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가 노후주택을 활용한 코하우징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김효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대학가 노후주택을 활용한 코하우징 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한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저출산, 인구 고령화, 비혼 등의 영향으로 오 늘날의 1인 가구는 가장 상승률이 높은 인구 유형으로 자리 잡았지만 최근 집값 인상 가속화로 1인 가구들에게 주거에 대한 고민은 늘어갔다. 정부는 이러한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거비 부담은 줄여주되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주택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반영된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1인 가구는 학교 또는 직장 때문에 자연스럽게 살아가게 되는 이유도 있지만, 혼자만의 라이프 스타일 을 추구하며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선택한 경 우도 늘어가고 있다. 사회적으로 청년층에 해당하는 1인 가구들은 현대 주 거 트렌드가 반영된 신축 건물의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지만 부담스러운 주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 증가하는 1인 가구들에게 현실적인 경제 상 황을 고려한 다양한 주거 환경을 제안하여 그들의 주거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 대안이 필요하다. 이 논문의 범위는 1인 가구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거지역인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하여 그들을 주거 문제의 대안을 제시한다. 대학가 주변에 방치되어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함으로써 1 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높이고 주변 거리 환경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또한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지키되 사회적 인격체 로 살아가기 위한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공유공간의 유형인 코하우징 특성을 도입하여 노후 주택에 적용한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노후주택의 구조적 특징을 조사하고 코하우징에서 도출된 특성을 결합하여 노후주택에 적용할 코하우징 디자인 을 적용시켜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디자인을 제시한다. 제시한 디자인은 1 인 가구에게 환경적·사회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목표한다. 환경적으로 개선 된 개인의 주거 공간은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상승하게 하고, 사회적으 로는 고립되지 않도록 공동체 생활을 통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이 연구는 대학가 주변에 방치되고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하여 1인 가구들 을 위한 코하우징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코하우징 특성이 반영된 공간 활성 화를 통해 1인 가구들의 주거 환경 개선과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을 도모하 는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대학가 노후주택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주제어 : 노후주택, 공유공간, 코하우징, 1인가구, 주거공간 Along with Korea's economic growth,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come one of the fastest growing demographic groups due to 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 and singlehood. However, the rapid increase in housing prices in recent years has caused many single-person households to worry about housing. In response to this demographic trend,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housing policies to ease the burden of housing costs and provide a stable living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alistic alternatives. Recent trends show that whil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 natural consequence of education or work, a growing number of people voluntarily choose to live alone to pursue their own lifestyles and protect their personal privacy. The younger gener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ek the lifestyle of new construction, which reflects modern housing trends, but cannot afford the high cost of housing. There is a need for housing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proposing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realistic economic situation.The scop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e housing problem by utilizing old houses around university districts, which are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area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y utilizing the neglected old houses around the university area, this research aims to increas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mprove the surrounding street environment. In addition,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esearcher proposes a design applied to old houses by adop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a shared house, to alleviate the loneliness of living as a social person while protecting personal privacy.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ld houses, focusing on the university area. It presents a hous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y combining the features derived from cohousing and applying a cohousing design to old houses.The proposed design aims to have an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on single-person households. Environmentally, the improved personal living space will increas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cially, it will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through community living to avoid isolation. This study proposes a cohous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abandoned old houses around a university town. By proposing a design that improves the living environme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motes active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space revitalization that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using old houses in university areas. Keywords: Old house, Shared house, Cohousing, Single household, Living space

      • 마을재생 프로젝트를 위한 마을브랜드의 디자인가이드 제안 : 광주 “발산창조문화마을” 조성사업 중심으로

        채주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Entering the 2000s, urban redevelopment resulted in local polarization and a sense of alienation among some citizens. As a result, the community of residents started to collapse with some residents escaping from the community as a side effec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ment in which residents take the lead in the revitalization of their village; and thus, solve these problems. Village regeneration creates an urban space where the tradition, interest, and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 and art become alive through culture-oriented development and seeks after a development strategy to ensure coexistence between man and nature and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hus, improving the civic consciousness and cultural level of residents and bringing many positive effects through the advanced activation of local economy. Witnessing these effects in village regeneration, local governments started to competitively introduce the concept of village regeneration. Riding this wave,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area has become a core means of local development strategies. Furthermore, place marketing strategies, which make use of place brands as part of local cultural resources, have settled down as a major means of local revitalization strategy. The place brand of a village, which is a medium to show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and also the lives of its residents, can play important roles to promote the identity and image of the village. Customer needs are created with visual designs and brand elements to embody the local image to differentiate the village from other areas. This trend has evolved into local brands and strategies, seeking the brand of a local image.