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古代 東아시아의 合文에 대한 一考察

        權仁瀚(Kwon, In-han)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4

        합문은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甲骨文, 金文, 簡牘文 등에 걸쳐서 폭넓게 분포한다. 갑골문에서는 上下/下上 결합, 右左/左右 결합, 上下/左右 결합 방식의 합문들이 공존하고 있음에 비하여 금문·간독문을 거치면서 점차 상하 합문이 다수를 보이는 방향으로, 또한 合文號도 사라지는 방향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어서 秦·漢代의 간독문에서는 자형 상 공통 요소를 지니는 글자들(예: 大夫, 上下 등)끼리의 합문이 늘어나기도 한다. 한반도의 합문 사례는 특히 신라의 금석문·목간·고문서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 합문 방식은 상하 결합 유형이 절대 다수를 보이면서 합문호의 흔적은 전혀 찾아지지 않음이 특징적이다. 또한 부분적으로 자형 상 공통 요소를 지니는 글자들끼리의 합문 사례도 보이는데, 이러한 양상은 대체로 漢代의 간독문 사례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신라는 중국의 여러 유형들 중에서 합문호가 없는 상하 방향의 합문 유형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차차 ‘大豆→□→太’와 같이 아랫 글자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점(?)의 형태로 지극히 단순화하는 독자적인 유형으로까지 변용·발전시킨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한편, 일본 열도의 합문 사례는 주로 목간들에 집중되며, 그 유형은 신라의 예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중국 대륙으로부터 한반도로의 선택적인 수용과 변용, 그리고 한반도로부터 일본 열도로의 전파”라는 문자문화의 교류 양상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 된다. As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the interaction of Sinographic Culture in ancient East Asia, it focused on the data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gature’. ‘Ligature’ means a way of writing a Chinese character to combine two or more sequent Chinese characters in the text vertically or horizontally. ‘Ligature’ was originally begun in China. It was found in various written texts throughout the ages such as “oracle bone scripts(甲骨文)” in the Shang Dynasty(=the Yin Dynasty), “bronze scripts(金文)” in the Zhou Dynasty and the warrior states period and “bamboo or wooden slip scripts(簡牘文)” in the Han Dynasty. The various forms of ‘Ligature’ co-existed in “oracle bone scripts”. That is to say that two characters were combined downward, upward, leftward or rightward. It is found that the forms of ‘Ligature’ were changed when reviewed ‘Ligature’ in “bronze scripts” and “bamboo or wooden slips scripts”. Gradually the form of combining two characters downward increased and ligative marking(合文號) got disappeared.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wo characters that have the shape of character in common, increased when investigating “bamboo or wooden slips scripts” in the Qin and Han Dynasty. The examples of ‘Ligature’ that were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are commonly found in epigraphs, wooden tablets, and ancient manuscripts in the Silla Dynasty. In these examples, the form that two characters combined downward got an absolute majority and it is distinctive that any trace of ligative marking was not found. In addition, partially the combination of two characters that have the shape of character in common, is found in some examples. These examples are regarded as similar cases of the form of ‘Ligature’ found in “bamboo or wooden slips scripts” in the Qin and Han Dynasty.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the ‘Ligature’ in the Silla Dynas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among various forms of Chinese ‘Ligature’, the form that two characters combined downward without a ligative marker(e.g., 水+田→畓) was firstly accepted and then whole or part of the character of the lower part was simplified as a dot (?) (e.g., 大豆→□→太). Thus, it can be said that ‘Ligature’ used in the Silla Dynasty developed from simply using a form of Chinese ‘Ligature’ into creating a distinctive type of ‘Ligature’. Meanwhile, the examples of ‘Ligature’ in Japan are mostly found in “wooden tablets(木簡)”. The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orms of ‘Ligature’ in the Silla Dynasty. Later some unique forms of ‘Ligature’ that combined a katakana(片?名) and a Chinese character(e.g., ト+云→) were used but the examples of this form cannot be found many. As examining the data of ‘Ligature’ in ancient East Asia, this paper can reconfirm the fact that China, Korean and Japan carried out Sinograpic cultural exchange.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played roles of both recipients and messengers. In particular, “they selectively accepted Sinograpic culture of China and transformed them, and then delivered them to people in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묘법연화경석문(妙法蓮華經釋文)』으로 본 통일신라의 한자문화

