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三國志』·魏書·東夷傅의 固有名詞 表記字 分析

        權仁瀚(Kwon, In-han) 구결학회 2011 구결연구 Vol.27 No.-

        본고는 『三國志』·魏書·東夷傳에 실려 있는 고유명사 표기들에 대한 음운학적 분석을 목표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夫餘·高句麗·東沃沮·濊·馬韓·辰韓·弁辰條' 등 우리 선조들과 직접 관련되는 고대국가들을 대상으로 '國名/部名'(A), '地名'(a), '人名'(B), '官名'(C), '기타어'(D)로 구분하여 고유명사 표기들을 蒐集하고, 수집된 자료를 크게 夫餘系와 韓系로 나누어 그 用字들을 정리, 聲母·韻母·聲調別 분포상의 특정을 추출하여 3세기 경 한반도의 언어, 특히 음운 상태를 再構하고자 한 것이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聲母面에서는 韓系가 夫餘系에 비하여 有聲音, 특히 共鳴音(sonorants)의 비을이 높음으로써 그만큼 韓系語가 부드러운 소리로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韻母面에서는 韓系가 夫餘系에 비하여 閉音節(陽聲韻+入聲韻)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이는 그만큼 夫餘系語가 開音節 構造에 가깝다고 한다면, 韓系語는 閉音節 構造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陰聲韻 중에서 果攝字와 歌韻의 來母字 '羅'가 전혀 나타나지 않은 사실로부터 3세기 당시 한국한자음의 基層音이 아직은 漢代音 정도의 음운 상태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聲調面에서는 夫餘系나 韓系 모두 '平聲>上聲>去聲>入聲'의 순서로 나타남으로써 平聲字 선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倭人條에 비해 去聲字의 비울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까지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音素 分布 制約面에서 夫餘系나 韓系 모두 語頭에서의 /?/, /l/ 制約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금석문ㆍ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權仁瀚(Kwon In-Han)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이 글은 지난 30년 동안(1979~2009)에 국어학계에서 이룩한 고대의 금석문 및 목간 자료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한 것인 바, 대체로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자료들을 대상으로 가장 최근까지의 연구 업적들을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로 나누어 자료별 시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2장에서는 고구려 금석문 4종, 백제 금석문 4종, 신라 금석문 8종, 통일신라 금석문 20종에 대한 국어학계의 논의들을, 3장에서는 백제 목간 2종, 신라 목간 2종에 대한 국어학계의 논의들을 정리하였다. 논의 결과, 국어학계의 논의들은 일부 사학계의 논의에 뒤쳐져 있는 경우들도 없지 않으나, 최근에 올수록 젊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사학계의 논의들까지를 종합하여 각 자료들이 이두 발달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구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4장 결론에서는 신출토 문자 자료의 영역에서는 그 해독 과정에서 어학적, 역사적, 서체적, 고고학적 지식을 두루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제적 연구 및 학문 간 소통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正倉院藏 ‘第二新羅文書’의 正解를 위하여

