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원효의 화쟁방법 검토-최근 3인의 연구를 중심으로

        김영일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0 No.-

        This paper is reviewing the studies on Wonhyo’s method of harmonization with a focus on the recent studies of three researchers, Park Tae-won, Kim Yeong-il and Kim Tae-soo. First, I have arranged the studies so far in this field in terms of ‘content development process’.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the first period, Park Jong-hong, Kim Sun-geun, and Choi Yoo-jin list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in the second period, Oh Sung-hwan, Kim Hyung-hyo and Sato Shikeki explored the best principles, and in the third period, Park Tae-won, Kim Yeong-il and Kim Tae-soo presented various concepts. Second, the recent studies by the three researchers revealed that they could support one another. Kim Yeong-il empirically revealed the general details on Wonhyo’s method of harmonization, Park Tae-won had a deep discussion on the methods based o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Kim Tae-soo had a deep discussion on the method based on the theory of middle way. Third, the recent studies by the three researchers revealed that they could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Kim Yeong-il’s methods used when judging “all are right” is compatible with his methods used when judging “all are right and wrong.” Also, Park’s methods based o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Kim’s methods based on the theory of middle way can be compatible. ‘화쟁사상’은 한국불교를 대표할만한 원효의 핵심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화쟁사상의 중심에 화쟁의 방법론이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에 원효의 ‘화쟁방법’에 대한 연구성과를 활발하게 발표하고 있는 박태원, 김영일, 김태수 등 3인의 연구를 살펴보고 있다. 그리하여 그들의 연구가 서로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나아가 어떠한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첫째, 지금까지 이 분야의 연구를 ‘내용상 발전과정’이라는 기준으로 정리해 보았다. 총3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기에는 박종홍, 김선근, 최유진 등이 화쟁방법의 핵심요소를 나열하였고, 제2기에는 오성환, 김형효, 사토 시케끼 등이 화쟁의 최고원리를 탐구하였으며, 제3기에는 박태원, 김영일, 김태수 등이 각자의 독특한 관점으로 다양한 연구결과를 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최근 3인의 연구는 서로 정립(鼎立)할 수 있음을 밝혔다. 즉, 원효의 화쟁방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김영일의 연구에는 2가지 경우가 있는데, ‘제설이 모두 옳다’의 경우는 연기설에 근원을 둔 ‘문의 사유’에 대해서 탐구한 박태원의 연구와 관련이 깊으며, ‘제설이 옳고 그르다’의 경우는 중도설(중관의 논리)에 연원을 둔 ‘사구 논리’에 대해서 연구한 김태수의 연구와 관련이 깊다. 셋째, 최근 3인의 연구는 서로 호환(互換)할 수 있음도 밝혔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김영일이 말한 ‘제설이 모두 옳다’는 판정일 때와 ‘제설이 옳고 그르다’는 판정일 때 사용하는 방법은 호환될 수 있다. 또한, 내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박태원이 말한 연기설을 근거로 하는 ‘문(門)의 사유’라는 방법과, 김태수가 말한 중도설을 근거로 하는 ‘사구(四句) 논리’라는 방법도 서로 호환될 수 있다.

      • 자동제어시리즈 (3) - 중앙난방에서 시간표와 On/Off 제어 방식의 비교

        김영일,Kim, Yeong-Il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2009 기계설비 Vol.229 No.-

        본지는 자동제어설비협의회(위원장 최전남) 제공으로 지난 6월호부터 자동제어시리즈를 게재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중앙난방 제어 방식으로 김영일 서울산업대학교 교수의 '중앙난방에서 시간표와 On/Off 제어 방식의 비교'를 게재한다. 중앙난방 제어 방식에 대해 기존 시간표에 의한 간헐 난방과 제어 방식 중 가장 간단한 on/off 제어를 실내 온도 변화와 에너지 소비량 실험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분석한 결과 간단한 제어 방식이라도 적용할 경우 비적용시보다 쾌적성과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용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디지털 대체자료의 국내외 동향 분석