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investigator, who participated as the head designer of village brand in "Creative Cultural village of Balsan, which was part of Creative Economy-Based Local Revitalization Project in Balsan village, Seo-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dopting a designer's perspective, the investigator identified problems with the process of designing a village brand for village regeneration and searched for their solutions. The investigator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s of concepts and previous studies to find a theoretical direction. For village regeneration, the core elements were identified which would be essential to building a village whose top priorities were the lives of residents and the restoration of their community. For a village brand that was a means of village regeneration, the components of the biggest potential valu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village resources. A design guide was created to embody an integrated and consistent design across various areas to symbolize these components. Finally, the design guide for village brands was used to assess the "Balsan-Changjo-Munhwa-Mauel" (Creative Cultural village of Balsan) by finding out the shortcomings of the design products and the problems with the design process. These evaluation results and research findings can help to devise a design guide for village brands; and thus, promote smooth communication through systematic designs. They will also help to present the purports of design planning for village brands in a consistent direction and make a contribution to successful village regeneration. 2000년대 들어서는 도시 재개발에 의한 지역 양극화와 일부 소외감을 느끼는 시민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로 주민공동체가 붕괴되고 주민이탈 현상에 이르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을 중심으로 마을을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마을재생은 문화 지향적 개발로 전통과 관심, 유무형의 문화 예술이 살아 숨 쉬는 도시 공간을 창출하고 자연과 인간, 현대와 과거가 함께 공존하는 개발전략을 추구함으로 주민의 시민의식과 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며 지역경제 활성화의 발전으로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켜왔다. 이러한 효과를 본 기초자치단체에서 마을재생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는 지역개발전략의 핵심적 수단이 되었다. 더불어 지역의 문화자원이라는 장소 브랜드를 활용한 장소 마케팅 전략이 지역 활성화 전략의 주요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마을의 역사, 문화와 주민의 삶을 보여주는 매개체인 마을의 장소 브랜드는 마을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이 될 수 있다. 다른 지역과의 차별화하기 위해 지역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시각적 디자인과 브랜드 요소를 통해 고객의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지역 브랜드와 전략으로 발전하여 지역의 이미지를 브랜드화를 추구함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 서구 발산마을 일대에서 이루어진 창조경제형 지역 활성화 사업의 “발산창조문화마을”의 마을브랜드 총괄 디자이너로 참여한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마을재생을 위한 마을브랜드 디자인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방안은 먼저, 개념의 정의와 선행조사를 통한 이론적 방향을 파악하였다. 마을 재생은 주민의 삶과 공동체 회복을 우선으로 두는 마을을 만드는 데 필요한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마을재생을 이루기 위한 수단인 마을브랜드는 마을의 자원을 바탕으로 잠재력이 가장 큰 가치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구성요소를 상징화하는 다양한 영역의 디자인을 통합적이고 일관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는 디자인가이드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발산창조문화마을”을 마을브랜드의 디자인가이드에 대입하여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미흡함과 디자인 과정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평가하려고 한다. 평가를 통한 연구의 결과로 마을브랜드의 디자인가이드를 통해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원활한 소통구조 역할을 기대한다. 그리고 마을브랜드 디자인 기획의 수립취지를 일관성이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여 성공적인 마을재생을 할 수 있는 역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효과적인 이러닝을 위한 GUI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 사이버대학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조의근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속에서 이러닝(e-Learning) 시장의 성장과 함께 고등(高等)교육의 통합과 세계화 추세에 맞물려 사이버대학이 등장하게 되었다. 사이버대학은 1998년 가상대학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10여 년간 20 곳의 대학이 개교하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시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학습이 가능해진 이러닝의 취지가 바쁜 현대인에게 잘 부합되었음을 의미하며, 교수-학습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는 실질적인 콘텐츠의 개발품질과 서비스는 이러닝 발전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디자인에 대한 전문성이 없이 성급하게 개발된 콘텐츠가 우선으로 개선되어야 할 숙제이다. GUI 디자인에 있어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콘텐츠는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집중을 떨어트리고 시각적 고충을 유발시키게 한다. 따라서 자발적인 학습동기를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이러닝에서는 반드시 명확한 GUI 디자인의 기준이 적용된 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이러닝을 위해서 콘텐츠의 GUI 디자인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러닝 영역에서의 높은 교육 시장성과 그 취지에 부합하는 사이버대학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이버대학에서는 콘텐츠 GUI 디자인에 대한 기준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제시한 대학이 있다 하더라도 그 기준을 콘텐츠에 일관성 있게 적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분석을 통해서 밝혀진 콘텐츠 GUI 디자인에 대한 명확한 기준의 부재 및 적용의 미흡에 따른 문제점 중 가장 큰 요인으로 시각정보디자인의 기본에 충실하며, 편집디자인에 소양이 밝은 디자이너의 부족을 들 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 하여 본 연구의 콘텐츠 GUI 디자인 분석에 있어서 기준의 근거를 웹디자인에 한정하지 않고 시각정보디자인의 이론과 편집디자인 방법론에 삼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으로 발견된 문제점을 통해서 귀납한 GUI 디자인 지침사항과 체크리스트가 효과적인 이러닝을 위해서 모든 콘텐츠에 반드시 적용되고 권장되어야 한다.

      • Neo pop이 활용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 연구 : 키스 해링, 무라카미 다카시, 권기수의 작품중심으로

        안여준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modern society enjoys enhanced life quality and affluent life and therefore has heightened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Neo-Pop became an artistic genre and Neo-Pop artists develop everyday goods or art products rather than exhibiting their work at museums to make them appreciated in daily lives. They create a new opportunity to have their works get closer to consumers in that way. Recently, we can easily see the fashion designs which are inspired by art works. Since the appearance of Pop Art in the 60s, a core of consumption culture, Neo-Pop Art also influences and changes fashion significantly. The paper aims to study features of the formativeness of fashion design which utilizes Neo-Pop. Also, it is to analyze and suggest the trend of Neo-Pop Art being integrated and expanded into life culture and fashion design. Research methods include studying social and artistic academic publications, academic journals, thesis and relevant articles and analyzing fashion design cases including photos of designer’s collections since 2000. Recently, the most frequently witnessed phenomenon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is cooperation between arts and fashion. Therefore, the paper selected Neo-Pop artists, Keith Haring, Murakami Takashi and Ki-Soo Kwon as a case of arts cooperating with fashion. Based on the cases, the paper analyzes formativeness used in modern fashion design through works of the artists and their formativeness and formativeness of art products and fashion products. Looking at formative features of the art works, the first is symbolization of icon and pictogram. Artists give meanings to the work through symbolization and distort, modify, enlarge or maximize characters to symbolize their natives. Second, artists integrate oriental characters with western expression methods or mix and match cartoon, a subculture with high-class art to show new images. Lastly, artists excessively repeat characters to make them look grotesque rather than cute or repeat lines or icons to make them look graffiti. In developing art products and daily goods based on the formativeness of artworks, artists tend to make the boundary between commercialization and high-class art vague. As a result of analyzing cooperation cases with fashion companies, firstly, motives symbolizing designers and artistsare utilized. Secondly, oriental character and western cloth are mixed and traditional high fashion and sub-cultural cartoon character are mixed as a combination of oriental and western elements. Lastly, repetitive elements of works are utilized as a pattern and image of design is expanded or distorted to give a sense of grotesqueness. Based on the study, modern fashion design uses motives to have an effect of advertisement, changes characters and uses childish image to have grotesque or fun design, mix and match oriental and western elements to show fusion, avant-garde image and new silhouette and expresses kitschy image through mix of high fashion and sub culture. Repetition of motive is expressed as a new pattern and cute and grotesque image expresses rhythm and uniqueness. And repetition of line and icon is expressed as a new design of graffiti or typography. In conclusion, Neo-Pop is utilized in fashion design to express fundamental image, to arouse attention on designers, or to express different images through fun elements, image expansion, modification and distortion. The phenomenon will establish itself as a new cultural genre and be further tried and suggested in the fashion. 