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남 녀 대학생의 여성문제 의식에 관한 小考 : 부산대학교 여성학 수강생을 중심으로

        문선화,조승혜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1991 여성학연구 Vol.3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garding attitudes towards women's liberation. The women's liberation attitudes variables are composed of 31-item questionnaire included correlation between changing society and sex role, role conflicts and/or role expectations, and discrepancy in the way of thinking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of women's studies.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from 155 college students, 77 female and 78 male students who took the "Women's Studies" cours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second semester, 1991. The analysi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and more positive acceptance of women's liberation than male students an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tendency of personal opinion change after taking "Women's Studies" cours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1) the present women study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rearranged to satisfy male student's needs; and 2) an advanced courses for women's studies needs to be dveloped.

      • 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

        김익재,명수정,조을생,서승범,전동진,유은진,임경재,이관재,조승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9 No.-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ㅇ 선행문헌에 따르면 과거로부터 근래까지 북한의 산림면적은 감소되어 왔으며,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산사태와 토사의 발생 그리고 강수부족에 따른 가뭄 등과 같은 기후변화의 부정적 누적 영향이 물관리 취약성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판단됨 ㅇ 최근 남북한 간 환경 협력 우선과제 중 북한 지역의 산림복원이 채택 및 선언됨에 따라, 양측에서 환경개선 및 교류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음 ㅇ 비록 현장자료 부족 등으로 북한 연구의 특성적 한계가 있으나, 안정적 물관리를 위해서는 산림복원이 필수적이고 산림변화의 수준은 물관리 개선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그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매우 필요함 □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는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북한 물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등 물분야 환경 협력 발전방향의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함 ㅇ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축적을 통해 물 관련 문제 해소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북한의 기후변화 적응력 증대를 통한 경제 발전, 주민 삶의 질과 생태환경 개선·보전의 선순환 정책 고리를 묶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ㅇ 물관리 등 환경교류 확대 측면에서 향후 정책교류로 확산될 수 있음 Ⅱ. 선행연구 및 동향 분석 1. 북한의 물관리 현황 □ 수재해(홍수, 가뭄) ㅇ 북한은 연강수량의 변동 폭이 크고, 최근 수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물관리 및 용수이용에 취약하며, 전력생산의 약 67%가 수력 발전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고됨 ㅇ 특히 북한에서 나타나는 수재해는 산림의 감소, 농지의 증가, 인프라 부족 등의 원인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에 매우 민감할 것으로 판단됨 □ 수자원 및 물이용 ㅇ 남북한의 수자원 총량을 비교했을 때 총량은 남한이 소폭 많으나, 인구 차이로 인해 1인당 수자원량 및 가용 수자원 총량은 북한이 높음 ㅇ 그러나 상수도 시설 미비, 송수시설의 낮은 지속가능성 등의 인프라 및 서비스 공급·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실제 생활용수 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됨 2. 북한의 산림 현황 □ 토지피복 변화 분석 ㅇ 북한의 산림면적은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00년대까지 높은 수준의 감소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파악됨 ㅇ 그에 반해 같은 기간에 농지 면적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산림지형의 변화 분석 ㅇ 북한 또한 산림훼손의 문제점과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자체적으로 그리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산림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ㅇ 산림은 물과 매우 밀접한 관계로, 복원 노력이 계속되었을 때 물관리 및 이용 측면에서의 영향과 변화를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 ㅇ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을 통해 기후변화와 산림복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예측할 필요가 있음 Ⅲ.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 1. 연구 자료의 수집과 구축 □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다양한 자료가 필요하나, 접근성 및 획득에 한계가 있으므로 1차연도(2019) 연구에서는 연구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 및 구축하였음 ㅇ 전문가 및 전문기관의 협조 및 자문의견에 근거하여 많은 자료를 수집·구축함 - 기상 및 기후, 지형도, 토양도, 토지피복도, 저수지 등 ㅇ 향후 연도별 연구수행에 있어 중추적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매년 수정 및 보완하고 신규 DB를 추가할 예정임 ㅇ 북한 물관리 등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표 1>은 수집·구축한 자료의 목록, 대상지역, 해상도 등을 나타냄 2. 물관리 시설 DB 구축: 북한 전역 □ 북한 물관리 정보의 기초가 되는 물관리 시설의 전수조사 수행 ㅇ 물관리 시설은 저수지, 보, 둠벙 등을 말하며,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해당 위치정보를 구축하여 현황 파악에 활용함 3.