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特別寄稿 : 《四庫全書》的編纂與淸代乾隆的文化政策

        황애평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1994 加羅文化 Vol.11 No.-

        《四庫全書》是中國歷史上最大的一部叢書。據《四庫全書總目》統計, 타著錄書籍三千四百六十一中,七萬九千三百零九卷;存目書籍六千七百九十三種,九萬三千五百五十一卷,總計一萬零二百五十四種,十七萬兩千八百六十卷,幾乎囊括了淸代乾隆以前的主要典籍。 他的編纂, 卽是十八世紀封建世的産物,也是中國文化史上的重大工程。 淸王朝自率兵入關,建立對全國的政權統治之後,經過順治·康熙·雍正三朝的苦心精英,逐漸走上了一條穩定發展的道路。 乾隆繼位,在進一步加强專制統治,積極經營邊疆,努力發展經濟的同時,把注意力更多的轉向了文化建設事業。他一方面順應當時學風的發展,倡導文治,編纂書籍,優容漢學,령一方面則極力加强思想控制,肆意禁毁書籍,濫與文字寃獄《四庫全書》的編纂,正式封建世時期統治者這一文化兩手政策的集中體現。

      • 경남 거주민의 문화예술시설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양진연 ( Yang Jin Youn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22 加羅文化 Vol.31 No.-

        본 조사는 경상남도 거주민(창원시 포함)의 문화예술시설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이용인식 수준, 참여동기, 관광매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대상은 경상남도(창원시포함) 거주민으로 설정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채택하였다. 설문조사는 2022년 8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설문지는 150부를 배포하여 정제과정을 거쳐 최종 122부를 분석 자료로 자료화하였다. SPSS ver. 20.0 program 분석결과 첫째, 경남지역 거주민의 문화예술시설 이용실태조사 결과 예술의전당(성산아트홀, 315아트센터)을 제외하고 주로 이용하는 시설은 항목별로 차이가 없이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선호하는 문화예술시설은 공연장이나 콘서트장, 전시관으로 확인되었고 향후 이용하고 싶은 유형은 공연장, 콘서트장, 미술관으로 확인되었다. 동반유형은 친구와 가족(친척)과 함께 방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정보는 지인과 인터넷, SNS의 영향이 가장 컸다. 이용시기는 계절과 관계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동거리는 2시간 내의 거리에서 주로 문화예술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접근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동수단은 자가용 이용이 50%를 넘었고 다음은 일반버스를 이용하였다. 둘째, 카이검정분석을 통한 차이검증결과 경남의 문화예술시설의 이용실태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셋째, 문화예술시설 인식수준은 국가와 지역(경남)을 비교한 결과 비슷한 인식수준을 보였고 예술의 전당(성산아트홀, 315아트센터)의 인식수준은 높았으나 박물관은 인식수준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고로 예술의 전당(성산아트홀, 315아트센터)은 주로 이용하는 문화예술시설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넷째, 경남의 문화예술시설의 참여동기는 재미와 새로운 경험으로 확인되었고 다섯째, 경남의 문화예술시설의 관광매력성은 예술성과 세련됨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를 통하여 인식수준이 낮은 문화예술시설 유형은 인식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참여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재미위주의 프로그램과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환경조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화예술시설의 예술성을 극대화하고 프로그램과 환경 등이 세렴됨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시설 관계자 및 전문가는 경남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하여 시설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환경분석을 통하여 과학적인 이해의 자세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confirm the level of awareness of us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attractiveness of tourism based on the actual use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by residents of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method, and the survey subjects were set as residents of Gyeongnam(including Changwon city). As for the sampling method,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The survey took about one month from August 2022 to September 2022, and 1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refined, and finally 122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SPSS ver. 20.0 program analysi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use of cultural and art facilities by residents in the Gyeongsangnam-do, the facilities mainly used except for the Arts Center (Seongsan Art Hall, 315 Art Center) showed an even distribution without any difference by category. However, the preferred culture and arts facilities were identified as performance halls, concert halls, and exhibition halls, and the types of facilities they would like to use in the future were identified as performance halls, concert halls, and art galleries. Accompanying type was confirmed to visit with friends and family(relatives), and the influence of acquaintances, the Internet and SNS was the greatest for inform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period was not related to the season, and the importance of accessibility was confirmed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vel distance was mainly used for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within a distance of 2 hours. As for the means of transportation, private cars accounted for more than 50%, followed by regular buses. Second, in the difference verification through chi-test analysi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ere confirmed in the use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countries and regions (Gyeongnam), the recognition level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was similar,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Arts Center (Seongsan Art Hall, 315 Art Center) was high, but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same type as the museum was found to be low. Confirmed. For reference, the Arts Center (Seongsan Art Hall, 315 Art Center) showed the lowest value among the most used cultural and art facilities. Fourth,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was confirmed as fun and new experiences. Fifth, the tourism appeal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was confirmed by their artistry and sophistication. Through this surve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o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for the types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with a low level of awarenes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fun-oriented program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feel novelt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maximize the artistry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and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rograms and environments. Lastly, cultural and arts facility officials and experts suggest that a scientific understanding is needed through continuous 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facility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in Gyeongsangnam-do.