현대 사회는 삶의 질이 높아지고 여유 있는 생활을 하게 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 미술의 한 장르로 자리 잡은 네오 팝 아트의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미술관에 전시하는 것이 아닌 생활 자체에서 감상 할 수 있도록 생활 상품이나 아트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그로 인해 자신의 작품들이 소비자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 갈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 내고 있다. 최근에는 패션디자인에서도 미술 작품에 영향을 받은 디자인들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소비문화의 중심인 60년대 팝 아트의 등장 이후로 현재 네오 팝아트 또한 패션에 많은 영향과 변화를 주고 있다. 본 논문은 네오 팝이 활용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팝아트가 생활문화에서 패션디자인의 영역에서 접목되어 확대되는 경향을 분석하고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연구방법은 사회, 예술관련 학술서적, 학회지, 학위논문, 관련기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패션디자인의 사례 연구는 2000년대 이후의 디자이너의 컬렉션 사진 중심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최근 아트와 패션의 협력사례는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가장 활발하게 보여주는 현상으로 제시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아트와 패션의 협력사례가 있는 네오 팝아트의 작가인 “키스 해링”과 “무라카미 다카시”, “권기수”를 선정하고 그 사례들로 작가들의 작품과 조형성, 아트 상품과 패션상품의 조형성을 근거로 하여 현재 패션디자인에서 활용되는 조형성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작품에서 나타나는 3가지 조형성으로 첫째, 아이콘과 픽토그램의 상징으로 기호화하거나 의미부여, 캐릭터를 왜곡, 변형하여 확대, 극대화하여 작가의 네이티브를 상징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동양적인 캐릭터와 서구적인 표현기법의 결합, 또는 하위문화인 만화를 고급예술과 절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보여주는 미스 매치, 마지막으로 캐릭터를 과장되게 반복하여 귀여움보다는 괴기함을 느끼게 하며 선, 아이콘의 반복으로 낙서화의 형태로 나누어진다. 작품의 조형성을 토대로 아트상품과 패션상품의 전개에서는 작가 개인의 작품을 상품화 하여 고급예술의 경계성을 모호하게 하는 경향이 보여 진다. 패션기업과의 협력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 번째는 디자이너와 작가를 상징하는 모티브의 할용으로 보여 지고 두 번째는 동. 서양의 혼성으로 동양적인 캐릭터와 서양복식, 전통적인 하이패션과 하위문화인 만화적 캐릭터의 믹스매치하여 활용된 사례로 보여 진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작품의 반복성을 활용하여 패턴화 하여 디자인의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왜곡되어 괴기함을 보여 준다. 이를 토대로 현대 패션디자인은 모티브로 상징하여 광고적인 효과를 표현하거나 캐릭터의 변화로 유아적인 이미지와 괴기함, 재미를 부여하는 디자인이 보여 지고, 동. 서양의 믹스로 퓨전, 아방가르드한 이미지와 새로운 실루엣을 표현하고 하이패션과 하위문화의 믹스로 키치적인 이미지를 표현한다. 모티브의 반복은 새로운 패턴양식으로 표현되어 귀여움과 그로테스크함으로 리듬과 유니크한 표현으로 보여 지고 선과 아이콘의 반복으로 그래피티, 타이포그래피의 새로운 디자인으로 표현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네오 팝이 활용된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을 살펴본 바와 같이, 본질적인 이미지로 표현이 되거나 디자이너의 주목성을 높여주고 재미와 확대, 변형, 왜곡되어 서로 다른 이미지를 연출하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장르의 문화로 자리 잡아 패션에서 시도, 제시 될 것이다.

      • 하시모토 유키오의 식음공간에 나타난 실내디자인 표현특성 : 2000년 이후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고명애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산업사회는 경제적 성장과 함께 사회가 복잡, 다양해지면서 식음공간도 단순히 식사를 하는 공간에서 음식을 통한 문화와 소통 및 체험의 장으로 변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그 변화의 흐름을 타고 급부상하고 있는 실내디자이너가 일본의 하시모토 유키오(Yukio Hashimoto)이다. 그는 일본에서 식음공간으로 부각된 실내디자인 그룹 슈퍼 포테이토(Super Potato)에서 오랫동안 근무를 하면서 대표 디자이너인 스기모토 타카시(Takashi Sugimoto)의 자연 요소를 활용한 연출방법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이러한 자연 요소를 이용한 연출방법을 공간의 분위기 창출과 체험 요소를 그만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차별화 된 표현 방법을 가미, 특히 식음공간에서 효과적인 공간 연출로 부각되었다. 그의 이런 디자인적인 성과를 통하여 일본은 물론 한국과 대만, 중국 등에서 식음공간을 구현하여 높이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나 문헌 등이 국내에 없는 것에 주목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그것은 하시모토 유키오의 식음공간에 대한 디자인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최근 식음공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는데 있어 시금석과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하시모토 유키오의 식음공간에서 나타난  디자인 표현 특성들을 도출, 그 분석틀로 분석, 종합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빛과 물 같은 자연 요소를 자신만의 디자인 방법론으로 재정립, 자연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하였다. 둘째, 과거의 전통성과 현재의 표현기법의 조화를 통한 혼성적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셋째, 빛과 구조물로 실내공간에 축을 설정, 공간에 대칭적인 특징과 시선 유도 및 움직임을 유발 하는 강한 방향성을 부여하고 있다.  넷째, 무게감이 있는 재료 하부에 조명을 설치, 빛에 의한 부유감과 오브제화의 연출이다.  다섯째, 거울 같은 반사재로 인한 공간의 모호함과 깊이감을 이용한 일루젼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위의 분석 결과를 종합한 내용으로  살펴보았을 때, 하시모토 유키오는 빛과 물의 자연요소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 아닌 기술을 이용한 자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동시에 혼성적 디자인이나 빛에 의한 부유감과 오브제화 연출, 반사재에 의한 일루젼 기법 등에 의한 초현실적인 공간 연출로 식음공간에서 식사를 하는 것만이 아닌 비일상적인 체험이 가능한  분위기를 창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식음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으로 실내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디자인 어휘를 적용, 개발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food and beverage spaces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have transformed from a simple space for meals into a space of culture,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and diverse along side economic growth. An interior designer who is rapidly rising on this flow of change is Yukio Hashimoto. While working for interior design firm Super Potato, which highlights food and beverage spaces, he was much affected by the expression methods of representative designer Takashi Sugimoto, who makes use of natural elements. By using these expression methods that make use of natural elements in his own creation of spatial ambience and elements of experience and by adding his own differentiated expression methods, he emphasizes an effective spatial expression for food and beverage spaces. His design accomplishments have allowed his works to be highly assessed as food and beverage spaces in Korea, Taiwan and China as well as Japan, and the present researcher came to research his works as domestic studies and literature on them are lacking. Research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Yukio Hashimoto’s food and beverage spaces will be a touchstone for inquiring into the changes that appear in recent food and beverage spaces. Thus, the present study summarized the following results after deducting the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food and beverage spaces of Yukio Hashimoto. First natural elements like light and water are recreated as memories of nature after being established through a methodology that allows these elements to penetrate his own thoughts. Second, he pursues a hybrid design through the harmony between past tradition and current expressive techniques. Third, he expresses objets of light through a formative sense of shape expressed with light. Fourth, he establishes an axis in the interior space by light and structure and endows a strong directionality that induces symmetric characteristics, gaze, and movement. Fifth, he installs lights at the bottom of weighty materials and expresses a sense of floating by light. Sixth, he uses an illusion technique that makes use of the ambiguity and depth of space resulting from reflecting materials like mirrors. Considering the summary of the above analysis results, we may know that Yukio Hashimoto reproduces memories of nature using techniques as opposed to a simple expression of the natural elements of light and water as they are, while simultaneously expressing hybrid design, objets of light and a sense of floating on the one hand, and surreal spaces by illusion techniques with reflecting materials on the other hand, with the purpose of creating an ambience capable of not just having meals in food and beverage spaces but an experience of the unusual. The study hopes that such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ood and beverage spaces can be used as data for interior designers to apply and develop a new design vocabulary.

