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금강정영청의(金剛頂迎請儀)』의 한국 내 수용 및 변천 - 점안식과 불화를 중심으로

        진명화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본고는 조선시대 점안식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과 대흥사(大興寺) 「법신중위회삼십칠존(法身中圍會三十七尊)」을 통해 밀교 『금강정영청의』의 한국 내 수용 및 의미 대해 연구하였다. 현재 유물에 따르면, 금강계 만다라 오불과 관련된 도상 및 조형물은 9세기 후반 통일신라 때부터 한반도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예로는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863년) 외함의 바깥 4면에 조각된 사존불상과 강원도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의 3층 옥개석 아래에 돋을 새김된 금강계 만다라 오불 등이 있다. 조선시대 유물로는 상원사 문수보살좌상의 복장유물인 목각 판화 「금강계종자만다라도(金剛界種子曼?羅圖, 1466년)」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이 판화는 고려 말기에 제작된 판을 사용해 조선 초기에 인쇄된 것으로 보인다. 금강계 37존을 소재로 한 불화로는 1845년에 초의선사 주도, 완성된 전라남도 해남 대흥사의 「법신중위회삼십칠존」만이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다. 이들 유물 가운데 「법신중위회삼십칠존」만 예배의 대상으로 사용되었고, 나머지 사리함과 탑신에 새겨진 금강계 오불, 만다라도는 모두 사리 공양이나 개안·복장 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이유로 조선시대 의례집에서 점안이나 복장 의식 때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의례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금강정 밀법은 조선시대에 들어선 이후 유가사상의 연구나 수행으로 실천되지 못하고 점안식, 복장식에 관한 의궤에만 남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점안식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은 돈황유서 『유가불례(瑜伽佛禮)』나 『금강정영청의』가 금강정 유가밀법의 정례(頂禮) 수행에 관한 예참문으로 청불, 찬탄, 예불, 오회(五悔) 등의 절차를 기록한 것과 달리, 점안식 봉청의례 때 불상(또는 불화)의 가지(加持)를 증명할 뿐임을 고찰하였다. 사상적 구조로 볼 때 이는 금강계, 태장계(胎藏界), 소실지(蘇悉地)의 3대 밀법이 통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금강계의 대일여래(大日如來), 삼실지 삼신불과 화엄종의 비로자나불, 삼신불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삼국시대에 당나라 중기 밀교의 `금태불이(金胎不二)` 및 거기에서 파생된 3종 실지 사상이 한반도에 유입된 뒤신라 화엄종의 삼신불과 섞여 조선시대에 이르면 화엄사상이 짙게 깔린 한국 밀교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흥사 대광명전에 봉안된 「법신중위회삼십칠존」은 금강정 37존을 소재로 한 후불탱으로, 예배 기능도 있지만 인간세상을 위해 재앙을 없애고 복을 내려달라는 기원의 용도로 주로 쓰였다. 그림 속 방제(榜題)로 쓰인 `금강정 만다라 삼십칠존`이라는 명칭이 돈황유서 『유가불례』의 명칭과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당시 한반도에서 금강정 유가 37존을 경배하는 의식이 전파했으며 「법신중위회삼십칠존」 이전에도 이러한 의식과 관련된 불화가 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통일신라 후기에 유입된 금강정 불정 사상과 신앙은 고려 때 호국사상이 더해지면서 왕실의 숭상을 받으며 유지되었지만, 조선시대 이후 쇠락의 길로 접어들어 점안식의 봉청의례 때 불사의 가지(加持)를 증명하거나 그것을 소재로 그린 불화를 사원 불전에 봉안해 세속의 재앙을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本文透過朝鮮時代点眼儀 `金剛界曼?羅37尊奉請`,以及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探討密敎 『金剛頂迎請儀』 在韓國的流變和意義。經由硏究,得知朝鮮点眼儀的 `金剛界曼?羅37尊奉請`,僅以迎請金剛界37尊作爲佛事的證明加持。與敦煌遺書 『瑜伽佛禮』 或 『金剛頂迎請儀』 內有請佛、嘆佛、禮佛、五悔等次第,屬于頂禮修習金剛頂瑜伽密法的禮懺文本,在職能上幷不相同。就構筑点眼儀的思想核心來看,爲金剛界、胎藏界、蘇悉地三部密法的合體。從其以金剛界大日如來、三悉地三身佛與華嚴宗毗盧遮那佛、三身佛的相攝一致,說明自三國時代以來,唐代中期密敎的 `金胎不二` 及由此衍生的三種悉地思想,在傳入朝鮮半島后與新羅華嚴宗的三身佛相互融攝,形成韓國密敎呈現?厚的華嚴思想底蘊。供奉于全羅南道大興寺大光明殿的 「法身中圍會三十七尊」,是以金剛頂37尊爲題材的后佛?,雖具有禮拜功能,但在朝鮮時代作爲世俗消災祈福之用。畵中榜題所書金剛頂曼?羅三十七尊名稱,經與敦煌遺書 『瑜伽佛禮文』 比對,稱名雷同一致,推測禮拜金剛頂瑜伽37尊的儀式曾傳入朝鮮半島,幷在 「法身中圍會三十七尊」 之前應也?制與此儀式有關的佛畵。可以說金剛頂佛頂思想和信仰,自統一新羅后期傳入,以其具有護國的職能在高麗得到王室的尊崇護持,但朝鮮時代以后,衰退式微,只見点眼儀式的迎請儀節,作爲佛事加持證明,或以其爲題材?成佛畵,供在寺院佛殿內,成爲世俗消災增福之用。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인식연결망분석(ENA)을 적용한 문제해결과정 비교: 초급자와 중급자, 전문가의 문제해결과정 탐색

