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不倫을 媒介로 한 辭說時調의 性談論

        해춘(Ryoo Hae-choon)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4

        사설시조에서는 주부의 불륜을 등장시켜, 그 당시 사람들의 애정행위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폭로하여 인간의 애정생활을 해학적으로 풍자하고 있는 작품이 있다. 사설시조에 나타난 주부의 불륜은 애정의 갈등을 조장하는 가부장 사회와의 투쟁을 드러내기 보다는 오락성이나 유흥성의 측면에서 풍자나 해학의 미학을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나타난 사설시조의 성담론은 여성의 성적 억압을 상상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욕망의 투사체이거나 혹은 대리 만족으로 여성의 성적 욕망을 다루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 우리 사회의 풍류방이나 유흥의 산물로 흥행한 사설시조에 담겨있는 주부의 모습은 유교적 질서가 확고했던 조선시대에도 여성이 가정 내에서 그 역할이 점차 변해가고 있었으며, 현대 사회의 주부들 못지않게 자유롭고 발랄한 성담론을 구사하고 있었다. 필자의 시각으로 찾아낸 주부의 불륜을 매개로 한 사설시조의 작품은 본고의 연구대상이 된 4편이 전부였다. 조선후기 사설시조에 나타난 불륜을 매개로 한 주부(主歸)들의 성담론이라는 주제는 현재 무너져가는 가족관계와 천민자본주의 그리고 성 (性) 산업의 노예가 되고 있는 21세기 현대인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Saseol Sijo which reflects people's life often shows us relationships between moral love and immoral love of those periods' people mentioning the extramarital love affair. Meaning of a word 'housewife' is a woman who supporting and organizing family with her husband. The extramarital love affair appeared in Saseol Sijo emphasize entertaining and merrymaking rather than struggling to the society enforcing immortal love. In the case of poetic images are completed far different form in the case of ordinary Sijo. Therefore, it is often said that Saseol Sijo stimulates overconsumption of satires and critics. We can regard sexual discussions appeared in those periods' Saseol Sijo as reflections of desire which are the way of releasing repressed sexual appetite of women or substitutions of satisfying their sexual appetite. Features of housewives appeared in Poong-ryu-bang or Saseol Sijo succeeded as productions of merrymaking in Latter half period of Chosun dynasty, can spotlight because of its meanings. It told us not only housewives' roles are started to change but also vivid sexual discussions similar to nowadays things are begun in latter half period of Chosun dynasty. This study has examined through tone of speech how housewives see the objects of the ironies and the satires. Main subject the extramarital love affair mediate sexual discussion of housewives appeared in Saseol Sijo teaches a lot of things to twenty first century's contemporary people experiencing destroyed family relationship, pariakapitalismus and wide spread sexual industries.

      • KCI등재

        16세기 사대부가사의 연구

        柳海春 우리말글학회 2001 우리말 글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s of the literary meaning of the Sadaebu - Kasa according to the discourse method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The exiting Sadaebu - Kasa which were written in the Sixteenth Centuries of Chosen Dynasty are the almost twenty poems. The expression of the Sadaebu - Kas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was very similar to the ways of the expression of the Sadaebu - Kasa in the latter period of Chosen Dynasty. To sum up, I researche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iscourse methods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er of the Sadaebu - Kasa in the Sixteenth Centuries of Choson Dynasty.(Sungkyul University)

      • KCI등재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

        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이 글은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이 누렸던 여가활동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참살이’, 즉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참살이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소비문화로 왜곡되고 변질되어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면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며 건강하게 생활했던 것과 일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산수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으면서 틈틈이 여가활동을 즐겼다. 산수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여기서는 산수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이 지녔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산수시조에 나타난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기활동의 양상은 1)기분전환과 삶의 재충전, 2)건강회복과 안전한 먹을거리, 3)자기계발과 공동체의 삶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가활동이 중요시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고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산수시조의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기활동을 즐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studying Sun-hi's activities during Chosun era by analyz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ppeared in Si-jos which related with mountains and rivers. These kinds of Si-jos called Sansu Si-jo. Nowadays in Korea leisure activities are up a new culture cod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s have interested in well-being. Well-being as known as 'Chamsalee' is pursuing happiness based on sound body and sound mind rather than stick to materialism and fame. Therefore, Chamsalee put physiological health and stable mind on front burner. Recently, Chamsalee deteriorated to upper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healthy living with mental satisfaction and feeling happiness is closer to real meaning of Chamsalee. Chamsalee's life style is similar to the Chosun's gentries. When they met turbulent days they went back to the rural life and live healthy lives respecting provision of nature. Also they create Sansu Si-jo.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Sansu Si-jos' subject matters and main themes can be different. This study analyzes leisure activities' aspects of Chosun's gentries which are appeared in Sansu Si-jo. Leisure activities' aspects appeared in Sansu 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refresh oneself and recharging one's batteries, 2) recovering health and healthy foods, 3) self improvement and community life. Nowadays people will maintain healthier leisure activities through looking around Sansu Si-jo's winter leisure activities.