      • 국가브랜드 마케팅 전략으로서 세계박람회(EXPO) 전시관의 공간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88년 이후 EXPO 참가 한국관을 중심으로

        김재옥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세계화, 국제화, 정보화 시대로 대변되는 21세기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 속에서 수요 창출과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무형 자산인 국가브랜드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 경제가 전적으로 상품의 해외수출에 의존하는 나라에서는 국가브랜드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국가브랜드를 창출하는 평가지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타 물리적 요인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문화적 요인으로 EXPO 개최 및 참가는 국가브랜드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EXPO에서 각 국가의 전시관이 보여주는 공간디자인 및 전시연출 등은 국가 전시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이나 언론보도 자료를 통해 각 국가의 이미지가 홍보되고 평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XPO 전시관의 구성 요소와 공간마케팅에서 전략적 요인의 선행연구를 통한 국가브랜드 마케팅 요소를 도출, 분석의 틀로 하여 EXPO 참가 한국관의 공간디자인 특성을 분석,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EXPO와 국가브랜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 및 특성,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EXPO와 국가브랜드의 관계성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EXPO 전시관과 브랜드 및 공간마케팅의 이론과 특징을 살펴본다. EXPO 전시관의 공간 구성 요소와 공간마케팅에서 전략적 요인의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국가브랜드 마케팅 요소를 조형적 요인과 내용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특징을 알아본 후, 그 분석틀로 EXPO 참가 해외 국가전시관의 공간디자인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상기 연구의 범위로 정한 EXPO의 국가브랜드관리 시대로 분류되는 1988 브리스베인EXPO에서부터 2010 상해EXPO까지의 한국관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디자인 특성을 분석틀로 분석한다. 넷째, 연구의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과제를 제시한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형적 요인으로 외관 요소, 공간적 요소, 시각적 요소로 분류하였다. 첫째, 외관 요소의 경우, 한국 고유의 전통 건축양식에 시대적 변화에 따른 첨단과학의 건축기술과 주제 요소와의 결합을 통한 고유의 아이덴티티 부여로 하나의 독자적인 콘텐츠를 조성하였다. 이것은 조형성 측면에서 접근하였던 외관의 건축적 특성이 국가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상징성으로서 부각되고 있으며 조형성, 심미성 등 다양한 특성을 함축하여 흥미 유발과 관람객 유도 그리고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브랜드 형성의 역할 등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간적 요소는 단순히 콘텐츠 구성을 위한 공간에서 2000년대 들어 콘텐츠의 다양성과 더불어 콘텐츠화 된 공간, 그리고 관람객들과 융합된 공간으로 변화, 관람객들과 상호 교감하는 마케팅 공간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시각적 요소는 단순 2차원의 그래픽 요소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3차원의 그래픽 및 시각의 공간화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문양, 색채, 상징 등의 시각적 표현에서 영상과 조명에 의한 공간의 시각화, 시각적 요소의 디지털화, 미디어화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관람객의 시각에 호소하고 소통되는 시각적 아이덴티티 표현이 브랜드 형성의 중요한 요소로 대두하면서 강조되고 있다. 내용적 요인은 콘텐츠 연출 요소, 감성적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첫째, 콘텐츠 연출 요소는 전시매체의 변화와 경제성장 및 환경의 변화 등으로 다양화 되고 있으며, EXPO 주제에 대한 인식과 범위 내에서 한국의 문화, 경제, 사회상을 접목시켜 국가홍보에 중점을 두고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연출과 콘텐츠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면에서 시대적 차이는 있으나 국가브랜드 마케팅 전략의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감성적 요소의 경우, 2000년대 이전에는 실물전시 위주의 구성으로 인해 그 특성이 극히 일부분에 부각되고 문화공연을 통한 관람객들과 소통이 주가 되었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문화공연과 영상, 인터랙션 콘텐츠 및 공간의 형태 등을 통하여 관람객들에게 감성적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것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마케팅 전략으로 감성적 요소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국가브랜드 마케팅 전략으로서 한국관의 공간디자인 특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중요성의 표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외관 요소와 시각적 요소 그리고 감성적 요소의 경우,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전시관 구성 시 표현의 다양성이 중요시되면서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는 국가관의 상징성으로써 표현의 확대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관람객들의 감성이 다양한 영향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적 요소와 콘텐츠 연출요소는 시대에 따라 공간과 콘텐츠, 그리고 관람객들과 상호 교감하는 공간적 콘텐츠로 변화하고 있으며, 마케팅 전략으로서 전시관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인 The 21st century, called the era of glob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is rapidly changing dai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demand creation as well a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such global environment,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emphasizing the value of the nation branding, one of the intangible properties, more than ever. In particular, the nation brand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all for a country with the economy entirely depending on the product exportation. The evaluation index that creates the nation branding can be found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other physical factors. For the cultural factor, hosting an EXPO and participating in the event are regarded as a particularly critical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 branding. As a result, the spatial design and the exhibit direction of EXPO pavilion will promote national image and be evaluated by the visitors and the media that visit the EXPO. Taking the fact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carried out a pre-research on constituents of an EXPO pavilion design and strategic factors for the space marketing. Through the research, the study succeeded in drawing nation branding marketing factors and finally, analyzed the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pavilion in EXPO.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an EXPO and the nation branding was examined for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And it will be analyzed the connection between an EXPO and the nation branding. Second,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an EXPO pavilion as well as brand and space market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re-research on the strategic factors of space marketing and the spatial design elements of an EXPO pavilion, the nation branding marketing factors, which were later divided into formative factors and contents factors, were drawn. Afterwards, the spatial design of an EXPO participant's pavil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features of each factor. Third, the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with Korean pavilion in the EXPO as a research subject. The scope of the study is from the 1988 Brisbane EXPO to the 2010 Shanghai EXPO, which are referred to as the era of nation branding management on EXPO. Fourth, after new knowledge and other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searches in the study are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asks ahead are suggested. The followings are what the study has come up with as outcomes. For the formative factors, it is divided into external factor, spatial factors and visual factors. First, for the external factor, it is created with own contents that is comprised the given identity through periodically changed high-tech