        진명화,정유진,박은주,김혜준,임규연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4

        Problem-solving skills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to a great degree in learning as technology advances and complex problems increase. Novices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in problem-solving. To provide progressive support to novices, we sh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es of novices, intermediates, and exper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novices, intermediates, and experts by comparing their problem-solving processes. To this end, groups of novices, intermediates, and experts were selected and provided with programming problems, and their problem-solving processes were transcribed and cod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Epistemic network analysis (EN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occurrence pattern of problem-solving behaviors. In general, the novices attempted to solve problems using a trial-and-error strategy. The intermediates continued monitoring their process with the plan they established. The experts monitored their process and considered the quality of the solutions. The analysis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according to the time indicated different behavior patterns among the groups. The study discussed the strategies for novices in problem-solving at specific time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의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재학생과 교원의 인식 비교 연구: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명화 ( Jin Myunghwa ),이형주 ( Lee Hyeung 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효성 있는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대학의 융합교육을 고찰하고 재학생과 교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9년 8월-9월 중 약 한달 간 A대학 재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융합교육에 대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재학생 1,732명, 교수 187명의 응답지를 확보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FGI는 학생과 교원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FGI 내용은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융합교육에 대한 고찰, 교원과 재학생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도 등으로 수렴된다. 본 연구는 대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융합교육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교육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o explore ways to promote convergence education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 on convergence education to conduct effective convergence education at universities. FGI and survey on convergence education were conducted for a month in 2019. 1,732 students and 187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32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and students in total participated in FGI,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onsideration about convergence education, comparis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onvergence eduaction,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fundamental research that presents direct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reflecting on the needs of university stakeholders.

      • KCI등재

        중학생의 컴퓨터·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진명화(Myunghwa Jin),임규연(Kyu Yon Lim)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컴퓨터ㆍ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ICT 관련 변인을 탐색하여 학습자들의 컴퓨터ㆍ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ICT 사용 경험과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 그리고 컴퓨터·정보리터러시 및 컴퓨팅 사고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국제 비교 연구인 국제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 연구(International Computer Information and Literacy Study, ICILS) 2018에서 수집된 우리나라 참가자 2,875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ICT 사용 경험으로 상정한 ICT 사용 기간, 수업 외 ICT 프로그램 사용 경험, 수업 중 ICT 관련 학습 경험과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는 컴퓨터·정보리터러시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컴퓨팅 사고력에 대해서는 ICT 사용 기간,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가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나, 수업 외 ICT 프로그램 사용 경험과 수업 중 ICT 사용 경험은 컴퓨팅 사고력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또한 ICT 자기효능감과 ICT에 대한 태도는 ICT 사용 기간, 수업 외 ICT 프로그램 사용 경험, 수업 중 ICT 관련 학습 경험과 컴퓨터·정보리터러시, 컴퓨팅 사고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W교육에서 학습자의 컴퓨터·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ICT 자기효능감과 ICT에 대한 태도를 촉진할 수 있는 교수설계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ICT-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o derive implications for software education for developing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experience in using ICT, ICT self-efficacy, attitude toward ICT,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were analyzed. Panel data of 2,875 Korean participants collected in the ICILS(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iod of ICT use, personal use of ICT, academic use of ICT in class,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Furthermore, the period of ICT use,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omputational thinking, while direct effects of personal, and academic use of ICT on computational thinking are not significant. Also,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iod of ICT use, personal use of ICT, academic use of ICT in class,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ffective instructional and learning strategies in terms of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인지적 참여와 학업성취 간의 예측 관계에 대한 연구: 벌점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진명화 ( Myunghwa Jin ),김혜준 ( Hae June Kim ),임지영 ( Ji Young Lim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3