        權仁瀚(Kwon In-han) 구결학회 2007 구결연구 Vol.18 No.-

        이 글은 日本 正倉院에 所藏되어 있는 ‘第二新羅文書’에 대한 正確한 判讀 및 解讀을 目標로 한다. 이 文書에 대한 判讀 및 解讀에서 國語學界와 國史學界 사이에 많은 見解差를 드러내고 있음을 勘案히여 되도록 客觀的인 姿勢로써 이에 대한 正解를 試圖하는 한펀, 이 文書의 [앞면] 첫 글자로 登場하는 新羅 俗字 ‘?’의 正體를 究明하기 위한 論議도 겸함으로써 新羅의 吏讀 내지 字形 硏究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第二新羅文書’의 正確한 判讀에 焦點을 맞추었다. 그 결과. ①‘接五’([앞면] 1行). ②'馬於內’([앞면] 2行). ③‘永忽知乃末’([뒷면] 2行), ④‘六互大舍’([뒷면] 2行), ⑤‘契米山大舍’([뒷면] 3行) 등 그 동안의 論議들에서 論難을 빚은 部分들에 대하여 唐代 字形 資料와의 比較를 바탕으로 字形 判讀을 어느 정도 確定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解讀面에서는 ①‘馬於內’를 ‘*마?나’[蒜地]로 解讀할 수 있는 地名임을 確忍한 점, ②‘汚去如’의 ‘-去’가 吏讀吐라기 보다는 ‘-了’ 즉, 完7相 表示의 語助辭 機能을 지니는 漢文 文法的 要素임을 指摘한 점, ③‘失’과 ‘丑’에 대하여 韓國漢字音의 觀點에서 各各 ‘實’과 ‘楸’의 假借 表記가 될 수 없음을 指摘한 점 등 從前과는 새로운 主張을 펄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新羅 俗字 ‘?’에 대해서는 雁鴨池 出土의 207번 木簡에서의 쓰임과 「世宗實錄地理志」에서 ‘~尾’로 나타난 貢物의 分布 등을 綜슴的으로 考慮하여 ‘豹’=‘土豹’ 즉, 스라소니(제l 후보) 또는 ‘孤’ 즉, 여우(제2 후보)를 의미하는 글자일 可能性이 높음을 論議하였다.

      • KCI등재

        《國語學》 50년-총론적 고찰

        權仁瀚(Kwon In-Han)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7

        이 글은 국어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학회지 《國語學》 제1~56집 (1962, 1974~2009)에 실린 6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국어학 연구의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國語學》의 간행 주기, 수록 논문수 및 집필자에 관련된 각종 지표(집필자의 수, 연령, 지역 분포, 남녀 비율 등)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國語學》의 외형적인 성장세를 조명하였다. 조사 결과 부분적으로 문제점도 없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면에서 국어학회의 양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國語學》에 실려 있는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음운, 형태, 통사, 의미, 기타의 다섯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의 하위 주제별 논문들의 분포를 중심으로 연구 흐름 파악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분야별 논문들의 수를 종합한 결과, 전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치우침 없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본론의 논의를 요약ㆍ정리한 다음, 향후의 전망과 과제에 대한 필자의 관견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be a general survey on the researching tendencies of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JKL) to commemorate the 5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SKL). In chapter 2, Ⅰ have described the outward growth of JKL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ublishing period, number of papers and various indexes related to the authors, such as number, age, regional distribution and sex ratio. In spite of minor problems,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SKL was distinguished in general. In chapter 3, Ⅰ have divided the 640 papers of JKL into five fields, i.e.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and et cetera, and tried to grasp the flow of research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sub-themes in each fiel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apers covered similarly in various fields without any bias in particular field. In chapter 4, Ⅰ have summarized the main subject, and made some suggestions on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the future of JKL.

      • KCI등재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학습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권인아(Kwon inah),한상길(Han sangk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and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s and the mediated effects of each variabl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20 December 2017 to 10 January 2018 for 688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used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s a major research result, first, the motivation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was directly effective in self-efficacy and learning effectiven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ed effect between learning effects by means of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self-efficacy and learning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motivation for learning outcomes was directly effective in self-efficacy,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full-medium potency between target orientation and learning effectiveness by means of self-efficacy. As a result, the method of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requires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self-efficacy, along with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is activity-oriented rather than learning-oriented. 이 연구는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학습효과성 간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각 변인 간 직접효과 및 매개효과 규명이 그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기업교육 강사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수집한 설문지 688부를 SPSS 22.0 와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분석 후 그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교육 강사의 활동지향형 학습참여 동기는 자기효능감과 학습 효과성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학습효과성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지향형 학습참여 동기는 자기효 능감과 학습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없음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목표지향형 학습참여 동기도 자기효능감에는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효과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 없음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목표지향형 학습동기와 학습효과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효과성 향상 방안으로는 그들의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지향성 보다는 활동지향성 임을 감안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과 함께 자기효능감 고취를 위한 학습전략이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權仁瀚(Kwon, In-han)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5

