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툰이 한국 청소년 문화에 미치는 영향

        박성혜,안남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4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혁신적 매체인 웹툰이 청소년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는 특히 웹툰의 시각적 매력, 다양한 장르 및 테마의 접근성, 인터랙티브한 요소, 그리고 글로벌화가 청소년들의 정체성 형성, 사회적 상호작용, 창의적 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문화에 특화된 콘텐츠, 기술 융합형 웹툰, 웹툰의 커뮤니티, 웹툰의 글로벌화와 관련된 다양한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합하여 청소년들의 웹툰 사용 패턴과 이에 따른 문화적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로, 청소년 문화에 특화된 콘텐츠, 기술 융합형 웹툰, 웹툰 커뮤니티와 같은 요소들은 청소년들의 감정적 몰입을 증대시키며, 자아 탐색과 자기표현의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또한, 웹툰은 전 세계 청소년들 사이에서 새로운 문화적 교류와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며, k-pop과 k-드라마와 같이 글로벌 청소년 문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잠재력을 지니고, 이는 한국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경험하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웹툰이 청소년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요소별로 이해하고, 웹툰이 미래의 디지털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webtoons, an innovative medium in the era of digital innovation, on youth culture. It particularly focuses on how webtoons’ visual appeal, the accessibility of diverse genres and themes, interactive elements, and globalization influence the formation of youth identity, social interaction, and creative expression. The study integrates analysis of various real-life examples related to content specialized for youth culture, technology-converged webtoons, webtoon communities, and the globalization of webtoons. It draws implications on the cultural impact of youth’s webtoon consumption patterns. Findings suggest that elements such as content specialized for youth culture, technology-converged webtoons, and webtoon communities enhance emotional engagement in youth, serving as vital tools for self-exploration and self-expression. Furthermore, webtoons contribute to new forms of cultural exchange and empathy among global youth, potentially impacting global youth culture as significantly as K-pop and K-dramas, positively influencing Korean youths’ experiences of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nsights for understanding the specific impacts of webtoons on youth culture and exploring how webtoons can contribute to the future of digital culture.

      • KCI등재

        노인맞춤형운동처방서비스 사업의 기능적 분석에 관한 연구

        박성혜,임수원,권기남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6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형운동처방서비스 사업이 목적에 맞게 그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Merton(1949)의 기능분석 틀을 이용하여 기능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구 H기관의 노인맞춤형운동처방서비스 참가자 노인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지도자 2명을 보조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주로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관련 자료 등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맞춤형운동처방서비스는 서비스의 목적인 운동 참여 기회 부여, 건강증진, 의료비 절감의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erton의 잠재적 기능 중 순기능으로는 노인을 위한 여가의 장 제공, 긍정적 자아개념으로의 변화, 새로운 사회적 관계 형성의 기회, 또 다른 사회활동으로의 연계의 기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역기능은 일반시설이용자들의 노인에 대한 무시, 또 다른 소외의 경험, 현장에 대한 관리의 부재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nd analyze by using functional analysis by Merton if the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Business for the Elderly serves its purpose. This study has chosen 8 elderly people out of the service partcipants as research partcipants and 2 instructors as auxiliary parcipants. The result is as follows. Data have been colle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 collection of related materials, which were analyzed by textu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ly, the service turned out to have served its purpose of offering opportunities for exercise participation, promoting health and wellbeing, and reducing medical expenses. Secondly, the right functions out of Merton latent functions were found to be the provision of a place for leisure for the elderly and opportunities for forming new social relations, a change into positive self-conception, and linkage function as another social activity. On the contrary, adverse effects were found to be disregards of general facilities’ users for the elderly, another experience of isolation, and absence of site management.

      • KCI등재

        유아의 행복감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박성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An experimental survey was carried out on 198 young children at kindergarten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during the four weeks from May 3 to May 31,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prosocial behavior. Second, in the sub-variables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better peer relationship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and achievement were, the more positive significance was shown in all prosocial sub-variables. The more positive the emotions were, the more positive the significance was in all prosocial sub-variables except the approach attemp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vities related to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re developed considering the happiness of the young children, this implies that the effect of the uni-variate program can be expected as a more integrated program aiming for the young children’s holistic growth.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행복감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 19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유아의 행복감과친사회적 행동에 관해 2016년 5월 3일부터 2016년 5월 31일까지 총 4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행복감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행복감 하위요인에서는 또래관계가 좋고 인지 및 성취가 높을수록 친사회적하위요인 모두에서 긍정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정서가 좋을수록 접근 시도하기를 제외한모든 친사회적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과 관련된 교육·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수행된다면 단일 변인 프로그램의 적용을통해서도 전인적 성장을 지향하는 보다 통합적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시사한다.

