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린 敎育의 歷史的 發展에 관한 硏究

        박영희 한국교육사학회 1998 한국교육사학 Vol.20 No.-

        In this paper 1 grasp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onception of open education. Besides 1 mentioned the introduction of open education. The school management on the basis of open education made a start in England toward the end of the 1960's. To have put emphasis on this education at that time was to adapt the pupils to the changeful society and democratize the school management. This open education that originated in England spread gradually to its surrounding nations, including America, Japan, and Korea.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pen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tion of guidance', 'personality in learning'. All these characteristic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open education. If we solved the problems raised in running the open education system, we could find an ideal model, which would certainly appears as an eclectic method. This model adds the merits of traditional education to the open curriculum System and especially will emphasize the restriction of the pupils' participating in curriculum and school. The nations to change the tradiditional curriculum system to the open curriculum system like Korea will have to enforce the model in a long-term vision, not a short-term one.

      • KCI등재

        고소설에 형상화된 모성(母性)의 변이와 시모(媤母)

        박영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6 한국문화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고소설에서 시모로서의 어머니 모습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양상을 살펴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둔다. 시모는 이제 출산력과 양육력을 상실한 노년의 어머니에게 주어지는 자리이며 며느리와의 상호관계에 의해 그 성격이 드러난다. 설화를 비롯한 각종 노래에 등장하는 시모의 전통적 이미지는 며느리를 바른 도리로 이끄는 선량한 역할보다는 며느리를 일방적으로 학대하는 압박자의 이미지가 더 강하다. 가부장인 시부가 생존해 있는 대부분 고소설에서 시모는 시부의 그늘에 가려져 있는 존재이다. 시부가 생존해 있는 경우, 시모는 시부가 혼암하더라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보다는 소극적으로 지아비를 따라가는 태도를 취한다. 시부가 생존해 있더라도 시모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는 여성영웅소설이다. 이들 작품들에서 시모는 아들보다 사회적 성취를 달성하거나 뛰어난 도덕성을 갖춘 며느리를 용납하지 못하는 편협한 인물이다. 하지만 이들 시모의 며느리 박대는 아들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으며 모성이 폄하되지도 않는다. 시모가 여가장으로 등장하는 작품을 보먼 상반된 이미지의 시모가 등장한다. 이들 시모는 형상화된 모습은 다르지만 시모의 권위가 결국 아들에 의해 뒷받침된다는 점에서 조선조 가족질서 속에서 어머니의 실상을 보여 준다.본 연구는 고소설에서 시모로서의 어머니 모습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양상을 살펴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둔다. 시모는 이제 출산력과 양육력을 상실한 노년의 어머니에게 주어지는 자리이며 며느리와의 상호관계에 의해 그 성격이 드러난다. 설화를 비롯한 각종 노래에 등장하는 시모의 전통적 이미지는 며느리를 바른 도리로 이끄는 선량한 역할보다는 며느리를 일방적으로 학대하는 압박자의 이미지가 더 강하다. 가부장인 시부가 생존해 있는 대부분 고소설에서 시모는 시부의 그늘에 가려져 있는 존재이다. 시부가 생존해 있는 경우, 시모는 시부가 혼암하더라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보다는 소극적으로 지아비를 따라가는 태도를 취한다. 시부가 생존해 있더라도 시모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는 여성영웅소설이다. 이들 작품들에서 시모는 아들보다 사회적 성취를 달성하거나 뛰어난 도덕성을 갖춘 며느리를 용납하지 못하는 편협한 인물이다. 하지만 이들 시모의 며느리 박대는 아들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으며 모성이 폄하되지도 않는다. 시모가 여가장으로 등장하는 작품을 보면 상반된 이미지의 시모가 등장한다. 이들 시모는 형상화된 모습은 다르지만 시모의 권위가 결국 아들에 의해 뒷받침된다는 점에서 조선조 가족질서 속에서 어머니의 실상을 보여준다. This paper discusses variation of motherhood and aspects of mother-in-law revealed in classical novels. When mother receives a daughter-in-law by her son's marriage, she becomes to get the position and the role as a mother-in-law for the first time. In folktales, a mother-in-law becomes to recognize as a target of filial piety who is related with son and daughter-in-law. In literary works traditionally, the mother-in-law shows the cruel attitude to the daughter-in-law. But the daughter-in-law endures pain silently hard marriage life by mother-in-law. Traditionally mother-in-law has negative image of social stronger than daughter-in-law. First, mother-in-law records the most frequent appearance in novel that father-in-law exists. It is hard to find any work in which mother-in-law is entitled to the role of a main character. She exited as a minor character obeying to father-in-law. Second, The novel of female hero depict the image of mother-in-law as a negative and passive being. Mother-in-law is contradictory person who treat daughter-in-law. Because female hero/daughter-in-law try to be in a superior position to her husband/son. Third, If the patriarch of family is absent, the role of mother-in-law is represented as aggressive and active. Mother-in-law showed a woman patriarch through education of her daughter-in-law. To her daughter-in-law she emphasized the harmony of family. The authority of woman patriarch is based on filial piety of sons. Finally, mother-in-law in classical novel has always the image of a mother as a sacred and precious be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