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미래 가뭄 전망: 북한 전역 □ 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축 및 해석과 북한 지역의 미래 가뭄 전망과 특성 분석 ㅇ 대표적인 GCM 5개 모델과 RCP4.5, 8.5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총 10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구축함 ㅇ 시범유역의 미래기후변화와 가뭄지수(SPEI)를 활용한 북한 전역의 미래 가뭄 전망 및 특성을 분석함 - 시범유역의 연 총강수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CP8.5가 RCP4.5 보다 큰 변화폭을 보였음 - 북한 전역의 가뭄 전망 분석 결과 RCP8.5의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북부지역에서 가뭄 사상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됨 4. 물관리 현황과 유역모델링 구축: 서흥호 유역 □ 주변 농경지 물이용에 매우 중요한 수원이며, 시계열 위성영상에서 상당한 산림지역의 변화를 보인 대동강 유역의 서흥호 유역을 시범유역으로 선정 ㅇ 인근 사리원시에 대한 개황 및 물관리 시설, 수재해 발생 등 현황을 조사함 ㅇ 확보한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해당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모델링을 구축함 5.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서흥호 유역 □ 기후변화와 산림복원 시나리오를 구성·적용하고, 2050년대에 각 시나리오가 시범유역의 유량 및 수문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ㅇ 기후변화 영향, 산림복원 영향, 기후변화+산림복원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기후변화의 경우 RCP4.5와 RCP8.5를 적용함 - 전체적으로 매월 강수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여름철 유출량 증가가 명확히 나타났음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증가된 강수량에 의한 토양수분량 증가와 기온상승에 따른 증발 산량 증가도 관찰됨(강수량이 감소한 8월 제외) - 산림복원의 영향으로 유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기후변화와 산림복원의 복합영향을 살펴보면 산림복원에 의한 여름철 유량 감소가 기후변화에 의한 유량증가를 어느 정도 상쇄해줌 □ 시범유역의 산림면적 변화에 따른 토양침식 잠재력을 분석 ㅇ 토양침식 잠재력은 시범유역 전체 면적에서 평균적으로 약 1.5배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산림이 농경지로 전환된 지역의 경우 7.6~7.9배 증가되어 산림복원의 필요성을 확인함 Ⅳ. 연구결과 및 향후 계획 1. 물관리, 기후적응, 산림복원에 대한 남북한 간의 협력과 지원이 필요 □ 북한 자연재해 피해는 대부분 물과 관련 □ 산림변화의 직간접적인 영향 존재 □ 약 9.75백만 명이 안전한 음용수 공급받지 못하며, 기초 위생서비스 미비 2. 북한 물관리 현황 분석을 위한 연구 자료의 수집 및 구축 □ 연구 자료 수집 및 구축 ㅇ 기상 및 기후, 지형도, 토지피복, 토양도, 물분야 시설 위치정보 등 □ 수집한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시범유역 대상 분석 시행 3. 기후변화, 산림복원 및 복합영향에 대한 분석 시행 □ 강수량 증가에 따른 미래 유출량 증가가 전망됨 □ 산림면적 증가에 따라 늦봄부터 여름철까지 침투량 증가, 유출량 감소 전망 ㅇ 서흥호 수량 관리 및 운영의 중요성 □ 산림면적 증가 시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한 여름철 유량 감소 ㅇ 사리원 등 하류지역의 홍수 위험 감소 4. 연구의 한계점 및 보완점 □ 연구의 한계점 ㅇ 자료의 부재 및 제한적 접근 - 많은 유역이 미계측 지역으로 필요 자료가 부재하며, 확보자료(공간정보)로 유추할 수 없는 정보가 존재하여 유역 모델링 보정 및 검정에 한계 존재 - 불확실성의 배제는 불가하나, 연구 자료의 신뢰도 및 연구방법의 타당성을 최대한 확보되도록 추가 검토가 필요함 □ 연구의 보완점 ㅇ 가용 수자원량 분석 및 저수량 확보방안 도출 - 물관리 및 물환경 기초시설의 현황 파악 후 강수특성 및 유역유출량 산정하여 활용 ㅇ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 각각 그리고 복합 영향에 대한 취약성 정량 평가 -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물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절차 도출 5. 향후 연구계획 □ 연구방법론 재정립·보완 ㅇ 1차 연도 연구 결과 업데이트 및 심층 분석 - 수재해 및 물이용 현황 업데이트 - 법령, 관리주체 등 북한 물관리 체계 심층 분석 ㅇ 주요 지역 물관리 DB 구축 및 개선 - 수력발전시설, 상하수도시설, 하천 주변 도로망 등의 신규 DB 구축 - 가용 수자원량 분석 및 저수량 확보방안 도출에 활용 ㅇ 유역 모델링 시스템 구축 - 1차 연도 시범유역 대상 방법론 심화 및 확장 -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을 통해 유출량, 토사발생량 추정 및 상수도 공급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 추정 ㅇ (3차 연도) 산림 환경 및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가 북한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시공간적 영향 파악 - 넥서스(Water-Energy-Food) 기반의 지속가능한 물관리 협력방안 도출 - 정책방향 제언 및 남북협력과제 도출 - 한반도 접경유역 심화 분석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 Background of the Research ㅇ A large portion of forest areas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have been devastated, which is believed to increase the risk of water-related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ㅇ As forest restoration in DPRK was adopted and declared as a priority task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oth sides announced pla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improve cooperation ㅇ The effect of forest restoration is more easily achieved when stable water management is preceded, and considering the change of forest and water management are closely related, the impac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restoration project □ Objectives of the Research 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water sector by diagnosing the impact of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on DPRK’s water management and providing the results ㅇ The accumulation of these finding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water-related problems, and the increase of DPRK’s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result in a virtuous cycle of economic development,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improve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ㅇ In terms of