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화 Cymbidium ‘In the mood’의 수확 후 1-MCP 전처리가 품질 및 선도유지에 미치는 영향

        김민선,서정근,김기선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3

        절화 심비디움 ‘In the mood’의 수확 후 1-MCP 전처리가 품질 및 선도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채화된 절 화 심비디움은 수확 직후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여 1-MCP 0.75mg·L-1, 1.5mg·L-1, 3.0mg·L-1을 각각 1, 2, 4시간 동안 75L 챔버 안에서 각각 처리하였다. 전처리 후 각 처리별 절화 는 7℃에서 6일 동안 저장한 후 절화 줄기를 45cm로 재 절단 하고, 증류수가 담긴 시험관에 꽂아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폭 은 무처리와 1-MCP 0.75mg·L-1 처리구에서 21일 이후 급격 하게 감소한 반면 1.5mg·L-1 처리구에서는 31일까지도 꾸준 히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화율과 수분흡수량에서도 1.5mg·L-1 농도의 1시간과 2시간 처리구에 서 가장 낮은 노화율을 나타내었고, 보다 많은 양의 수분이 26일까지 지속적으로 흡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1.5mg·L-1 농도의 1시간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체중을 꾸 준히 유지하였으며, 에틸렌 발생량은 저농도인 0.75mg·L-1와 1.5mg·L-1 처리구에서 비교적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1-MCP 처리구에서 박테리아 발생량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절화수명은 연장되었 다. 특히 1.5mg·L-1 농도의 1시간 처리구의 수명이 대조구보 다 6.3일(22%)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1.5mg·L-1 농도의 1-MCP 1시간 처리가 수확 후 절화 심비디움 ‘In the mood’의 품질 및 선도유지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출저장 유통 전에 필요한 전처리 방법에 있어 1-MCP 전처리시 적정 농도와 시간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postharvest 1-MCP pre-treatment on the quality and freshness maintenance of cut flower Cymbidium ‘In the mood’. The cut f lower Cymbidium was treated immediately after harvest for 1, 2, 4 hours with 1-MCP 0.75 mg·L-1, 1.5 mg·L-1, 3.0 mg·L-1 in respectively arranged 75 L chamber. After treatment, cut flowers were kept at 7℃ storage room for 6 days and then measurements were taken. The f lower diameter w as sharply d ecreased in the untreated control, whereas the 1-MCP 1.5 mg·L-1 treatment maintained or increased flower diameter even up to 31st day. The senescence was delayed and water uptake was maintained with larger amount consistently up to 26th day when treated with 1-MCP 1.5 mg·L-1 for 1 or 2 h than other treatment. The fresh weight was steadily maintained highest in the f lowers t reated with 1-MCP 1. 5 mg·L-1 for 1 h. Ethylene production was relatively low when low concentration of 1-MCP 0.75 mg·L-1 and 1.5 mg·L-1 was treated a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Also, all of the 1-MCP treatment reduced the amount of bacteria significantly, followed by extension of the vase lif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particular, the 1-MCP 1.5 mg·L-1 for 1 h was the most effective to increase vase life by 6 . 3 days ( 22%) c ompared to t he c ontrol.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pre-treatment with 1.5 mg·L-1 1-MCP for 1 h could be used to maintain postharvest quality and freshness of cut flower Cymbidium ‘In the mood’.

      • KCI등재

        전통조경 시설물의 역사적 수리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 조선시대 관영공간을 중심으로 -

