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派越戰傷者의 神經外科的 考察

        朴東春,朴昌秀,全炳權,崔一龍 中央醫學社 1971 中央醫學 Vol.21 No.4

        The authors have analyzed 781 cases of Korean wounded veterans who were evacuated from Vietnam Warfield, chiefly on view of neurosurgical aspect, collected for last 4 years and 10 months.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re divided into 275 cases of head injuries, 268 cases of peripheral nerve injuries, 128 cases of vertebral and spinal cord injuries and 110 cases of H.N.P. and others in the total 781 cases of the injured veterans. 2. In 275 cases of head injuries, 149 patients or 54.2% were injured from fragment of shell, explosives, grenade and booby trap, which were over to the ratio of the reports of `Neurological surgery of trauma in Korean war’ published by office of surgeon general department of the army, Washington and automobile-accident and bullet injury in that order. 3. On the site of head injury, the frontal injury was most frequent in rate of 40.4% and next temporal and parietal in that order. Craniectomy was carried out on 164 cases (60%) of head injuries and cranioplasty on 147 cases. 4. 48.7% of total head injuries were resulted into sequelae such as hemiplegia (13.8%), cranial nerve palsy, speech disturbance and epilepsy in that order. 5. In. the larger proportions of the causes of the peripheral nerve injuries, fragment injury occupied 66.4% and bullet 27% and total cases divided into 9% brachial injury, 20% ulnar injury, 15% median, 18% radial, 18% sciatic, 9.7% personnel, 7.5% tibial nerve injury. 6. On the other hand, 45. 3% of lumbar and 44. 7% of thoracic injury 17, ere demonstrated and paraplegia in 25% of cord injury. 7. In 128 cases of vertebral and spinal cord injury, 47.4% of cases were resulted from fragment injury, which was similar to the cases of the bullet injury in rate of 46% in Korean conflict.

      • KCI등재

        錦舲 朴永輔의 「南茶幷序」 硏究

        박동춘 한국불교학회 2009 韓國佛敎學 Vol.54 No.-

        Geumryeong Park, Yeong-boo (錦舲朴永輔)(1808~1872) was a Confucius scholar in the late Chosun Dynasty. He was fascinated by ‘Choeui-cha’(a type of tea) to uncover the origin of Korean teas and made a long-poem to glorify ‘Choeui-cha’, 「(Namdabyeongseo)南茶幷 序」. It was November in Gyeonginyeon (1830) when he wrote the poem as a token of exchange with Choeui (1786~1866). In the same year, Choeui also laid the foundation of 『Chashinjeong(茶神傳)』 to establish his theory of tea. At that time, Choeui came up to the capital to receive a tower script from his teacher, Wanho and brought a tea he had made as a tribute. Around this time Choeui enjoyed active interchanges with Gyeonghwasajok (nobilities in the capital) through distinctive media, teas and poems. When Geumryeong wrote this poem, the growing interest in tea among the Hanseong nobility was led by Choeui. At that time, academia in the capital was