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진희 『싫다고 말해도 괜찮아』의 한중번역

        周帥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싫다고 말해도 괜찮아》는 주변의 시선에 대해 신경 쓰다가 정작 중요한 자신의 자존감을 챙기지 못했던 작가가 새롭게 자신의 색깔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에세이이다. 작가는 세상에 쉬운 사람이 하나도 없었던 이유가 ‘거절’을 잘 하지 못하는 자신의 성정 때문이라는 걸 깨닫고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지 않으면 호구가 되는 회사 생활부터 가깝지만 영원히 가까워질 수 없는 시댁 식구와의 관계까지, 항상 ‘착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싶었던 작가의 거절을 못해 불행했던 에피소드가 가득하다. 인테리어 디자이너, 학원 강사, 수학 과외 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열정을 발휘했던 작가는 ‘좋은 사람이라는 말을 못 들으면 어때’하고 내려놓는 순간 남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진다고 말한다. 만점이 아니면 만족하지 못하였던 완벽주의자 엄마의 그늘 아래서 벗어나 전공 선택과 취업, 결혼까지 모든 걸 스스로 책임지는 진짜 내 인생을 살게 된 배경에는 모두 ‘단호한 거절’이 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완벽주의자 부모로부터 시작된 상처의 근원을 찾아내고, 삶의 무거움이 모두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고 싶다는 강박과 거절보다 쉬운 ‘예스’ 중독에 걸린 자신의 비겁함에서 왔다는 걸 깨닫게 되었다. 싫지만 좋은 사람으로 보이고 싶어서, 싫지만 싸우자니 관계가 불편해질까봐, 싫지만 뒤에서 나를 욕할까봐 피해왔던 거절을 제대로 하게 된 다음부터 작가의 인생은 한결 가벼워졌다. 너무 잘하려 애쓰는 모습이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고, 친절을 베푼다고 그대로 친절이 되돌아오지도 않을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즉, 부담스러운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오히려 남을 위해 배려하고 도움을 준 일에 대해서조차 부족한 점은 없을까 불안해했던 극소심 작가가 이유를 대지 않는 거절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과정이 이 책의 핵심 내용이다. 작가는 인생의 중심을 자신에게 두고, 극단적으로 회사를 관두거나 지인들과의 인연을 끊을 수도 있다고 다짐하는 순간, 선택할 수 있는 일과 인간관계의 폭이 몇 배로 넓어질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좋은 직업과 좋은 사람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 표면적으로 크게 성공한 사람도 한없이 유치할 수 있다는 것을. 나아가 일류대를 나오거나 좋은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주눅들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작가는 그 어느 때보다 자존감이 높아진 상태이다. 여전히 칭찬을 받는 것이 어색한 작가만의 일상을 따라가다 보면, 남에게 나를 평가하도록 바통을 넘기지 않고 오로지 내가 나를 그 자체로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걸 깨닫게 된다. 살수록 무엇이 정답인지 알 수 없는 세상에서 완벽하지 않은 나를 인정하고 사랑하는 방법을 만나보자. 남이 나를 좋게 보든 나쁘게 보든 상관없이 나는 존재 자체로 사랑스럽고 대단하기에.

      • 대중음악이 중학교 음악교육에 미치는 영향

        주수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23

        In modern society, as the development of pop culture by the mass media has greatly influenced education in schools, the right recognition of the pop culture which has as much effect on teenagers is needed to lead teenagers to live a wholesome life. The pop music can hamper the creative thinking power and divert to the sensual pleasure because it is easy to adopt without any intellectual efforts. For this reason, it can be a source of worry over leading sensitive teenagers to escapism. In the subject such as Music, depending on the feeling or self-consciousness, students' attitude is very important. So if teachers give lessons, while recognizing that students are very sensitive to the inter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ill be positively improved and more learning will be achieved effectively. The pop music is not only critical sources to students in the adolescent period to give learning motivation through various ways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the feeling of integr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Moreover, a distinct culture among students will be built by the pop music, and through this process it is effective for promoting good human relations. However, we criticize the teenagers' formation of their own unique culture; but the scientific research about the pop music should be preceded before our efforts to accept it. Nowadays, practical music courses have been introduced in many universities and it is a general tendency to establish training institutes to teach pop music. The rebuke and disregard that the pop music is less valuable than the artistic music is a topic to be sublimated these days. The art music and the pop music are not the subject of comparison and should not be separated. We need to create reasonabl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pop music to have the value of itself and make every effort for pop music to be recognized properly as an art activity. It is true that the present condition of our music culture is absorbed in western music. Of cours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t is natural to study and have access to other music cultures. However, we should avoid the situation that we lose our music culture because of this reason. As the pop music is our life itself and has influenced a lot on teenagers, the society and schools have to improve it better instead of averting. Through this improvement, it is possible to build up the popularization of healthy music culture to give good impact on cultivating rich emotion of teenagers.

