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장기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의 치과 임플란트 식립

        신현승,Shin, Hyun-Se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3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on the treatment planning and the prognosis of dental implants, limited studies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implant placement on growing adolescent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discuss the use of dental implants in growing patients and the impact of skeletal and dentoalveolar growth on the long-term stability of implants. The general information regarding skeletal growth of maxilla and mandible would be briefly reviewed and the general treatment options would be discussed. 성인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에 관해서는 치료 계획, 술식, 예후 등의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어 왔으나 성장기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에 대해서는 연구가 제한적이다. 본 종설의 목적은 성장기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에 대해 논하고 악골 및 치조골의 성장이 임플란트 장기적 예후에 갖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반적인 골격성장의 유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실제 임상적 치료법 선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鄭寅普의 朝鮮陽明學派 硏究에 관한 一考察

        신현승(Shin Hyun-Se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3

        본고에서는 정인보의 『陽明學演論』을 주요한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의 朝鮮陽明學派 연구의 한 특징을 포함한 제 사항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1972년 三星文化財團이 출판한 『陽明學演論(外)』을 底本으로 삼았다. 그 가운데 제1편 「陽明學演論」의 전체 내용에 주목하고 그 제6장 「朝鮮陽明學派」의 부분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결국 본고는 정인보의 朝鮮陽明學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정인보의 조선양명학파 연구의 의의와 그 가치에 대략적인 초점을 맞추면서 조선양명학파의 탄생 및 그 주요한 특징으로서 江華學派의 형성과정까지 살펴본 것이다. 본고에서 정인보의 조선양명학파 연구는 그 분류 기준이 그 자신이 애용하던 ‘實心’과 ‘實字’에 있었고, 그 점에 착안하여 ‘실학으로서의 양명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實心’에 의해 학문을 했는가의 여부에 따라서 양명학파에 포함시키는 시도까지 했다는 점도 고찰하였다. 정인보는 구체적 실증자료에 입각하면서도 학문적 경향이 양명학의 정신과 유사한 인물들까지 포함하여 폭넓게 조선양명학파의 人物群을 확대하여 파악하고 있는데, 이것이 그의 양명학파 분류법의 특징이기도 하다. 정인보가 이러한 양명학파 분류를 행한 이유는 민족적 위기의 시대에 실천하고 행동하는 지식인의 출현을 갈망한 그 자신의 소망이 담겨 있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知行合一’의 전제조건에는 ‘實心에 바탕을 둔 實行’이라는 것이 있었음을 간파할 수 있었다. 정인보는 그처럼 實心에 의한 학문을 실학이자 양명학으로 간주하였고, 실천적 양명학을 대중들에게 알리고자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Jeong In-bo's Wang Yangming theory and study the overall theory including one characteristic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For this, this thesis is based on Wang Yangming theory published by Samsung Foundation of Culture in 1972. And, we noted volume one, 「Wang Yangming school theory」's entire content and focused on volume six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In the end, this thesis can be considered as Jeong In-bo's View of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s such, this thesis examines birth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of Kanghwa while focusing Jeong In-bo's significance and value of research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Classification standard of Jeong In-bo's significance of research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re practical mind and practical study and pointed out searching for possibility of Wang Yangming school as Practical Science based on this. And also, we studied including them in Wang Yangming school according to whether to performing study by ‘practical mind’ Jeong-In-bo included persons whose academic trends are similar Wang Yangming school's sprit to understand Groups of Persons for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his Wang Yangming school. The reason why Jeong In-bo carried out this classficiation is to long for intellectuals' emerging who take an action in the crisis of nation. And,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was fulfillment based on ‘practical mind’ as prerequisite of oneness of knowledge and conduct. Jeong In-bo considered the study based on practical mind as Practical Science and Wang Yangming studies and tried to make it known to people.

