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어(漢語) 『노걸대(老乞大)』 언해류(諺解類) 제본(諸本)의 용례(用例)를 통(通)하여 보는 중세(中世) 및 근대(近代) 한국어(韓國語)의 조사(助詞) ‘란’ 사용범위(使用範圍)의 변화(變化) 시론(試論)

        杉山豊 ( Sugiyama Yutaka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중세 한국어에 존재하였던 조사 ‘란’은 주로 대격을 중심으로 한 논항에 나타나, ‘주제화, 지적, 대조, 대비, 배타, 배제’ 등의 의미·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왔다. 이 ‘란’은 현대어에서 상당히 제한된 환경에서 사용되는 후대형 ‘ㄹ랑’으로 이어진다. 본고에서는 중세 및 근대 시기 문헌에 나타난 ‘란’의 사용 범위 변화에 대하여 검토를 하였다. 용례를 검토함에 있어서는 漢語 『老乞大』 諺解類 諸本을 자료로 삼았는데 이는, 1) 근 300년간의 여러 단계의 언어들을 거의 동일한 맥락 안에서 서로 비교할 수 있다는 점; 2) 對譯 資料라는 성격을 살리어 한국어의 용례에 대해 보다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을 중시한 선택이다. 또한 동시에 대규모의 언어자료에 의한 망라적 연구로 들어가기에 앞서 소수의 자료를 통하여 통시적인 변화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가늠해 보는 방법론을 위한 시론이기도 하다. 검토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명령적인 문맥에서는 모든 판본에 있어 ‘란’이 활발히 사용되며, 16세기에는 ‘□’이 사용되다가 17세기 이후에 ‘란’으로 바뀌는 예도 존재한다. 2. ‘란’이 사용되던 자리에 나중에 다른 조사가 사용되게 될 경우 그 대부분은 ‘□’으로 바뀌는데, 바뀌는 시점에 따라 다시 두 가지의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16세기와 17세기 사이에서 바뀌는 것으로 비명령적 문맥에서 발견된다. 또 하나는 17세기와 18세기 사이에서 바뀌는 것으로, 원칙적으로는 非命令的 문맥에서 사용되었으나, 일부 화용론적으로 ‘당위성’을 띤 문맥에 사용된 예도 발견된다. 3. ‘란’이 사용되던 자리에 ‘□’이 사용되게 될 경우 모두 17세기와 18세기 사이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명령적이거나 당위성을 띤 문맥에서 나타난다. 명령문에 나타날 경우 서술어는 ‘運搬’의 뜻을 가진 동사가 사용된다. It is said that the particle lan(란) which existed in Middle Korean was used to topicalise, to point out, to contrast or to exclude, and was used mainly in the position of an accusative argument. The particle llang(ㄹ랑) in current Korean, which is derived from lan(란), is used in a quite limited environment. In this study, I analyse the diachronic change in the range of use of lan(란) which is observed in Middle and Modern Korean materials. Examples are collected from successive editions of Korean translations of the Chinese Lao Qid(老乞大). The reasons are as follows: 1) it is possible to compare diachronic variations of language in the same context; and 2) the side-by-side translation texts of Chinese and Korean make it possible to examine Korean sentences from many ang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all editions, lan(란) is used most frequently in imperative contexts. In some of these examples, non(□) was used in the 16<sup>th</sup> century edition, but lan(란) comes to be used in editions after the 17<sup>th</sup> century 2. In cases in which another particle replaced lan(란), particle non(□) was most frequently used. There are two turning points. The first change occurred between the 16<sup>th</sup> and 17<sup>th</sup> century in non-imperative contexts. Another change was observed between the 17<sup>th</sup> and 18<sup>th</sup> century, basically in non-imperative contexts, while a few examples appear in contexts which pragmatically takes on a meaning of oughtness. 3. In cases in which particle lol(□) replaced lan(란), all examples are observed between the 17<sup>th</sup> and 18<sup>th</sup> century, and they appear in contexts that take on a meaning of imperative or oughtness. In the example of imperative sentences, verbs that have the meaning of ‘convey’ are used as its predicate.