      • 유아무용교육이 신체표현능력과 학습행동 향상에 관한 연구

        주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in the Expression Living Area, a regular curriculum, over the physical expressive abilities and learning behavior enhancement of preschoolers participating in a dancing course, on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iming to reduce private education spendings and pursue non-private education for relatively lower costs, with instructions by a professional dancing master for 12 weeks. In order to achieve goals as above, a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ly 60 preschoolers in the age of 4 to 7.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30 preschoolers involved in the extracurricular dance course and a control group of 30 preschoolers not involved in that.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creativity program of Hwang-Eunha`s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properly for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er, which was carried out once a week on Tuesdays at 2:00 pm for 40 minutes from May to early August in 2011 with questionnaires for before-after surveys. The SPSS(ver 18.0), a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was used in the verification process including the Paired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 test an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to examine average figures of the groups. And the Significant level to examine the subject for the inquiry was set p<0.5. The consequences made through the same method and data analysis as abov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the before-after difference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the dancing course over the physical expressive abilities of the subjects with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e-result within and between the groups which were shown in the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variety, directivity, time, flow changes and expression. In the post-result of variety and time Variables,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as the post-result of directivity, flow changes and expression within each group,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while as the post-result between the two groups,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Thereby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improvement tha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In the process of the before-after difference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the dancing course over the physical expressive abilities of the subjects with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e-result within and between the groups which were shown in the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motivation, attention and continuation and learning attitudes. In the post-result between the two groups,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while as the post-result between the two groups,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Thereby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the preschoolers who took the dance course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creativity dance program, on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wed higher level of improvements in physical expressive abilities and learning behaviors than those who didn`t in expressions of motions in the Expression Living Area, a regular curriculum. Consequently, b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the aspect of changes shown in physical expressive abilities and learning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who were given the dance course by a professional dance master than those who were not in the Expression Living Area,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the Expression Living Area of all courses by establishing extracurricular courses and dispatching professional dance masters in order for the preschoolers to take part in organized dance courses by them.

      • Connectedness of Posets

        주수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89 국내석사

        RANK : 1823

        순서 구조가 수학의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 순서 집합들의 성질과 반 순서 집합에서 connectedness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반 순서 집합들의 free 부분 집합들의 모임이 다시 반순서 집합이 됨을 밝히고, 반 순서 집합을 free 부분 집합들의 반순서 집합의 부분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한편 모든 증가 함수들의 반 순서 집합에서 I(E×F, G)와 I(E, I(F, G)가 isomorphic하고 I(E, F×G)와 I(E, F) × I(E, G)가 isomorphic함을 밝혔다.

      • 3D printing용 지르코니아 현탄액의 체적 분율에 따른 수축률 및 강도 평가

        주수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연구목적 : 지르코니아 체적 분율에 따라 제조된 지르코니아 현탁액의 3D Printing 후 수축률 및 강도에 대하여 관찰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 지르코니아 분말을 제조 후, 분말 체적 분율이 48%, 50%, 52%로 각각 다른 지르코니아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현탁액에는 지르코니아 분말 외에 광중합 monomer, 광개시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완성된 현탁액은 SLA(Stereolithograph apparatus) 3D printer system장비를 이용하여 직경 16mm, 두께 1.2mm의 disc 형태로 제작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지르코니아 100%의 disc를 압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들을 소결 한 후 선형수축률 및 굴곡 강도를 측정하였다. 굴곡강도 값은 Kruskal wallis test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Mann Whitney U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모든 결과는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대조군인 지르코니아 분말 100% Disc 시편은 지르코니아 분말 48vol%~ 52vol% 분율의 지르코니아 현탁액 disc 시편과 비교하여 선형 수출률은 더 큰 양상을 보였다. 지르코니아 현탁액 disc 시편의 굴곡강도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작은 양상을 보였다. 실험군 내에서는 지르코니아 분말의 체적 분율이 낮아질수록 선형수축률이 높아졌고 체적 분율이 높아질수록 굴곡강도가 높아졌다. 결론 : 지르코니아 48%, 50%, 52% 현탁액의 3D printing한 시편은 소결 후 수축률 및 편차가 대조군에 비해 높으므로 조작의 용이성이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르코니아 48%, 50%, 52% 현탁액의 3D printing한 시편의 굴곡강도는 대조군인 지르코니아 분말 100% 시편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강도를 나타냈지만 52%군은 임상에서 사용되는 제1, 2대구치 교합력에 준하는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Al 5052 합금의 겹치기 마찰교반접합 특성