        權仁瀚 ( Kwon¸ In-ha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9

        본고는 『묘법연화경석문』(=[석문]; 일본 중산찬, 976)에 나타나는 신라 고승 음의가 4인(원측, 순경, 경흥, 태현)의 한자 관련 주석(=한자주)들을 바탕으로 통일신라 한자문화의 수준을 분석해보는 것에 목표를 둔 것이다. 2장에서는 [석문]의 주석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신라고승 음의가(=신라 음의가) 4인의 한자주 44개를 수집하였고, 이들을 내용적으로 분류하여 자형주 9, 자음주 12, 자의주 16, 기타주 14로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신라 음의가들의 생애와 저술을 간략히 소개한 후, 한자주들의 성격에 따라 자형주(A), 자음주(B), 자의주(C), 기타주(D)로 분류한 후 그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전체적으로 주석별 원전과의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바, 이는 신라 고승 음의가 4인이 우리의 예상보다 많은 원전 자료들로써 자형·자음·자의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밖에 주석별로 특징적인 사항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자형주(A): 자형주들에서는 순경사가 자형 정보에 더하여 “訛也”, “非也” 등 그의 판단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바, 이는 그의 학문적 자신감 내지 깊이를 드러낸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를 중산사가 그대로 인용하고 있음은 순경사의 학문적 권위가 신라를 넘어서 일본에까지 인정된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2) 자음주(B): 자음주들 중에서 순경사의 “「揵」: 居隱反”과 중고음“渠焉反”의 차이에 대하여 필자는 기존과는 다른 설명을 시도하였다. 그것은 문제의 상통자 「隱」과 「焉」이 향가에서 주제격조사 표기에서 ‘-은’과 ‘-□’을 담당하는 글자로 쓰이면서도 양자가 중화되는 경우도 다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만약 순경사가 알고 있었던 향찰 표기 체계에서 「隱」 vs. 「焉」의 차이가 중화되어 있었다고 한다면, 순경사가 이러한 향찰 표기 체계의 영향으로 자음주에서까지 위와 같은 특이한 반절을 보였으리라는 가설을 제시해본 것이다. 3) 자의주(C): 자의주들 중에서 주목되는 것은 원측사와 태현사의 두음주가 원전과의 완전 일치를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태현사가 자은대사 규기사의 『성유식론술기』의 원문을 비교적 충실히 옮긴 것은 종파적 대립과는 다른, 그의 학구적 태도의 발현인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순경사의 “猶豫 躊躇也”라는 주석에서 連綿詞 “猶豫”에 대하여 또다른 연면사 “躊躇”로 주석을 달고 있음은 중국 음의가들의 수준을 뛰어넘는 학문적 역량을 잘 보여주고 있음도 특기할 만하다. 4) 기타주(D): 기타 주석들 중에서 순경사가 “鍮石”에 대한 주석에서는 중국 음의가들과는 달리 “청색”이라는 구체적인 색상까지 밝히고 있음은 순경사가 신라에서의 “유석=청동”이라는 경험적 지식을 알고 있다는 점에서 그가 이론적/경험적 지식을 두루 갖춘 학자였음을 알게 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볼 때, 7세기 중반~8세기 초엽 통일신라의 한자문화가 이미 상당한 경지에 도달해 있었던 것으로 본고의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level of the Chinese character (hereafter ‘Cc’) culture of Unified Silla through the annotations of 4 Silla high priests (Woncheuk, Sungyeong, Gyeongheung, Taehyeon) appearing in the ALS editted by Japanese monk Chuzan(中算) in 976. In Chapter 2, the annotations of AL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As a result, 44 Notes on Cc(=NCcs) of the four Silla phonologists(音義 家) were collected, and were classified as 9 NCcs on Shape, 12 NCcs on Sound, 16 NCcs on Meaning and 14 NCcs on the others. In Chapter 3, briefly introduced the lives and writings of Silla phonologists, and then analysed 51 NCcs’ contents. Overall,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the original Chinese text for each NCc is high, which means that the four Silla Phonologists had more knowledge about the Cc’s Shapes, Sounds and Meanings than we expected. In additi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each NCc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NCcs of Shape: It is noteworthy that Sungyeong presented his judgments on the NCcs of Shape such as “be wrong” and “be incorrect”, which shows his academic confidence and depth. The fact that Chuzan quotted these NCcs as it were, can be seen as a sign that the academic authority of Sungyeong was recognized not only in Silla, but also in Japan. 2) NCcs of Sound: Among the NCcs of Sound, I tried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Sungyeong’s Note of “揵=居隱反” and the Middle Chinese NCc “渠焉反”.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cases where 隱 and 焉 are used as characters for ‘-eun/은’ and ‘-Λn/□’ in Hyangga, but in more cases this distinction is neutralized. If, in the notation system of Hyangga that Sungyeong knew, distinction between 隱 and 焉 was neutralized, it was hypothesized that, under the influence of this notational system, Sungyeong would have exhibited the above peculiarity even in NCc of Sound. 3) NCcs of Meaning: The most notable among NCcs of Meaning is that Woncheuk and Taehyeon’s Notes are in perfect agreement with the original text.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aehyeon’s relatively faithfu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of the Wei-shi shu-ji(唯識述記=成唯識論述記) by Kui-ji(窺基) was a manifestation of his academic attitude against sectarian confrontation. And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commentary “猶豫 躊躇也” of Sungyeong, Lian Mian word(聯綿詞) “猶豫” is annotated with another Lian Mian word “躊躇”, which show his academic competence that goes beyond the level of Chinese phonologists. 4) NCcs of the others: In the commentary on “Yuseok/鍮石” by Sungyeong, unlike Chinese phonologists, he even revealed the specific color of “blue”, which is the empirical knowledge of “Yuseok=bronze” in Silla. It is judged that it is sufficient to make it known that he was a scholar with theoretical/empirical knowledge. Combining the above discussion, I would like to conclude that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Unified Silla had already reached a considerable high level in the mid-7th and early 8<sup>th</sup> centuries.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權仁瀚(Kwon, In-han)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5

