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로보노 활동을 통한 소아암 환자용 가발 기부 시스템 개발

        임현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현대 사회의 급속한 발전 속에 경제적·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증가하면서 민간의 자발적 봉사활동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재능기부와 프로보노 활동 등의 사회공헌활동이 나타났다. 미용 분야에 있어서는 소외된 계층을 위해 자신이 가진 재능을 나누는 사회적 디자인 활동으로서 전문 기술 기능자나 기술을 배우는 학생들의 재능 기부활동이 꾸준히 진행되어왔으며 미용 기업에서의 프로보노 활동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미용 분야의 사회공헌 활동은 체계적이지 못하거나 일시적인 행사 특성을 갖고 있어 미래 지향적이고 지속 가능한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관심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프로보노 활동에 관한 네트워크가 진행 및 연구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미용 분야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프로보노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미용 분야의 사회적 디자인이자 사회공헌 활동으로서 미용 재능기부가 활성화된 헤어 디자인 영역 중 기부 수여자에서 소외되어온 소아암 환자용 가발 제작에 주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 기부용 가발 제작 및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 디자인, 재능기부·프로보노, 디자인 프로보노와 모발 기부, 환자용 가발 관련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와 실제 재능기부, 프로보노 사례 들을 조사한 후, 지속적으로 실천 가능한 프로보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프로보노 시스템 고안 틀에 있어 행정 운영에 관한 내용은 프로보노를 진행하는 다른 기관들의 선행 내용을 참고하였고 본 연구와 같은 특성의 프로그램이 미용사 종사자나 대학의 교과목과 연계된 연구나 문헌 및 자료가 없으므로 다른 전공의 봉사 학습 운영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기초개념을 확립하였고 디자인 프로보노 시스템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였다. 미용은 기술을 받는 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인체 일부를 디자인하는 활동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재능기부 봉사가 가능한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인 소아암 환자를 위한 사회적 디자인이자 재능기부로서 프로보노 활동을 통한 소아암 환자용 가발 기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미용 프로보노 시스템 모형은 공급자, 중재자, 수혜자를 구성원으로 하고 프로보노 프로그램 기획 단계와 시스템 개발 및 집단 구성의 준비 단계, 실행 단계, 사후 지속 관리 단계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먼저 프로보노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 가발 기부 시스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정보를 수집하고 기획하였다. 시스템 개발 및 집단 구성 단계에 있어 프로보노 활동에 참여할 공급자인 재능기부자인 행정 자문 집단, 미용 재능기부 집단, 수혜자를 추천할 집단의 시스템을 먼저 설정하였다. 이후 실행 단계에서 각 공급자 집단의 재능기부를 바탕으로 홍보를 통한 모발 수집, 미용 전문인의 재능기부를 통한 모발 선별, 미용학과 재학생 교육 진행을 통한 가발 제작, 수혜자 선정, 가발 기부의 단계를 진행하였다. 사후 지속 관리 단계에서는 제작된 가발의 사후 관리와 공급자 사후 교육, 평가 및 성과 공유, 프로보노 활동 매뉴얼 작성을 통해 사회적 책임 활동인 프로보노의 지속적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소외되어온 소아암 환자 가발 수요에 대한 사회적 디자인으로서 미용 분야의 체계적인 재능기부, 프로보노 활동이 형성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인적자원과 기부 모발 수급이 가능한 미용인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성화하여 단순한 1회성 기부가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사회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관련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s social issues related to economically and socially vulnerable groups are increasing amid the rapi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society, experts in various fields have introduce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like talent donation and probono activities as voluntary volunteer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In the field of beauty service, professional technicians and students consistently donated their talents through social design activities sharing talents with neglected groups, and beauty service companies are conducting pro bono activities. However, suc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the beauty service area are often unorganized and temporary. They need to be improved in a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way. Recognizing such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rganized and sustainable probono system in the beauty service area based on the fact that probono networks are being created and studied in different fields due to the rising social interes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primarily on the development of wigs for childhood cancer patient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hair design donations among beauty service talent donations, which are social design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the beauty service area. The study method to develop the system for making donation wigs and operating the network is as follows. First, a sustainable and practical probono system is developed after investigating social designs, talent donation probono, design pro bono, literature research on hair donation and wigs for patients, and examples of probono. When creating the frame of the probono system, administrative operations were determined by referring to precedent studies by other probono institutions. Since there are no research or literature data where the