        김민선,오준영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1 No.4

        Although the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need to be repaired according to historical and authentic techniques, the repair criteria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still remain at a theoretical level, and there are little research analyzing detailed techniques from specific cases. This study discussed the repair techniques based on historical facts, around terraced flower beds, ponds, waterways and pavement in the government-managed spaces in the Joseon Dynasty. It analyzed the materials and finish of stone wall elements,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backfill materials, and topsoil surface protection measures, and drew out stones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plastering material for agglutination, and stone processing techniques for the terraced flower beds. It examined the materials and structures of the rock revetment,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waterproofing techniques and drew out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foundation work, the recycle of used elements and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for the ponds. It primarily investigated the materials,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waterproofing techniques and discovered the repair techniques such as cover stone finishing methods, foundation and backfill materials, and flow reduction methods, for the waterways. Finally, it provided actual cases of the foundation composition, auxiliary materials and tools, and the use of cyperaceae and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professional craftsmen called Bangjeonjang(方磚匠), for the pa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staring point for discovering the repair techniques for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and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specifications in the future. 전통조경 시설물은 역사성과 진정성을 가진 기법에 따라 수리되어야 하지만 현행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수리기준은 실무적 차원의 기본지침에 해당하며,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세부기법을 분석한 연구도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관영공간의 화계, 연못, 수로, 포장을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수리기법을 시론하였다. 첫째, 화계는 석축 부재의 재료와 마감, 구조 강화와 뒤채움 재료, 상부 표토면 보호 조치를 분석하고, 기초보강용 석재와 교착용 미장재, 석재의 가공기법 등을 도출하였다. 특히 쇠시리와 모접기를 통한 세밀한 장대석 가공법, 기초보강용 엄석과 유회의 사용은 화계의 독특한 수리기법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못의 경우 호안 석축의 재료와 구조, 기초부 보강과 누수 방지 기법을 살펴보면서 지정공사, 구부재 활용, 수질 관리 등에 관한 특징을 도출하였다. 고임쇠와 심석을 통한 내구성 강화, 기초부 강화를 위한 말뚝지정, 오물 유입 방지를 위한 사초 피복 등이 주목할 만한 수리기법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로는 축조 재료, 기초부 강화와 누수 방지 조치, 수해 예방 조치를 중점적으로 파악하면서 덮개돌 마감 방식, 지정과 뒤채움 재료, 유속 저감 방법 등의 수리기법을 파악하였다. 수량에 따른 다양한 바닥 재료, 누수 방지를 위한 강회 마감 등이 주요 수리기법으로 주목되며, 날개벽과 낙차공 등은 수로 내부의 충파와 유속 관리를 위한 조치로 확인되었다. 넷째, 포장은 기초부 구성, 부속 재료와 도구, 사초 활용 등에 관한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사초 피복을 통한 박석 고정, 세승으로 불린 기준실 사용 등이 주요 수리기법 중 하나였으며, 특히 방전장으로 불린 방전 포설 전문장인의 존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전통조경 시설물의 수리기법 발굴을 위한 출발점이 되고, 향후 시방서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김민선 한국사례관리학회 2024 사례관리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4차(2021년) 조사에 참여한 장애인 4,25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였고 분석에 투입된 설명변수는 인구학적 요인 8개, 신체건강적 요인 19개, 경제적 요인 7개, 사회문화적 요인 42개, 심리정서적 요인 12개로 총 88개가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중요도가 높은 요인은 심리정서적 요인에 해당하는 장애가 삶에 미치는 주관적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장애가 자신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라고 여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상위 20개 설명변수에는 인구학적 요인은 포함되지 않았고, 신체건강적 요인 2개, 경제적 요인 4개, 사회문화적 요인 8개, 심리정서적 요인이 6개로 나타나 사회문화적 요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영역별 투입된 설명변수 수 대비 가장 높은 비율로 상위 20개 설명변수에 포함된 요인은 경제적 요인으로 경제적 어려움, 월 평균 가구 소득, 월 평균 가구 생활비, 장애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과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establish polici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exploring major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data from 4,254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4th (2021) survey of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of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or analysis. The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technique was used, and a total of 88 explanatory variables were put in for the analysis, including 8 demographic factors, 19 physical health factors, 7 economic factors, 42 socio-cultural factors, and 12 psychological factors.

      • KCI등재

        청년층 비정규직 근로자의 차별 경험, 경제적 어려움과 직무소진의 관계: 괜찮은 일자리와 자율성의 매개효과

        김민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ssum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cent work and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ving been discriminated against, economic difficulties, and job burnout in non-regular workers, and the fit of the model an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were examined. To this en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99 young adults in non-regular employment and the model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SPSS20.0 and AMOS20.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 appropriately explained the data on the young people. Looking at the path coefficient, it was found that all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decent jobs and direct routes to job burnout in economic difficulties. The indirect effect of decent job and autonomy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ving been discriminated against and job burnout, and the indirect path from economic difficulties to decent job and autonomy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measures to prevent job burnout of non-regular workers and to lower 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or being discriminated against.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차별 경험, 경제적 어려움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괜찮은 일자리와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개별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비정규직 청년 19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모형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20.0과 AMOS20.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경제적 어려움에서 괜찮은 일자리와 직무소진으로 향하는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괜찮은 일자리와 자율성이 차별 경험, 경제적 어려움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위성시대’의 도래와 북한문학의 응답 스푸트니크 직후(1957∼1960)의 북한문학 텍스트들