        본고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을 대상으로 이들에 쓰인 고유명사 표기자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성모·운모·성조 등의 분포적인 측면에서 이들이 지닐 수 있는 음운사적 의의, 특히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바들에 대한 고찰을 이어감에 목표를 둔 것이다. 2장에서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총 245점에 대한 판독안 수립, 원문 구조 분석,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325종 447건) 및 표기자 정리(181자, 연자수 1,031) 등 일련의 과정을 상세히 보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수집·정리된 함안 목간 고유명사 표기자의 성모 분포도, 운모 분포도, 성조 분포도 및 疑·來母字 분포도 등을 바탕으로 ①무기음(전청) vs. 유기음(차청)의 비율, ②무성음(전청+차청) vs. 유성음(전탁+차탁)의 비율, ③설두음 vs. 설상음의 비율, ④치두음 vs. 정치음의 비율(이상 성모편), ⑤음성운 vs. 양성운 vs. 입성운의 비율 및 개음절 vs. 폐음절의 비율, ⑥성조의 분포(이상 운모편), ⑦음소 분포 제약 등 각 지표별로 6세기 신라 금석문들과 비교하여 양자 간의 異同 및 일치도를 중심으로 6세기 신라한자음에 관련된 논의를 행하였다. 논의 결과, 함안 목간 및 6세기 신라 금석문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을 통해서 본 신라한자음은 6세기 전반 광개토왕비문으로 대표되는 5세기 고구려한자음과의 공통성을 유지해오다가 6세기 후반에 들어 몇가지 차이점들이 나타나면서 점차 신라화의 길을 걸어온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주요한 특징으로 1)유기음 발달의 미약, 2)설두음·설상음 및 치두음·정치음의 미분, 3)음절구조상의 개음절성 우위, 4)성조 비율상 평성자 선호, 5)어두 /l-/의 제약 철저 준수 등으로 정리하였다. Based on the analysis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used in Wooden Documents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at Haman(WDSH),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such as of initials, finals, and tones of sinograph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ir phonologic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specially to examine what can contribute to research on Ancient Sino-Korean. In Chapter 2, I have analyzed the original text structure of 205 pieces WDSH, collected proper noun notations(447 cases of 325 kinds), and arranged sinographs(181 letters). In Chapter 3, based on individual WDs sinographs for proper nouns’ initials, finals and tones distribution and yimu and laimu characters(疑·來母字) distribution, as collected and arranged in Chapter 2,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low of the distribution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of WDSH in terms of the same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as in Part 2 of Kwon(2015), such as ①the ratio of unaspirated sounds vs. aspirated sounds, ②the ratio of voiceless sounds(voiceless unaspirated sounds+voiceless aspirated sounds) vs. voiced sounds(voiced obstruents+voiced sonorants), ③the ratio of apico-alveolar plosives(舌頭音) vs. dorso-prepalatal plosives(舌上音), ④the ratio of dental sounds vs. post-alveolar sounds, ⑤the ratio of open syllable sounds vs. nasal-ending sounds vs. stop-ending sounds, and the ratio of open syllables vs. closed syllables, ⑥the distribution of tones, and ⑦phoneme distribution constraints. In Chapter 4, I have concluded as follows: Sino-Silla viewed from WDSH and 6<SUP>th</SUP> century Epigraphs of Silla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such as ①development of aspirated sounds was weak, ② differentiation of apico-alveolar plosives(舌頭音) vs. dorso-prepalatal plosives(舌上音), and that of dental sounds vs. post-alveolar sounds were not established, ③tendency of open syllabicity was strong, ④ratio of Low Tone(平聲) was dominant, ⑤initial /l-/ constraint was very strong etc.