      • 연구논문 : 고고학으로 본 호패에 관한 초보적인 연구 -경남대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장윤정 ( Yoon Chung Chang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15 加羅文化 Vol.27 No.-

        현재 한국고고학계에서는 조선시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주로 무덤 구조에 집중되어 있다. 그 외에 무덤에서 출토된 청동합, 청동숟가락, 도자기 등 유물에 대해서도 약간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도이다. 이러한 현상은 문헌자료가 많아 시대상을 파악하는 데 용이함을 주지만 고고학적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 가운데 조선시대 유물 중 호패는 사용 시기가 정해져 있으며 그것을 사용했던 대상의 폭도 넓어 수량이 많은 편에 해당된다. 고고자료 중 제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이 점에 착안한다면 호패는 매우 귀중한 자료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고고학적 관점에서 호패를 분석한 연구 성과는 눈에 띄지 않는다. 여기서는 경남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호패 중 임의로 약 70여개를 선택하여 그것에 주목하였다. 먼저 유물의 형태를 파악하고 그 특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문헌자료 속에서의 호패에 기입하는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호패의 형태적 속성, 기입내용, 기입방법, 제작시기 등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호패의 규격 중 길이는 8㎝대의 수치가 41개로 집중하고 있고 8㎝대의 평균치는 약 8.4195㎝이다. 폭은 2㎝대가 가장 많고 그 평균치는 2.338㎝이다. 두께의 평균치는 0.6225㎝이다. 그리고 기입내용의 경우, 전체적으로 용모, 신체적 특징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었다. 그리고 가장 수자가 많은 유형은 지역명 1)-①유형인 지역, 이름, 출생 年/신분이 종으로 배치된 형태로 총 27예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작 年 또한 다양하여 甲午, 乙酉, 丙子, 丙午, 丙辰, 丁酉, 丁卯, 戊午, 庚寅, 辛卯, 辛酉, 壬午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입방법은 나무에 새겨진 형태가 보통이며 붓으로 명기한 것을 혼용하거나 붓으로 전체를 표기한 것도 있다. 마지막으로 호패의 제작시기에 대해서는 그나마 수량이 되는 ‘庚午’와 ‘丙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전자의 경우, 안용복, 박어둔이 활약한 17세기말의 ‘庚午’와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후자 역시 규격, 기입내용에서 규칙성이 발견되지 않아 지역적 차이, 시기적 차이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았다. 금후 호패에 기록된 제작연대를 바탕으로 문헌자료와 세밀하게 비교 검토한다면 지역적 차이, 시기적 차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좀 더 많은 자료를 축적한다면 호패의 주인공이 활약한 시기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중앙과 지방에서 진행된 호패법의 상황파악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chievements from research on the Joseon period that have been so far made by the archeological circles of Korea are in most cases about tomb structure. If any, some relics from the then tombs such as bronze bowls, bronze spoons and earthen ware have attracted a little attention. This makes difficult archeological approaches, even though lots of literature help presume situations when those relics were made. One of those relics is hopae that people of many different social statuses used in a certain period. So there are many pieces of hopae that are still remained. When archeological materials were made are almost impossible to know. In this sense, hopae is certainly a priceless relic. Bu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that relic from the perspective of archeology. This study randomly chose and investigated about 70 hopaes that the Kyungnam Univ. Museum has. This researcher first examined the shapes and features of those relics. And the researcher made literature review to know what contents were recorded on hopae. Thus, this study described what hopae looks, what are filled in it ,how are filled in it and when it was made. Of the surveyed 70 hopaes, most or 41 are 8cm in length, whose average is 8.4195cm. Most of them are 2cm in width, whose average is 2.338cm. The thickness is 0.6225cm in average. And the contents have no information about appearance or bodily characteristics. Most of the hopaes or 27 have regional name of 1)-① style, personal name, the year of birth and social status recorded on them. Hopaes examined here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year when they were made, this study found, such as gabo, eulyu, byeongja, byeongo, byeongjin, jeongyu, jeongmyo, muo, gyeongin, sinmyo, sinyu and imo. Contents recorded on hopaes were mostly carved in wood, but sometimes partly or wholly written in black ink. Concerning the year when hopae was made, this study found more of the relics were manufactured in the years of ‘gyeongo’ and ‘byeongo’. However, hopaes made in the former year are different from those made in the year of gyeongo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Ahn Yong-bok and Park Eo-dun lived. And hopaes made in the latter are not constant in terms of dimension and contents, with no significant regional and periodic differences. More subsequent detailed comparison between years when the surveyed hopaes were made and related literature would be able to clarify how those relics are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 and period. And the collection of more information would allow presuming when the owners of the hopaes lived. It also would make it possible to know how the Hopae Act was implemented in the capital and local areas in the Joseon period.