        최근 고등교육에서 온라인 학습 방식이 확대됨에 따라 온라인 학습의 질적 제고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양질의 온라인 학습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수설계 시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고려한 학습활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활동을 탐색하고, 학습 시점에 따라 학습활동의 인지적 참여 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된 A 대학교 교직 교과목 수강생의 로그데이터를 바탕으로 교과목에서 실시한 학습활동에 대한 변수를 생성하고 벌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학습에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학습활동 확인하고, 학습활동을 인지적 참여 수준으로 분류할 수 있는 ICAP 프레임워크와 학습시점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적 참여를 의미하는 I 모드에서는 학기 후반부의 팀 프로젝트 활동이 학업성취를 예측하였으며, 동료피드백 활동은 교과목의 전·후반 시점에 따라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성적 참여를 의미하는 C모드에서는 학기 전반부의 성찰문 작성, 퀴즈 활동이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설명하였다. 적극적 참여를 의미하는 A 모드에서는 추가자료를 확인하는 활동이 전반부와 후반부 모두 학업성취에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가자료의 내용에 따라 학업성취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결과도 제시되었다. 수동적 참여를 의미하는 P 모드에서는 동영상 시청이 학기의 전반부와 후반부 모두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에서 다양한 수준의 인지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교수 설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학습활동의 인지적 참여 유형과 학습 실시 시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online learning has expanded in higher education recently, the ne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In order to provide quality online courses, it is important to organize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learners’ cognitive participation level in instructional design.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ich learning activitie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ourses and identify the extent of cognitive participation required for those learning activities as the online course continues. For this purpose, we generated variables based on the log data regarding the learning activities taken in the online course at A university to conduct a penalized regression analysis. We first identified online learning activities that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Then, we analyzed them based on the ICAP framework with the course flow to classify them into cognitive participation levels corresponding to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I mode, team project activities in the second half of the semester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feedback activities showed contrasting results depending on the course flow. In C mode, reflection writing and quizzes in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 A mode, checking supplement learning materials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semester; however, some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materials. In P mode, watching lecture videos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semester. The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online courses to promote levels of cogni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대학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 지원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

        임지영,진명화,김혜준,이주원,임규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2

        Improvements for onlin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re in dema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s and functions of technologies to support personalized learning considering those demands.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regarding personalized learning were analyzed and defined by conducting online focus group interviews. The roles and functions of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ersonalized Integrated Education Systems (PIES) framework. Five learners and four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or more than a year a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on personalized learning-related experiences. From the interviews, six semantic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each group. Both groups reported that supports for setting up personalized learning goals were insufficient, but they actively used technology for planning, recording, and assessment in the learn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learners and instructo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needs for personalized learning support units and technology for personalized feedback.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perienc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with the function of PIES,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perceived ‘recordkeeping’ as being implemented at a superficial level without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Regarding ‘planning,’ learners and instructors experienced short-term goal setting and planning on ‘tasks.’ In the case of the ‘instruction,’ technology only took a role as a medium, guiding assignment submission schedules or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Regarding ‘assessment,’ neither learners nor instructors experienced personalized assessment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s for designing personalized learning technology was derived. 본 연구는 대학 온라인 학습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현상황을 반영하여 개별화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기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개별화 학습과 관련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를 온라인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고, 이들의 요구를 구현하기 위한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기능을 개별화 통합 교육 시스템(Personalized Integrated Educational Systems, PIES)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분석하여 정의하였다. 국내 대학에서 1년 이상 온라인 학습 환경을 경험한 학습자(5명), 교수자(4명) 집단의 인터뷰 분석 결과, 학습자 집단과 교수자 집단에서 각 6개의 의미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집단 모두 개별화된 학습 목표 설정 경험은 부족하였으나, 학습 계획, 기록과 평가를 위해서는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자와 교수자는 개별화 학습 지원 단위, 개별화된 피드백 제공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PIES의 기능과 비교한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가 경험한 ‘학습 기록’ 기능은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피상적 수준으로 구현되고 있었다. ‘학습 계획’ 기능과 관련해 학습자와 교수자는 과제/활동 위주의 단기적인 목표와 계획 기능을 경험하였다. ‘교수 실행’ 기능의 경우 테크놀로지는 과제 제출 일정을 안내하거나 개별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매개체의 기능만을 수행하여 학습자와 교수자는 ‘과제 수행’과 ‘스캐폴딩 설정’ 기능의 일부분만을 경험했다. ‘평가’와 관련해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개별화된 평가 기능은 경험하지 못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 학습 테크놀로지 설계를 위한 요구사항을 기록되는 정보의 구체성, 장단기 목표와 활동 계획을 연계할 수 있는 기능, 학습 상태에 대해 교수자에게 안내하는 기능, 다양한 평가 방법을 지원하는 기능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