      • KCI등재

        《國語學》 50년-총론적 고찰

        權仁瀚(Kwon In-Han)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7

        이 글은 국어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학회지 《國語學》 제1~56집 (1962, 1974~2009)에 실린 6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국어학 연구의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國語學》의 간행 주기, 수록 논문수 및 집필자에 관련된 각종 지표(집필자의 수, 연령, 지역 분포, 남녀 비율 등)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國語學》의 외형적인 성장세를 조명하였다. 조사 결과 부분적으로 문제점도 없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면에서 국어학회의 양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國語學》에 실려 있는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음운, 형태, 통사, 의미, 기타의 다섯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의 하위 주제별 논문들의 분포를 중심으로 연구 흐름 파악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분야별 논문들의 수를 종합한 결과, 전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치우침 없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본론의 논의를 요약ㆍ정리한 다음, 향후의 전망과 과제에 대한 필자의 관견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be a general survey on the researching tendencies of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JKL) to commemorate the 5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SKL). In chapter 2, Ⅰ have described the outward growth of JKL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ublishing period, number of papers and various indexes related to the authors, such as number, age, regional distribution and sex ratio. In spite of minor problems,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SKL was distinguished in general. In chapter 3, Ⅰ have divided the 640 papers of JKL into five fields, i.e.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and et cetera, and tried to grasp the flow of research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sub-themes in each fiel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apers covered similarly in various fields without any bias in particular field. In chapter 4, Ⅰ have summarized the main subject, and made some suggestions on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the future of JKL.