programs similar to this study are associated with beauty service workers or university subjects, the basic concept was established based on studies on volunteer learning operations of other majors, and existing studies on design probono systems were used as references. Beauty service is an activity where the service provider and recipient engage in direct contact to design a body part. The beauty service area is an area that can offer direct talent donations to people who need help. In this study, a wig donation system for childhood cancer patients was developed through probono activities as a social design and talent donation for neglected childhood cancer patients. The model of the beauty service probono system comprised suppliers, mediators, and recipients, and the probono program was developed by dividing the process into the planning stage, system development and group composition, execution stage, and follow-up stage. First,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probono program,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planned so that the wig donation system can be created. In the system development and group composition stage, the system is configured for the administrative advisory group, beauty talent donation group, and recipient recommendation group, which are the suppliers to participate in the probono activity. Later in the execution stage, hair collection through public relations based on talents donated by each supplier group, hair selection through talent donation by professional beauty service workers, wig-making through education of students in beauty service departments, selection of recipients, and wig donation are carried out. In the follow-up stage, continual pro bono activities are promoted a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by conducting follow-up management on the wigs made, conducting follow-up education on suppliers, and preparing manuals for pro bono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preparing an opportunity to form systematic talent donation and probono activities in the beauty service area as a social design that fulfills the demand for wigs for childhood cancer patients who have been neglected. In particular, by building and activating a sustainable system with abundant human resources at universities and beauty service workers who can supply donated hair, the system can offer sustainable and organized support instead of a one-time donatio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related studies by directly contributing to resolving social issues.

      • Cloning and expression pattern of S100A2 gene in human cervical neoplasia : 자궁경부종양에서 S100A2 유전자의 분리와 발현에 관한 연구

        임현순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1839

        지금까지 알려진 18개의 S100A 단백계 중에서 S100A2와 S100A6 칼슘결합 단백이 자궁경부의 종양발생과정에서 어떻게 조절되어 발현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100A2 단백이 자궁경부에서 발생하는 이형성 및 초기의 편평상피세포암에서 높게 발현되어 발암의 초기단계에서 발암기전과 관련되며 따라서 이러한 종양단백은 초기 자궁경부 종양의 진단표지자로서 활용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S100A 단백계는 세포내 신호전달, 세포간 유착 및 운동성, 종양세포의 증식 또는 고사, 그리고 전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18개의 S100 calcium(Ca^(2+))-결합단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체계적인 세포내·외에서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S100A 단백계 중에서 S100A2와 S100A6 유전자의 세포내 조절기능과 인체종양에서의 발현양상을 알아보고자 재조합 S100A2 및 S100A6 단백과 이에 특이성을 갖는 단일클론성 합체를 생산하였다. 즉, 인체 S100A2/A6 칼슘-결합단백의 완전한 open reading frame (ORF)를 포함한 cDNA를 이용하여 재조합 S100A2/A6 단백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GST-결합단백 형태로 대장균 (DH5a E. coli)을 이용하여 단일클론성 S100A2/A6 항체를 만들었다. 이 항체는 IgG isotype 이었다. 정상 자궁경부조직 15예, 저등급 편평상피내암조직 6예, 고등급 편평상피내암조적 32예, 그리고 침윤성 편평상피암 25예에서 S100A2와 S100A6단백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면적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S100A2 단백은 정상자궁 외경부의 편평상피층에 있는 기저 및 방기저세포와 편평화생세포들에서 발현되었으며 S100A6 단백의 경우 자궁 외-내경부 경계부 (cervical transformation zone)의 선상피세포에서 발현되었다. S100A2 단백은 편평상피내 이형성세포에서 정상 편평상피세포와 비교하여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였으며 고등급의 편평상피내 이형성세포의 경우 더욱 강한 발현양상을 보였다. S100A2 단백은 스푼형 비정형세포 (koilocytotic atypical cells)를 포함한 침윤성암의 경우에서도 발현되었으나 침윤의 깊이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S100A6 단백의 경우 보다 침윤의 깊이가 증가 될수록 발현양상이 더욱 강하여 S100A2 단백과 다른 발현양상을 보였다. 