        김영일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by analyzing the trends regarding digital accessible materials. This study identified and discussed the standards, authoring and conversion tools, playback devices, and delivery services of digital accessible materials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recommendations included the acceptance of EPUB3 as the standard, the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and a playback device, and the restructuring of service delivery of digital accessible textbook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디지털 매체와 정보기술의 발달은 시각장애학생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으면서 동시에 정안 학생들과의 지식정보 격차를 심화시킬 위협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대체자료에 관한 국내외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학생용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데이지 표준 등 디지털 대체자료에 관한 국내외의 표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대체자료 저작 및 변환 도구, 디지털 대체자료 재생도구, 디지털 대체자료 서비스 등에 대해 각각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용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해 EPUB3 채택, 별도의 저작도구 및 재생도구 개발, 서비스 전달체계 재구조화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Analysis of Time, Duality, Difference, and Virtual Image in Partially Moving Image Cinemagraph

        김영일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9 The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Vol.6 No.4

        Humans use images on a daily basis—so much so that images are integral to their lives. Seeing is represented by an image, created or lived in it. Images required and developed a new paradigm from past to present. Today, images are in digital formats, and new techniques are increasing. Among them, cinemagraphs can find features that differ from previous images. The keywords found by comparing them in the image development are analyzed in detail through four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Cinemagraphs appearing in the keyword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each keyword and, through the example, the cinemagraph image can be approached concretely

      • KCI등재

        한글점자 약자 중 받침 쌍시옷과 ‘ㅓㅇ’ 약자 폐지와 소괄호 점형 변경이 점자 자료 부피와 점자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일,조성재,김인희,염지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6 시각장애연구 Vol.32 No.2

        점자 사용자들 사이에 약자의 활용이 자료의 부피를 줄이고 읽기 속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한국 점자 규정’의 한글점자 약자 중 받침 쌍시옷과 ‘ㅓㅇ’ 약자 폐지 및 소괄호의 점형 변경이 점자 자료의 부피와 점자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각장애인들이 널리 구독하고 있는 “점자새소식” 4개 호를 조사한 결과 받침 쌍시옷과 ‘ㅓㅇ’ 약자를 폐지하고 소괄호의 점형을 변경할 경우, 부피가 1.3%(총 1,358줄 중 18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 성인 20명과 시각장애 중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현행 ‘한국 점자 규정’을 적용한 자료와 한글점자 약자 축소 및 소괄호 점형 변경 내용을 적용한 자료의 읽기 속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글점자 약자 일부의 축소와 소괄호 점형 변경이 점자 자료 부피를 미미한 수준에서 증가시키기는 하지만, 점자 읽기 속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A perception that the use of contraction would reduce the volume of Braille materials and increase the reading speed has been pervasive among braille us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identify whether the elimination of contractions for final consonant ‘ssang-si-ot’ and ‘eo yi-eeung’ and the modification of braille symbol for open-&-close parenthesis influence the volume of braille materials and the reading spe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an increase of 1.3% in the volume of braille materialswhen aforementioned changes were applied.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speed among braill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limination of contractions for final consonant ‘ssang-si-ot’ and ‘eo yi-eeung’ and the modification of braille symbol for open-&-close parenthesi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ither the volume nor the reading speed of braille materials.

      • KCI등재

        토양(土壞)에서 분리(分離)한 Chitinase 생성(生成) 방선균(放線菌)의 분류동정(分類同定)

        김영일,김용웅,김광식,Kim, Yeong-Yil,Kim, Yong-Woong,Kim, Kwang-Sick 한국토양비료학회 198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1 No.3