      • 東亞思想的民族主義和跨國主義

        辛炫承 ( Shin Hyun Seung )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2017 東硏(동연) Vol.1 No.-

        최근 들어 동아시아 담론의 장에서는 지역과 국가 및 지리적 영역의 경계를 넘어 역사 철학 문학 사회 문화 정치 현상을 바라보고 연구하려는 트랜스내셔널리즘(초국가주의) 인문학이 주목받고 있다. 어느 특정 국민국가의 관점이 아니라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다양한 현상을 바라보자고 하는 것이 트랜스내셔널리즘이 추구하는 목적이다. 본 논고도 이와 같은 연장선상에서 출발하여 좁게는 한국 근대사상, 넓게는 동아시아 근대사상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초월한 시각을 동아시아 근대사상에서 찾아내고자 하는 작업이다. 이와 같을 때 동아시아 근대사상의 實像은 재발견될 것이다. 결국 이 논고는 동아시아적 시각, 즉 동아시아 삼국(한, 중, 일) 근대의 사상사적 시점에서 韓國近代思想의 내셔널리즘과 트랜스내셔널리즘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래서 연구대상을 말하면 협의로는 한국 근대 지식인들, 광의로는 동아시아 근대 지식인들(특히 중국과 일본)의 초국가주의적 담론과 구상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와 같은 논의를 위해 이 논고에서는 한국의 근대사상과의 비교검토로서 중국과 일본의 근대사상론―중국의 화이질서관 중체 서용론, 일본의 존왕양이론 화혼양재론―을 시야에 넣고 의론하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국경을 초월한 글로벌라이제이션(globalization) 이 전세계를 휩쓸기 시작하여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트랜스내셔널 리즘은 바로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일맥을 같이하는 사조이며, 세계의 모든 분야에서 트랜스내셔널 현상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동아시아 근대의 학술사조는 작금의 트랜스내셔널 思潮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기도 하였다. 국경을 뛰어넘은 思潮에 대항한 내셔널리즘적 사고와 그것의 적극적 수용과 절충·조화를 시도했던 트랜스내셔널리즘적 사고가 공존했던 시대가 동아시아 근대라는 사상공간이었던 것이다. In recent years, transnationalism (supranationalism) humanities has been paid attention in the field of East Asian discourse, which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regional, national, and geographical areas to study and studies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society, culture, and political phenomena. Transnationalism seeks to look at various phenomena from a more objective viewpoint, not from the perspective of any particular nation state. This paper starts from this context and examines narrowly not only aspects of Korean modern thought but broadly East Asian modern history. In other words, this article attempts to identify a perspective that transcends the border between the nation and ethnic group in modern history of East Asia. When we can find it, the actual image of East Asian modern history will be rediscovered. Thus, this essa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in Korean modernism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history of East Asia, that is, the ideological historical viewpoint of the East Asia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s the supernationalist discourses and ideas of Korean modern intellectuals, and intellectuals of East Asian modern intellectuals (especially China and Japan). For this discussion, this essay compares probes the modern thought of China and Japan - the theory of Chinese harmony, and the theory of middle classes - a comparative study with modern thought of Korea. Since the mid-1980s, cross-border globalization has been sweeping everywhere and is continuing today. Transnationalism is a synonym for globalization, and the transnational phenomenon is constantly maintained in all areas of the world. The scholarship of modern Asia in East Asia was also a signal to announce the prelude of Transnational Thoughts. It was the ideological arena of East Asian modernity that coexisted with the transnationalist thinking that tried to compromise and harmonize with the aggressive acceptance and of nationalistic thought against the tendency which crossed the border.