expansion of environmental cooperations such as water management, it can develope to future policy cooperations Ⅱ. Research Review and Trend Analysis 1. Water Management in DPRK □ Water-related Disasters (Floods, Droughts) ㅇ DPRK is vulnerable to water management and use due to a large fluctuation in annual precipitation and frequent floods, and about 67% of electricity production depends on hydropower generation ㅇ DPRK is likely to be very sensitiv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in many aspects □ Water Resource and Water Use ㅇ Though the total amount of water resource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DPRK, due to their population differences, per capita amount is the opposite ㅇ However, the rate of water supply is presumed to be rather low due to difficulties such as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low sustainability of water supply facilities 2. Forest in DPRK □ Land Cover Change Analysis ㅇ The forest area of DPRK decreased sharply from the 1980s to the 1990s, and the decreasing tendency continued until the 2000s ㅇ During the sam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of farmland has increased □ Change Analysis of Forest Topography ㅇ DPRK has also recognized the problems of deforestation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and is working to restore forests on their own and in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ㅇ Since forests are closely related to water, it is necessary to predict and assess the impacts and changes in water management and use as restoration efforts continue ㅇ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combined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rest restoration by applying climate change scenarios Ⅲ.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Impact Analysis 1. Collection and Construction of Research Data □ A variety of data are need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but accessibility and acquisition are very limited ㅇ Collected and constructed a lot of data based on cooperation and advice from expert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 Weather and climate, topographic map, soil map, land cover map, etc ㅇ The research data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func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 and it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every year and new databases will be added ㅇ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research on DPRK’s water management, and the table below shows the list of collected and constructed data and its target area, resolution, and etc 2. Database of Water Management Facilities: DPRK □ Conducted a full survey of the water management facilities which are the basis for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ㅇ Water management facility refers to reservoirs, beams, and puddles, and their location information which were identified based on satellite images will be used to presume the current situation 3.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Future Drought Prospects: DPRK □ Development and interpretation of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analysis of future drought prospects and characteristics in DPRK ㅇ Constructed 10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5 representative GCM models and RCP4.5 and 8.5 scenarios ㅇ Analyzed the change of future climate of the pilot basin, and the pro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droughts throughout DPRK using the SPEI - Annual total precipitation in the pilot basin tended to increase with time, and RCP8.5 showed a larger change than RCP4.5 - Drought forecasts across DPRK showed that the fluctuation of RCP8.5 was large, and droughts were more frequent in the northern area 4. Water Management and Basin Modeling: Seoheung-ho Basin □ The Seoheung-ho basin of the Taedong River basin was selected as a pilot basin since it is a very important source of water for the use of surrounding farmland, and its forest area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time series satellite images ㅇ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nearby Sariwon-si including its water management facilities, and disasters ㅇ Established watershed modeling of the watershed using the acquired research data 5. Impact of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Seoheung-ho Basin □ Constructed and applied climate change and forest restoration scenarios, and evaluated their impact to flow and hydrological