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情緖知能과 成就動機가 藝術自我槪念에 미치는 影響力 分析

        안재영,김일용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3

        In the present study, Art of self-concept as well a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at are recognize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actors among various defining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art of self-concept, of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s are selected to be the objects of study.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rt of self-concept that are selected to be variable factors of study, the interrelationship among such variable factors is verified firstly, and the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art of self-concept, assuming that, the degree of prediction of art of self-concept by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are mediating variable factors, are analyzed. An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with the concrete information that is helpful to teaching and learning ar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기초조형 학습자들의 예술자아개념과 예술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의적 특성들 중 중요한 변인인 정서지능과 성취동기를 연구변인으로 선정하여 예술 관련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양적 연구 논문이다. 연구변인으로 선정한 정서지능과 성취동기 및 예술자아개념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먼저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정서지능과 성취동기가 예술자아개념을 예측하는 정도와 성취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했을 때, 정서지능이 예술자아개념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기초조형학습과 예술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서 표집한 초등학생 학습자 1,032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예술자아개념 척도』(안재영, 2005)『정서지능 척도』(소영원, 2004) 『성취동기 척도』(황정해, 1992)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10.0으로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AMOS 4.0으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하였다. 모든 가설은 유의수준 p<.05에서 t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습자의 전체 대상 및 성별 정서지능과 성취동기는 전체 예술자아개념과 그 각 하위요인들 간에 .24~.53 범위의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 이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정서지능과 성취동기는 전체 예술자아개념과 그 하위요인과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성취동기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예술자아개념 하위 요인은 능력예술자아개념으로 필요한 수행을 할 수 있다는 자심감과 어려운 것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는 모든 예술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을 만족스럽고 높게 평가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전체 대상 및 성별 학습자들의 정서지능을 독립변인으로, 성취동기를 매개변인으로, 예술자아개념을 종속변인으로 했을 때, 의미 있는 직간접 효과가 있었다. 정서지능은 예술자아개념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성취동기를 매개할 때, 예술자아개념에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예술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볼 때, 예술교수학습 과정의 극대화를 위하여 동기화에 대한 가치나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성별에 따른 경로분석을 통해 변인간의 효과가 남학생과 여학생에 서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예술자아개념 향상을 위해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의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페이퍼 클레이를 이용한 초등학교 미술프로그램연구

        안재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Few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to teach ceramics to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developed with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at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Korea. The present paper reports on an art education class intended to show how paper clay can be utilized in primary school art classes in an attempt to expand the scope of art education. This experimental attempt, thus, is a significant first step toward developing a broader concept of art education involving various ceramics-based class activities. Paper clay, a compound material utilized for sculpture, that consist of paper porridge, water, and, for the most part, clay. Because its predominant component is clay, a designed shape formed through plasticity remains unchanged in a kiln. In addition, paper cla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s in a primary art education class, contributing, to a great extent, to helping learners create/design diverse structural shapes and sculptures and, and in so doing, allowing learners to express their imaginations and/or their artistic inspirations. Various methods of incorporating paper clay in a primary school art education class were attempted in this experimental class, and thus, discussed in this paper along with other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paper clay can offer in terms of primary art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페이퍼 클레이를 이용한 미술실험수업이다. 초등학교 수업을 담당하는 교육대학교에서 초등 도예수업의 프로그램은 다양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교육대학교 수업시간을 통해 다양한 도예프로그램을 확장시켜나가고자 하는 실험 논문이다. 본 연구의 페이퍼 클레이는 점토와 종이죽과 물로 형성된 진득진득한 조소용 조합물질이다. 이 조합의 성분 중 점토가 차지하는 비율이 종이보다는 높기 때문에 이것으로 만들어진 형태는 가마 속에서 소성 후 그대로 보존된다. 더불어 초등미술수업에서 페이퍼 클레이는 타 재료를 접목하여 종이 같은 느낌에 구조적인 형상을 표현하며 다양한 디자인과 조형을 초등수업에서 연출할 수 있는 유익한 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페이퍼 클레이를 이용한 초등학교 미술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내용적으로는 초등학교 페이퍼 클레이 미술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실험하고자 하였다. 페이퍼 클레이 기초디자인수업연구, 부채를 이용한 페이퍼 클레이, 평면을 이용한 페이퍼 클레이, 입체표현구성의 페이퍼 클레이, 타 재료를 이용한 페이퍼 클레이 등을 초등도예수업의 일환으로 연구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살펴보고 페이퍼 클레이를 이용한 초등미술수업의 특징으로는 접목과 확장성, 평면성, 입체적 영역을 중심으로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본 페이퍼 클레이 초등도예연구 실험을 통해 초등도자 미술 수업의 다양한 변화와 내용으로 인해서 초등수업진행이 확장되고 다양한 면모를 보여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육대학생은 2017년 초등미술실기 도예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 100여명의 수강 학생들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실험하여 정리한 결과내용이다.

      • KCI등재

        선택적 충전단계절환에 의한 Ni-MH 전지의 계단충전 특성 개선

        안재영,강신영,김광헌,임영철 전력전자학회 1998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3 No.4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계단충전방식에서는 직렬로 연결된 전지에 있어서 각 전지의 $\Delta$V=0 시점이 서로 다름을 고려하여 각 전지별로 선택적으로 충전단계를 절환시킴으로써 과충전 또는 부족충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단계의 초기에 전지간의 잔존용량의 불균등을 해소하기 위해 시분할 균등충전모드를 추가하였다. 기존의 계단충전방식에 비해 선택적 충전단계절환을 위한 간단한 회로가 추가되지만 과충전과 부족충전을 예방하므로 전지수명과 충전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proposed charging system consists of step charging mode and time-sharing equalization charging mode. As $\Delta$V=O point is detected, the proposed cut-off method will selectively cut off the only battery to reach the $\Delta$V=O point, preventing serial-connected batteries from undercharging. In the start of each step, the equalization charging mode is performed to reduce the capacity difference among the batteries. Though it is added to simple circuit for selective cut-off, comparing with recently used step-charging method, this system can improve the life cycle of battery and charging efficiency, and be also very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batteries from overcharging and undercharging.