      • KCI등재

        신유학의 정좌법과 심신수렴의 유교치료

        신현승 ( Hyun Seung Shi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0

        유학(특히 신유학)은 인간의 몸과 마음의 관계, 마음의 작용과 기능, 마음의 수양법등에 대해 매우 적극적 관심을 가진 동아시아의 가장 주요한 전통 인문학이었다. 더불어 유학의 성격 그 자체는 치료적(therapeutic)이며 ‘치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치유법으로서 정좌라고 하면 중국 송대의 신유학자들이 제시한 심신 수양방법의 하나로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적연부동(寂然不動)의 태도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본성을 깨닫는 것을 가리킨다. 즉 신유학(Neo-Confucianism, 도학을 포함한 송대 이후의 유학)의 심신수렴(心身收斂) 혹은 심신 수양법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정좌(靜坐)였다. 신유학의 탄생에 기여한 북송오자(北宋五子) 가운데 이정(二程) 형제가 정좌의 중요성을 설파하였고, 신유학의 집대성자 주희(朱熹)도 정좌의 유교 수양법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이 정좌의 수양방법은 비단 신유학(성리학과 양명학 등)에서 뿐만 아니라, 불교나 도교에서도 좌선(坐禪)이나 양생(養生)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수양방법은 지나치게 불교의 선학적(禪學的) 성격이 강하다는 유교계 안팎에서의 비판도 끊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신유학의 정좌에 대하여 그 유교치료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신유학의 정좌법과 마음 그리고 몸 등에 관한 다양한 논의, 신유학의 주요한 심신 수양법인 정좌의 양상, 신유학자들의 심신수렴과 치유적 의미, 그리고 청대 고증학의 융성 이전에 명대 유학사 혹은 명대 양명학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저명한 유학자 즙산 유종주(劉宗周)의 정좌설과 심신의 치유적 의미, 즙산 정좌설의 특징, 심신의 치유와 정좌의 관계 등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Confucianism (Especially, Neo-Confucianism) was the most important traditional humanities in East Asia with very active intere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mind, action and function of the mind, and method of cultivating the mind. In addition, the nature of Confucianism itself is therapeutic and curative. Also, Jingzuo (quiet sitting) as a therapy is one of the methods of psychosomatic moral culture proposed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of China, which refers to realizing one’s own nature by calming oneself and having an attitude of ‘unmoved in absolute stillness’. In other words, Jingzuo was widely known as a method of psychosomatic convergence or psychosomatic moral culture in Neo-Confucianism (Confucianism after the Song dynasty including Daoxue). Of the Beisong-Wuzi (five great thinkers of Beisong) wh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Neo-Confucianism, Ercheng (the Cheng brothers) taught the importance of Jingzuo, and compiler of Neo-Confucianism, Zhu Xi, too, was very positive about the Confucian method of moral culture of Jingzuo. This method of moral culture is suggested as a method of sitting-in Zen meditation or taking care of one’s health not only in Neo-Confucianism (Zhuxiism and Yangmingism, etc.) but also in Buddhism or Taoism. Accordingly, there has been constant criticism that this method of moral culture is too Zen Buddhist in and out of the world of Confucianism. Thus, this paper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onfucian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Jingzuo method and psychosomatic convergence in Neo-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 first part of the main discourse of this study reviewed the Jingzuo method and various discussions about mind and body in Neo-Confucianism, the aspects of the Jingzuo method, an important method of psychosomatic moral culture in Neo-Confucianism and Neo-Confucian scholars’ psychosomatic convergence and its curative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second chapter discussed eminent Confucianist, Jishan Liu Zongzhou’s Jingzuo theory and meaning of psychosomatic healing, characteristics of Jishan Jingzuo theory and Liu Zongzhou’s discours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matic healing and Jingzuo, who made a finale of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the Ming dynasty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the Ming dynasty before the prosperity of Kaozhengxue in Qing dynasty.