active in escaping from Chu His’s academic traditions and accepting the Ching Dynasty’s Gozeunghak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and its culture. Theirinterest in tea stemmed from pride in the Korean culture that served as a practical basis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tea culture. Geumryeong believed the benign quality of tea helped scholars’academic taste and self-discipline. Through teas, he wanted to be the sage who mastered the laws of the world. That is to say, he wished to be a renowned scholar who practiced loyalty and faith and a public tool to be used by the world through teas. In the end, Geumryeong wanted to be a sage who had an unsophisticated mind and body through tea and wanted to follow the immaculate quality of tea. This can also be said to be his view on the tea ceremony revealed in his 「Namdabyeongseo」. Through Geumryeong’s「Namdabyeongseo」, I uncovered that Gyeonghwasajok’s interest in tea was ignited and promoted by Choeui and that their interest laid a foundation for Choeui to revive Korean tea and attempted to discover the general awareness of tea by Gyeonghwasajok. As such, the review of 「Namdabyeongseo」will primarily help the understanding of tea by Gyeonghwasajok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role played in Choeui’s tea culture renaissance. Furthermore, I gather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at Gyeonghwasajok’s interest in tea in the late Chosun Dynasty originated from an attempt to find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culture. 錦舲 朴永輔(1808~1872)는 조선 후기 유학자이다. 그는 ‘초의차’에 매료 되어 한국 차의 연원을 밝히는 한편 ‘초의차’의 우수성을 칭송하는 장시「南 茶幷序」를 남겼다. 그가 이 시를 쓴 것은 庚寅年(1830) 11월이다. 이는 초의 (1786~1866)에게 교유의 증표로 보낸 것이다. 같은 해 초의도 『茶神傳』을 정초하여 차를 이론을 정립하였다. 당시 초의는 스승인 완호의 탑명을 얻기 위해 상경하면서 자신이 만든 차를 奉禮品으로 가지고 왔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초의는 많은 경화사족들 과 활발한 교유가 이루어졌으며 이들과 교유의 매개물은 차와 시였다. 금령이 이 시를 지을 무렵, 경화사족들 사이에서 일어난 차에 대한 관심 은 초의에 의해 주도된 것이다. 당시 경화학계에는 朱子學風에서 벗어나 청 조의 고증학과 청의 문물 수용에 적극적이었는데, 이들의 차에 대한 관심 또한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의 발로에서 출발된 것으로 한국 차 문화 중 흥에 실질적인 토대가 되었다. 금령은 차의 덕성이 선비의 학문적인 취향과 수신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 다. 그는 차를 통해 사리에 통달한 현자가 되기를 원했다. 이것은 그가 차 를 통해 忠과 信을 실천하는 名儒로서 세상을 위해 쓰일 公器가 되고자 한 것이다. 결국 금령은 차를 통해 담박한 몸과 마음을 가진 현자가 되기를 바 랐던 것으로 차의 淡泊한 성정을 닮고자 한 것이다. 이는 금령의「남다병 서」를 통해 드러난 그의 茶道觀이라고 할 수 있다.필자는 금령의「남다병서」를 통해 경화사족의 차에 대한 관심이 초의에 의해 주도 되었다는 점과 이들의 차에 관심은 초의로 하여금 한국 차를 중 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경화사족들에 차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남다병서」고찰은 일차적으로 조선 후기 경화사족들의 차에 대한 인식과 초의의 차 문화 중흥기의 역할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 다. 나아가 조선 후기 경화 사족들의 차에 대한 관심은 우리 문화에서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려는 발로에서 일어난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초의선사의 차문화 중흥의 의미와 그 영향

