 다가오는 ‘자기 정체성’이 되면서 반드시 보수해야 할스스로의 유산이자 전통이라는 것이 한층 확고해진 국면을 보였다. Hoedang Jang Seok-young’s 『Yojoagihaeng』, is the travel record of the 20th century to North Manchuria and Russia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is is a significant record of the external perception and local situation of Confucian intellectuals, and a literary work that expanded the terri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s a 62-year-old man at the time, he traveled 5,890km in a period of about 100 days to Manchuria and Russia in January 1912. The purpose of the trip was to leave Korea and move to a new place, but Russian culture and the lives of Korean residents in the Far East shocked him greatly.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Russian culture and Confucian traditions, and the lives of Koreans were also assimilated into Russia. He was also very disappointed by the division and conflict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Eventually, he judged that Russia was not a new place of life, and that their culture was collided with Korean traditions. In other words, the Sinocentrism inside him was being further strengthened. Sinocentrism was recognized as an internal tradition, not an external one, and his perception later led to the Confucius religious movement.

      • KCI등재

        한계 이승희의 곡부(曲阜) 방문 소회와 현실인식 고찰 - 『서유록(西游錄)』 소재 한시를 중심으로 -

        한길로 ( Han Gil-r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7 No.-

        과거 연행로 밖의 중국 지역을 방문하는 조선 지식인은 매우 드물었다. 유교의 본향(本鄕)이라 할 수 있는 산동성 곡부를 다녀온 인사들도 또한 극히 소수로, 곡부는 그 상징성에 비해 관련 작품 또한 대단히 적었다. 하지만 20세기라는 특수한 환경이 도래하면서 곡부에도 한국 유림의 발걸음이 점차 다다르게 되었다. 『서유록(西遊錄)』(1914)은 한계 이승희(韓溪李承熙, 1847∼1916)의 곡부 방문을 담고 있는, 근대 초기 곡부 관련 한문학 작품이다. 본서는 곡부를 방문하여 그곳 인사들과 교류하며 향후 한 · 중 유림의 협력과 합작의 기초를 닦던 이승희의 모습과 함께, 풍전등화와 같던 시대 배경 하에서 곡부를 바라보는 한국 근대 유림의 시선을 대표적으로 담고 있다. 즉 근대기 한국 유림의 곡부방문의 맥락과 실정을 담고 있는 초기의 기록이자, “연행록” 이후 중국과 관련된 한문 기행문 창작 양상을 대단히 잘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특히 그의 시에는 선현(先賢)들의 자취를 직접 몸소 체험하게 된 것에 대한 기대와 설렘의 감정과 함께, 신해혁명 이후 세도의 변천으로 위기에 빠진 ‘현실적’ 상황에 대한 우려와 불안이 누차 표출되었다. 더욱이 목도한 곡부의 실상 역시 그의 예상과 다소 어긋나자, 성지에 대한 기대에는 점차 실망과 한탄이 더해져 보다 복잡해져 갔다. 즉 이제 곡부(曲阜)는 과거와 같은 단순한 동경이나 사모의 대상이 아닌 한·중 유림의 ‘합작’을 통해 지켜야 할, 존망의 기로에 놓인 불안한 ‘성역(聖域)’임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In the past, Korean intellectuals could not visit China, which was not an official route. The Qufu of Shandong Province, which is regarded as the sacred place of Confucianism and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was also not easily accessible. It was a space that could not be easily visited unless it was under special circumstances, but it was a place of longing for many intellectuals to visit. In other words, after the 20th century, there was an opportunity to visit Qufu. Lee Seung-hee is a Confucian scholar of the modern era who visited Qufu for the first time, and 「Seoyoulok(西遊錄)」is the first book related to Qufu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book is a literary work that records the exchange of Confucian scholars from Korea and China and the appreciation of visiting Qufu. Lee Seung-hee, who visited Qufu in 1914, witnessed the Confucian holy site and expressed his feelings through poetry. However, the 20th century was a crisis in Confucianism and a time when Confucius' authority fell. Therefore, he expressed his concerns and anxiety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For him, Qufu was a place of admiration, but it was a sacred place to be preserv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노산(老山) 심의식(沈宜植)의 삶과 서간도 기행문 고찰

        한길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8 No.-

        Nosan Shim Eui-sik, a Confucian scholar from Cheongsong, Gyeongsangbukdo, i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of Shim Seong-ji, which started from Cheongsong in 1896. After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in 1910, he gave up his social activities and considered moving abroad. In March 1911, he and his colleague crossed the Ap-lok River to observe Chinese cities. They thought it was a good place to live, so he returned home 77 days later. However, he couldn't move because of opposition from his family and later chose to live a quiet life in Nature. His Chinese travel literature 「Seo-Yulok」 is a special work that records his first and last overseas experience. In his records, his values, attitudes in life, and aims are very detailed content, and records on China are also noted. In particular, his special experience of visiting there hoping to immigrate but ending his life in Korea was reflected.