      • KCI등재

        목간을 통해서 본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문화

        權仁瀚(Kwon In-han)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6 No.-

        1990년대 이후 한국의 고대 목간이 대량으로 발굴되면서 1차 사료에 의한 역사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어학계도 예외가 아니어서 백제 · (통일)신라 목간을 자료로 한 고대 한국어에 대한 연구 성과가 늘어나고 있으나, 논의의 시각이 동아시아 전체로 확대되지 못한 채 한반도에 머물러 있는 문제점도 없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발굴된 초기 목간 2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자료의 판독과 해석을 보인 후, 차자표기법의 발달, 자형 · 서체의 수용과 변용, 문자의 발달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고대 동아시아 문자문화의 교류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고 자 한다. 논의 결과 동아시아 문자문화의 교류가 ‘중국 ⇒ 한반도 ⇒ 일본 열도’의 흐름으로 이루어짐을 재확인한 바 있다. Large quantities of ancient Korean wooden tablets unearthed since the 1990s have underscored and buttressed the importance of primary materials in historical studies. The Korean linguistics field is no exception; with a growing number of tablets available from Baekje and Silla, research on ancient Korean language and writing has accordingly flourished. These investigations had been mainly confined to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and had not expanded to encompass all of East Asia. Bearing that in mind, this paper deciphers and explicates written materials through a comparison of two early wooden tablets, unearthed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surveys the evolution of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systems that use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he adoption and adaptation of character shapes and handwriting styles. Research reconfirms that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 originated in China and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n to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6세기 신라 금석문들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權仁瀚 ( Kwon In-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본고는 6세기 신라 금석문 9종 11건을 대상으로 이들에 쓰인 고유명사 표기자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성모·운모·성조 등의 분포적인 측면에서 이들이 지닐 수 있는 음운사적 의의, 특히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바들에 대한 고찰을 시도함에 목표를 둔 것이다. 2장에서는 기존에 발굴된 6세기 신라 금석문들 중에서 훼손이 심하거나, 고유명사 표기례의 숫자가 충분치 않아 본고의 논의 자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북한산·황초령 진흥왕순수비 및 경주 남산신성 3·4·5·6·7·8·10비”를 제외한 “포항 중성리비(501)~경주 남산신성 1·2·9비(591)”에 이르는 11종의 금석문들에 대한 원문 구조 분석,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 및 표기자 정리 등 일련의 과정을 상세히 보인 것이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수집·정리된 각 비문별 고유명사 표기자의 성모 분포도, 운모 분포도, 성조 분포도 및 疑·來母字 분포도 등을 바탕으로 ①무기음(전청) vs. 유기음(차청)의 비율, ②무성음(전청+차청) vs. 유성음(전탁+차탁)의 비율, ③설두음 vs. 설상음의 비율, ④치두음 vs. 정치음의 비율(이상 성모편), ⑤음성운 vs. 양성운 vs. 입성운의 비율 및 개음절 vs. 폐음절의 비율, ⑥성조의 분포(이상 운모편), ⑦음소 분포 제약 등의 지표들에 대하여 고유명사 표기자의 분포적 특징 및 흐름을 살펴본 것이다. 논의 결과 신라한자음은 6세기 전반에는 광개토왕비문으로 대표되는 5세기 고구려 한자음과의 공통성을 유지해오다가 6세기 후반에 들어 몇 가지 차이점들이 나타나면서 점차 신라화의 길을 걸어온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Based on the analysis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used in 11 kinds of Silla epigraphs in the 6th century,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such as of initials, finals, and tone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ir phonologic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specially to examine what can contribute to research on Ancient Sino-Korean. In Chapter 2, I have analyzed the original text structure of 11 kinds of epigraphs in "Jungseong-ri, Pohang, stele(501) to Gyeongju Nam-san Sinseong Fortress 1·2·9 steles (591)", collected proper noun notations, and arranged sinographs, except for "Bukhan-san and Hwangcho-ryeong King Jingheung's commemoration steles and Gyeongju Nam-san Sinseong Fortress 3·4·5·6·7·8·10<sup>th</sup> steles", because of their be severely damaged or poor in in the number of proper noun examples than those. In Chapter 3, based on individual epitaphs' sionographs for proper nouns' initials, finals and tones distribution and yimu and laimu characters(疑·來母字) distribution, as collected and arranged in Chapter 2,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low of the distribution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in terms of the same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as in Part 2 of Kwon(2015), such as ①the ratio of unaspirated sounds vs. aspirated sounds, ②the ratio of voiceless sounds(voiceless unaspirated sounds+ voiceless aspirated sounds) vs. voiced sounds(voiced obstruents+voiced sonorants), ③the ratio of apico-alveolar plosives(舌頭音) vs. dorso-prepalatal plosives(舌上音), ④the ratio of dental sounds vs. post-alveolar sounds, ⑤the ratio of open syllable sounds vs. nasal-ending sounds vs. stop-ending sounds, and the ratio of open syllables vs. closed syllables, ⑥the distribution of tones, and ⑦phoneme distribution constraints. In Chapter 4, I have concluded as follows: the first half of the 6<sup>th</sup> century Sino-Silla system maintained commonality with that of 5<sup>th</sup> century Sino-Goguryeo represented by King Gwanggaeto's stele before they were gradually assimilated into Sino-Silla with some differences in the late 6th century.