      • KCI등재

        주자학의 안티테제로서 소코의 유교경세론

        신현승(Shin, Hyun-Seu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1 철학탐구 Vol.29 No.-

        일본의 근세(=江?時代)는 중국 주자학 계열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여러 학파가 등장한 시기였다. 일본의 에도시대(=도쿠가와 시대)를 유교의 시대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유교사상사라는 범주 내에서 볼 때는 다양한 학파가 존재했던 시기임이 분명하다. 그것은 중국 명대 및 조선시대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은 ‘주자학’이라는 전제 없이 등장할 수 없는 학술사조이기도 하였다. 본고에서 다룬 고학파의 대표적 학자인 야마가 소코(山鹿素行, 1622-1685, 이하 소코라고 약칭)의 경우도 주자학에서 출발하여 그 뒤 이에 대한 비판적 자세를 견지하고 그 자신만의 독특한 ‘일본주의적’ 에토스(ethos)를 확립한 인물이었다. 통설적으로 그 학문을 후대가 되어 ‘古學’이라 부른다. 그런데 이 논고에서는 일본 근세시기 고학파(古學派) 전체의 사상적 상황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필자가 이 논문에서 논의를 전개한 사항은 야마가 소코 한 개인에 게만 한정하였고, 주로 소코의 ‘유교경세론(經世論)’이 논고에서는 ?주자학의 안티테제로서 소코의 유교경세론?이라는 제목 하에 다루어졌다. 즉 본문의 첫 번째에서는 도쿠가와 시대에 주자학의 안티테제로 등장하는 소코의 고학을 ‘유교경세론의 전제로서 성학론(聖學論)’으로 파악하였다. 여기에서는 소코의 학문적 경향을 ‘고학=성학’으로 파악하여 고학의 의미와 성학의 의미가 일치하는 접점을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고, 그 다음으로 소코 성학의 실천윤리적 특질에 관해 논의하였다. 본문의 두 번째에서는 소코의 ‘무사도적’ 유교경세론에 관해 살펴보았는데, 우선 소코의 저작중 어류 ?사도편?을 주요한 논증자료로 삼아 그의 ‘무사도적’ 경세론이 어떤 양상이고 그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군도편?과 ?신도편?을 중심으로 하여 소코 유교경세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Yamaga Sok?(山鹿素行, 1622-1685), a scholar in Edo dynasty of Japan, started from neo-confucianism and adhered to a critical perspective, establishing a unique ‘Japan-centered’ ethos of his own. As a common view, this learning is called ‘Kogaku(古學)’ in future generations. The content discussed in this thesis was limited to Yamaga Sok? as one individual, and ‘confucian statecraft’ of Sok? was mentioned under the title ?Confucian Statecraft of Sok? as antithesis of Neo-Confucianism?in this thesis. On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Kogaku’ of Sok? was understood as ‘theory of seonghak(聖學論) as premise of confucian statecraft.’ First, the thesis focused on academic tendency of Sok? as ‘Kogaku=Seonghak’ and look into a point where the meanings of Kogaku and Seonghak become at one. And next, the thesis discusses on characteristic of ethical practice of Seonghak that Soko advocated. On the second part of the thesis, ‘Bushido(武士道) confucian statecraft of Sok? was discussed, and at first based on a word class ?Book of Confucian Morality?as a main demonstrative data among Sok?’s work, the author argued what aspect and meaning of her theory of statecraft of ‘Bushido’" are. And then the autho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statecraft of Sok? focusing on ?Book of King"s Morality?and ?Book of Subject"s Morality?.