      • KCI등재

        Changes in Mothers' Psychosocial Perceptions of Technology-dependent Children and Adolescents at Home in Japan: Acknowledgement of Children's Autonomy

        Kaori Nishigaki,Yutaka Kanamori,Mari Ikeda,Masahiko Sugiyama,Hideko Minowa,Kiyoko Kamibeppu 한국간호과학회 2016 Asian Nursing Research Vol.10 No.2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reveal Japanese mothers' changing perceptions towards their technology-dependent children in the home care setting. Methods: Fourteen Japanese mothers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Results: “Degree of preoccupation with the child” emerged as the category representing the mothers' perceptions towards their child. Three categories emerged that represented the progression of maternal perceptions over time: “accepting the child's conditions”, “mastering the management of care in various conditions”, and “considering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child”. Conclusions: First, mothers gradually accepted the conditions of their child after his/her disease and disability were known. Second, others managed technology-required care and concurrently consider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ir child through daily care at home. Third, the level of preoccupation with the child was affected by the mothers' management of care and their attitude towards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ir child in home care. In this study, as is widely alleged in historical recognition of Japan, mothers provided daily care almost without help from other family members. Additionally, they thought it natural and good for their children. Above all, especially in Japan, professional support for mothers are necessary so that they can take breaks from care.

      • KCI등재

        월인석보 권20 훼손 부분의 복원과 이용

        ( Kawasaki Keigo ),( Sugiyama Yutaka ),정혜린 ( Jeong Hye-rin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7 No.-

        ≪月印釋譜≫ 卷20의 현존본은, 안타깝게도 <太子須大拏經> 해당 부분이 68장부터 83장까지 15장에 걸쳐 지면 하단 부분을 중심으로 심하게 훼손되어 있어 자료로서 이용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사실 이는 어느 정도 복원이 가능하다. 즉, 훼손 부분에 몇 글자가 들어가는지를 정확히 세어, 底經인 <太子須大拏經>을 자세히 검토하되 ≪釋譜詳節≫, ≪月印釋譜≫에서의 전반적인 底經 번역 양상도 함께 고려하면서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중세한국어에 대한 모든 지식을 동원하면, 상당 부분에 대해 어느 정도 객관성이 있는 복원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작업을 시도하여, 나아가 그 결과물 중에서 한국어사적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정보를 구체적으로 지적함으로써 이 복원 작업의 학술적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It is unfortunate for us that the only available book of the volume 20 of Worin-seokbo is seriously damaged from the page 69 to 83 mainly in the lower part of it, so we find it difficult to read the part of the Middle Korean translation of original Chinese sutra Taizi Xudana Jing (太子須大拏經, Prince Sudana Sutra), or to utilize it as a historical language text. It is, however, not impossible for us to restore the original text to some extent: At first we precisely count the number of letters to be restored, then translate the corresponding letters of Taizi Xudana Jing into Middle Korean with all the our grammatical knowledge available, carefully contrasting with general style and patterns of translation in Seokbosangjeol and Worin-seokbo. We will not only try to restore the original text as much as possible, but also try to find out some newly available historical linguistic facts from it so we can illustrate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 SCISCIESCOPUS
      • KCI등재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을 통해 살핀 전간공작(前間恭作)의 한국어사관의 일단면 ―전간공작(前間恭作) 인식 속의 ‘근대(近代)/근고(近古)’ 한국어―

        정경재 ( Chung Kyeong-jae ),스기야마유타카 ( Sugiyama Yutaka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3