      • 연구논문 : 마산 무학산 서원골 일대의 다종교 현상과 그 역사적 의미

        유장근 ( Jang Keun Yu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12 加羅文化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마산 무학산 서원골에서 발전한 다종교적 현상에 접근하고 그 의미를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분석하려는 데 있다. 구체적인 대상은 유교와 불교, 그리고 민간 종교 등이며, 마지막으로 이들 종교가 상호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를 절충주의(syncretism)적 시각에서 접근해 보려고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원골 일대의 자연과 인문환경은 무학산 중에서도 매우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종교 사제들은 이른바 ‘산의 신령스러운 기운’이 매우 효험하다는 사실을 공공연히 말하였다. 둘째, 민간종교는 기도처 등을 중심으로 마산 지역에 주민이 살던 시절부터 발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산신신앙, 해신신앙, 그리고 祈子신앙 등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들 신앙은 대부분 서원골에 불교가 유입된 20세기 초 이후, 점차 불교 세계에 흡수되는 변용을 보여주었다. 셋째, 16세기 말에 鄭逑로 대표되는 유학자에 의한 유교문화의 이입과 그 변천이 주목된다. 그러나 정구가 추구하였던 유교세계는 유불선 삼교를 통합한 최치원식 유교였다. 이것이 후대의 지역 엘리트들에게 유교문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고, 그 중심지는 觀海亭이었다. 마지막으로 제도 불교는 주로 20세기 초부터 서원골 일대에 진입하면서 주류로 성장하였다. 이는 서원골 일대의 다종교 현상을 풍부하게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독자적으로 발전한 민간신앙을 상당 부분 흡수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또한 1950년대 이후 기독교 일부 교단이 이곳에 ‘치유’ 목적의 기도원을 설립한 것도 서원골의 다종교 현상에 큰 변화를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ulti-religious phenomenon of Seowongol Valley of Mt. Muhak and analyze its historical, sociolog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e specific targets of exploration are Confucianism, Buddhism, and folk religion. The way in which these religions influenced one another is also examined from a syncretistic perspectiv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t is found that the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Seowongol Valley area is second to none in the Mt. Muhak area. Especially, religious priests openly observed that the so-called “divine mountain energy” of this spot was efficacious. Second, folk religion seems to have taken root around praying shrines from the time when people inhabited the Masan area. It existed in the forms of mountain god worship, sea god worship, and praying to conceive a son. However, most of these types of folk religion gradually merged into Buddhism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Buddhism flowed into Seowongol Valley. Third, the late-sixteenth-century influx of Confucian culture by the Confucian scholar Jeong Gu(鄭逑) and its consequences are noteworthy. Nevertheless, the Confucian world that Jeong Gu advocated was based on the kind of Confucianism that Choi Chiwon(崔致遠) established by synthesiz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is became the epitome of Confucian culture for the local elite of later generations, and Gwanhai Jeong(觀海亭) was the central place. Finally, institutional Buddhism flowed into Seowongol Valley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became the mainstream religion. This, on the one hand, enriched the multi-religious environment of the Seowongol area but, on the other hand, absorbed the majority of independent forms of folk religion.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prayer houses by several Christian denominations since the 1950s for “healing” purposes influenced the multi-religious environment of Seowongol Valley.