      • KCI등재

        정인보의 『양명학연론』과 근대 양명학파 계보의 재구성

        신현승 ( Shin Hyun Seu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정인보(鄭寅普, 1893~1950, 납북)는 20세기 초반 동아시아 신유학(新儒學)의 한 축을 이루는 양명학의 역사에 관해 『양명학연론』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저술하였다. 그것은 ‘한국 최초의 양명학사’ 이자 일본 양명학에 대한 서술이 빠져있기는 하지만, 동아시아 양명학사였다. 더 엄밀히 말하면 ‘한중(韓中) 양명학사’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의 중국 양명학과 조선 양명학(하곡학파)에 대한 연구의 특징은 종국에 가서 국학에 대한 연구처럼 자신의 민족주의적 국학관(觀) 및 이분법적 역사관 안에서 논의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논고는 본문의 첫째 장에서 이와 같은 『연론』의 이분법적 역사관과 학문관을 다루고 저작의 구성방식까지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연론』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저작의 동기이자 이유 등을 제시한 「1 논술(論述)의 연기(緣起)」와 맺음말에 해당하는 「후기(後記)」의 담론을 주요한 근거자료로 하여 정인보의 역사관과 학문관이 어떠한 양상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연론』의 구성방식은 물론이고 집필정신 및 그 사상사적 의의 등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본문의 둘째 장에서는 『연론』을 ‘한중(韓中) 양명학사’로 규정하고 양명학의 창시자 왕수인 및 중국 양명학파의 계보에 관하여 어떻게 재구성했는지를 고찰하였다. 또 이 뒤를 이어서 『연론』의 가장 주목받는 내용이라 할 수 있는 조선 양명학파 계보의 새로운 구축 등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 논고에서는 『연론』 다시 읽기 및 재조명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연론』은 넓은 의미로 근대 동아시아 양명학사, 좁은 의미로는 한중 양명학사라는 의미와 근대적 학술이라는 의의가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특히 정인보의 학파 분류법은 당시 중국과 일본의 학술 상황을 시야에 넣더라도 매우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Jeong Inbo (1893~1950?) wrote the history of Yangmingism, which was an axis of East Asian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under the title, Yangmyeonghak-Yeonr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was the ‘Korea’s first history of Yangmingism’ and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East Asia’ despite it missed the description of Yangmingism in Japan. To speak more strictly, it should be called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Korea and China.’ His studies of Yangmingism in China and Yangmingism in Joseon are characterized by the discussion about them within his nationalist view of studies of Korea and dichotomous view of history in the end, like studies of culture and heritage of Korea. Thus, this study dealt with the dichotomous view of history and view of learning of Yeonro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main body and first examined the method for the composition of the work. Especially, with the discourses in “1. Reason for discussion,” Preface, presenting the motive and reason for writing and in “Epilogue,” Closing Remarks of Yeonron as the main basic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Jeong Inbo’s view of history and view of learning.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writing spirit and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thought as well as the method of the composition of Yeonron. The second chapter of the main body defined Yeonron as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Korea and China’ and discussed how it reorganized the genealogy of the founder of Yangmingism, Wang Shouren and Chinese Yangming School. Nex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new construction of the genealogy of Yangming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ich is the content the most attention is paid in Yeonr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attempted the re-reading and reviewing of Yeonron. Consequently, it was reconfirmed that Yeonron has a significance as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East Asia in the modern period in a broad sense and a significance as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Korea and China and a modern study in a narrow sense. Especially, it was noted that Jeong Inbo’s method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school was very creative and original, even if academic situations in China and Japan were included in the view.

      • 터널상부 지장물로 인한 저토피 철도터널에서의 역해석기법 활용성 연구

        신현승(Hyun-Seung Shin),사공명(Myung SaGong),조국환(Kook-Hwan Cho)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도심지 터널공법이 계획된 구간의 지반조건은 견고한 암반층에서 풍화토 및 연약한 충적층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복잡하고 지하수위가 높고 토피가 얕은 구간에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도시철도 OO 공구 건설공사 저심도 철도터널의 역해석을 실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설계변경을 실시하였다. 하천 복개구조물 통과구간 굴착공법 변경을 통한 사례를 제시하여 저토피 구간터널상부에 지장물(하수 Box;복개구조물)이 있을 경우의 터널역학적인 측면에서 지보공의 하중경감 및 터널주변 지반변위 등이 적게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사한 조건의 도심지 철도터널 계획시, 최적설계와 안전시공을 위한 참고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시공 중 막장상태를 파악한 후 보다 현실적인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역해석하여 안정성과 경제성을 만족시킬수 있는 설계,시공방법의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urban tunneling site has mostly complicated and varied ground condition of rock, weathered soil, and alluvial soil with high water table and shallow top soil. As suggesting the case of changing the excavation method of the low depth railway tunnel under the covered structure of Wha-Gye river in section of 00 Rail Transit construction area. It was vertified that the load on tunnel supports was decreased and the deformation of ground around the tunnel was less occurred in case of obstacle(Sewer Box:covered structure) existed above low depth tunnel in mechanical aspect. When planning projects of urban rail tunnel in the simuliar condition, it is expected to use for optimum design and safe constuction as reference data and also to develop the technique of design and construction satisfing safety and economic efficiency from the back analysis of using practical measurments after the observation of tunnel face.