        본고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을 대상으로 이들에 쓰인 고유명사 표기자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성모·운모·성조 등의 분포적인 측면에서 이들이 지닐 수 있는 음운사적 의의, 특히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바들에 대한 고찰을 이어감에 목표를 둔 것이다. 2장에서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총 245점에 대한 판독안 수립, 원문 구조 분석,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325종 447건) 및 표기자 정리(181자, 연자수 1,031) 등 일련의 과정을 상세히 보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수집·정리된 함안 목간 고유명사 표기자의 성모 분포도, 운모 분포도, 성조 분포도 및 疑·來母字 분포도 등을 바탕으로 ①무기음(전청) vs. 유기음(차청)의 비율, ②무성음(전청+차청) vs. 유성음(전탁+차탁)의 비율, ③설두음 vs. 설상음의 비율, ④치두음 vs. 정치음의 비율(이상 성모편), ⑤음성운 vs. 양성운 vs. 입성운의 비율 및 개음절 vs. 폐음절의 비율, ⑥성조의 분포(이상 운모편), ⑦음소 분포 제약 등 각 지표별로 6세기 신라 금석문들과 비교하여 양자 간의 異同 및 일치도를 중심으로 6세기 신라한자음에 관련된 논의를 행하였다. 논의 결과, 함안 목간 및 6세기 신라 금석문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을 통해서 본 신라한자음은 6세기 전반 광개토왕비문으로 대표되는 5세기 고구려한자음과의 공통성을 유지해오다가 6세기 후반에 들어 몇가지 차이점들이 나타나면서 점차 신라화의 길을 걸어온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주요한 특징으로 1)유기음 발달의 미약, 2)설두음·설상음 및 치두음·정치음의 미분, 3)음절구조상의 개음절성 우위, 4)성조 비율상 평성자 선호, 5)어두 /l-/의 제약 철저 준수 등으로 정리하였다. Based on the analysis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used in Wooden Documents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at Haman(WDSH),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such as of initials, finals, and tones of sinograph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ir phonologic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specially to examine what can contribute to research on Ancient Sino-Korean. In Chapter 2, I have analyzed the original text structure of 205 pieces WDSH, collected proper noun notations(447 cases of 325 kinds), and arranged sinographs(181 letters). In Chapter 3, based on individual WDs sinographs for proper nouns’ initials, finals and tones distribution and yimu and laimu characters(疑·來母字) distribution, as collected and arranged in Chapter 2,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low of the distribution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of WDSH in terms of the same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as in Part 2 of Kwon(2015), such as ①the ratio of unaspirated sounds vs. aspirated sounds, ②the ratio of voiceless sounds(voiceless unaspirated sounds+voiceless aspirated sounds) vs. voiced sounds(voiced obstruents+voiced sonorants), ③the ratio of apico-alveolar plosives(舌頭音) vs. dorso-prepalatal plosives(舌上音), ④the ratio of dental sounds vs. post-alveolar sounds, ⑤the ratio of open syllable sounds vs. nasal-ending sounds vs. stop-ending sounds, and the ratio of open syllables vs. closed syllables, ⑥the distribution of tones, and ⑦phoneme distribution constraints. In Chapter 4, I have concluded as follows: Sino-Silla viewed from WDSH and 6<SUP>th</SUP> century Epigraphs of Silla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such as ①development of aspirated sounds was weak, ② differentiation of apico-alveolar plosives(舌頭音) vs. dorso-prepalatal plosives(舌上音), and that of dental sounds vs. post-alveolar sounds were not established, ③tendency of open syllabicity was strong, ④ratio of Low Tone(平聲) was dominant, ⑤initial /l-/ constraint was very strong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