      • KCI등재

        한계 이승희(韓溪 李承熙)의 북경행의 배경과 교유시의 일면 -「서유록(西游錄)」을 중심으로-

        한길로 ( Han Gilro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0

        을사조약이 늑약 체결된 1905년 이후, 나라의 붕괴와 균열상을 지켜만 볼 수 없었던 지식인들은 국외 이주를 도모하게 된다. 이 행렬은 이민족의 지배 하에서 유가적 이상을 실현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했던 유림들이 중심이 되었다. 한주학파를 이끌며 항일운동을 전개했던 한계 이승희 역시 그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1908년(당시 62세) 해삼위로 향해 그곳에서 유교 공동체 구성과 독립운동 기지 구축에 전념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에는 ‘공교(孔敎) 운동’의 중심에 서며 이른바 ‘재중(在中) 유림’을 대표하는 인물로 거듭난다. 1913년 그는 당시 한인 사회의 갈등과 국난극복 해결을 기대하며 동삼성한인공교회를 설립하였다. 지회 승인을 위해 직접 북경으로 건너가 공교 간부들과 만난 이승희는 공교 문제와 더불어 세계정세나 중국의 현안, 그리고 ‘근대(성)’에 관한 문제를 놓고 진지한 필담과 문필을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서유록(西遊錄)」 속의 시문들에서 이승희는 ‘소중화나 모화(慕華)사상’의 견지를 넘어, 확고한 ‘(유교적) 주체의식’을 표출하였다. “아동(我東)”이 아닌 “아화(我華)”로 진화한 것이다. 또한 중국의 중심으로 건너가 자신의 이상을 직접 실천하고 적극적으로 구현하려던 근대 유림의 사상적 무장과 실천적 면모를 잘 보여줬다. 그리고 「서유록」은 양국 유림(문인)들의 교유 국면에서 한국유림에 대한 달라진 위상을 담고 있는데, 과거 다소 고압적이었던 중국 관료(문인)들의 모습은 사라졌고 이승희는 유도의 담지자 및 전수가로서 매우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즉 이 자료는 이승희로 상징되는 근대 유림의 새로운 방식의 중국기행과 변모된 위상을 보여주는데 특히 한국 공교 운동의 배경·전개·추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동시에 근대 한중 유림의 인적교류 국면과 그 이면에 담긴 내면을 생생히 기록하고 있다. 요컨대 이 책은 이른바 ‘연행’루트를 벗어난 근대기 유림의 중국 기행(체험)을 잘 보여주는 ‘근대 중국(북경) 기행문’의 시원(始原)에 해당되면서 근대기 한중유림의 합작과 공조의 초기 모습을 선명히 증언하고 있다. In 1905, Japan forcibly signed a treaty with the Korean Empire. The fall of the country and the collapse of Confucianism were so shocking that intellectuals at the time considered immigration. Lee Seunghee (李承熙), the leader of the Hanju School (寒洲學派), was also one of the intellectuals who considered immigration. In 1908, 62-year-old Lee Seung-hee took a ship bound for Vladivostok, the border between Russia and China, where he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a Confucian community and building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1, when the Xinhai Revolution broke out in China, he became a central figure in the Confucius Religion Movement (孔敎運動) and also grew to represent the Confucian scholars living in China. In 1913, he founded the Korean Organization of Confucius Religion Church of the Three Provinces in Northeast China (東三省韓人孔敎會) in anticipation of overcoming the conflict and national crisis in the Korean community at that t ime. I n the w orks in Seoyoulok (西遊錄; The Records of Travels in the West), Lee manifested his own Confucian spirit and active will to put it into practice, neither resorting to minor Sinocentrism nor showing a trait of a Sinophile. At the same time, the book vividly records the reappearance and the elevated status of Korean Confucians in modern China. In short, the book marks a new beginning of the Modern China (Beijing) Travel Literature, which records the Korean Confucians’ travel to China in the new modern period, not based on the so-called previous routes, and shows an early appearance of th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nfucians in Korea and China of the moder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