and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exterior, which is first approached from the aspect of formativeness, are being magnified as a symbolism to show a national identity. By combining the formativeness, the aesthetic appreciation and other features, the external factor aroused interests of the visitors, realizing an interaction with them. This is clear evidence for the external factor that it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a brand. Second, for the spatial factor, it was only considered a place for contents construction in the past. However, since the beginning of 2000's, it has been newly recognized as a place where various contents are blended with each other, where visitors feel free to get harmonized with the place and lastly, where the interaction with the visitors is achieved. In short, the pavilion, thanks to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the spatial factor, has come into spotlight as a marketing place. Third, for the visual factor, it was changed not simply a two-dimensional graphic factor any more but a media-utilized three-dimensional graphic one which includes the visual spatiality. This change was made by from visual expression such as the traditional patterns, colors and symbols to the spatial visuality and digitalization using pictorial images and lights. This visual identity direction which appeals to the visitors is being stressed as the important factor on forming a brand. The contents factor was categorized into a contents direction factor and a sensuous factor. First, the contents direction factor is being diversifi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exhibition subjects, economic growth as well as environmental changes. The main purpose of the contents direction factor is to use the best of Korean culture, economy and social image to promote the country with concerns about a topic, awareness and the range of EXPO. There exists a technical gap between the times about how to achieve such purposes and how to present the contents but still, the contents direction factor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element for the marketing strategy of nation branding. Second, a sensuous factor, before 2000's, was served generally fo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rough a cultural performance, even if it was dealt slightly with the products display. But, after 2000's, A sensuous approach to the audience either through the cultural performances, pictorial images and interaction contents or in the form of space improved this restricted means of communication. It is a positive proof that show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sensuous factor as a marketing strategy. The analytical results so far tell that the spatial design of Korean pavilion as marketing strategy for nation branding has taken a different way of expressing th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exterior factor, the visual factor and the sensuous factor have been magnified for composition of a pavilion ever since 2000's. As a symbolism of nationality, this is believed to happen as the sensitivity of the audience is influenced by the expansion of th

      • 스마트폰뱅킹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통합 뱅킹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연구 : 국내 스마트폰뱅킹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엄미선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Mobile phone is a device available for getting access to network with being minimally bound to space time. Due to this merit, the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s have been offered such as banking service, settlement service, etc. with the use of mobile phone from the early times of introducing mobile phone. However, the developmental speed was slow in both aspects of quantity and quality in service owing to a burden for communication expense caused by the slow speed of offering service, by the lack of information volume of being delivered, and by the excess of wireless data network fee.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communication led to improvement in speed of delivering information. The use of network such as data flat sum system and free-of-charge Wi-Fi led to reduction in a burden of communication expense. Improvement in performance of mobile phone led to allowing its developmental speed to be geometrically quick. Out of development in mobile phone, the appearance of smart phone available for using function of PC on mobile phone came to bring about a big change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use of three-dimens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Fi led to allowing the access to wireless network to be smooth and the more data processing to be possible. Especially, the smart phone of using Apple's iOS was adopted for the first time at home at the end of 2009. Smart phone of using open platform such as Apple's iOS and Google's Android OS from 2010 began to be supplied in earnest. As the supply of smart phone, which is mounted with this open platform, is expanded, the smart phone banking service of using smart phone is being emerged as new financial service channel in several banks. Major banks are competitively presenting each differentiated application in order to capture the mind of customers, who use smart phone banking. This phenomenon might be no matter in a customer who deals only with one bank. However, in a customer who deals with several banks, the application of each bank needs to be downloaded entirely by bank. Each different UI design is being adopted. Thus, there is a need of acquiring new technology and a desire for learning. The time-wasting and unity are lost, thereby leading to user's confusion. Smart phone banking service has lots of overlapping properties in similar-field system according to each content, thereby being judged to be effective to be integrated. Also, the integrated banking service is available for confirming by integrating financial assets, which are scattered in several financial institutions that an individual possesses. Thus, even a service will be possible that makes it available for managing more easily at a glance. And, to minimize inefficiency caused by excessive investment expense in each bank and to implement safe financial service environment, the integration in banking service may be considered a plan for developing and managing integration. This study sought for improvement in usability with recognizing problems and necessity for improvement by analyzing a case targeting commercial banks at home in order to pursue an improvement plan for UI design in using smart phone banking. The aim was to suggest a plan for reflecting users' needs by surveying and analyzing UI design in the aspect of preferenc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this research, the integration of smart phone banking application was suggested. UI design in the integrated banking application was proposed so that user can utilize application more easily and simply. The smart phone-integrated banking service was researched with the focus on usability from user's position. The aim is to be conducive to researching into useful and convenient application from the user's position, not the application of putting up a service with a desire for offering from the position of bank. 