이러할 결과들은 인체 자궁경부의 정상 편평상피세포가 이형성 및 악성종양으로의 형질전환과 침윤 시에 S100A2 단백의 과발현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여주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S100A2는 편평상피세포 기원의 악성종양을 진단 시에 적용할 수 있는 종양표지자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expression of S100A2 and S100A6 calcium binding proteins, two members of the S100 gene family, were investigated how these proteinswere modulated during cervical carcinogenesis. By immunohistochemistry, the expression of S100A2 and S100A6 was assessed in serial sections from normal epithelium (15 cases), low grade (6 cases) and high grade (26 cases)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LSIL, HSIL), and invasive cervical cancer (25 cases). S100A2 is expressed in basal and parabasal cells of maturing ectocervical squamous mucosa, and squamous metaplasia in the cervix. But, S100A6 is immunostained in basal and subcolumnar cells of the cervical transformation zone. In early cervical neoplasia, S100A2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squamous cell maturation in CIN. S100A2 staining intens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gh-grade squamous lesions (CIN Ⅲ and early SCC) compared with normal cervical mucosa and CIN grades Ⅰ or Ⅱ (P<0.05). S100A2 were strongly expressed in the dysplastic cells including koilocytes, whereas they revealed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in invasive neoplastic tissues (P<0.05). S100A6 revealed higher expressions associated with more advanced cancerous lesion, more strongly expressed in the invasion nests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stigation describes patterns of over-expression of S100A2 protein in early human cervical neoplasia, indicating a tumor marker for pathologic diagnosis in early-stage cervical cancer.

      • 헤어디자인 발상에 영향을 주는 교육 프로그램 비교 연구 : 영국과 한국의 교육기관 중심으로

        임현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다양하고 급변하는 시대에 있어서 특정한 학문에 대한 영역을 명확하게 규정짓고, 규정된 개념 속에서 무엇인가를 단편적으로 해석하기에는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 그것은 국제 사회의 문화적 인식의 차이에 대한 변화와 대중 매체의 다양화, 여러 학문들의 통합화 등에 따라 교육 내용과 과정의 전반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때문이다. 이는 다양한 학문의 통합적인 특성과 부용예술로서의 특징이 강한 헤어디자인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헤어 디자인적 전문인 양성을 위한 미용 교육과정 중에서 헤어디자인 발상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주목을 받으며 다양하게 성장해 갈 수 있는 교육적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특성이 고려된 미용교육과정의 기초교육에서 부터 교과구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교육적 논의와 방안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구성이나 교육과정에 있어서 국제 미용사회에 선진화로 인정받고 있는 영국 ‘T’사와 한국미용시장에서 영국본원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국 ‘T’사의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국내 미용교육에 적용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목적인 창의적인 헤어디자인 발상을 돕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영국과 한국 ‘T’사 교육에 대한 현황 비교, 분석을 통하여 현 한국의 미용교육체계가 변화되어야 함을 알게 된다. 그리고 전문인 양성을 위한 미용 프랜차이즈 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사고방식의 전환’과 ‘아이디어에 대한 표현의 자율화’, 그리고 ‘미래지향적 자기발전의 차별화’에 의한 미용교육과정을 통하여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한다. In a diversely and rapidly changing age, it is not easy to make a clear definition of the domain of a particular science and make a fragmental interpretation of something in its defined concept. That is because it is felt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overall change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process with the change of a difference in cultural understand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diversification of mass media, and the integration of several sciences. This is further true of the hair design that has the integrative characteristic of diverse sciences and a strong feature as hairdressing art.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an idea of hair design in the beauty curriculum for training and education of hair design professionals, and educational change is needed to enable them to grow in a diverse way. Therefore, educational discussion and scheme should concretely be made over the issue from the basic education of the beauty curriculum with this characteristic under consideration to the construction of its subjects and its improvement schem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of 'T' in the UK recognized as advanced in the international beauty treatment community and of 'T' in Korea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English principal house in the Korean beauty treatment market in relation to educational construction and process. And it presented the direction applicable to domestic beauty educ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 education in the UK and Korea with a focus on the curriculum conducive to the creative idea of hair design showed that the cosmetological education system of Korea should be changed. And it attempted to find out the clue to its solution through 'a switch to a new way of thinking', 'the liberalization of expression on a idea' and the differentiation of future-oriented self-development' in relation to beauty franchise education for training and education of beauty professionals.