        朱秀元 慶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Al 5052 합금의 겹치기(lap) 마찰교반접합(friction stir welding, FSW)의 접합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FSW tool의 회전속도(rotating speed, R/S) 및 이송속도(travel velocity, T/V)를 변화시켜 접합변수가 접합부의 조직 및 기계적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야금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마찰교반접합된 Al 5052 합금에 대한 전단 및 경도시험을 수행하고,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y, OM)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이용한 접합부의 거시 및 미세조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접합 tool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과 기계적인 영향에 의해 접합부 주변의 미세조직은 재결정되었으나, 상의 분포나 화합물의 조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접합부 주변 기지에서는 미세한 경도 변화가 있었는데 교반이 이루어진 stir zone은 모재에 비해 약간 증가되었고 열 영향을 받은 HAZ 영역에서는 모재에 비해 미세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기지의 경도변화는 HAZ 구간의 경우 마찰열에 의한 결정립의 미세한 조대화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며, stir zone은 기계적 변형에 의한 전위밀도의 변화와 소성유동에 의한 가공경화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2. 맞대기 접합 개념을 적용한 마찰교반접합과는 달리 겹치기 방법에 있어서는 접합부와 인접된 “미 접합 계면 형상”의 변형 정도가 접합재의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됨을 확인하였으며, 특정 접합변수 구간에서 이상적인 형상이 형성됨에 따라 건전한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접합변수의 제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Al 5052 합금의 겹치기 마찰교반접합의 경우 접합부 주변의 미세조직이 모재와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냄에 따라 조직의 변화에 따른 기계적 성질이 접합재의 강도 변화에 미친 영향성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며, 접합부의 기계적인 강도 변화를 가져온 결정적인 요인은 접합된 영역과 인접해 있는 상?하부 판재의 “미 접합 계면 형상”임을 알 수 있었다. 4. FSW 접합 tool의 회전속도와 이송속도 변화에 따른 접합재의 전단강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모재와 비교 시 최대 90% 수준의 이음 효율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microstructural observation, mechanical properties of Al 5052 alloy jointed by lap friction stir welding(FSW) technique produced under varying rotation tool speed and travel velocity to estimate the effect of each welding parameter were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shear strength test, hardness test and the micro/macro observation of the joint using optical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obtained. 1. Friction heats induced by a rotating tool cause the recrystallization process in joining area. Although chemical composition change and phase transformation are not found. Also, it is found that the hardness slightly changed. Especially, the hardness of the stir zone and HAZ have shown slightly higher and lower compared to the base material respectively. The variations in hardness can be readily correlated with the grain growth in HAZ and work hardening in stir zone. 2. Unlike the butt FSW, in lapping FSW it is found that the deformation of the “non-joining area shape” in the vicinity of the joint area serves as a critical factor of the strength of the joining materials. Also, the control of the joining factors seems likely to be required to obtain solid lap joint because there is a limited region of the joining factors to produce ideal interface shape. 3. The strength of the joint does not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hange in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recrystallized microstructure because the microstructure of near the stir zone i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base material.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n-joining area shape” between the upper and bottom plates in the vicinity of TMAZ is the main contributor. 4. It is found that the variation of the rotating speed and travel velocity of the FSW tool has an effect on the shear strength of joint. Also, it appears that FSW process in optimized welding condition essentially results in approximately 90% of the joining efficiency compared to the base material.

