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최근 일본의 안보정책 변화와 향후 전망: 미중 대립과 북한 비핵화를 중심으로

        태환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18 한국국가전략 Vol.3 No.3

        본 연구는 최근 일본의 안보정책 관련 주요동향과 쟁점 분석을 통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한일관계 발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정부의 안보 관련 위협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최근 전 방위적으로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북한 비핵화를 둘러싼 일본의 안보정책 관련 주요 동향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일본은 우리와 같이 미국과의 동맹을 안보정책의 기축으로 삼고 있으며, 유사시 미국의 후방지원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 비핵화가 이제는 일본 안보에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이 되고 있음은 물론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긴밀한 대북 한미일 공조는 중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일본은 최근 아베 총리의 3기 연임과 함께 헌법 개정의 임기 내 추진 등 보통국가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적극적 평화주의와 자위대의 전력증강을 본격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가 연내 국가안보전략과 방위계획대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래전장의 선점 전략 차원에서 사이버와 우주전략 등 첨단전략을 증강시켜 가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일본은 안보 전 영역에 걸쳐 독자적 전력 투사능력과 함께 상호 의존성을미일 동맹을 진화시켜 가면서 대중 견제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주요 동향과 관련 쟁점을 분석과 동시에 안보 관련 일본 국민의 여론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일본의 안보정책 방향과 속도를 가름하는 중요한 변수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일 안보협력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한일관계는 역사문제를 포함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극복하고 한반도 평화정착과 통일로 나아가기 위한 제언으로 첫째, 미중 대립과 갈등의 구도에 대비하며, 둘째, 정부의 신남방 및 북방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일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정책개발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금년도는 1998년 미래지향적 한일 파트너쉽 체결된 지 20주년의 해이다. 『한일이 함께하는 동북아 이니셔티브』를 통해 진정한 신뢰구축의 기반을 다시 한번 새롭게 구축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n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analysis of major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the Japanese security policy and to deriv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esirabl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First of all, this study focus on the Japanese government's perception of security-related threats and analyze key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the US-led Pacific strategy and the Japanese security policy regarding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because just like us, Japan is taking the alliance with the US as the axis of its security policy and they are taking role as US rear support base in case of emergency. In addition,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now a direct military threat to Japanese security, and a clos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s crucial for resolving the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However, Japan has been accelerating the normal course of the country, including Prime Minister Abe's third consecutive term and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his tenure, and he has been aggressively promoting peacekeeping and strengthening the SDF's strength.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is pushing for revision of national security strategy and defense plan in this year, and it is increasing the advanced strategy such as cyber and space strategy in the preemptive strategy of future battlefield. These actions indicate that Japan is evolving the US-Japan alliance with its own power projection capability across the entire security spectrum meanwhile strengthening public restraint. On the other hand, analyzing these major trends and related issues as well as the public opinion of Japanese people related to security is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will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ace of security policy in Japan. In this respect, Korea-Japan security cooperation is significantly important. However, the present Korea - Japan relationship is continuing the conflict including the history issue. This study propose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prepare for peace settlement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by 1) prepare for the composition of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2) prepare policy for the strategic use of Japan It is important to form a national consensus. This year i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signing of a future-oriented Korea-Japan partnership in 1998. Through the "Northeast Asia Initiative with Korea and Japan", we need to build up a foundation of trust building once again.

      • KCI등재

        중국기업의 ISO 인증여부에 따른 전략적 품질경영과 성과측정 차이분석

        태환,박기석,천강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ISO인증을 획득한 중국 기업의 전략, 품질경영실무 및 성과측정 시스템을 ISO비인증기업과 비교하고, 기업규모에 따른 ISO인증여부, ISO인증기업의 인증기간과 규모별로 품질경영실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품질전략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ISO인증을 획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ISO인증을 획득한 기업들의 경우 비인증 기업들에 비하여 비재무적인 품질측정치를 보고하는 빈도가 더 높다는 가설에 대한 일부 지지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ISO인증을 획득한 기업의 규모와 인증기간별 품질경영실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인증획득 후에 규모가 큰 기업과 인증기간이 긴 기업이 더 유의적으로 품질경영실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실증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ISO인증 획득의 이유, 성과측정 시스템의 주요 차이에 대한 원인 규명, ISO인증이 품질의 실행인지 아니면 단순히 외부적인 압력의 결과인가의 여부에 관한 논의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business strategy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of Chinese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have ISO accreditation with those of non-ISO accredited companie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t also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ISO accredited and non-ISO accredited companies in their measurement of quality in non-financial and financial terms, and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ms that pursue quality strategy are more likely to have ISO accreditation. However, there is inconclusive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differences between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of ISO accredited and non-ISO accredited companies. There is some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ISO accredited companies would provide more frequent non-financial quality measures than non-ISO accredited companies, and there is no support for hypothesized differences in the use of financial quality and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s between the two groups of firms. Overall, there is limited evidence of differences in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etween ISO accredited and non-ISO accredited companies.

      • 朝鮮王朝時代 人口推定에 關한 一詩論

        權泰煥,愼鏞廈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77 東亞文化 Vol.14 No.-

        In this study, we have attempted to estimate the population size of Korea during the entire period of the Yi dynasty, 1392-1910, utilizing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on population, mainly data from household registry and Hojog record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household registry data, we have conducted a partial examination of Hojog record and consistency checks for population figures for different years. Also population trends available directly from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analysed in terms of stable population concepts as to determine the extent of errors in population enumeration for various sub-periods. Based on those evaluations, we have developed a series of assumptions and methodological procedures for estimating the population size.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Historical data on household and population in the Yi dynasty are of very poor quality with completeness between 10-50 per cent. b. Despite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household and population data is poor, the population trends for the period 1639-1861 discerned from the reported figures respond receptively to the traditional factors in population change, such as famine, war, and other major miseries. c. From an analysis of Hojog record, a significant under-registration is noticed, for the child and young adult population, households without adult working males, and single households. d. The completeness of population registration in the Yi dynasty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verage size of household reported. e. The popul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1392) was estimated as about 5,550,000. The population increased to about 14,000,000 two hundred years later just before the Korean-Japanese War in 1592. During the 45 years of socio-political disturbance, 1592-1637, in which two wars and a series of famines and epidemics took place, an absolute loss of 4,000,000 people was estimated. f. According to the estimates, the most marked growth of the population was observed during the 40 year period, 1654-1693. The population peaked in 1750 and again in 1807. The estimates were 18,660,000 and 18,620,000 respectively. The population at the end of the Yi dynasty (1910) was estimated at 17,430,000. g. The average annual rate of population growth during the entire Yi dynasty period was calculated as 0.22 per c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