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不倫을 媒介로 한 辭說時調의 性談論

        류해춘(Ryoo Hae-choon)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4

        사설시조에서는 주부의 불륜을 등장시켜, 그 당시 사람들의 애정행위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폭로하여 인간의 애정생활을 해학적으로 풍자하고 있는 작품이 있다. 사설시조에 나타난 주부의 불륜은 애정의 갈등을 조장하는 가부장 사회와의 투쟁을 드러내기 보다는 오락성이나 유흥성의 측면에서 풍자나 해학의 미학을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나타난 사설시조의 성담론은 여성의 성적 억압을 상상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욕망의 투사체이거나 혹은 대리 만족으로 여성의 성적 욕망을 다루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 우리 사회의 풍류방이나 유흥의 산물로 흥행한 사설시조에 담겨있는 주부의 모습은 유교적 질서가 확고했던 조선시대에도 여성이 가정 내에서 그 역할이 점차 변해가고 있었으며, 현대 사회의 주부들 못지않게 자유롭고 발랄한 성담론을 구사하고 있었다. 필자의 시각으로 찾아낸 주부의 불륜을 매개로 한 사설시조의 작품은 본고의 연구대상이 된 4편이 전부였다. 조선후기 사설시조에 나타난 불륜을 매개로 한 주부(主歸)들의 성담론이라는 주제는 현재 무너져가는 가족관계와 천민자본주의 그리고 성 (性) 산업의 노예가 되고 있는 21세기 현대인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Saseol Sijo which reflects people's life often shows us relationships between moral love and immoral love of those periods' people mentioning the extramarital love affair. Meaning of a word 'housewife' is a woman who supporting and organizing family with her husband. The extramarital love affair appeared in Saseol Sijo emphasize entertaining and merrymaking rather than struggling to the society enforcing immortal love. In the case of poetic images are completed far different form in the case of ordinary Sijo. Therefore, it is often said that Saseol Sijo stimulates overconsumption of satires and critics. We can regard sexual discussions appeared in those periods' Saseol Sijo as reflections of desire which are the way of releasing repressed sexual appetite of women or substitutions of satisfying their sexual appetite. Features of housewives appeared in Poong-ryu-bang or Saseol Sijo succeeded as productions of merrymaking in Latter half period of Chosun dynasty, can spotlight because of its meanings. It told us not only housewives' roles are started to change but also vivid sexual discussions similar to nowadays things are begun in latter half period of Chosun dynasty. This study has examined through tone of speech how housewives see the objects of the ironies and the satires. Main subject the extramarital love affair mediate sexual discussion of housewives appeared in Saseol Sijo teaches a lot of things to twenty first century's contemporary people experiencing destroyed family relationship, pariakapitalismus and wide spread sexual industries.

      • KCI등재후보

        15세기 자연시가에 나타난 녹색담론

        류해춘 ( Hae Choon Ryoo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15세기의 시가문학은 관료출신의 사대부들이 주도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관료출신 작가들은 출처의식(出處意識)이 뚜렷하여 관계에 나아가서는 경국제민(經國濟民)하면서 나라와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관료생활을 마치고 산수자연으로 돌아와서는 수신제가(修身齊家)하면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게 전원생활을 하였다. 이 시기 시가문학의 주요한 작가로는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맹사성 황희 정극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시가문학의 변화와 개혁을 선도하면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는 작가가 관료생활을 마치고 전원생활을 노래하면서 산수자연과 정치현실의 조화로움을 임금의 은혜라고 주장하면서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녹색낭만주의의 시각을 담고 있으며, 인세홍진과 안빈낙도를 풍류생활로 노래하는 정극인의 「상춘곡」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한다는 ‘자연과 함께 공생하자.’라는 녹색생존주의의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고, 벼슬살이를 마치고 산수자연에서 여가생활과 풍류생활을 하면서 삶의 체험을 노래하는 황희의 「사시가」는 ‘자연을 활용하자.’라는 녹색실용주의의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자연시가에 나타난 녹색담론의 양상을 분석하여 15세기 사대부가 산수자연을 수용하고 활용하는 관점을 변별하여 자연시가를 연구하는 시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주요한 몇 국면을 추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15세기 시가문학에 나타난 녹색담론의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은 현대사회의 환경문제와 경제발전의 시각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을 함께 포괄하고 있으며, 15세기 시가문학에 나타난 관인문학과 처사문학의 시각과 견해를 21세기 환경문제와 경제발전의 철학적 근원과 그 연관성을 찾아내는 일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In 15th century literary Siga Literature has gentry of officials who are said to be led. As the leading writers of this period is the author of bureaucratic and as is headed by managing outgoing consciousness is evident to further the relationship and live well the people govern the country comfortably the country and people, after a bureaucratic life back into the nature power was living with foster their bodies. During this period Siga Literature leading writer of literatur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s literary history is to emerge, such as Maeng Sa Seong (1360-1438), Hwang Hui (1363-1452), Jeong Geuk In (1401-1481) was leading the reform of the Siga Literature . The meaning of green discourse that 「Ganghosasiga」of Maeng Sa seong to claim the eternal harmony of nature and reality presented in these works, which contain the views of the green romanticism of ‘Let``s go back to nature!’, A tasteful living with nature Hwang Hui claimed that the harmony of 「Sasiga」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pragmatism of ``Let``s take advantage of nature!‘. Of the positive singing into lives enjoying the poor with the eternity to follow the truth 「Sangchungok」is ’Let symbiosis with nature!‘.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need to coexist 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surviving attention. Green Consciousness in the 15th century nature Siga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work of artists on the basis of awareness of the man and the subject itself is a very important debate. Here determine the meaning of green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looked at the green Siga natural difference shown in the bureaucratic Consciousness and the Cheosa Consciousness of Literature in the Siga