      • 古小說에 나타난 女性意識 硏究 : 謝氏南征記. 彩鳳感別曲. 洪桂月傳을 중심으로

        주수 우석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1823

        인류가 존재해 온 이래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때론 그 이상 그들이 속했던 사회에 기여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그들의 노력이 역사의 전면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혹은 남성에 비해 열등하다는 터무니없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남성에 비해 존재가치가 평가절하 되어왔다. 터무니없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남성에 비해 존재가치가 평가절하 되어왔다. 일례로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 있어서 여성은 여성이 아니라 결함이 있는 남성, 즉 그녀가 결핍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정의되는 예외적 동물이었다. 성서의 창세기에서 기독교인이 전해준 바 헤브류신화에 따르면 두번째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모든 여성은 한 부분이 모자란 채 성경에 등장했는데 그것은 성 바울에 따르면 머리이고 프로으트에 따르면 남근이 된다. 그 결핍된 것이 무엇이든 간에 남성들은 여성들이 유순함으로 감사를 내보이는 한 자신들을 그 결핍된 것을 채워주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남성들의 존재는 완전한 것이 반면에 여성들의 존재는 불완전한 것이라는 인식으로 이어졌고 다시 우월과 열등으로 지배자와 피지배자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남성지배의 남성중심적 사고에 의해 여성들은 예속되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여성의 예속이 그들의 본질적이 열등에 의해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그들이 그안에서 살지 않으면 안되는 남성지배적인 문화에 의해 열등한 것으로 분류된 것이라는 K. 루트반의 지적이다. 이는 여성의 문제가 그것을 대처하지 못한 개인적 실패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존하는 사회구조에서 비롯된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우리의 조선시대는 특히 가부장적 전통사회로써 남성에 의한 여성의 예속이 철저했던 시기였는데 남성들은 여성들을 자신들에게 예속시키는 수단으로 유교윤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였다. 三從之道나 七去之惡 등은 그 구체적인 윤리규범이라 할 만하다. 조선시대 여성에게 그들의 유일한 생활공간은 '가정'뿐이었고 기녀들과 같은 이들이 사회생활을 할 수는 있었으나 이 또한 자신들의 자아실현과는 거리가 멀었다는 점에서 진정한 사회생활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의 모습은 시대상을 비추는 거울이라 할수 있는 문학작품 속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는데 가사나 시조, 고소설 속의 여성상이 그것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고소설속에 나타난 다양한 여성들의 모습에서 당시 가부장제사회에 예속된 삶의 모습뿜 아니라 억압된 사회속에서 여성들이 꿈꾸었을법한 理想의 모습도 찾아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여성영웅소설 혹은 여호걸계소설이라 부르는 작품 속의 여성들은 가정만의 세계가 아닌 사회, 국가로까지 자신의 활동영역을 넓혀 나가고 이러한 모습들이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물론 이러한 인물들 역시 忠, 孝, 烈에 충실한 삶을 살긴 하지만 이들의 가정뿐 아닌 다른 세계로의 지향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또한 여성주인공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남성들의 모습은 작품속에서 여성에 비해 무능하고 초라하게 그려지기도 하며 남성의 이러한 무능함에 대해 여성주인공은 조소하고 비웃는다. 