모바일폰은 시공간의 구애를 최소한으로 받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폰 도입 초기부터 모바일폰을 이용한 뱅킹서비스, 결제서비스 등의 금융거래 서비스가 제공되어왔다. 하지만 느린 서비스 제공 속도, 전달되는 정보량의 부족, 무선데이터망 사용료의 과다로 인한 통신비 부담으로 인해 서비스의 양과 질, 양측면에서 발전 속도가 더디었다. 하지만 3세대 통신이 도입되어 정보 전달 속도가 향상되고, 데이터 정액제 및 무료 Wi-Fi 등의 네트워크 사용으로 통신비 부담이 감소되었으며, 모바일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그 발전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게 되었다. 모바일폰의 발전 중에서 모바일폰에서 PC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 통신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3세대 이동통신망과 Wi-Fi 등을 이용하여 무선네트워크 접속이 원활해지고 보다 많은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2009년 말 국내에 애플의 iOS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최초로 도입되었고, 2010년부터 애플의 iOS 및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등 개방형 플랫폼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개방형 플랫폼을 탑재한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폰뱅킹 서비스가 여러 은행에서 새로운 금융서비스 채널로 대두되고 있다. 주요은행들은 스마트폰뱅킹 이용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각기 차별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하나의 은행과만 거래하는 고객이라면 모르겠지만 여러 은행과 거래하는 고객 입장에서는 각 은행의 어플리케이션을 전부 다운받아야하고 은행별로 각기 다른 UI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어 이용 시 새로운 기술습득 및 학습요구를 필요로 하고 있어 시간적인 낭비와 통일감이 상실되어 사용자에게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스마트폰뱅킹 서비스는 각 콘텐츠에 따른 유사분야 시스템의 중복성이 많아 통합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통합뱅킹서비스는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여러 금융기관에 흩어진 금융자산을 통합하여 확인할 수 있음으로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한 눈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뱅킹서비스의 통합화는 각 은행의 과도한 투자비용으로 인한 비효율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금융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도 통합개발 및 관리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뱅킹을 사용하는데 있어 UI 디자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국내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용성 향상을 모색하였으며, 설문 조사를 통해 선호도 측면에서 UI 디자인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뱅킹 어플리케이션의 통합화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 할 수 있도록 통합 뱅킹 어플리케이션의 UI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스마트폰 통합뱅킹서비스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었으며, 은행 입장에서의 제공하고 싶은 서비스를 내세우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 쓸모 있고 편리한 어플리케이션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안토니오 치테리오의 실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미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Progettazione is a term which has the meaning of ‘design or planning’ in Italian. The term is used in all fields of art such as painting, architecture and literature and means a series of work materializing ideas for the objects of production. Giotto, Leonardo Da Vinci and Michelangelo in the Middle Ages of Italy exerted their abilities as a mediator or a creator of holistic culture within the category of objective means called progettazione by expanding their domain of activities into artist, sculptor, painter and architect. For this reason, the Italians believe that architects are the ones who can mediate brilliant past and upcoming future and work as a medium based on abundant sensitivity, imagination and culture. In the early 1900s, although design area in Europe developed together with beginning of modern architecture, design in Italy was mostly developed by architects due to traits of social structure and the concept of industrial design was not systemized until 1940-50s. Design activities of these Italian archit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period and became the very foundation to establish identity of Italian style. We can confirm that Italian designers are still exerting strong influence in the field of design in Italy in that those who are called as pioneers of Italian modern design movement such as Gio Ponti, Franco Albini and Carlo Scarpa and second generation of architects who opened following age such as Alessandro Mendini, Gaetano Pesce, Ettore Sottsass, Bruno Munari, Enzo Mari, Joe Columbo and Achille Castiglioni are all from architecture background. In the 1990s, Milano rapidly emerged as the design capital of the world by post-modern design movement of Alchimia and Memphis groups which was operating in the city. Unlike post-modernist design trend of the time in Italian environment, Antonio Citterio who shows different modernist tendency is also a total designer who runs the gamut of furniture,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methodology of total designer Antonio Citterio who encompasses furniture,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e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his interior spaces. As a study method, this study drew out the characteristics of Antonio Citterio's interior spaces based on his background of design, influence and design philosophy and, based on them, analyzed and integrated interior spaces he designed.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is interior spaces are the spaces connecting urban flow which pursue continuity of urban context through understanding and reinterpretation of typical Italian urban factors such as piazza, inner court, portico and pillared corridor. Second,, in order to overcome problems that can become monotonous in a space, Citterio provides spatial experiences to feel visual and spatial variations using the ramp and bridge. Third, he created various senses of space with visual and spatial expansion using transparency in the walls made of glass. Fourth, with linear expressions, he designed spaces with beauty of proportion and balance through contrast and emphasis. Fifth, he made constructive expression through exposure of structures or stairs in the interior space. Sixth, his design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 of using furniture as the role of adjusting overall atmosphere of interior space, not as separated parts from it. The author hopes that abov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terior design which has the problem of tradition, history and public nature as well as realistic and reasonable approach to design. 프로제타지오네(Progettazione)는 이탈리아어로 디자인(Design), 플래닝(Planning)의 의미를 지닌 미술, 건축, 문학 등 모든 예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생산하고자 하는 대상을 위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일련의 작업을 뜻한다. 