        前間恭作(1868~1942. Maema Kyôsaku)의 『校註歌曲集』(1931)은 그 편찬의 구상 단계부터 한국어사 연구를 위한 의도가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저술은 오늘날까지 거의 문학사 연구 분야에서만 주목을 받아 왔을 뿐, 한국어사 연구의 관점에서는 검증, 평가를 받은 바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校註歌曲集』이 한국어사 연구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재조명하기 위한 시론이다. 『校註歌曲集』에 실린 가곡 사설들을 살펴보면 그 언어가 표기, 음운, 형태 등 여러 차원에 걸쳐 꽤 일관된 원칙에 따라 통일성을 갖추도록 인위적으로 정리된 흔적을 알아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언어사실들 중 특징적인 몇가지를, 『韓語通』, 『⿓歌故語箋』을 중심으로 한 마에마의 여타 저술들과 비교함으로써, 『校註歌曲集』에 반영된 마에마의 한국어사관을 살피고 이 자료가 그의 한국어사 연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의를 부각시키려 하였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校註歌曲集』 前·後集 도합 17권 중 前集과 後集 각각의 ‘流傳編’ 제1권만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얻어진 가설은 다음과 같다. 『校註歌曲集』의 한국어는, 마에마 스스로가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20세기 전반에서 본) ‘200~300년 전’의 언어를 지향하여 정리된 것이다. 이는 『韓語通』에서 말하는 ‘近古’, 『⿓歌故語箋』에서 말하는 ‘近代’의 언어에 해당한다. 마에마의 기술 내용을 통해 그가 말하는 ‘近古/近代’란 대략 17세기 말부터 19세기 중엽쯤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에마는 그가 살았던 동시대의 언어에 대해 『韓語通』, 오늘날 학계에서 흔히 칭하는 ‘중세어’에 대해 『⿓歌故語箋』이라는 논저가 있다. 한편 그 중간에 놓인 시기의 언어에 대해서는 이를 전문적으로 다룬 저술을 남긴 바가 없다. 『校註歌曲集』은 마에마가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전형적인 ‘근고/근대’어의 모습을 가곡의 자료집이라는 모습으로 구현해 내려 한 성과물이었다. 이것이 본고의 추론이다. 『校註歌曲集』은 비록 『韓語通』이나 『⿓歌故語箋』과 달리 문법서나 고문헌에 대한 문법 주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 않으나, 그 편찬 태도에는 마에마가 ‘근고/근대’어를 바라보는 관점이 여실히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더 치밀하고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그의 한국어사 연구의 일단면이 더욱 빛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Even from its planning stage, Maema Kyôsaku’s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1931) was intended as research material for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Despite this fact, this book has only been the subject of research for literary history up to this day and never has been verified or considered as research material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e gagok text in the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shows that the language was intentionally arranged to be consistent, following a fairly coherent principle across various dimensions, such as its notation, phonology, and form. This paper compared some of such characteristic linguistic facts with other publications of Maema Kyôsaku, such as Haneotong/Kangotû and Yonggagoeojeon/Ryûkakogosen, to highlight Maema’s position and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focused on each of the first volumes, which concern the “works of unknown authors”, out of the 17 volumes that comprise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As Maema disclosed in the book,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intended to describe the Korean language from 200 to 300 years before (as seen from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is is the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age’, as detailed in Haneotong/Kangotû, and ‘the early modern period’ as specified in Yonggagoeojeon/Ryûkakogosen. Maema’s description indicates that his definition of ‘the early modern age or period’ ranged from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Maema wrote Haneotong to focus on the contemporary language and Yonggagoeojeon/Ryûkakogosen to write about what today’s scholars call the ‘middle Korean language’. However, Maema did not leave any professional publications on the language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tudy posited that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was Maema’s attempt to realize the typical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age or period’ in the form of a sourcebook. While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may not take the form of a grammar book or a grammatical commentary as Haneotong/Kangotû and Yonggagoeojeon/Ryûkakogosen, Maema’s attitude of compiling the works for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fully reflected his views on the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age or period’. Aspects of Maema’s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may be further revealed through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