작품속의 이런 양상은 당시 고소설의 주된 독자층이었던 부녀자들에게 대리충족감을 느끼게 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만약 여성영웅소설이나 여호걸계소설이 독자층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면 영웅소설중에서 여성영웅소설의 수적 비율이 30%에 까지 이르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여성 독자층이 이러한 작품에 호감을 가졌다는 것은 여성들의 의식이 유교윤리로부터 탈피하고 있었음을 시사해준다. 또 이 수치가 여성이 직접 작품의 전면에 드러나 그 능력을 보인것들을 중심으로 한 것이라고 볼 때 남성주인공의 뒤에서 보조적 역할까지한 작품까지 생각한다면 고소설 작품속에서 여성의 역할이나 비중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소설 연구에 있어 여성에 대한 연구는 독자층로서의 여성에 대한 연구만 잔략히 이루어졌을 뿐 작중 여성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지나지 않고 있다. 또 작중여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작품속에 보여지는 모습만으로 정형화시켜 분류하는 것에 그쳐왔다. 기실 문학작품과 관련된 여성에 대한 연구의 부족이 고소설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현대소설의 경우는 근래 여성주의 비평(Feminist Criticism)에 힘입어 다양한 각도의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여성주의 문학연구란 궁극적으로는 종전의 남성중심의 시각에서 쓰여진 작품들을 여성의 시각에서 재평가 하는 것이며 나아가 여성의 시각에서 쓰여진 작품들의 독특한 특성을 이론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주의 문학 연구의 목표는 남성중심적 성차별주의의 폭로·여성적 글쓰기에 대한 탐구·여성시학의 정립이라는 세가지 목표로 정리될 수 있다. 김열규 교수는 페미니즘 비평론이 그 이론적 가설, 방법, 실천 등의 더욱더 구체적인 면에 걸쳐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전제할 때라도 w.w모간 교수가 지적하였듯이 세가지 기본원리가 그 다양성의 바닥에 깔려있다고 지적한다. 첫째는 문학작품이 이념의 축 또는 이데올로기의 축을 따라 창조된다는 원리이다. 한 작가의 인생관, 세계관 등이 작품에 투영된다는 것을 뜻하는 이 기준은 여성작가는 여성특유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그 작품에 투영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한 작가의 작품을 性에 의해 결정되거나 상당한 정도로 제약된다는 원리이다. 문학에서 性이 결정요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이 원리는 남성과 여성이 인생과 세계를 달리 경험한 만큼 작품도 다르게 쓸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다. 셋째는 정치, 종교, 경제, 문화 등이 전통적으로 남성과 남성원리에 의해 지배된 나머지 여성적인 것의 가치와 의미를 배제하였듯이 문학도 같은 종류의 나쁜 전철을 밟아왔다는 것을 전제하면서 여성에 의한 失地회복을 전개하려는 운동에 관련된 원리이다. 김열규 교수는 모간 교수의 세가지 기본원리 가운데 둘째기준을 첫째 기준이 수용되면서도 심화 구체화된 기준이라고 보게 된다면 이것은 페미니즘 문학비평원리의 내향성에 관련되어 있고 따라서 셋째 기준은 그 외향성에 관련되어 있다고 간주해도 좋다고 말한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남녀 성별에 따라 고소설의 등장인물을 통해 드러나고 있는 인물 자체가 지닌 여성의식과 작품 속의 서술자로서 드러나는 작가의 여성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작품을 대하는 독자의 수용태도를 바탕으로 독자의 여성의식도 짐작해 볼 것이다.