      • KCI등재

        별세포종에서 CD44와 MMP14의 발현과 WHO 등급과의 연관성 및 이들이 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성혜,명재경,장보근,박혜성,윤웅재,이현주 대한병리학회 2010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44 No.1

        Background : CD44 is a cell surface receptor that has been implicated in tumor cell invasion and metastasis in a range of tumors of various organs, including breast, ovary, colon, lung, and brain. CD44 stimulates the invasive ability by interacting with matrix metalloproteinase 14 (MMP14). The expression of MMP14 on the cell surface is thought to trigger multiple proteinase cascades and to stimulate cell migration. Methods : A total 54 astrocytoma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al review and CD44 and MMP14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The expressions of CD44 and MMP14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rade. On univariate analysis, the WHO grade and the expression of CD44 were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 progression free survival (DPFS).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by the Cox regression model, the only WHO grade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predicting the DPFS and OS.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 CD44 and MMP14 expressions were related to the WHO grade of astrocytoma. The CD44 expression status was a prognostic factor for DPFS and OS on univariate analysis, but it was not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 KCI등재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성혜,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education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that can be easily appli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child'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the child's social-friendly activities. When performing the verification for the average of the increase of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of the two groups (experimental 0.98, comparative 0.36) and the average of the increase social-friendly activities of the two groups (experimental 1.88, comparative 0.81) by subtracting the score of the preliminary inspection from the follow-up inspection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s,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t(61) = 5.903, p< .05) and (t(32.503) = 13.873, p< .05) respectively. Hence, we can see that there was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social-friendly activities for children that had nature-friendly education utilizing ecological picture book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at did not. 본 논문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을 실시하고 그 적용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만 4세 반 유아 2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33명)과 비교집단(30명)으로 무선 배정하여 2007년 10월 8일부터 2008년 2월 15일까지 16주 동안 매주 3-4회씩 총 5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효과에 의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사 점수에서 사전검사 점수를 뺀 두 집단의 환경친화적 태도 점수 증가분의 평균과 친사회적 행동 점수 증가분의 평균을 t검증한 결과 각각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자연친화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환경친화적 태도증진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 1 ) :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Based on a Qua

        박성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No.4

        교사들의 전문적인 자질 향상과 교사 양성과정과 재교육 과정의 변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과학 교수법의 관계를 양적, 질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와 성취도),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의 기대감), 과학 교수법(비지시적, 지시적, 혼합형 교수법)의 활용을 각각 측정도구로 조사하였고 각각의 변인들간의 상관 관계를 Pearson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는 과학교수 태도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과학교육과목의 성취도는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사들이 고등학교와 교사양성 기간의 과학과목 성취도는 비지시적인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 과목과 과학 교육 과목 성취도는 혼합형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의 기대감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효과 있는 교수법의 개발 연구, 과학교수 효능의 신념과 과학교수 태도의 개발 연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상관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high school and college backgrounds in science,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their instructional strategi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is paper, however, presents onl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data analysis while expecting to report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outcomes afterwards. Four instruments were used to ascertain information concerning teachers' backgrounds in science(the number of high school science courses they took and the grades of courses, the number of college science courses and grades, the number of college science methods courses and grades),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nd their instructional strategies(indirect, direct, and mixed methods). A sample of 340 practi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relate teachers' backgrounds in science,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and their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four variables, teachers' backgrounds in science,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programs of teacher preparations and trainings which include science and science methods courses should help prospective and practicing teachers change in their attitudes and beliefs toward science teaching.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concerning teachers' attitudes, beliefs, and behaviors toward teaching science can help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초등교사들의 개인적 과학교수 효능감과 결과에 대한 기대감의 예측변인

        박성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4 No.1

        교사는 학생들이 접하는 학교교육의 환경 중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학생들의 여러 가지 지적, 정의적 변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교사는 학생들의 학업능력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교육활동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조현주, 2004). 전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들이 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교사교육 개혁은 가장 중요한 개혁의 이슈가 되고 있다(유현숙, 2002; NRC, 2001). 교육현장에서 학생들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교사이므로 교육개혁의 실천은 교사교육 변화에 주력을 다해야 하며, 현재 교사교육이 지향해야 될 방향은 교육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인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시도되어야 한다(김병찬, 2000; 유현숙, 2000; 정태범, 2000; NRC, 2001). 최근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교사들의 자질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려면 교사의 신념의 변화를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홍성일 외, 1995; Ball & Cohen, 1999; Loucks-Horsley, Hewson, Love, & Stiles, 1998; NRC, 2001).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explaining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of practi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K-STEBI (Korea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elementary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 questionnaire was also used to identify the information as to significant predictors of elementary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It consists of 9 questions regarding 1) the teachers\ degree, 2) their number of years of teaching, 3) the number of high school science courses, 4) the number of college science courses, 5) the number of college science methods courses, 6) their choice of teaching science, 7) their use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8) their self-rating in science teaching, and 9)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A sample of 275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were their degree, their number of years of teaching, the number of high school science courses taken, their self-rating in science teach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was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Further research of how teachers develop their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in science teaching with the significant predictors is recommended especially through the use of varied research methodologies that include qualitative methods.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