이탈리아 중세시대에 지오토(Giotto)나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는 예술가, 조각가, 화가, 건축가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 프로제타지오네라는 객관적 수단의 범주 안에서 총체적 문화의 중재자 또는 창조자로서의 능력을 발휘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탈리아인들은 풍부한 감수성과 상상력, 문화를 바탕으로, 찬란했던 과거와 다가오는 미래를 중재하고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건축가라고 믿고 있다. 1900년대 초 유럽에서는 근대 건축의 시작과 함께 디자인 분야도 산업의 발전과 함께 이뤄졌으나, 이탈리아는 사회적 구조의 특성상 대부분의 디자인이 건축가에 의해 발전되어 왔으며, 1940-50년대에 이르러서야 산업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체계화되었다. 이러한 이탈리아 건축가들의 디자인 활동은 경제적 성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지금의 이탈리안 스타일이라는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이탈리아 현대 디자인 운동의 선각자로 불리는 지오 폰티(Gio Ponti), 프란코 알비니(Franco Albini),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같은 건축가와 그 다음 시대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 제2기의 건축가들인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가에타노 페세(Gaetano Pesce), 에토레 소트사스(Ettore Sottsass), 부르노 무나리(Bruno Munari), 엔조 마리(Enzo Mari), 조 콜롬보(Joe Columbo),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 등도 모두 건축가 출신이라는 점에서 이탈리아 건축가들이 디자인 분야에서 여전히 영향력 있는 활동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80년대에는 밀라노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알키미아(Alchimia), 멤피스(Memphis)그룹의 포스트 모던 디자인 운동으로 밀라노는 세계 디자인 수도로 급부상하였다. 이러한 이탈리아의 환경 속에서 시대적 경향이었던 포스트 모더니즘 디자인과는 다른 모더니즘 경향의 디자인을 보여주는 안토니오 치테리오 역시 가구와 실내, 건축을 아우르는 토털 디자이너이다. 그는 그가 태어난 이탈리아의 지리적, 문화적 특성과 성장 과정의 영향으로 해박한 역사 지식을 가진 근대 성향의 토털 디자이너가 되었다. 그는 대학 시절 영향으로 이탈리아에서는 보기 드물게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미학을 지닌 근대 디자인을 흡수, 미니멀한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와 실내, 건축을 아우르는 토털 디자이너인 안토니오 치테리오의 실내공간에 특성을 분석, 종합하여 디자인 방법론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치테리오의 디자인 배경과 영향, 디자인 철학을 토대로 그의 실내공간 특성을 도출, 이 분석틀을 중심으로 그가 디자인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분석, 종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공간은 도시적인 흐름이 연결된 공간으로서 이탈리아의 도시 유형적인 요소들인 광장과 중정, 포르티코, 주랑 등의 이해와 재해석을 통하여 도시적인 맥락의 연속성을 추구한다. 둘째, 공간에서의 단조로워질 수 있는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서 경사로와 다리를 이용한 시공간적 변화를 느끼게 하는 공간 체험을 제공한다. 셋째, 공간에서 유리로 된 벽의 투명성을 이용한 시공간적 확장으로 다양한 공간감을 연출하였다. 넷째, 선형적 표현으로 대비와 강조를 통한 비례미과 균형미를 가진 공간으로 디자인하였다. 다섯째, 실내공간에서 구조나 계단의 노출을 통하여 구축적 표현을 하였다. 여섯째, 가구를 실내공간에서 분리된 부분이 아니라 전체 공간 분위기를 조정하는 역할로 디자인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렇게 상기한 연구의 결과가 전통과 역사, 공공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국내 실내디자인의 전개에 있어 현실적이면서 합리적인 디자인 접근과 함께 새로운 시사점을 주기를 기대한다.

      • 잡지 표지디자인의 시각표현 확장성에 관한 연구

        문경나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1인 미디어의 활성화는 인쇄매체를 통해서 발행되고 있는 잡지 출판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 2014년 콘텐츠 산업 통계 출판 산업 분야에 따르면 ‘1인 출판의 가속화에 따른 다품종 소량 생산 증가는 다양한 출판물이 유통되어 지게 하는 기반으로서, 출판시장의 전반적인 긍정성과 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출판시장의 변화는 새로운 독립 잡지시장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고 독립잡지는 독자들에게 트렌드를 전달하는 목적이 아닌 발행인의 관심사, 취미, 문화, 소수의 문제 등을 주제로 잡지를 발행하는 형태를 보였다. 이것은 감수성을 자극하며 독자들이 새로운 주제를 가진 잡지를 읽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독립잡지는 원고를 수집할 때 개인과 소수의 집단이 오랜 시간을 들여 기사를 작성하는 형태를 보이며 기존과는 다른 출판적인 환경을 보였는데 이는 잡지를 디자인 하는 환경에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잡지시장의 출판환경 변화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특징을 발생한 것인지 연구 배경으로 설정하였고 그 결과 독자들이 잡지를 처음 만나는 수단인 잡지 표지를 중심으로 시각 표현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출판 환경의 변화에 따라 표현된 디자인들은 어떠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중잡지, 독립잡지, 표지디자인의 이론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으로 독립잡지와 대중잡지의 표지디자인 현황 분석 후 표지디자인 시각표현단계를 통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잡지에서는 독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구성요소를 기사발문을 통해서 전달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독립잡지에서는 대중잡지에 비해 내용을 표현하는 기사 발문의 비율이 낮았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잡지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또다른 표현방법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독립잡지에서는 소규모 출판의 발행환경을 살린 표지디자인을 시도함으로써 표현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이는 독립잡지만이 가지는 시각적인 표현방법을 구현하며 고유한 잡지표지디자인적인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구성할 수 있었고 독자들에게 새로운 신선함을 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독자들에게 정보를 안내하는 잡지 표지디자인을 구성할 때 다양한 표현을 통해 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향상에 기여하길 바란다. The vitalization of memedia greatly influenced the magazine publishing issued by print media. According to 2014 publishing industry of contents industry statistic it says ‘Increase of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by memedia publishing’s acceleration is the distribution base of diverse publication, making general positivity and expectation of the market.’ The change of publishing industry serves as a momentum of emerging the new independent magazine market and the independent magazine has a form of issuing publisher’s interest, hobby, culture, and minor problems not like from delivering trend to readers. This stimulates readers’ sensitivity and gives chance to read new topics. The independent magazine puts a long time to finish an article by individual and a small group when collects manuscript. The independent magazine has different publishing environment from established and this affects the environment of designing magazine. So I set up the publishing environment change of magazine market as a research background and looked into the features on design side. As a result I centrally was going to look into the covers of magazine which are the first encounter with readers and how the visual expression changes with the features. Also, I was going to find the limits of them and the solutions. I apprehended the popular magazine, the independent magazine, and theology of book cover design to progress this stud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dvanced research. The next I could apprehend the commons and differences through cover design visual expression stage after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the independent magazine and the popular magazine. Finally I could apprehend the common thing that the magazine delivers visual component element through article postscript to give information to readers. But the independent magazine shows little article postscript ratio expressing contents than the popular magazine so that needs another expression way to deliver the contents of the magazine. Therefore the independent magazine could expand expression area by trying visual design reflecting issuing environment of small sized publishing. This embodies the visual expression way the independent magazine only has and could compose innate magazine design attribution and identity and gives freshness to readers.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mmunication improvement with readers through various expressions when composing magazine cover design guiding information to readers.