      • KCI등재

        사대부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여가활동의 양상

        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본고는 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사대부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우리 민족이 누렸던 여가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웰빙 [참살이] 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그러므로 참살이는 육체 건강과 마음의 안정을 최우선 가치로 한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문화로 왜곡되고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었다. 사대부 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이글은 겨울철을 소재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의 여가활동을 찾아보고자 한다. 겨울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에는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가활동의 양상이 1) 겨울의 정취와 삶의 재충전, 2)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삶, 그리고 3) 더불어 사는 삶과 즐거운 취미생활 등 3가지로 나누어진다. 주5일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옛 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사대부의 겨울철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the Scholar-Sijo in the winter season.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and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The type of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scenery and the complacency in the second chapter, the type of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is represented of the wholesome food and the simplification of life in the third chapter, the type of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harvesting and the sense of well-being in the fourth chapter. In order to stud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which have succeeded up to present without interruption, it is to gather more materials, widen an appreciative eye our leisure-activity and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15세기 자연시가에 나타난 녹색담론

        해춘 ( Hae Choon Ryoo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15세기의 시가문학은 관료출신의 사대부들이 주도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관료출신 작가들은 출처의식(出處意識)이 뚜렷하여 관계에 나아가서는 경국제민(經國濟民)하면서 나라와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관료생활을 마치고 산수자연으로 돌아와서는 수신제가(修身齊家)하면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게 전원생활을 하였다. 이 시기 시가문학의 주요한 작가로는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맹사성 황희 정극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시가문학의 변화와 개혁을 선도하면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는 작가가 관료생활을 마치고 전원생활을 노래하면서 산수자연과 정치현실의 조화로움을 임금의 은혜라고 주장하면서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녹색낭만주의의 시각을 담고 있으며, 인세홍진과 안빈낙도를 풍류생활로 노래하는 정극인의 「상춘곡」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한다는 ‘자연과 함께 공생하자.’라는 녹색생존주의의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고, 벼슬살이를 마치고 산수자연에서 여가생활과 풍류생활을 하면서 삶의 체험을 노래하는 황희의 「사시가」는 ‘자연을 활용하자.’라는 녹색실용주의의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자연시가에 나타난 녹색담론의 양상을 분석하여 15세기 사대부가 산수자연을 수용하고 활용하는 관점을 변별하여 자연시가를 연구하는 시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주요한 몇 국면을 추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15세기 시가문학에 나타난 녹색담론의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은 현대사회의 환경문제와 경제발전의 시각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을 함께 포괄하고 있으며, 15세기 시가문학에 나타난 관인문학과 처사문학의 시각과 견해를 21세기 환경문제와 경제발전의 철학적 근원과 그 연관성을 찾아내는 일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In 15th century literary Siga Literature has gentry of officials who are said to be led. As the leading writers of this period is the author of bureaucratic and as is headed by managing outgoing consciousness is evident to further the relationship and live well the people govern the country comfortably the country and people, after a bureaucratic life back into the nature power was living with foster their bodies. During this period Siga Literature leading writer of literatur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s literary history is to emerge, such as Maeng Sa Seong (1360-1438), Hwang Hui (1363-1452), Jeong Geuk In (1401-1481) was leading the reform of the Siga Literature . The meaning of green discourse that 「Ganghosasiga」of Maeng Sa seong to claim the eternal harmony of nature and reality presented in these works, which contain the views of the green romanticism of ‘Let``s go back to nature!’, A tasteful living with nature Hwang Hui claimed that the harmony of 「Sasiga」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pragmatism of ``Let``s take advantage of nature!‘. Of the positive singing into lives enjoying the poor with the eternity to follow the truth 「Sangchungok」is ’Let symbiosis with nature!‘.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need to coexist 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surviving attention. Green Consciousness in the 15th century nature Siga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work of artists on the basis of awareness of the man and the subject itself is a very important debate. Here determine the meaning of green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looked at the green Siga natural difference shown in the bureaucratic Consciousness and the Cheosa Consciousness of Literature in the Siga