      • KCI등재

        사대부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여가활동의 양상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본고는 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사대부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우리 민족이 누렸던 여가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웰빙 [참살이] 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그러므로 참살이는 육체 건강과 마음의 안정을 최우선 가치로 한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문화로 왜곡되고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었다. 사대부 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이글은 겨울철을 소재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의 여가활동을 찾아보고자 한다. 겨울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에는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가활동의 양상이 1) 겨울의 정취와 삶의 재충전, 2)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삶, 그리고 3) 더불어 사는 삶과 즐거운 취미생활 등 3가지로 나누어진다. 주5일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옛 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사대부의 겨울철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the Scholar-Sijo in the winter season.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and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The type of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scenery and the complacency in the second chapter, the type of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is represented of the wholesome food and the simplification of life in the third chapter, the type of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harvesting and the sense of well-being in the fourth chapter. In order to stud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which have succeeded up to present without interruption, it is to gather more materials, widen an appreciative eye our leisure-activity and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 KCI등재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이 글은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이 누렸던 여가활동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참살이’, 즉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참살이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소비문화로 왜곡되고 변질되어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면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며 건강하게 생활했던 것과 일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산수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으면서 틈틈이 여가활동을 즐겼다. 산수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여기서는 산수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이 지녔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산수시조에 나타난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기활동의 양상은 1)기분전환과 삶의 재충전, 2)건강회복과 안전한 먹을거리, 3)자기계발과 공동체의 삶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가활동이 중요시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고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산수시조의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기활동을 즐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studying Sun-hi's activities during Chosun era by analyz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ppeared in Si-jos which related with mountains and rivers. These kinds of Si-jos called Sansu Si-jo. Nowadays in Korea leisure activities are up a new culture cod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s have interested in well-being. Well-being as known as 'Chamsalee' is pursuing happiness based on sound body and sound mind rather than stick to materialism and fame. Therefore, Chamsalee put physiological health and stable mind on front burner. Recently, Chamsalee deteriorated to upper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healthy living with mental satisfaction and feeling happiness is closer to real meaning of Chamsalee. Chamsalee's life style is similar to the Chosun's gentries. When they met turbulent days they went back to the rural life and live healthy lives respecting provision of nature. Also they create Sansu Si-jo.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Sansu Si-jos' subject matters and main themes can be different. This study analyzes leisure activities' aspects of Chosun's gentries which are appeared in Sansu Si-jo. Leisure activities' aspects appeared in Sansu 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refresh oneself and recharging one's batteries, 2) recovering health and healthy foods, 3) self improvement and community life. Nowadays people will maintain healthier leisure activities through looking around Sansu Si-jo's winter leisure activities.