        김민선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3 No.-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osmic senses inspired by Soviet space planning are shaped in the texts of North Korean literature. By carefully examining the texts published from 1957 to 1960 right after Sputnik, we examine how North Korean literature represents a high technology of satellites and rockets and senses a new space called the universe This machine-star launched by man is a testimony to the morality of the socialist nations and is shaped by the ambitions of peace. Baekseok’s poem “The Third Satellite” conveys the sense of uplifting and ascension of the moment when it pierces through the atmosphere by directly representing the voice of this machine-star. In fact, the voice of the satellite, which was just a beep, provided a new sense of space beyond the world. The literary text symbolizes the space of imagination, the universe, which could never have been conceivable, by borrowing the voices of machine - stars as the most familiar voices of ideology. The voice of ideology calling for members of society comes to call each member as a voluntary producer through the rocket that runs at the speed of the universe after the success of the lunar exploration rocket. On the other hand, the success of satellites and rockets triggered new concerns about science and literature. Park Tae-young’s “Satellite and Poet” is a North Korean literary artist who is asked to reflect reality, and asks how to respond to literature on the achievement of technology. This novel, whose main character is South Korean poetry, is a symptom of the agonies of how literature should respond to the changing times of mankind reaching the universe, and how literature is aesthetized by the achievement of technology. In North Korea’s literary text, Sputnik is a subject of aspiration and a symbol of a completed socialist power. Especially, North Korea experienced the physical and technical offensive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Korean War. This memory is also the source of North Korea’s desire for a “socialist power”. This memory was also a part of the foundation of the long enthusiasm of fanaticism and machinery for excessive passion and technological power found in North Korean society and North Korean literature. 이 글은 소련의 우주기획이 촉발한 우주 감각이 북한문학 텍스트에서 어떻게 형상화되는가를 살핀다. 특히 스푸트니크 직후인 1957년에서부터 1960년에 발표된 텍스트들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북한문학이 인공위성과 로켓이라는 고도의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표상하고 우주라는 새로운 공간을 감각하는가를 검토한다. 북한 문학 텍스트에서 스푸트니크는 평화의 별로 형상화된다. 백석의 시 「제3 인공위성」은 이 기계-별의 목소리를 직접적으로 대변함으로써 대기를 뚫고 솟구치는 순간의 고양과 상승의 감각을 전달한다. 스푸트니크의 성공은 세계 너머의 세계로 지각을 확장시킴으로써 새로운 우주 감각의 시발점이 되었다. 한편 인공위성과 로켓의 성공은 과학과 문학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촉발시켰다. 한편, 박태영의 「인공위성과 시인」은 현실을 반영할 것이 요구되는 북한 문인으로서 테크놀로지의 성취에 대하여 문학은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소설은 인류가 우주에 도달한 시대적 변화에 문학은 어떻게 응답해야 하며, 테크놀로지의 성취를 문학은 어떻게 미학화할 것인가에 대한 북한 문인의 고뇌를 징후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일반의 인식과는 달리, 다양한 문학적 고뇌와 논쟁이 전개되었던 1950년대 후반의 북한 문학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한 장면이기도 하다. 북한의 문학 텍스트에서 스푸트니크는 열망의 대상이자 완성된 사회주의 강국의 한 표상이었다. 특히 한국전쟁을 통해 미국의 물적, 기술적 공세를 경험한 북한에게 ‘스푸트니크 쇼크’는 사회주의 진영의 승리를 대리 체험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기억은 현재의 북한이 가지고 있는 ‘사회주의 강국’에 대한 욕망을 배태지점이기도 하다. 북한 사회와 북한 문학 곳곳에서 발견되는 과도한 열정과 기술력에 대한 광신, 기계에 대한 오랜 집착의 근저에는 이 기억이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The location of midfacial landmarks according to the method of establishing the midsagittal reference plane in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of facial asymmetry

        김민선,이은주,송인자,이재서,강병철,윤숙자 대한영상치의학회 2015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methods of establishing the midsagittal reference plane (MRP) on the locations of midfacial landmarks in the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CT) analysis of facial asymmetr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4 patients (12 male and 12 female; mean age, 22.5 years; age range, 18.2–29.7 years) with facial asymmetr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RP was established using two different methods on each patient's CT image. The x-coordinates of four midfacial landmarks (the menton, nasion, upper incisor, and lower incisor) were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landmarks from the MRP, and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The direction of deviation and the severity of asymmetry found using each method were also compared. Results: The x-coordinates of the four anatomic landmarks al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of establishing the MRP. For the nasion and lower incisor, six patients (25.0%) showed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deviation. The severity of asymmetry also changed in 16 patients (66.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ocations of midfacial landmarks change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method used to establish the MRP.

      • KCI등재후보

        26년간 전라북도 거주 소아의 당뇨병 발생 변화

        김민선,유가영,나종인,김종덕,이오경,이대열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8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3 No.1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hanges and types of diabetes mellitus (DM) in children who lived in Jeollabuk-do for last 26 years. Methods:We subdivided 26 years (January 1981-December 2006) as group 1 (January 1981-December 1993) and group 2 (January 1994-December 2006). Patients under 15 years old who had been newly diagnosed with DM in these periods in general hospitals situated in Jeollabuk-do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bout clinical conditions at the onset. Results:141 patients were enrolled; group 1 was 43 (30.5%) and group 2, 98 (69.5%). Patients number in same period increased over twice. For types of diabetes, group 1 was all type 1 diabetes and group 2 was 75.5% in type 1 diabetes, 21.4% type 2 diabetes and 3.1% clinically suspected maturity onset diabetes of the youth (cMODY). The incidence of diabetes was 0.12 patients per 100,000 under 15 years old in 1980 and increased upto 4.73 ones in 2005. The diagnosed mean age increased from 8.9 years (group 1) to 10.3 years (group 2), but type 1 diabet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Diabetes occurred in girls more than boys. Two-thirds of all patients were diagnosed in the winter (December-February) and the spring (March-May). Conclusion:The incidence of childhood diabetes in Jeollabuk-do increased rapidly and type 2 diabetes was remarkable. We think these aspect would be not only the problem in this province but also the national one. So, we suggest that the practicing of the dynamic survey nationwide is important for the treatment and the management of childhood diab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