      • 우리나라 무형자산 세무회계의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무형자산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주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23

        21세기 신경제 시대를 맞아 무형자산이 기업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추세에 있다. 미국의 Brookings 연구소의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기업의 경우 기업가치에서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1985년에는 38%에 불과하였으나, 1995년에는 역전되어 62%를 점유하고 있어 10년 사이에 괄목할만한 증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Stewart(1994)는 이 같은 현상은 하이-테크놀로지 산업의 경우에 더욱 두르러졌으며 미래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러나, 무형자산의 가치평가 문제는 미래초과이익 흐름과 예측에 관련되기 때문에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학계와 실무계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획기적인 측정방법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특히 회계학적 관점에서는 목적적합성(relevance)과 신뢰성(reliability)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는 목표를 준수하여야 하고, 세무회계적 관점에서는 납세자의 근거 논리 결정과 세금문제에 따른 공평과세 실현에 어려움이 크다. 이에 대한 우리나라 무형자산 세무회계기준의 제정방안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자산의 인식과 측정면에서 주관성과 유동성이 강하여 그 공정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각종의 경제적 가치개념을 회계제도로 수용하기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또한 세무회계기준의 제정에 앞서 무형자산의 개념구조가 먼저 정비되어야 한다. 둘째, 기업회계에서 계상한 무형자산을 세무회계에서 인정하려면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를 먼저 규명해야 하며 특히 법인세법 제43조 『각사업연도의 소득금액계산에 있어서 … 일반적으로 공정․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업회계의 기준을 적용하거나 관행을 계속적으로 적용하여 온 경우에는 … 당해 기업회계의 기준 또는 관행에 따른다』 규정이 개편 되어야 한다. 세째, 미국의 경우는 기업회계와 세무회계를 각 회계목적에 맞게 분리 하여 운용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는 양 회계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규명이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이어야 한다. 더구나 무형자산의 경우 세법에 구체적 규정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양 회계의 관계를 어떻게 규명해야 하는지가 이에 대한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네째, 현행 무형자산 평가 기준은 매우 단순하여 신경제 사회를 맞아 공평과세를 실현할 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무형자산의 구체적 평가방법인 협상접근법, 이익접근법, 원가접근법, 시장접근법, 차이접근법과 무형자산에 대한 상세한 분류확인을 규정하는 세무회계기준 제정 도입이 필요한 것이다. As we enter the new economic era of the 21st century, intangible assets are given more and more weight in the estimation of business value. According to a report from US Brookings Institution,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has constantly increased in the last decade from an average of 38% of the total value of business estimation in 1985 to 62% in 1995 in the US. In this report, Stewart (1994) argued that a relatively strong trend occurred in the field of new high-tech industries, and that this trend will continue in the future. In the mean time, it is not easy to estimate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because forecasting future surplus flow is largely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is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to measure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effectively. Much of research from both academic and business institutions have been done to find an efficient method for intangible assets valuation, to no avail. In the course of conducting a valuation analysis on intangible assets, they have recognized some troublesome concern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rom a corporate accountant's point of view, the estimation should comply with an objective, i.e.,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keep the balance between relevance and reliability. From a tax accountant's point of view, however, it should clear up conflicts over an effective tax base and an equal tax imposition. Given this growing concern, we begin to research on this important issue of providing people with an efficient and equal tax base of intangible assets and come to a conclusion regarding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new tax accounting standard-setting for intangible assets. First, recognition and measure of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are uncertain and mostly dependent on the observers involved in the measurement. Therefore, there exist no "objective" measures for intangible assets that have been around for long; they are guided by relatively objective definitions and standards. In light of this, we should present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proper transfer of the economic value of intangible assets into the accounting value of financial assets. In addition, we ne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assets before we introduce a new tax accounting basis for intangible assets.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n explicit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accounting and government accounting is inevitable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recognized in corporate accounting to tax accounting for tax purposes. In this sense, Section 43 of Corporation Tax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which states that "when a company has conformed to its own basis of corporate accounting for each fiscal year, which is generally recognized as equitable and appropriate, it can continue to do so without any restriction on the financial accounting from the government." Third, they have set separate corporate and tax accounting methods for each unique purpose in the USA. In contrast, we do not establish clear-cut lines between corporate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As such, we need to set up a more detailed and more objective definition for a clearer relationship between both accounting methods. Moreover, there is no distinct or well-defined regulation of imposing tax on intangible assets. This makes us puzzling over the proper transfer of corporate value of intangible assets into accounting value for taxing purposes. Thus, it would be one of our primary concerns to solve such problem. Finally, old rules under the existing tax law are too simple to provide the society with a basis for equal taxation on intangible asse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esent an explicit and detailed estimation approach such as bargain of the parties approach, income approach, cost approach, market approach, and residual gap approach. Using these applied approaches, we can introduce an entirely new and better tax accounting standard-setting that gives a clear definition of intangible assets.