        Four actinomycetes which produces extracellular chitinase were isolated from soil and organic matter all over the Chonnam provincial area. The chemical composition,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solated strain S-25, S-42, S-172 and S-267 were studied in relation to the toxonomical properties. All of strains contained phospholipids such as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inositol and diphosphatidyl glycerol. The components of cell wall in all strains have L, L-DAP,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and Glucosamine. The surface of spore is smooth and colony is grey in all strain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experiments all of strains are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S-25, Streptomyces sp.S-42, Streptomyces sp.S-l72 and Streptomyces sp. S-267. 전남일원(全南一圓)의 토양(土壤) 및 유기물(有機物)로부터 분리(分離)된 세포외(細胞外) Chitinase활성(活性)이 높은 방선균(放線菌) S-25, S-42, S-172, S-267균주(菌株)의 분류학적(分類學的)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형태적(形態的)으로 전균주(全菌株)가 Smooth한 표면구조(表面構造)의 포자(胞子)와 회색(灰色)의 기균사를 형성(形成)하였다. 그러나 포자(胞子)사슬의 형태(形態)는 S-25, S-172균주(菌株)가 Spiral type, S-42균주(菌株)는 Recticulum apertum type이었으며 S-267균주(菌株)는 Rectiflexibles type이었다. 2. 균주(菌株)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은 세포벽(細胞壁)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L.L-diamininopimeric acid와 Glycine을 Phospholipid로서 Phosphatidyl inositol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을 함유(含有)하였다. 3. 생리적(生理的) 특징(特徵)으로써 전균주(全菌株)가 호기성(好氣性)이었으며, 탄소원(炭素源)으로 Sucrose를 제외(除外)한 대부분의 당(糖)과 유기물(有機物)을 이용(利用)하였다. 4. 이상의 분류학적(分類學的)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각(各) 균주(菌株)를 Streptomyces sp. S-24, Streptomyces sp. S-42, Streptomyces sp. S-172 그리고 Streptomyces sp. S-267로 분류(分類), 동정(同定)하였다.

      • KCI등재

        어형 '나무[木]'의 원형과 형태 변화-『계림유사』의 표기를 중심으로-

        김영일 한글학회 2004 한글 Vol.- No.264

        Three varieties of a word implying a tree can be found in Chih-lin Lei-shih(鷄林類事): They are 南記(*namgi), 南(*nam) and 南木(*namo). The writer thinks all of them are the results of the change from the original form namgї. The form namgi, which is the subjective form of the form namgї, functions as the indefinite form even from the early period. The form 南記 written in C.L. is thought of just as this indefinite form and it appears also in place-names and documents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After the medial consonant ‘g’ was deleted, the original form namgї changed into namї and then into namo. Owing to the loss of final vowel, the form namї changed into another form nam.. The form 南木 written in C.L. is the equivalence of namo and the form 南 is that of nam. too. The form nam appears in place-names and dialects but does not in documents since the 15th century. This means that the change process―namgї>namї>nam―took place in the earlier period than that of the publication of C.L. In contemporary Korean we have two series of the words meaning a tree. One is that of namu which resulted from the loss of medial consonant ‘g’ of the original form namgї, and the other is that of namgu which has still retained the medial consonant ‘g’. 이 논문은 어형 ‘나무[木]’의 원형과 그 형태 변화를 계림유사의 기록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 것이다. 계림유사의 ‘木曰 南記, 松曰 鮓子南, 柴曰 孛南木’의 ‘南記, 南, 南木’을 각각 ‘남기, 남, 나모’의 대응형으로 보고 이 어형들은 공통 어근 ‘남그’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았다. ‘남그’의 주격형 ‘남기’는 이른 시기부터 단독형으로도 사용되기 시작한 듯한데 계림유사의 ‘南記’는 바로 이 단독형 ‘남기’의 대응형이다. 단독형으로서의 ‘남기’는 15세기 문헌과 지명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남’ 형은 15세기 이래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방언과 지명에서는 이 어형을 찾아 볼 수 있다. 15세기에 일부 체언이나 용언 어간이 꼴변화를 할 때 ‘ㄱ’이 나타나는 것은 꼴변화의 과정에서 ‘ㄱ’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본래 어근에 있던 ‘ㄱ’이 그대로 드러난 것일 뿐이다. 전형적인 예로서 ‘남ㄱ~나모[木], 심ㄱ-~시므-[植]’를 들 수 있는데, 이것들의 어근을 각각 ‘남그, 심그-’로 보면 ‘나모, 시므-’는 어근의 어중자음 ‘ㄱ’이 탈락한 결과 생겨난 어형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