      • 차세대 무선 LAN 전송 기술

        안재영,유희정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2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2 No.6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무선 LAN 관련 표준화 동향과 차세대 무선 LAN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송기술을 소개한다. 먼저 WNG SC, RRM SG, HT SG 등 차세대 무선 LAN과 관련한 IEEE 802.11 WG에서의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OFDM을 위한 적응 변조 방식, 즉 adaptive OFDM을 소개한 후, 다중안테나(MIMO) 기술과 OFDM을 결합한 다양한 MIMO-OFDM 기술, 즉 ST(F)C-OFDM, SDM/OFDM, OFDM/SDMA, 그리고 이러한 기술의 혼합형인 hybrid SDM/STC-OFDM, adaptive SDM/OFDM 등을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차세대무선 LAN 표준에 적용되어 무선 LAN 용량 증대 및 커버리지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다중스트립결합기를 이용한 탄성표면파 빔 궤적 변환기

        안재영,황금찬,박용서 한국음향학회 1984 韓國音響學會誌 Vol.3 No.2

        In this paper surface acoustic wave beam track changers using symmetric multistrip coupler ar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perturbation theory, and its characteristics are studied. SAW beam track changers, which have the configuratio of the periodic array of metal strips, are designed with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 the number of strips : 140, the strip period: 0.25λ, the ratios of the strip width to the period a/p: 0.5, 0.375, 0.25, respectively, and approximately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values, and also the bulk wave mode and the 2nd-order effects are suppressed by these track changers.

      • KCI등재

        테라코타와 달걀가루 및 황토가루를 이용한 초등도예수업 재료실험 연구

        안재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A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examined the elementary ceramic class material experiment through the elementary ceramic-ar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effect utilizing the ceramics groundwork such like Red clay powder, Powdered egg, and Terracotta. For this, a researcher examin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e ceramic-ar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significance making the research object with 400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GNUE. The significance of ceramic-ar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utilizing the Red clay powder, Powdered egg, and Terracotta is the next. First, can raise the comprehension degree about the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art culture and ceramics groundwork utilizing the nature of multi-groundwork than the usual teaching-clay. Second, for the elementary art teaching, can contribute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having an affinity for environment through ceramic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using various clay. Third, can contribute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hat could get the abundant inspiration utilizing a nature object. Fourth, can contribute the originality prompt that get the student to make the various plastic arts with the mud having the simple and plain nature. Fifth, can contribute the creation of elegant curve beauty and natural beauty. 본 연구는 초등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현장에서의 도예심화과정 수업으로서 도예 수업과 관련하여 초등도예 재료에 대한 확장을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각도의 재료탐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도예재료 실험연구 논문이다. 또한, 2009년 초등미술교과가 발행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 도예교육은 감상부분에 많이 치우쳐 있다. 타 미술수업보다 도자기수업은 유약을 바르고 소성을 하게 되어 있어서 초등학교 현장 수업으로는 도예수업으로서 불편한 점이 있고 시설부분에 있어서도 용이하지 않은 것이 문제다. 그래서 교육대학교에서는 초등 도예 수업 관련하여 다양한 각도의 특색 있는 도예수업 프로그램을 실험하고 연구해서 초등교육현장에 활성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재료실험에서 먼저 점토인 테라코타를 800도에서 소성하고 학생들이 자유스럽게 아크릴을 발라 단순채색을 해보았다. 그리고 본 실험의 중요한 요소인 달걀가루와 천연의 황토가루를 더해 재료를 실험 연구하였다. 이로서 도예수업개발 프로그램을 완성해보고 그 후에 어떠한 특색이 나타나는지를 실험해 초등학생들에게 다양한 도예의 창의성과 접근성을 부여하여 동기부여를 시키고자 하였다. 도자기란 것은 결국 자연 속에 존재하고 있는 재료를 소재로 하여 인간의 미적 추구에 의하여 표현되어 지는 창작품이다. 이처럼 어린아이들에게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천연재료와 용이한 재료를 가지고 실험에 보고자 하였다. 아이들이 주위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달걀의 껍질을 잘게 가루로 만들어 사용해보고 황토가루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가루의 경우는 빻아 체에 걸러 세척해 하루정도 건조시켜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대학생은 2015년 초등도예 수업에 참여한 광주교대 2, 3학년 400여명 수강 학생들을 중심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 실험을 통해 초등도예 수업 프로그램 관련한 특색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초등도예수업시간에 달걀가루와 황토가루를 이용한 채색기법은 본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표면효과의 미적 연출을 보였다. 첫째, 가루형성의 충돌로 채색표면이 다양한 조화의 미를 연출 하였다. 둘째, 표면에 두껍고 탁탁한 미적 질감을 나타났다. 셋째, 황토와 달걀가루에 의한 가루기법 채색으로 인한 테라코타 점토는 단순채색보다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무엇보다도 타 재료를 구성하고 융합한 도예수업은 초등도예수업으로서의 다양함과 편리함 및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프로그램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