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l 5052 합금의 겹치기 마찰교반접합 특성

        朱秀元 慶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Al 5052 합금의 겹치기(lap) 마찰교반접합(friction stir welding, FSW)의 접합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FSW tool의 회전속도(rotating speed, R/S) 및 이송속도(travel velocity, T/V)를 변화시켜 접합변수가 접합부의 조직 및 기계적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야금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마찰교반접합된 Al 5052 합금에 대한 전단 및 경도시험을 수행하고,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y, OM)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이용한 접합부의 거시 및 미세조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접합 tool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과 기계적인 영향에 의해 접합부 주변의 미세조직은 재결정되었으나, 상의 분포나 화합물의 조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접합부 주변 기지에서는 미세한 경도 변화가 있었는데 교반이 이루어진 stir zone은 모재에 비해 약간 증가되었고 열 영향을 받은 HAZ 영역에서는 모재에 비해 미세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기지의 경도변화는 HAZ 구간의 경우 마찰열에 의한 결정립의 미세한 조대화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며, stir zone은 기계적 변형에 의한 전위밀도의 변화와 소성유동에 의한 가공경화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2. 맞대기 접합 개념을 적용한 마찰교반접합과는 달리 겹치기 방법에 있어서는 접합부와 인접된 “미 접합 계면 형상”의 변형 정도가 접합재의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됨을 확인하였으며, 특정 접합변수 구간에서 이상적인 형상이 형성됨에 따라 건전한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접합변수의 제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Al 5052 합금의 겹치기 마찰교반접합의 경우 접합부 주변의 미세조직이 모재와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냄에 따라 조직의 변화에 따른 기계적 성질이 접합재의 강도 변화에 미친 영향성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며, 접합부의 기계적인 강도 변화를 가져온 결정적인 요인은 접합된 영역과 인접해 있는 상?하부 판재의 “미 접합 계면 형상”임을 알 수 있었다. 4. FSW 접합 tool의 회전속도와 이송속도 변화에 따른 접합재의 전단강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모재와 비교 시 최대 90% 수준의 이음 효율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microstructural observation, mechanical properties of Al 5052 alloy jointed by lap friction stir welding(FSW) technique produced under varying rotation tool speed and travel velocity to estimate the effect of each welding parameter were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shear strength test, hardness test and the micro/macro observation of the joint using optical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obtained. 1. Friction heats induced by a rotating tool cause the recrystallization process in joining area. Although chemical composition change and phase transformation are not found. Also, it is found that the hardness slightly changed. Especially, the hardness of the stir zone and HAZ have shown slightly higher and lower compared to the base material respectively. The variations in hardness can be readily correlated with the grain growth in HAZ and work hardening in stir zone. 2. Unlike the butt FSW, in lapping FSW it is found that the deformation of the “non-joining area shape” in the vicinity of the joint area serves as a critical factor of the strength of the joining materials. Also, the control of the joining factors seems likely to be required to obtain solid lap joint because there is a limited region of the joining factors to produce ideal interface shape. 3. The strength of the joint does not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hange in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recrystallized microstructure because the microstructure of near the stir zone i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base material.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n-joining area shape” between the upper and bottom plates in the vicinity of TMAZ is the main contributor. 4. It is found that the variation of the rotating speed and travel velocity of the FSW tool has an effect on the shear strength of joint. Also, it appears that FSW process in optimized welding condition essentially results in approximately 90% of the joining efficiency compared to the base material.