      • 태권PAPS를 통한 초등학생의 건강체력, 운동기능체력, 태권도 전문체력의 차이

        임현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태권PAPS를 통한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건강체력, 운동기능체력, 태권도전문체력을 규명하고자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건강체력의 심폐지구력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운동기능체력의 순발력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의 지르기와 같은 순간적인 힘(호기작용과 근파워)을 나타내는 동작과 겨루기에서의 빠른 스텝(유산소적)이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품새ㆍ겨루기ㆍ격파체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에 따른 개별차이는 있는 것으로 보인다. 2년 이상 수련한 2품 이상 집단이 6개월 미만 집단과 1년 이상 수련한 1품 집단에 비해 심폐지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동일한 조건에서 장기간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겨루기체력과 격파체력은 2년 이상 수련한 2품 이상 집단이 1년 이상 수련한 1품 집단과 6개월 미만 수련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 태권도 수련은 일시적인 근력과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수련을 꾸준히 하였을 때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태권도 수련기간 및 수련여부에 따라 근력의 증가로 순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심폐기능을 향상시켜 체력 및 근력 향상 발달로 신체의 구성과 발달을 가져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뇌전위 비대칭과 BIS/BAS척도를 통한 유아들의 정서·행동 특성 연구

        임현순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전전두엽 뇌전위(electroencepharogram: EEG/뇌파)와 BIS/BAS척도를 비교하여 뇌전위 비대칭과 BIS/BAS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성격 유형을 구분하였다. 또한 대상유아들에게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NFB)훈련을 하여 발달기유아들의 성격 형성에 뉴로피드백 훈련의 효과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특성이나 BIS/BAS와 같은 행동성향 특성과 관련하여 전전두엽 뇌전위 비대칭 연구는 알파(α)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알파(α)파 만으로 이러한 특성을 구분하는 것에 대한 한계점이 제기되면서 베타(β)파와 같은 다른 밴드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만4세 유아 44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였다. 전전두엽 FP1과 FP2에서 측정한 EEG는 알파(α)파 비대칭과 베타(β)파 비대칭 특성으로 정서적 성향과 BIS/BAS 경향성을 알기 위하여 보다 적합한 방법으로 그 해석을 발견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정서와 행동성향을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N의 계수해석으로 BIS적 특성은 베타(β)파 비대칭으로, BAS적 특성은 알파(α)파 비대칭으로 판별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정서적 특성은 기존의 연구결과와 같이 알파(α)파 비대칭으로 판별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인다는 것도 발견하여 정서적 특성은 기존의 연구결과와 같이 알파(α)파 비대칭으로 판단하였다. 첫째, 알파(α)파 비대칭성과 BIS/BAS 경향성은 좌뇌 활성 명랑이 42명으로 접근성향을 나타냈으나, 우뇌 활성 우울은 단 2명이 회피성향을 보였다. 뇌의 기능적 비대칭은 기분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건강상태를 나타내 주는데 42:2의 이 결과는 뇌 기능의 조절에 중요한 데이터로 작용될 수 있다. 둘째, 베타(β)파 비대칭성과 BIS/BAS 경향성은 좌뇌 베타(β)파 비대칭성과 우뇌 베타(β)파 비대칭성으로 나타나는 뇌의 활성도에 대한 성향이다. 본 연구 결과 좌뇌 활성 긍정이 15명, 우뇌 활성 부정이 29명으로 이 결과 역시 한 쪽으로 치우쳐 있는 회피성향으로 나타났다. N의 계수해석이 보여주는 15:29는 BIS로 베타(β)파 비대칭성을 보는 것이 확률적으로 높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 중 부정이면서 BIS인 경우는 15명, 긍정이면서 BAS인 경우는 9명으로 이것도 기존의 연구에서 BIS/BAS를 뇌의 활성도 측면에서 보았을 때와 일치하는 부분이다. 이와는 반대로 긍정이면서 BIS인 경우 6명과 부정이면서 BAS인 경우 14명은 상반된 결과이다. 긍정이면서 BAS인 경우가 긍정이면서 BIS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9:6)으로 높다. 긍정은 BAS 성향이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당연하다. 왜냐하면 기존 선행 연구는 베타(β)파 대신 알파(α)파로 BIS/BAS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정이면서 BIS(15명)인 경우와 부정이면서 BAS(14명)인 경우는 상대적(15:14)으로 거의 비슷하다. 즉 부정이면서 BAS인 경우는 잘못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부정 BIS(15명)와 부정BAS(14)가 비슷하게 나왔기 때문에 기존의 뇌의 활성도 알파(α)파와 베타(β)파의 역비례 관계에 따라 BAS는 상대적으로 일치한다 하겠으나, BIS의 경우는 알파(α)파 비대칭으로 논하는 경우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BIS/BAS 경향성과 알파(α)파·베타(β)파 비대칭성은 N이 갖는 계수로 BIS가 21, BAS가 23으로 21:23이다. BIS을 보여주는 긍정:부정의 비가 6:15로 부정 성향이 월등하다. 이것은 알파(α)파 성향으로 보면 더 분명한 특성으로 나타난다. 명랑:우울의 비가 21:0으로 범주 합산에 의한 직접 해석의 N이 갖는 명료한 계수 해석이다. BAS를 보여주는 긍정:부정의 비는 9:14로 부정 성향이 우세하다. 이 결과도 알파(α)파 비대칭 성향으로 보면 더 분명해짐을 알 수 있다. 명랑:우울의 비가 21:2이기 때문이다. 