      • KCI등재

        商行爲를 媒介로 한 辭說時調의 性談論

        류해춘(Ryoo Hae-choon)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2

        인간의 삶을 반영하고 있는 사설시조에서는 애정과 관련된 상행위가 등장하여 그 당대 사람들의 애정과 경제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사설시조에 나타난 상행위는 물질적 궁핍을 강요하는 사회와의 투쟁이 드러나지 않고 오락성이나 유흥성의 측면에서 재화나 금전의 과소비를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나타난 사설시조의 성담론은 여성의 성적 억압을 상상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욕망의 투사체이거나 혹은 대리 만족으로 여성의 성적 욕망을 다루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 우리 사회의 풍류방이나 유흥의 산물로 흥행한 사설시조에 담겨있는 주부의 모습은 유교적 질서가 확고했던 조선시대에도 여성이 가정 내에서 그 역할이 점차 변해가고 있었으며, 현대 사회의 주부들 못지않게 자유롭고 발랄한 성담론을 구사하고 있었다. 사설시조에 나타난 상행위를 매개로 한 주부들의 성담론이라는 주제는 현재 무너져가는 가족관계와 천민자본주의 그리고 성(性) 산업의 노예가 되고 있는 21세기 현대인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Saseol Sijo which reflects people's life often shows us relationships between love and economy of those periods' people mentioning materialistic love. Meaning of a word 'housewife' is a woman who supporting and organizing family with her husband. Materialistic problems and economic problems appeared in Saseol Sijo emphasize entertaining and merrymaking rather than struggling to the society enforcing poverty. Therefore, it is often said that Saseol Sijo stimulates overconsumption of goods and money. We can regard sexual discussions appeared in those periods' Saseol Sijo as reflections of desire which are the way of releasing repressed sexual appetite of women or substitutions of satisfying their sexual appetite. Features of housewives appeared in Poong-ryu-bang or Saseol Sijo succeeded as productions of merrymaking in Latter half period of Chosun dynasty, can spotlight because of its meanings. It told us not only housewives' roles are started to change but also vivid sexual discussions similar to nowadays things are begun in latter half period of Chosun dynasty. Main subject Cummercial transaction mediate sexual discussion of housewives appeared in Saseol Sijo teaches a lot of things to twenty first century's contemporary people experiencing destroyed family relationship, pariakapitalismus and wide spread sexual industries.

      • KCI등재

        시조와 가사의 향유방식과 그 관련양상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시조와 가사는 한국의 시가문학을 대표하는 갈래이다. 우리의 시가문학에서 시조는 3장 6구 12음보의 형식을 갖추고, 한 수의 노랫말은 45자 내외의 길이를 지닌 정형시를 의미한다. 조선후기의 사설시조는 시조의 변화를 수용하여 대체로 3장의 기준만을 채택하고 그 내용과 형식을 확대하여 표현하고 있다. 한편 가사의 정의는 1행 4음보의 율격을 바탕으로 100행 내외로 연속하는 장시라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의 가사는 내용적으로 다양한 소재를 이야기로 연결하여 행수가 훨씬 많아지는 경향을 수용하여 대상과 사물의 총체성을 읊어내고 있는 장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는 정형시와 장시로 고전시가의 두 산맥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갈래라고 할 수 있다. 조선전기에는 두 갈래의 노래가 서정을 기조로 하여 시조는 정형시의 양식을 계승했고, 가사는 장시라는 장르의 양식을 차지하여 시가문학을 융성하게 했다. 16세기 후반부터 두 갈래의 문학을 표현하는 방식의 변화와 함께 향유하는 계층이 늘어나면서 점차 이질성을 많이 드러내게 되었다. 시조는 시조창의 변화로 사설시조가 등장하며, 가사는 현실의 체험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이야기를 수용하여 길이가 길어지는 변화를 수용하여 규방가사와 서사가사가 성행했다. 그러나 단형의 정형시인 시조와 장시인 가사는 1행 4음보를 기준으로 창작되는 동질성을 조선후기까지 공유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시조와 가사에 나타난 향유방식과 그 상관성을 정형성과 비정형성, 은유의 수사학과 환유의 수사학, 가창의 문학과 음영하는 문학 등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에 나타난 향유방식을 살펴보는 작업은 오늘날 21세기 문화의 향유자들이 추구하는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글쓰기를 아우르며 화합과 소통의 새로운 세계를 항해하는 문화의 나침판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is compare to the enjoyment of way on Si-jo and Ga-sa in Lyric poetry. Si-jo and Ga-sa were created in Joseon Dynasty. Si-jo and Ga-sa is the Lyric poetry in traditional genre, representing Korea. These forms include the lyric genre but have a difference between the fixed verse and the long-poem in Joseon Dynasty. However, the two genres are the two genres had opene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from the very beginning in terms of gentry layer is the main writers. Joseon Dynasty those who enjoy the fixed verse and the long-poem, the literature of singing songs and reciting literature,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metaphor and metonymy rhetoric will reflect the era of awareness and enjoyment of contemporary perception of reality characters. It can be said that performing Si-jo and Ga-sa of enjoyment fashion and work to compare with realistic about the versification principles but check ahead a lot of data, and add to the task of finding a logic that can explain clearly remain. This paper will have to complement the many points made in an attempt to unravel the complex issues in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on-pronged approach and enjoyment of the fixed verse and long-poem Si-jo and Ga-sa and similar expressions are writing and testing the various parties of the enjoyment of culture in today’s era of change in the 21st century can be the compass to navigate a new world culture.