      • Dewey의 ‘교육적 경험’에 기반한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모형 개발

        주수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created a new paradigm of knowledge through integration and complexity across disciplin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necting and applying knowledge to reality. In education, along wit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ere is an increasing emphasis on enhancing capabilities. Capabilities cannot be detached from the social context where experiences occur, and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value of community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mong community members as part of their lives. Adolescents can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and acquire new one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s in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pplying given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real-life situations.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is study focused on learning through community of practice The concept of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has not yet been fully developed in terms of suitable concepts and theor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conceptual model development. Following Randers(1980), the study went through the stages of conceptualization, formalization, testing, and implemen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lso followed these stages. Research question 1 focused on conceptualizing youth experiences, research question 2 aimed to formalize the conceptual model of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and research question 3 focused on validating the developed conceptual model. The final stage of implementation, which involves disseminating and spreading the conceptual model in a policy context, was beyond the scope of this study, so only the testing stage was conducted. Regarding the conceptualization of research question 1, the concept of "educational experience" by Dewey was initially defin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it was further concreti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of youth community of practice.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execution in the context of youth learning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theories related to Dewey's "educational experience" were incorporated. The first element of the conceptualized educational experience was subjective internal conditions, representing the impulses and desires of adolescents. The second element was objective external conditions, which included the environmental adjustments made by educators. The final element was the principle of individual learning derived from the principles of experimental schools. In relation to the formalization of the conceptual model in research problem 2, a new defini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was formulated as the core of deriving the structure of the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rived components were illustrated. To achieve this,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communities as learning entities and learning principles that can b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amples of Dewey's experimental schools and youth practice communities were explored. A preliminary draft of the conceptual model was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of youth practice communities. Consequentl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is model was organized into four components: "youth's active interest,"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collective activities," "practical activities within and beyond school," and "integration with the community."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associated with each component were derived. For research problem 3,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conceptual model, pilot lessons and expert valid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veloped conceptual model, a procedural lesson plan was created, and a pilot lesson was conducted with an average high school student population in Seoul. For expert validation, individuals with expertise in educational philosophy or educational engineering,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fields related to practice communities, Dewey's theory,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for over ten years, were consulted. Through this process, components for improving the initial conceptual model, such as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with Dewey's educational experience, were identified and modifi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ency education necessar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 that is connected to life experiences that go beyond mere knowledge acquisition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Second, for such new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it from teacher-centered, one-way transmission education to education based on the interests and curiosity of the youth. Third, collaboration skills with others should be enhanced instead of relying on a competitive approach. Fourth, various attempts and trial-and-error by youth should be encouraged and integrated as part of their learning. Fifth, a local educational community that connects families, schools, and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efinition of Dewey's concept of "educational experience," which has been lacking in discussions, was provided and systematically applied to educational settings. Second, the concept of practice communities, which has been primari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knowledge management in companies, was applied to youth education. Third, despite the various practices and previous research on youth practice communitie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learning models. This study organized the design principles, strategies, and guidelines for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With this study as a starting point, it is hoped that the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will be further developed, and field-based research containing realistic policies to improve the teacher-centered, one-way knowledge transmission and competition-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preparation for future society, will be conducted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실천적 경험이 바탕이 된 교육 활성화를 위해 청소년 실천공동체 기반 학습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학제 간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지식의 패러다임이 만들어지며 지식과 지식을 연결하고 현실에 응용하는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교육에 있어 지식의 습득과 함께 역량의 향상이 중요해지고 있다. 다만 역량이란 경험이 이뤄지는 사회적 맥락과 동떨어질 수 없으며 공동체의 가치와 공동체 구성원들의 삶으로서의 상호 의존적인 관련성을 맺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청소년은 주어진 지식과 정보를 실제 상황에서 응용하며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 속에서 실천적 경험을 통해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고 새로운 역량을 습득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지점에서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를 통한 학습에 주목했다.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은 아직 적합한 개념과 이론이 구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모형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Randers(1980)에 따라 개념화(conceptualization), 형식화(Formalization), 검증(test), 실행(implementation)의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역시 이 단계에 따라 연구문제 1은 청소년의 경험을 개념화 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연구문제 2는 청소년 실천공동체 기반 학습의 개념적 모형의 형식화에, 연구문제 3은 이렇게 개발된 개념적 모형의 검증에 초점을 두었다. 마지막 실행 단계는 개념적 모형을 정책적으로 전파하고 확산하는 단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검증 단계까지만 이루어졌다. 연구문제 1 개념화와 관련해서는 Dewey의 ‘교육적 경험’의 개념을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1차적으로 정의 내리고 청소년 실천공동체 관계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구체화했다. 개념화된 교육적 경험은 주관적인 내적 조건으로 청소년의 충동, 욕구, 객관적 외적 조건으로서 교사의 환경 조율, 일학습이였다. 연구문제 2 개념적 모형의 형식화(Formalization)와 관련해서는 새롭게 정의한 ‘교육적 경험’을 중심으로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모형의 구인을 도출하고 구인 간의 관계를 도해시켰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 학습으로서 실천공동체의 특징 및 Dewey의 실험학교와 청소년 실천공동체의 사례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학습원리를 탐구한뒤 청소년 실천공동체 관계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개념적 모형의 초안을 도출했다. 이렇게 해서 본 모형의 개념적 구인으로 ‘청소년의 주체적 관심’, ‘공동활동을 통한 타인과 소통’, ‘학교 안팎의 실천 활동’, ‘지역과의 연계’ 4가지로 정리하여 각각의 구인과 연결된 설계원리, 설계전략을 도출했다. 연구문제3과 관련해서 개발된 개념적 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시범수업과 전문가 검증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개발된 개념적 모형을 토대로 수업을 구성하여 서울의 평균적인 일반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수업을 실시하는 방법을 택했다. 전문가 검증을 위해서는 교육철학 내지 교육공학을 전공한 이들 가운데서 실천공동체, Dewey이론,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모형 등과 관련된 분야에서 10년 이상 활동한 이들을 대상으로 자문을 구했다. 이를 통해 Dewey의 교육적 경험과의 관계성 표현 등 초기 개념적 모형의 보완 요소들이 도출되어 수정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제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역량 교육 강화를 위해서도 지식 습득 이외의 이를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경험을 하는 삶과 연결된 교육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이러한 새로운 교육을 위해서는 교수자 중심의 일방적 전달 교육에서 청소년의 관심과 흥미에 따른 교육으로 재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경쟁 위주의 방식이 아닌 타인과의 협업능력을 향상해야 한다. 넷째, 청소년 학습에서 청소년들의 다양한 시도와 시행착오가 장려되고 학습의 한 방편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다섯째, 가정, 학교, 사회를 연결한 지역교육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 논의가 부족한 Dewey의 ‘교육적 경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둘째, 기업의 지식경영 위주로 논의가 되었던 실천공동체를 청소년 교육에 적용했다. 셋째, 청소년 실천공동체의 다양한 실태와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학습모형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실천공동체의 학습모형 설계 원리, 설계 전략, 설계 지침을 정리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청소년 실천공동체의 학습모형이 더욱 구체화 되며 미래 사회를 대비해 교수자 중심의 일방적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과 경쟁 위주의 교육환경 개선 방안과 이를 뒷받침할 현실적인 정책이 담긴 현장 기반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