      • KCI등재

        19세기 동학사상에 나타난 보국안민의 의미와 수사학

        해춘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Donghak began in 1860 by Choi Je-woo (崔濟愚, 1824~1864), a Suun (水雲).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lost its ability to lead the country, with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politics,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ountry, and the function of the state collapsed. The policy of patriotism and security can be found in Donghak's scriptures, Yongdam Yusa(용담유사) and Eastern Bible(동경대전) . These books express concerns internally about the contradiction of the system in Joseon society and the penetration of Western studies as a religion in the discussion of the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externally express concerns about the invasion of East Asia by Western powers. The lyrics written in Korean, Yongdamyusa(龍潭諭詞) , include 「Yongdamga」(龍潭歌, 1860), 「Ansim song」(安心歌, 1861), 「Lesson song」 (敎訓歌, 1861), 「Dosusa」(道修詞, 1861), 「Gwonhakga」(勸學歌, 1861), 「Mongjungnosomundabga」(夢中老少問答歌, 1862), 「Moral song」(道德歌, 1863), 「Heungbi (興比歌, 1863), etc. Donghak lyrics are being passed on. Eastern Bible ,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cludes 「Podeokmun」(布德文, 1861), 「Theory of Donghak」(東學論, 1862), 「Sudeokmun」(修德文), 1862) and 「Buyeongiyeon」(不然其然, 1863), etc. The situ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1860s was a series of very chaotic situations. The chaotic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fact that China allowed the propagation of Western studies was accepted by Choi Je-woo, the founder of Donghak, as a major crisis in Joseon society. The reason why Choi Je-woo(최제우) founded Donghak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ropagation of Western learning was allowed in China through the Beijing Treaty. The same family as Hangeul homonyms of the citizens of the homeland 1. Patriotic Anmin (輔國安民):Helping the country with allegiance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2. Patriotic People (保國安民):Protecting the country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3. Patriotic Anmin (報國安民):To repay the country's favor and bring peace to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1894), the proposition “Jepok-gumin”(除暴救民) appeared as the flag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a metonymy meaning of “patriotic people(보국안민)” and was used together as a slogan for the revolutionary army along with Patriotic Anmin(輔國安民). 최제우는 1860년 동학(東學)을 창도(創道)할 시기에 교도들의 명첩(名帖)에 실천할 계명(誡命)을 적어 주었다. 그 내용은 첫 머리에 용담연원(龍潭淵源), 검악포덕(劍岳布德)이라는 8자를 쓰고, 끝에는 대자특서(大字特書)로 ‘보국안민(輔國安民), 포덕천하(布德天下), 광제창생(廣濟蒼生)’이라는 실현정책을 기록하였다. 여기서 용담(龍潭)은 수운(水雲) 최제우(1824~1864)를 뜻하고, 검악(劒岳)은 해월(海月) 최시형(1827~1898)을 의미한다. 즉, 수운이 동학을 창도하여 근원을 이루고, 해월이 널리 덕을 베풀어 포교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동학은 창도할 때부터 대외적으로 서구열강의 동아시아 침탈에 대한 걱정을 표출하면서 보국안민(輔國安民)의 실현정책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국(輔國)에는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위태로운 국가를 도와서 국가를 개혁해야 하는 상황을, 안민(安民)에는 백성들의 편안함을 추구하여 만민의 평등함을 주장하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담보하고 있다. 수운 최제우는 용담유사 와 동경대전 에서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동학의 이념으로 채택하였다. 그리고 국가존립의 실현정책으로 보국안민(輔國安民)을 주장하였고, 사회복지의 실현정책으로 광제창생(廣濟蒼生)을 강조였으며, 종교문화의 실천정책으로 포덕천하(布德天下)라는 명제를 내세웠다. 이처럼 동학은 국가와 사회를 개혁하고 보국안민 즉, 제폭구민(濟暴救民)을 실현하는 정책을 내세워 민중들이 참여하는 동학농민운동의 미래를 열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학에 나타난 최제우의 보국안민이라는 명제는 용담유사 와 동경대전 에 담겨있는 가장 중요한 실현정책이며, 20세기 이후에는 일본의 침탈로부터 한국사회의 독립운동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의미이며 그 수사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사설시조에 나타난 현실경험적 화자의 유형과 그 특성

        해춘 성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人文科學論叢 Vol.5 No.-

        This study is written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the persona of realist in Sasulsijo. The persona of realist in Sasul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persona of implied listener, the persona of appearing listener and the persona of dramatic listener. The persona of implied listener is rever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persona of appearing listener is reversed in the three chapter and the persona of dramatic listener is reversed in the four chapter. This discussion attempted to see the persona of description and manifestation of the experience of reality in Sasulsijo. Therefore, more studies which is not identified in this thesis are needed in the future.

      • 조선전기 사대부가사 연구

        해춘 聖潔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9 人文科學論叢 Vol.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s of the literary meaning of the Sadaebu - Kasa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The existing Sadaebu - Kasa which were written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are the almost twenty poems. The expression of the Sadaebu - Kas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was very similar to the ways of the expression of the Sadaebu - Kasa in the latter period of Choson Dynasty. To sum up, I researche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Sadaebu - Kas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