        박동춘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6 No.-

        초의선사(草衣禪師1786∼1866)는 조선 후기 민멸 위기에 처했던 한국의 차 문화를 중흥시킨 인물이다. 그는 대흥사에 이어진 선차(禪茶)를 복원하여 총림(叢林)의 끽다거(喫茶去)전통을 회복함과 동시에 한국의 정체성을 함의한 차를 재현하여 근현대로 이어지는 차 문화의 토대를 마련했다. 초의의 다풍(茶風)은 선차(禪茶)에서 연원(淵源)된 것이다. 선차의 시원(始原)은 달마(達磨)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참선(參禪) 수행(修行)의 장애였던 수마(睡魔)를 해결하기 위해 차를 활용한 이후, 선종 사원에서는 잠을 적게 하고, 머리를 맑게 하는 차의 효능을 적극 활용하였고, 백장 회해(百丈懷海, 749∼814)가 청규(淸規)를 만든 이후로부터 차는 수행승들이 수지해야할 필수품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9세기 선종과 함께 차가 유입되어 고려시대 왕실의 비호 아래 수준 높은 유차(孺茶)와 작설차가 생산되었고, 명전(茗戰)이 유행되는 등, 송(宋)과 비견(比肩)될 정도로, 난만한 차문화를 이룩했다. 고려 말, 왕실의 사치는 차 또한 화려해져, 차가 지닌 담박함이나 검소와는 거리가 멀어졌다. 이러한 차의 폐단은 조선이 건국된 후, 차가 쇠퇴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태종16 (1416)년 예조(禮曺)의 요청을 받아들여 왕실의 선왕(先王)과 선후(先后)의 기신재제(忌晨齋祭)에 차 대신 술과 감주를 쓰라는 조칙이 내려진 이후, 차는 점차 쇠퇴 되어, 감기나 이질을 치료하는 단방약(單方藥)으로 전락된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민멸(泯滅) 위기에 놓인 차를 복원, 중흥시킨 인물은 초의선사이다. 그는 차의 이론을 정립, 초의차(草衣茶)를 완성하였고, 그가 만든 차는 경화사족들의 차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낸 매개물이었다. 특히 추사 김정희((秋史金正喜, 1786∼1856)와 자하 신위(紫霞申緯, 1769∼1845), 유산 정학연(酉山丁學淵, 1783∼1859) 등은 초의가 차의 애호층을 확대하는데 영향을 미쳤고, 초의와 교유했던 경화사족(京華士族)들은 초의차(草衣茶)를 통해 우리 차의 우수성을 인식했다. 당시 금령 박영보(錦舲朴永輔1808∼1872)의 「南茶幷序」와 신위(申緯, 1769∼1845)의 「南茶詩幷序」,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편지 등은 초의에 의해 집대성된 차를 칭송하는 한편 그가 이룩한 차문화 중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후일 초의의 다풍은 제자 서암 선기(恕庵善機?, ∼1876), 견향 상훈(見香尙熏, 1801∼1885), 만휴 자흔(萬休自欣, 1804∼1875), 범해 각안(梵海覺岸, 1820∼1896)에게 이어졌다. 그러나 그들은 초의가 이룩했던 차의 중흥을 더 이상 발전시키지는 못했다. 이러한 한계점은 그들의 차에 대한 안목이나 열정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근현대로 이어지는 혼란기 속에서 차의 애호층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대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초의의 다풍은 범해의 제자 원응 계정(圓應戒定, 1856∼1927)에게 이어졌고, 원응은 다시 응송 박영희(應松朴映熙, 1896∼1990)에게 이어주어, 초의가 복원한 한국 차의 원형을 고스란히 근현대로 이어질 수 있게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점을 주목하여 초의선사가 중흥한 차문화의 의미와 그 영향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Seon Master Cho-ui(1786-1866)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viving the Korean tea culture when the tea culture was at a risk of demolishi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ster Cho-ui not only retored tea culture of Korean by reproducing the tea of meditation of Daehueng Temple and recovering the tradition of Kikdageo, but also he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tea culture that had been continued to the modern times. His philosophy of tea drinking originated from tea drinkong as meditation practice. by Bodhidharma. Bodhidharma drank tea to overcome sleepiness which was the main obstacle in meditation. Since then, the Buddhist monks drank tea to lessen drowsiness and to clear the mind, and tea drinking became an necessity for the meditating priests after Baekjang Hoehae(749-814) made it a rule to carry tea. Tea drinking was introduced in Koryo Dynasty along with meditation practice by the Buddhist priests. Under the protection of the Royals, high quality teas were produced and tea culture became very popular and sumptuous as it was in Song(宋) of China. The extravagant life of the Royals at the end of Koryo Dynasty affected tea culture as well. Tea no longer carried its clear taste, simplicity and frugality. As the dynasty moves on to Chosun, tea culture deteriorated. In 1416, King Taejong accepted the request by Yaejo which was to use the traditional liquor and rice drink instead of tea during the royal ancestral rites and ceremonies. Thus, tea was downgraded even further and used as cure for mere cold or dysentery. At the verge of being extinct, Master Cho-ui restored and revived the tea culture. His accomplishment in establishing his theory of tea making and producing his own tea arose attention and interest from the scholar group, Kyeongwhasajok. Among the scholars, Kim Junghee(1786-1856), Shin Wee(1769-1845), Yusan Jung Hakyeon(1769- 1845), and Park Youngbo(1808-1872) were tea lovers and they were the mediators who further introduced Master Cho-ui's tea to other scholars and people. In these scholars' letters, they all wrote about the high quality of the tea and praised the master's achievement of tea making and tea culture. Making of the master's tea was carried on by is student priests, Seoam Sungi, Kyeonhyan Sanghoon(1801-1885), Manhyu Jageun(1804- 1875), and Beonhae Gakan(1820-1896). However, the tea culture did not flourish any further. As Korea moved on to more complex modern world, it was difficult to find people who really enjoyed and appriciated tea culture. Nevertheless, Master Cho-ui's tea making was handed down to Weonwung Gyejwong(1856-1927), Beonhae's student. From Weonwung, it was continued by Eunsong Park Younghee(1986- 1990) and the tea making restored by Master Cho-ui was able to exist until the modern era. The paper focuses on the lineage of Master Cho-ui's tea making and researches on the influcence and the effect of Master Cho-ui's tea making.