      • KCI등재

        명대 말기 학술공동체와 정치 네트워크 연구 - 동림과 복사를 중심으로 -

        신현승 ( Shin Hyun-se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중국 명청시기 유교 학술공동체로서의 서원과 강학 네트워크는 획일적 같음을 지양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함께 학술과 정치를 자유롭게 논했다고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중국 명대 중기부터 본격화된 서원과 강학 제도의 발전과 전개 양상을 살펴볼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담약수(湛若水, 1466-1560)와 왕수인(王守仁, 1472-1529) 등 양명심학(陽明心學) 계열의 학자들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또 명대 말기 양명학 진영에서의 활발한 학술 논쟁과 여러 학술 유파의 등장에 관해서도 이 둘의 존재와 관련지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확실히 명대 중기 이후 서원 강학의 제도화에 가장 크게 공헌한 것은 역시 양명학파, 즉 왕수인과 그의 제자들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양명학 좌파)과의 격렬한 학술 논쟁을 전개한 주자학 계열의 동림학파 및 주자학·양명학의 절충과 융합을 시도한 즙산학파의 유종주를 빼놓고서도 명말청초의 중국 유교사상사를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논고는 중국 전근대의 서원과 강학의 전통을 연구범위의 시야에 넣으면서 명대 말기에 이르러 활화산처럼 흥성한 서원과 결사 및 강학의 유교 학술적, 정치적 양상 등에 관하여 동아시아 전근대의 유교 학술공동체의 한 사례로서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국 송명대 서원과 강학의 제 양상에 관하여 유교 학술공동체라는 측면에서 인식하고 명대의 서원과 강학의 양상이 어떠했는지, 또 명대 서원의 존재 의미 및 강학의 주요 내용인 유교적 학술 담론과 현실 정치적 담론이 어떠했는지 등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기에 더해 명대 말기 주요한 학술·정치 네크워크로서 동림학파와 소동림(小東林)이라는 불리는 복사(復社)의 전개 양상에 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cademies as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Networks during the period of Ming and Qing, China did not aim at the uniform sameness. Rather, they freely discussed studies and politics altogether.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academ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which became earnest since the mid-Ming Dynasty of China, it is no doubt that we cannot skip the figures in the line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like Zhan Ruoshui (1466-1560) and Wang Shouren (1472-1529).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not to mention the two persons either concerning the appearance of active academic debates and various academic schools from the camp of Yangmingism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Definitely, those who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ademy since the mid-Ming Dynasty was Yangming School, that is, Wang Shouren and his pupils. On the other hand, it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f China during the late Ming period and the early Qing period without Donglin School in the line of Zhuxiism, who actively developed fierce academic debates with them (Left-wing of Yangmingism) and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who attempted the compromise and fusion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fucian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academy, incorpor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flourished like an active volcano in the late Ming Dynasty as an example of the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during the pre-modern times in East Asia, putting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traditions during the pre-modern times of China into the scope of research. Thus, this study recognized all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Song and Ming Dynasties, in terms of Confucian academic community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Ming Dynasty and the raison d'etre of the academy during the Ming Dynasty and Confucian academic discourse and the real political discourses, which are the main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Donglin School as an important academic and political network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Fushe, which is also called Xiaodongl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