이 결과는 BIS경향성인 경우는 우측 전두엽의 알파(α)파가 활성화 되어 있고, BAS경향성인 경우는 좌측 전두엽의 알파(α)파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전전두엽에서 좌뇌의 베타(β)파가 높으면 BAS성향으로 외부자극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우뇌의 베타(β)파가 높으면 BIS성향으로 외부자극에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반응을 보이게 된다. 또한 뉴로피드백 훈련에 따른 성격유형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실험군과 대조군의 경우 그 변화의 추이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정규교육 과정에 따른 교육의 효과도 있겠지만 대상 유아들의 뇌 발달 과정에서 베타(β)파가 활성화되기 시작하는 만4세라는 연령특성에 기인한다. 다만 정서성향에서 사후에 우울적 성향이 증가하였으나 행동성향에서는 긍정적 성향이 크게 증가하였고, BIS/BAS의 분포에 있어서도 BAS성향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베타(β)파가 활성화되면서 BIS적 성향이 줄어든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 결과에서 가장 큰 차이는 성격유형변화에서 8유형이 실험군에서 크게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유치원의 정규 교육에 따른 효과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더해져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온 결과라고 판단된다. 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EG at prefrontal lobe of young children and BIS/BAS, to determin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m, and by training with neurofeedback, and to measure the affect to their characteristics. Up until now, majority of brain asymmetry researches regard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BIS and BAS have been conducted around alpha wave at prefrontal lobe. However, a few researchers raised a question about the possible limitation of just using alpha wave to determine these characteristics. Thus studies dealing with beta wave or other kinds of waves got initiated. In this study, 4-year-old 44 children had participated. In order to comprehe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for BIS/BAS with the asymmetrical traits of alpha and beta wave, a better analyzing method has been found to process and understand EEG recorded at FP1 and FP2 in prefrontal lobe. Based on the method, the ways to distinguish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have been presented. This research, with high probability, showed that BIS traits can be discriminated by beta wave asymmetry, and BAS traits can be discriminated by alpha wave asymmetry. One of this study's findings is that just like what previous studies agreed, emotional characteristics could be recognized with a high probability by alpha wave asymmetry, thus emotional traits were assessed with alpha wave asymmetry in this study as well. First, 42 participants had high activity in their left hemisphere, meaning alpha wave asymmetry and BIS/BAS tendency showed approach inclinations, whereas only 2 participants had high activity in their right hemisphere, implying depression and withdrawal bents. The functional asymmetry of brain can affect people's feeling and may show people's health status. So this result of 42:2 can be an important data adjusting brain condition. Second, beta wave asymmetry and BIS/BAS tendency is an inclination for the degree of activation of brain that can be seen as beta wave asymmetry in left and right hemisphere. In this study, 15 participants had activated optimistic in left hemisphere and 29 participants had activated pessimistic in right hemisphere. Clearly, the result of this study looked also biased toward withdrawal. The ratio of 15:29 shown by N coincides with the result that assessing BIS with beta wave asymmetry will result in a high probability. There were 15 participants who were being BIS and double negative at the same time, and 9 participants who were being BAS and positive. Again, this phrase goes along with what previous researches considered BIS/BAS as the activeness-of-brain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6 participants who were being BIS and optimistic, and 14 participants who were bing BAS and pessimistic, which is a completely different result. The outcome for being optimistic and BAS is considerably higher than being optimistic and BIS - the ratio is 9:6. Being optimistic is a part of BAS traits, thus the ratio should be high. Because