cycle of the basin in the 2050s ㅇ Evaluated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 forest restoration, and as for climate change, RCP4.5 and RCP8.5 were applied - Overall, there was an increase in precipitation across all months, with an apparent increase in summer runoff - Climate change affected increased soil water content due to increased rainfall and increase in evapotranspiration rate due to increased temperature (except August, when precipitation decreased) - Although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runoff decreased due to the effect of forest restoration, looking at the combined effect of climate change and forest restoration, the decrease in summer flow rate due to forest restoration offsets the increase of flow rate due to climate change to some extent □ Analysed of soil erosion potential as forest area of the basin changes ㅇ The soil erosion potential of the whole basin increased by about 1.5 times, whereas 7.6~7.9 times increase was shown in the deforested area for agricultural purpose, and the analys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forest restoration Ⅳ. Conclusion and Policy Suggestions 1. Conclusion and Suggestions □ Cooperation and support between the two Koreas for water management, climate adaptation and forest restoration is needed ㅇ Most natural disasters in DPRK are related to water ㅇ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forest change ㅇ About 9.75 million people do not receive safe drinking water supply and lack basic sanitation services □ The current status of water management in DPRK ㅇ Collected and built related research data - Weather and climate, topographic map, land cover, soil map, water field location information, etc ㅇ Analysis of pilot basin using collected research data □ Analyzed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forest restoration and their complex impact ㅇ Apparent increase in runoff due to increased precipitation ㅇ The increase of infiltration rate and decrease of runoff from late spring to summer is expected as the forest area increases - Importance of Seoheung-ho’s quantity management and operation ㅇ The runoff during summer,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decrease as forest area increases - Reduced risk of flood in downstream areas such as Sariwon-si 2. Limitations and Complements of the Research □ Limitations of the Research ㅇ Absence and limited access to data - Many basins are unmeasured and lack the necessary data - Limitations in basin modeling calibration and validation - Some information cannot be inferred with secured data (spatial information) - Uncertainty cannot be excluded, but efforts to secure maximum reliability of research data and validity of research methods were made □ Complements of the Research ㅇ Analysis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and deriving measures to secure water volume - Using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nd estimated basin runoff after status research of water management and water environment infrastructure ㅇ Quantitative assessment of vulnerability to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respectively - Deriva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cedure in water sector based on this study 3. Second Year Research Plan □ Reestablish and supplement research methodology ㅇ Update and in-depth analysis of first year research results - Update of water disasters and water use status - In-depth analysis of DPRK's wa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law and the authorities ㅇ Build and improve water management database of major areas - New DB for hydro power plant, water and sewage facility, road network around river, etc - Analysis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and derivation of low water supply plan ㅇ Establish basin modeling system - Deepen and expand the methodology for the first year pilot zone - Impact estimation of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scenarios to runoff, soil generation, water supply and management ㅇ (3<sup>rd</sup> year) Forest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 Identify the spatio-temporal effects of forest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on vulnerability of water management in DPRK - Derivation of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cooperation plan based on Nexus (water-energy-food) - Suggest policies and draw up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two Ko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