      • 월영서원(月影書院)의 연원과 장소성 고증

        한정호 ( Han Jeong-ho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19 加羅文化 Vol.29 No.-

        창원지역에는 최치원(崔致遠)과 관련된 많은 유적들이 전해진다. 이를테면 합포별서를 비롯해 월영대, 고운대, 청룡대, 강선대, 그리고 서원곡의 유상곡수와 세이탄 등이 있다. 그런 점에서 창원지역은 최치원의 소요지 또는 은거지로서 장소성을 담아내고 있다. 또한 창원지역에는 최치원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고운사당과 월영서원, 두곡서원, 그리고 유적지의 비각 등이 있는데, 이는 최치원 추숭시설로서 각별한 장소성을 일러주고 있다. 이즈음 최치원 담론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지역 차원의 연구도 진척을 보이고 있지만, 최치원 유적과 추숭시설에 대한 고찰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글쓴이는 월영서원의 연원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6하원칙에 근거하여 정리해 보면, 창원지역의 경주최씨 문중과 사림들이(누가) 1846년 여름(언제)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 경남대학교 법정관 일대에(어디에) 최치원의 추숭시설인 월영서원을(무엇을) 건립했다. 이 월영서원은 최치원 추앙과 제향뿐 아니라 사학교육의 필요성에 의해(왜) 경앙문, 월영강당, 동재와 서재, 도광문, 문창후최선생영당, 서고, 전사청, 교직사 등의 시설로(어떻게) 조성되었다. 이러한 월영서원은 1846년에 건립되어 1868년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을 때까지 22년 동안 창원의 지역사회에 존속되었다. 이후 월영서원은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곡동으로 이건하여 영정을 봉안해 오던 두곡영당에 이어, 1902년에 두곡서원으로 새로 건립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월영서원의 후신인 두곡서원이 창원지역 최치원의 추숭시설로서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The Changwon area is conveyed many remains related to Choi Chi-won, such as Happo Villa, Wolyoungdae, Goundae, Chungyongdae, Kangseondae, and Seowongok's Yusanggoksu. In this regard, Changwon area contains the placeness as the excursion site or the hermit place of Choi Chi-won. In addition, there are Goun-youngdang, Wolyoung-seowon, Dugok-seowon, and the monuments of the site built to honor Choi Chi-won in Changwon area, which tells the special placeness as Choi Chi-won's worship facility. As the interest in the discourse of Choi Chi-won deepened, the research on the local level is progressing, but the study on the remains of Choi Chi-won and the worship facility has not been done properly. Therefore, the author tried to examin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Wolyoung-seowon. First, based on the five w's and one h, the Gyeongju Choi Family and local Confucian(who) in Changwon area built Wolyoung-seowon(what) in the summer of 1846(when) in the area of Gyungnam University Courthouse in Wolyeong-dong, Masanhappo-gu, Changwon City(where). This Wolyoung-seowon was constructed as a worship facility(how) by the necessity of private education as well as the remembrance and orientation of Choi Chi-won, as well as the necessity of private education(why) such as Gyungangmun, Wolyoung Auditorium, Dongjae and Seojae, Dokwangmun, Moonchanghoo Choiseonsaengdang, Seogo. This Wolyoung-seowon were built in 1846 and lasted for 22 years in Changwon's community until they were destroyed by Seowon-decree in 1868. Since then, Wolyoung-seowon has been built as Dugok-seowon in 1902, following the Dogok-youngdang, which has been built in portrait by the Dogok-dong, Masanhappo-gu, Changwon City. Therefore, Dugok-seowon, the successor of Wolyoung-seowon today, is continuing its vein as a worship facility of Choi Chi-won in Changwo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