      • KCI등재후보

        임진왜란의 체험과 가사문학의 변모

        류해춘(Ryoo Hae-choon) 우리문학회 2004 우리文學硏究 Vol.0 No.17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change and literary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Invasion of Japan and the transfiguration in Kasa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ose days and change of writer's consciousness of the Sixteenth Centuries. The Kasa in the literary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Invasion of Japan is constituted by eight works. These works are 「Dosnga(도산가)」, 「Gogongga(고공가)」, 「Gogong-dabjuinga(고공답주인가)」, 「Baeksangloobeolgok(백상루별곡)」, 「Taepyung-sa(태평사)」, 「Yongsayuem(용사음)」, 「Myungwulyuem(명월음)」, 「Jaeilbon -gangga(재일본장가)」.<br/> To examine problems suggested above, at first I classified the eight works into three type and analyzed each type through the genetic background, the theory of structure and theory of reflection. In the point of genetic background I concentrated on the situation of literary society in Invasion of Japan and the background in Kasa. And in the aspect of the consciousness of writer, taking the variety of real society into consideration I divided writers into the ideological writer and the realistic writer.<br/> Based on such unit of narration, the Kasa in Invasion of Japan had been maintained by the latter period Choson and have succeeded up to Japanese strength period. However, there is no song which has pro-Japanese trend or praise for Japanese action in an old form of Korean Kasa of this period. Therefore, we can say that writers of this period have national consciousness much more than writers who are in Japanese strength period.<br/> In order to study these works it is desirable to widen an appreciative eye for our literature and to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 KCI등재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과 소통

        류해춘(Ryoo Hae-choon)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5

        이 글은 전통문화의 유산인 고전시가의 대중화 방안을 모색하면서 인문학과 현대사회가 소통하고 공감해야 한다는 명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세기 말까지 고전시가를 포함한 인문학은 학문의 전문성이나 예술성의 담장 안에서 보호받으며 성장하여 왔다. 문학의 창작과 향유는 사회변혁의 중요 견인차로서 그 영향을 행사하기도 하였으며, 인간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고 사회를 비판하며 즐거움을 선사하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대중매체를 통하여 급속도로 확산되는 공급문화로서의 20세기 대중문화는 대중이 스스로 문화를 만들어서 주체적으로 다음세대에 전달하기보다는 이미 만들어진 문화를 수용하고 향유하는 즐거움을 위주로 하고 있으므로 문화를 지속하고 유지하는 자율성이 전통문화보다 부족하다고 한다. 전통사회와 산업사회에서는 소수의 특권 집단만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여 왔지만,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전자기술에 기반을 둔 대중매체에 의해 수많은 대중들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소통과 공감이라는 말의 이면에는 고전시가는 당연히 대중화되어야 한다는 명제가 깔려져 있다. 이 글은 '대중들에게 우리의 고전시가를 어떻게 알려야 하는가?'하는 근본적인 물음과 그에 대한 성찰에서부터 출발한다. 하지만 21세기 고전시가를 일반 대중에게 확산하고자 할 때 그 기본방향은 무엇인가? 이 글에서는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대 형성으로서 전통문화인 고전시가에 나타난 대중문화의 성격과 고전시가에 기반을 두면서 현대시로 새롭게 변용되는 작품의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는 대중매체인 미디어와 소통하여 재탄생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와 지식정보화 시대의 교육이라는 유-러닝(U-learning)이나 스마트-러닝(Smart-learning)을 통해서 고전시가와 전통문화를 대중문화로서 교육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21세기 신자유주의의 경제체제 아래에서 진정한 의미의 대중문화는 높은 의미의 전문성이 확보되고 조직될 때 창조적인 수행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성과 대중성의 결합은 새로운 세대의 감수성과 사유방식을 반영해야 하지만 심하게 시대의 유행을 추종하는 경박성만은 경계해야 하겠다.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to clarify the cause relative to the Crisis of the Classical Poetry, and also for the purpose to grope after the alternative proposal. In order to perform this purpose, after I have contemplated the problem with regard to the Mass media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on the critical standpoint at first, thence I introspected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Crisis the Classical Poetry. Through this discussion, I have cleared up the reason why the Humanities should be still existed as the important Learning as ever, even nowadays. These days, one of the most obvious trends in our society is "Popularity equals Power". I investigate critically on the process that the culture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are metamorphosed into industrial goods under the new liberalism economy system could be represented by Globalization. The main trends in the Classical Poetry have corresponded with those pop culture, and our new paradigm is the outcome of this movement. The Mass media consists of TV, Computers, Newspapers and Other Publications. The assimilation of ideas from films and cartoons into the field of literature is determined by the good example in the market forces. Rather it should be presented to the Public so that they can transform it into mental and intellectual assets. Specific methods of transforming this wonderful literary to a common public asset need to be diversified, though. First of all, the parody aspects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modern poems are needed to allow the readers easier access. The classical poetry provide us a chance to look into the past and offer wisdom to live by in modern society. they also provide insight for a better future. We also need to work towards the publication of occasional academic researches to make them more accessible for the public. In the same vein, multimedia web-sites can offer an option to the public by allowing them to access to a rich source of classical poetry materials in various media formats. This paper is not to persuade one to give up the spirit of professionalism in favor of public accessibility in the study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Korean literature. Rather, this is to claim that we should share the expertise acquired through professional theorizations with the general public. Thereupon, thesis-writer considers that the classical poetry in the Humanities today is not at acrisis, but it arrive to the time-point that rather enables to meet with the new Opportunity.