previous researches interpreted alpha wave, not beta wave. But being pessimistic and BIS (15 participants) and being pessimistic and BAS (14 participants) are relatively the same. Namely being pessimistic and BAS is not right in a sense. Since pessimistic BIS (15 participants) and pessimistic BAS (14 participants) ended up being the same, based on the inverse relationship of alpha wave and beta wave, BAS can be relatively coincidental, but as for BIS, problems may arise if alpha wave asymmetry is used. The asymmetry of BIS/BAS tendency and alpha/beta wave asymmetry turned out to be BIS (21) and BAS (23). The ratio showing BIS, meaning the ratio of optimistic and pessimistic is 6:15, so pessimistic trait is quite strong. Therefore, BIS can be more cquite viewable if alpha wave tendency gets considered. The ratio between cheerful and depressive iso 1:0. The ratio showing BAS, meaning the ratio of optimistic and pessimistic is 9:14, so pessimistic tendency got stronger. This res themay be more cquit if viewed as alpha wave asymmetry. Because the ratio between cheerful and depressive iso 1:2. Wive theseerful aBISignifies isnd dep1) as for BIS tendency, right frontal bebe isomore essimisti,ratio ) as for BAS tendency, S, mefrontal bebe isomore essimisti. Iore,ere is a o of beta wave BIS, meaning the io betweerson meaniness to the external stimutidepresoptimistic and approachable istprude due to BAS tendency. However, if beta wave BIssimistic trait is e to Bio betweerson meaniness to the external stimuli with pessimistic and withdrawal attitude due to BIS tendency. Also, as the participants received more NFB training, the change in their personality types were also assessed -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similar changes. Of course one of the reasons for this personality change could be due to education received at the kindergarten. But the fact that the participants are at the age of four that is just the time beta wave is starting to get activated cannot be ignored. However, in term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depressive tendency increased and in term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ptimistic tendency increased later on. Also in terms of BIS/BAS proportion, BAS tendency also increased considerably.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ollowing - As the beta wave gets more activated, BIS tendency decreased. The biggest difference comparing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s that the Eighth Typ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education at kindergarten made more synergic effect with NFB training. To sum up, this particular study found that 1) beta wave asymmetry should be used to appropriately assess the BIS traits, 2) alpha wave asymmetry ought to be used to suitably determine the BAS traits, and 3) if different brain w

      • The study of function and expression of hNDRG2 protein in human colorectal cancer : 인간 대장암에서 N-Myc downstream regulater gene2 단백의 발현과 기능에 관한 연구

        임현순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1839

        인간의 대장암은 현대문명의 발달과 함께 꾸준히 증가되어 왔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어 2003년도 국내 암통계에서는 종양발생률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대장암의 발생기전은 유전적 불안정성과 연관된 다단계의 과정으로 설명되고 있다. 현재 p53, S100A4, hMLH1, hMHS2 등과 같이 대장암의 진단 및 예후추정을 위한 면역조직화학 표지자가 몇 가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종양의 진행과정 및 나쁜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NDRC2 (N-Myc downstream regulated gene 2)는 네개의 아형으로 이주어진 N-myc downregulated gene family의 하나로서 신경세포의 분화, 시냅스의 형성, neural differentiation, synapse formation, and 축삭의 생존에 관련되어 있으며 염색체 14q11.1-11.2에 위치하는 유전자이다. NDRG2는 성인의 골격근, 뇌, 그리고, 신경아교세포종과 같은 일부 뇌종양세포에서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핵세포에서 기원한 수지상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발현되며 수지상세포에 성숙을 유도한 경우 발현의 감소가 일어남으로써 수지상세포 분화의 표지자로서 보고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자는 인간대장암에서 hNDRG2의 발현과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SW620 대장암 세포주에 NDRG2 단백을 과발현시켰다. hNDRG2의 세포내 과발현은 형태학적 형질변화와 세포증식능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NDRG2의 C-말단부에 존재하는 Akt-인산화 위치의 점돌연변이 또는 일정부위의 C-말단부결손을 유도한 돌연변이 hNDRG2 단백을 과발현시킨 경우에 소실되었다. 