      • 산림보호법상 손실보상제도의 구조적 특수성에 대한 연구 : 보상의 실효적 한계와 대안적 가능성

        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Forest Protection Act Article 10(3) in Korea has the ‘structure of compensation for denial of approval.’ In other words, the system compensates for losses based on denied approval to new projects rather than private property rights infringed by activity restrictions following the designation of forest conservation zone. However, this system is proven ineffective to conciliate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regarding the issue of expanding forest conservation zones into private forests. It is also inadequate to mediate the effect of expropriation of forest land.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the system’s insufficiency to protect private property righ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eceding research on the issues. The loss compensation structure under the Forest Protect Ac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 structures under related acts. Thus, it has limitations in identifying exact targets of compensation in reference to the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nd as well as the legal concept of loss compensation and the requir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to request compens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nquired into compensability and allowable alternatives by applying the Separation Theory (Trennungtheorie) to the interpretation of loss compensation under the Forest Protect Act.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several de facto obstacles in the Forest Protect Act, which made effective compensation impractical despite the existing provisions for compensation under the Act. To examine the compensability of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Forest Protection Act,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it with similar forest- and conservation-related acts in Korea and finds out that there is no similar structure within the other domestic law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Natural Park Act in Japan has the same system. However, the government of Japan has approved over a thousand cases per year in natural park areas in order to avoid the impossibility of compensation caus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ts compensation system. There are criticisms in Japan because the compensation system may compromise the purpose and meaning of natural park designation and may promote the abuse of people’s rights to request approval.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compensating for general loss caused by denial of approval by selecting fifteen projects that are permitted to apply for permission under the Forest Protection Act, it is reconfirmed that effective compensation is difficult to implement and, thus, it is necessary to propose legal and policy improvements. This study analyzes two ways to amend the de facto obstacles in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Forest Protect Act. First, it is necessary to decouple the linkage between the provisions for loss compensation and the provisions for new projects subject to approval. This is because the approval of applications that are only for new projects deepens the gap between activity restrictions and compensation targets. And yet, this approach helps to ameliorate the uncertainty of compensation targets, but it demonstrates limitations in settling the problems of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itself.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use policy alternatives that are not compensation-centered. The thesis considers the introduction of provisions for exceptions to activity restrictions on forestry. It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effect of expropriation due to the designation of forest conservation zone. 재산권 보장과 재산권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에 대한 헌법 제23조는 제3항에서 공용침해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수단으로 손실보상제도가 있는데, 산림보호법 역시 산림보호구역 지정에 의한 재산권 침해를 조정하기 위해 제10조 제3항에 손실보상규정을 두고 있다. 산림보호법상 손실보상제도는 ‘불허가에 대한 손실보상’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산림보호구역 지정에 따른 이용행위제한이 아닌 신규사업목적의 허가 신청이 불허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손실을 보상한다. 재산권에 대한 보호가 미흡하여 보호구역 지정 확대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지 못하고 보호구역 지정에 따른 기득재산권의 과도한 침해(수용적 효과)도 조정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생태계 보전과 사유재산권 보호에 문제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은 선행연구가 부족하다. 산림보호법상 손실보상의 구조는 기존의 손실보상과 다르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헌법학 및 행정법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존의 손실보상과 산림보호법상 손실보상의 보상 대상 및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손실보상 개념, 손실보상청구권의 성립요건, 분리이론 및 토지 및 지장물에 대한 토지보상법을 참고해서는 보상대상을 명확하게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고, 법규정은 존재하지만 실효적 보상이 어려운 사실상의 장애를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유사 구조의 운용을 참고하여 보상가능성을 판단하고자 이를 국내 산림법제 및 보호구역 관련 법률과 비교했지만 유사한 구조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일본 자연공원법상 손실보상제도가 산림보호법과 구조적으로 동일하였는데, 구조적 특수성으로 인한 보상불가능성을 회피하기 위해 연간 1000여건의 허가를 허용하는 등 보호구역 지정 의의에 위협이 된다는 비판과 허가신청권남용에 대한 우려가 확인되었다. 산림보호법상 허가신청이 허용되는 15개 사업을 선정하여 불허가로 인한 통상적 손실의 보상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실효적 보상이 어려운 것이 재확인 되었으며 따라서 입법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첫째, 불허가에 대한 손실보상 구조에서 신규 사업과 손실보상의무조항을 직접 연동시켜놓은 것이 문제다. 그 결과 입법자가 형성하지 않은 재산적 보호범위 즉 미래기대수익이 손실보상규정과 연동되고, 원(元) 지목(地目)과 관련성이 부족한 사업들이 재산권의 제한임을 인정받아 행정청에 보상의무를 부과하고 전체적인 법적 안정성을 저해하고 있다. 둘째, 불허가에 대한 손실보상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다. 첫 번째 원인에서 볼 수 있듯 이와 같은 손실보상구조는 보상불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결과 일본 자연공원법 사례가 보여주듯이, 이 구조는 손실보상을 회피하기 위한 행정청의 허가 남용을 유발하여 규제의 목적과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을뿐더러, 한번 보상을 받은 소유자가 다시 허가를 신청하거나, 불허가에 의한 손실을 보상받은 후 토지를 매매한 뒤 신규 소유자가 사업에 대한 허가를 신청하는 등 허가신청권의 남용과 손실보상청구권의 남용이 발생할 소지가 상당하다. 산림보호법상 손실보상의 구조로 인한 사실상의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두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 신규사업조항과 손실보상조항의 연동을 해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신규 사업 목적의 허가신청만 허용한 것이 행위제한과 보상대상간 간극을 심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근은 보상대상의 불명확성 개선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불허가에 대한 손실보상구조 자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 둘째, 보상과 관련된 여러 정책대안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 임업에 대한 행위제한 예외규정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산림보호법상 손실보상제도에 의한 실효적 보상이 불가능한 지금, 보호구역 지정에 따라 기득재산권이 과도하게 침해되어 발생하는 수용적 효과를 조정하여 손실보상규정의 필요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업에 대한 행위제한 예외규정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일부 보호지역 근거 법률에서 보호지역 및 인근지역의 주민들의 영농·영어행위 등을 위해 보호구역 지정에 따른 행위제한의 예외를 두고 있으며, 공익상 이유로 종래 하던 영농행위 등을 못하게 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손실을 보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 일본 자연공원법에서는 임업의 경관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은 위 규정의 도입을 검토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