      • KCI등재

        향가의 언술방식과 신라인의 사회의식

        류해춘(Ryoo Hae-Choon) 우리문학회 2005 우리文學硏究 Vol.0 No.18

        We find only tenth-four of the these poems extant nowadays in Samgukyusa(삼국유사) in Shilla Dynasty and tenth-one of these poems in Kyunyochon(균여전) in Koryo Dynasty. Hyang-Ga is the mirror in which social customs, religious practice and poetic imagination of Old Korean are reflected.<br/>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discourse and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in Hyang-Ga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ose days and change of writer's consciousness of Shilla Dynasty. Hyang-Ga is poetry written in Shilla Dynasty, from sixth century to ninth century.<br/> It is fundamental study to classify the type in Hyang-Ga and to clarify its characteristic discourse.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in Hyang-Ga is depended on the theory of discourse and related to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work. To examine problems suggested above, at first I classified the tenth-four works into three type and analyzed each type through the genetic background, the theory of reflection. In the point of genetic background I concentrated on the situation of literary society in Shilla Dynasty and the discourse of Woelmyoungsa (월명사)-Dosolga(도솔가) in Samgukyusa(삼국유사). And in the aspect of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taking the variety of real society into consideration I divided works into the folk song, the lyrical song and<br/> the magic song.<br/> The type of folk song is constituted by three works. These works are Seodongyo(서동요), Pungyo(풍요), Hyeonhwaga(헌화가) in Samkukyusa(삼국유사). The type of lyrical song is constituted by five works. These works are Changiparangga(찬기파랑가), Mojukjirangga(모죽지랑가), Jemangmaega(제망매가), Anminga(안민가), Ujeokga(우적가) in Samkukyusa(삼국유사). The type of magic song is constituted by six works. These works are Dosolga(도솔가), Wonwangsangga(원왕생가), Cheonsudaebiga(천수대비가), Hyesongga(혜성가), Wonga(원가), Choyongga(처용가) in Samkukyusa(삼국유사).<br/> Through the theory of reflection, I came to find out that Hyang-Ga, embodying the variety of thought and sentiment of Shilla People, reviewed the folk song, the lyrical song and the magic song by which the poets produced his aesthetic effects.<br/> In order to study these works it is desirable to widen an appreciative eye for our Hyang-Ga and to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 KCI등재

        사대부 시조와 여가 활동의 양상

        류해춘(Ryoo Hae-choon) 국어교육학회 2010 국어교육연구 Vol.46 No.-

        Nowadays in Korea leisure activities are up a new culture cod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s have interested in well-being. Well-being as known as 'Chamsalee' is pursuing happiness based on sound body and sound mind rather than stick to materialism and fame. Therefore, Chamsalee put physiological health and stable mind on front burner. Recently, Chamsalee deteriorated to upper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healthy living with mental satisfaction and feeling happiness is closer to real meaning of Chamsalee. Chamsalee's life style is similar to the Chosun's gentries. When they met turbulent days they went back to the rural life and live healthy lives respecting provision of nature. Also they create Scholar Sijo.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Scholar Sijos' subject matters and main themes can be different. This study analyzes leisure activities' aspects of Chosun's gentries which are appeared in Scholar Sij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the Scholar-Sijo in the four season.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four seaso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four season,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and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In order to stud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four season which have succeeded up to present without interruption, it is to gather more materials, widen an appreciative eye our leisureactivity and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