      • KCI등재

        금석문ㆍ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權仁瀚(Kwon In-Han)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이 글은 지난 30년 동안(1979~2009)에 국어학계에서 이룩한 고대의 금석문 및 목간 자료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한 것인 바, 대체로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자료들을 대상으로 가장 최근까지의 연구 업적들을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로 나누어 자료별 시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2장에서는 고구려 금석문 4종, 백제 금석문 4종, 신라 금석문 8종, 통일신라 금석문 20종에 대한 국어학계의 논의들을, 3장에서는 백제 목간 2종, 신라 목간 2종에 대한 국어학계의 논의들을 정리하였다. 논의 결과, 국어학계의 논의들은 일부 사학계의 논의에 뒤쳐져 있는 경우들도 없지 않으나, 최근에 올수록 젊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사학계의 논의들까지를 종합하여 각 자료들이 이두 발달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구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4장 결론에서는 신출토 문자 자료의 영역에서는 그 해독 과정에서 어학적, 역사적, 서체적, 고고학적 지식을 두루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제적 연구 및 학문 간 소통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三國志』·魏書·東夷傅의 固有名詞 表記字 分析

        權仁瀚(Kwon, In-han) 구결학회 2011 구결연구 Vol.27 No.-

        본고는 『三國志』·魏書·東夷傳에 실려 있는 고유명사 표기들에 대한 음운학적 분석을 목표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夫餘·高句麗·東沃沮·濊·馬韓·辰韓·弁辰條' 등 우리 선조들과 직접 관련되는 고대국가들을 대상으로 '國名/部名'(A), '地名'(a), '人名'(B), '官名'(C), '기타어'(D)로 구분하여 고유명사 표기들을 蒐集하고, 수집된 자료를 크게 夫餘系와 韓系로 나누어 그 用字들을 정리, 聲母·韻母·聲調別 분포상의 특정을 추출하여 3세기 경 한반도의 언어, 특히 음운 상태를 再構하고자 한 것이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聲母面에서는 韓系가 夫餘系에 비하여 有聲音, 특히 共鳴音(sonorants)의 비을이 높음으로써 그만큼 韓系語가 부드러운 소리로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韻母面에서는 韓系가 夫餘系에 비하여 閉音節(陽聲韻+入聲韻)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이는 그만큼 夫餘系語가 開音節 構造에 가깝다고 한다면, 韓系語는 閉音節 構造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陰聲韻 중에서 果攝字와 歌韻의 來母字 '羅'가 전혀 나타나지 않은 사실로부터 3세기 당시 한국한자음의 基層音이 아직은 漢代音 정도의 음운 상태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聲調面에서는 夫餘系나 韓系 모두 '平聲>上聲>去聲>入聲'의 순서로 나타남으로써 平聲字 선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倭人條에 비해 去聲字의 비울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까지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音素 分布 制約面에서 夫餘系나 韓系 모두 語頭에서의 /?/, /l/ 制約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