      • KCI등재

        구례 지역과 화엄사의 차 문화에 관한 문헌 고찰

        박동춘,이창숙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문헌 연구로 구례 지역과 화엄사의 차 문화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차 문화는 선종 유입과 도당구법승, 왕의 친소 관계 등과 관련되어있다. 따라서 신라에 차를 들여온 계층은 도당구법승으로 선종의 수행법에 관심을 갖고 있던 승려들이 당에서 익힌 좌선법과 함께 차를 들여온 경향이 크다. 하지만 9세기에 이르러서야 왕실 귀족과 승려들 사이에 차가 확산 되었다. 흥덕왕(828)이 지리산에 차 씨를 심게 했다는 기록은 지리산을 차 시배지로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둘째, 구례는 차 생산지로서 조선 전기까지는 차를 토공했던 기록이 있으나 16세기 이후에는 주요 생산지역에서 빠져 있다. 셋째, 화엄사 장죽전을 차 시배지와 관련하여 검토할 수 있는 문헌은 연기조사가 화엄사를 세운 최초의 사찰이라는 점이다. 연기조사는 범승으로 법흥왕(544) 때에 화엄사를 창건했다. 이 당시 수행 중에 차를 마시는 것은 중국화 된 불교, 즉 남선종의 수행체계에서 형성된 풍토였다. 신라에 차 문화를 소개한 승려들은 남선종에 관심을 가졌던 도당구법승이다. 차와 수행이 융합된 시기는 혜능선사(638~713)가 소주를 중심으로 설법을 폈던 시기이다. 더구나 북방 사찰에서 수행 중 차를 마시는 것이 허락된 것은 8세기 무렵이다. 법흥왕때 연기조사가 화엄사를 창건하고 동시에 화엄사 부근에 차 씨를 심었다는 점은 이 당시 신라에 차가 소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화엄사 장죽전을 차나무 시배지로 상정하기란 선종의 유입 시기와 문헌 사료를 고찰해 볼 때 수긍하기 어렵다. 신라에 차를 소개한 계층이 선종의 수행법에 관심을 가졌던 도당구법승이었다는 점에서 볼 때 차나무 시배지로 보기에는 미흡하다. 하지만 구례 지역과 화엄사가 차 문화에 미친 영향은 크며 고려와 조선 전기까지도 그 위상은 공고하다. 화엄사 주변에 산재한 차나무가 어느 시기에 파종되어 군락을 이루고 있는지, 차 문화 발전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This thesis is a literature study that examines the tea culture of Gurye(求禮) area and Hwaeomsa(華嚴寺)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tea culture is related to the influx of the Zen Buddhism(禪宗), a monk who studied abroad in the Tang Dynasty(唐), and the royal relationship of the king. Therefore, the class that brought tea to Silla was monks who studied abroad in the Tang Dynasty, and monks who were interested in the practice of the Zen buddhism tended to bring the zen method, a ascetic practices method learned in the Tang Dynasty.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9th century that tea spread to royal nobles and monks. The record that King Heungdeok(828, 興德王) had tea seeds planted on Mt. Jirisan supports the view of Mt. Jiri as a tea Sibaeji(始培地). Second, Gurye is a tea production area, and there is a record of making tea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 but after the 16th century, it has been omitted from major production areas. Third, the literature that sees Jangjukjeon(長竹田) at Hwaeomsa as a tea Sibaeji is that it was the first temple that built Hwaeomsa. Hwaeomsa was founded in the time of King Beopheung(544, 法興王) as Yeongi Josa(緣起 祖師) is Beomseung(梵僧). Drinking tea at the time was a ascetic practice culture formed in the Buddhist system of Chineseization, that is, the Namseonjong(南禪宗). The monks who introduced tea culture to Silla were Dodang-gu Beopseung(渡唐求法僧), who had an interest in Namseonjong. The time when tea and a ascetic practices were fused was the time when Huineng Seonsa(638~713, 慧能 禪師) preached a sermon centering on Soju. Moreover, it was around the 8th century that drinking tea during a ascetic practice was allowed in northern temples. It is very likely that no tea was introduced to Silla at that time, as the fact that during the reign of King Beopheung, Yeongi Josa founded Hwaeomsa and planted tea seeds near Hwaeomsa. It is difficult to convince when considering the time of the influx of the Zen Buddhism and the literature and history to assume Jangjukjeon of Hwaeomsa as a tea tree plantation. Considering that the class who introduced tea to Silla was the Dodang-gu beopsang who was interested in the practice of the Zen Buddhism, Hwaeomsa is not enough to be viewed as a tea tree plantation site in that it is a Gyohak(敎學) temple that values Hwaeom(華嚴).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Gurye region and Hwaeomsa on tea culture was significant, and its status was solid even in Goryeo and the early Josenon Dynast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t what time the tea trees scattered around Hwaeomsa were planted and formed a community, and to develop tea culture from various aspects.

      • 脊髓腔內에 發生한 髓膜腫 2例

        朴東春,李英注,崔一龍 中央醫學社 1971 中央醫學 Vol.21 No.4

        We described two cases of meningiomas of the spinal cord, extramedullary-one at the thoracic, the other at lumbar spine. These have variable neurological deficits due to compression of the cord, nerve roots and the dura. These were diagnosed easily with neurological examination, radiological study and laboratory tests, and confirmed meningiomas microscopically. After total removal of the tumor by laminectomy, neurological deficits were disappeared completely.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