면역세포화학 염색에서 hNDRG2 과발현세포주는 정상 세포주와 비교하여 hNDRG2 단백이 원형질막과 세포질에서 과발현되었으며 E-cadherin과 beta-catenin 은 감소하였다. 집락형성분석 (colony forming assay)에서 hNDRG2 정상 SW620 세포주는 과발현세포주와는 달리 세포집락의 중앙부위에 공동화 및 세포변성소견을 보였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세포주기분석에서 hNDRG2 과발현세포주의 경우 정상군에 비교하여 유의하계 증가된 G_(2)/M 정지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웨스턴 분석을 통하여 P34^(cdc2)의 과발현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2개의 인간대장암조직에서 hNDRG2단백의 발현과 여러 가지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으며 36%의 양성반응을 관찰하였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hNDRG2석 발현은 종양의 분화도 (p<0.0001)와 Duke 병기(p=0.002)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자는 비록 PI3-K 및 Akt 인산화가 cdc2 억제의 조절과정에 직접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밝히지는 못하였지만 hNDRG2가 PI3-Kanase 및 Akt의 상위조절부위에서 hNDRG2가 PI3-Kanase에 영향을 주어 P34^(cdc2) 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종양세포의 형태학적 형질변화와 세포증식능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hNDRG2가 연간 대장암의 분화와 세포주기의 조절자로서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종양억제유전자의 하나 일 것으로 판단된다. The gene NDRG2 (N-Myc downstream regulated gene 2), a member of the N-myc downregulated gene (NDRG) family with putative roles in neural differentiation, synapse formation, and axon survival, is located at chromosome 14q11.1-11.2 and highly expressed in adult skeletal muscle, brain, and some human tumors such as glial tumor, suggesting that it might display different specific functions in distinct tissues. Also, hNDRG2 is express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and its gene expression is differentially regulated by maturation inducing stimuli. To elucidate the role of hNDRG2 in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we used eukryotic transfection to manipulate the expression of NDRG2 in SW620 colon cancer cell line. Ectopic overexpression of the hNDRG2 showed a change of morphologic phenotype and a decrease of cell proliferation, which is abrogated by the deletion in the C-terminal or point mutations in the essential residues of the Akt-phosphorylation site. On confocal analysis, hNDRG2 protein was overexpressed on cell membrane and cytoplasm, but E-cadherin and beta-catenin was decreased in hNDRG2-transfected cells, compared with Mock-control. hNDRG2-overexpressed cells showed well reserved colonies but Mock-control did central cavitation on colony forming assay. On cell cycle analysis, the G2/M arrest was observed on cell cycle distribution by a FACScan and P34^(cdc2) was overexpressed in hNDRG2-transfected tumor cells on Western blot analysi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hNDRG2 in 102 colorectal adenocarcinomas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mmunohistochernical examination of the tumor tissues using a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to hNDRG2 showed that 37 of 102 (36%) colorectal tumorous tissues were express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showed that an increased level of hNDRG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mor differentiation (p<0.0001) and inversely with Duke's stage of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p=0.002). Although hNDRG2 activity was not directly involved in E-cadherin and cdc2 inhibitory regulation by PI3-kinase-Akt pathway, hNDRG2 did down-regulate E-cadherin and up-regulate P34^(cdc2) via inhibitory phosphoryla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hNDRG2 can function, at least in part, as a regulator of differentiation and cell cycle in the human colorectal carcinoma.