      • 카를로 스카르파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시공 디테일 특성에 대한 연구

        강병윤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Carlo Scarpa is an Italian regionalism architect, who had worked since 1920s. While then architectural trend was mainly led by rationalism focused on functional and technical aspects, Scarpa built his own formative world with designs and materials that reflected the region of Venice and it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His architectures included multi-cultural factors and expressions of regionalism that reflected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Venice, and artisan technique from the experiences of glass art. Based on those, his designs had the detailed expressions to build his own area of art. He continued to complete his own design philosophy by reflecting the influences from Frank Lloyd Wright and interests in Japanese culture via exhibitions with various artists and space designs and architectures. The delicate details close to craftwork that reflects those original design characteristics were alienated from the architects and critics of the times. Later,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of the originality and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induce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from the viewpoint of interior design focusing on his architectures' interior spaces, and analyze cases to make a comprehensive conclusions as well as seeking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modern worl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etails in stairs and stabs which are shown upward are expressed by having spaces between stairs or putting in a slim support or a pole under the lifted slab. He also used various expressions with various methods of details such as expressing the flotation of the slab or the stairs by hanging on the wall or the ceiling via integrated step boards and handrails by banding steel materials. He used the appropriat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to express the flotation via visual lightness of the materials or the spaces between them, which allowed him to express the details of the design. Secondly, he used details for separation and segmentation of boundaries mainly to stress the differences. Using different materials on the joints where different materials meet together, and expressing separations and segmentations, he adopted the design of a framed metal molding or a steel plate on the outer side or stressed the design with different levels in detail. Thirdly, as per the joint details for doors and space factors, he made the design so that the door can be recognized as a part of the space to make an object of the space factors of the wall, the open part or the door, or, so that people can feel the object when they open and close the door by using fixed joints and hinged joints on the wall or the pole that contain equipment, etc. inside. Fourthly, as for the details to express orientalism, he mostly adopted the linkage of a circular form, or a pair form to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of oriental Eum-Yang(Yin-Yang) philosophy. He also used a grid pattern on a Japanese style window using a curved wooden frame to express the orientalism. In addition, he also made a design that applied geological mosaic patterns on the wall and ceiling to express the feeling that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pace. These characteristics showed how he designed and worked with details via the analyses of the pictures and sketches. The analysis results are reflected to the artistic details of the Carlo Scarpa school these days, too.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that could help design works. As such, I hope this study may help his details to assist the designs and works in the Korean interior designs and architectures. Scarpa's artistic details are used still nowadays via these study results and I expect work details with reinterpretations of Scarpa's detail characteristics may be variously applied to interior spaces.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는 1920년대부터 활동한 이탈리아 지역주의 건축가이다. 동시대의 건축 성향은 기능적,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한 합리주의 경향의 건축이 주류였다면, 그의 디자인은 베니스라는 지역과 역사,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재료 사용과 디자인으로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구축하였다. 그의 건축은 베니스의 도시적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적 요소와 지역성의 표현, 유리공예를 경험한 장인 기술을 토대로 표현한 디자인이 나타난 디테일로 그만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였다. 그는 여러 작가들의 전시와 공간디자인, 건축을 통하여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영향, 일본 문화에 관심 등을 디자인에 반영, 자신만의 디자인 철학을 완성해 나갔다. 이런 독자적인 디자인 특성이 반영된 공예에 가까운 섬세한 디테일은 동시대의 건축가와 비평가들로부터 소외되었지만, 후에 독자성을 인정받아 많은 건축가와 실내 디자이너들의 주목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의 건축의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실내 디자인 관점의 시공 디테일 특성을 도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 종합하여 현대시대에서 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계단과 슬라브 등의 부유성의 디테일은 계단과 계단 사이 틈을 띄워서 표현하거나 슬라브를 들어 올리면서 하부에 얇은 지지대나 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철재를 밴딩, 디딤판과 난간을 일체화 해서 벽이나 천정에 매다는 방식을 사용, 부유성을 표현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디테일로 시공해서 표현하게 하였다. 그는 이렇게 적절한 재료의 물성을 이용하여 틈의 이격이나 재료가 가지는 시각적인 가벼움을 통해 부유성을 표현, 디테일을 시공하게 디자인하였다. 두 번째, 재료 경계의 분리와 분절을 위한 디테일은 차이를 강조하는데 많이 사용하였다. 매스들이 만나는 조인트 부분에 다른 재료의 사용과 분리와 분절로 표현하면서 외곽의 프레임 금속 몰딩이나 철판으로 디자인하거나 레벨을 다르게 디자인한 디테일로 강조를 하는 시공을 하게 디자인하였다. 세 번째, 도어와 공간 요소의 재료 조인트 디테일로는 공간 요소인 벽 또는 개구부나 도어를 오브제화하기 위해 도어가 공간의 일부로 인식되거나 설비 등이 내장된 벽체나 기둥을 고정된 조인트, 힌지드 조인트를 사용하여 개폐했을 때, 오브제같이 느껴지게 디자인, 시공을 하게 하였다. 네 번째, 기하학, 동양 사상을 표현한 디테일로는 주로 동양의 음양 사상의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원형의 연결이나 쌍구조의 사용으로 동양성을 표현하였다. 곡선의 목재 프레임을 이용한 일본풍의 창에 격자 패턴을 사용, 동양성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수 공간에 반사된 빛이 반영된 것 같은 느낌의 모자이크의 기하학적 패턴을 벽체와 천정에 적용시킨 디테일로 시공하게 디자인하기도 하였다. 상기한 특성들은 분석에서 사진과 스케치를 통하여 그가 어떤 방식으로 디테일을 디자인, 시공을 하게 했는지를 알게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이 반영된 카를로 스카르파의 장인적 디테일은 오늘날에도 나타나고 있으나, 시공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들이 많지 않았기에 이 연구를 통해서 향후 국내 실내디자인이나 건축에서 그의 디테일이 디자인뿐만 아니라 시공에도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스카르파의 장인적 디테일이 오늘날에도 나타나고 있고, 그의 디테일 특성을 재해석한 시공 디테일이 실내공간에 다양하게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