      • 第6次 敎育課程에 의한 高等學校 共通科學의 化學部分에 관한 比較 分析 硏究

        任鉉淳 충남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On the basis of the 6th curriculum, this study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e 6 authorized Chemistry I textbooks of h g h school. The purpose of ths study is to give a help to a teacher who are struggling to choose a textbook or reference materials. The results obtained by ths research are as follows : (1) In the 6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emistry I textbooks are divided into knowledge and exploration. And then they are further divided into knowledge and exploration in each unit. In a system of content, exploration is subdwided into its elements. In order to develop exploration elements, it shows applicable activities. In addition, in representing contents it shows knowledge elements as well as exploration activities. (2) Chemistry I textbooks deal with the effects of development in chemistry on human society, which are suitable to the interest of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textbooks treat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water pollution, air pollution, plastics problem, and the recycling problem of resources. And they used STS approach to solve these problems. In ovbroad point of view, this new curriculum of Chemistry I textbooks gives much emphasis on the least amount of knowledge in chemistry that is thought to be essential and need to be learned by the students. (3) A Chemistry I textbook is composed of two units. Unit I of the regularity of materials treats fundamental notions of chemistry. And unitII of the environmental complex is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extbooks. The textbook F is made up of 7 units and the textbook A and B is composed of 6 units. The textbook C and E is composed of 5 units. The textbook D has 3 units. Moreover they are using very common contents and activities that show close relation between chemistry and various materials of ordinary life. (4) The quantitative composition of Chemistry I textbooks tha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re as follows ; the average pages of analyzed textbooks was 245.4 pages. Through this analysis we came to conclusion that learning materials were moderated on the basis of the 6th cumtulum of science. Textbook B, D and F covered more pages from 254 pages to 255 pages to represent chemistry. Meanwhile textbook C, A and E covered only from 231 pages to 239 pages. (5) It must be very important to use visual materials such as picture, illustration and graph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notion and principle. Average citation of visual materials is 150.5/35.3(drawing, picture/graph), i. e, 0.73/0.17 per pag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a bit scarce to stimulate interest and curiosity of a student. The textbook D covered 174/44, i. e, 0.84/0.21 per page. The textbook E and B follows it. And the textbook A covered the least amount of pages. (6)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students’ further learning and complemental learning, the textbook F has 242 questions that students can solve for themselves. The textbook E, B and A has 235, 200 and 133 questions respectively. As the textbook A has at most 133 questions for further studying, it was regarded as unsuitable book for the students’ further learning. In contrast, the textbook F has many tasks and explorative questions so that it gives student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thinking and inquiring abilities. (7) It is the learning of exploration that the 6th curriculum stresses. And it also emphasizes student-oriented learning and activity in every class. Investigating the textbooks in the light of exploration, explorative activities of each unit total 177 times, that is, unit I and unitII has 72 times(40.6%) and 105 times(59.3%) respectively. What is better is that unitII has 33 times more activities in reflecting the materials of everyday life. The textbook F has more activities as 51 times (28,8%)It means that the textbook includes 21.5 more chances of activities compared with average times of activities, 29.5. The textbook D(28 times) and E(30 times) follow the textbook F. The textbook B(22 times) and C(2ltimes) are lower than average. (8) The total 177 times of explorative activities are made up of experiment (59 times, 33,3%), interpretation of data(43 times, 24.3%), discussion(28 times, 15.8%), survey(27 times, 15.3%), observation(8 times,4.5%), classification(6 times, 3.4%) guessing(5 times, 2.8%) and measurement(once, 0.1%). From these outcome, we can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lmost textbooks treat experiment very importantly. And the textbook E stimulated students to doing their own exploration by making free explorative part in its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