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ptimal Energy Taxation for Environment and Efficiency : Focusing on The Double Dividend Hypothesis

        Yongduk Pak 에너지경제연구원 2001 연구보고서 Vol.2001 No.11

        경제성장 초기에는 에너지의 소비가 저에너지가격정책 등을 통해 촉진되지만 경제성장이 어느 정도 성숙한 연후에는 에너지소비로 인한 경제 전반에 걸친 부정적 효과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시급히 요청된다. 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소비에 대한 적절한 관리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사회비용을 감안한 에너지가격의 현실화는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에 그 실현이 지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환경보호와 경제성장 문제가 대체적 관계가 아닌 보완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이중배당이론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에 적절한 에너지가격 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이론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중배당이론에 따르면 환경세수입이 기존 조세체계의 비효율성 완화의 목적으로 적절히 민간부문에 환급될 경우 환경개선과 경제의 효율성향상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데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의 동시달성의 가능성을 환경세수입의 운용방식을 통해 제시한 이론이다. 에너지소비의 적절한 관리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된 본 과제의 장기적 목표는 환경과 효율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에너지세제가 무엇인가 하는 것을 이중배당이론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한 장기적 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 본 과제는 그 준비 작업을 수행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이중배당이 가능한 경제적 상황 및 여건을 파악하고 적정에너지조세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위한 기본모형의 수립에 그 구체적 목적을 두고 있다. 적정물품세이론을 중심으로 검토한 적정에너지세제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중배당현상을 검토해본 결과 이중배당이 나타나는 특이한 시장상황의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재가 여가와 강한 대체성을 가지고 있거나 환경수준이 여가와 대체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중배당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환경이라는 변수가 주요한 생산요소가 되는 경우와 오염행위에 대한 보조금지급이 행해진 경우도 이중배당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국제교역조건개선에 환경세가 기여하는 경우도 이중배당이 가능하게 된다. 생산요소나 재화에 대한 비효율적인 과세도 이중배당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이밖에도 환경세가 에너지 절약기술 향상에 기여하거나 형평성 향상을 위한 높은 이전소득지출이 이루어지면 이중배당현상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립된 모형은 2개의 소비재화와 2개의 생산부문을 가정한 일반균형모형으로서 각종 최적화과정을 거쳐 도출된 편도함수 형태를 통해 환경세의 이중배당 가능성을 앞부분에 열거된 여러 상황 하에서 검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uring the initial economic development period, energy consumption had been promoted through the low price policy since sufficient and secure energy supply is considered as primary factor to economic expansion. However, since more energy consumption for economic growth can induce the harmful side-impacts, it is believed that the control of energy consumption is desperately necessary through pertinent mechanisms for th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Despite of the need for energy control, energy pricing based on its own cost and externalities will produce a huge and languid impact on industrial production. Because energy is main production factor in every industry sector, the induced cost increase tends to cause less production and more unemployment. This trade-off between environment and growth makes every government hesitate to establish relevant energy pricing system which reflects pertinent social cost including externality cos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double dividend hypothesis is suggesting how environment and growth can be reconciled in terms of welfare. The double dividend hypothesis claims that environmental tax can improve simultaneously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efficiency if the revenue from environmental taxation is used to reduce the efficiency burden of pre-existing distortionary taxation. In addition, the hypothesis provides a rationale for those energy taxes or subsidies to encourage a greater energy conservation or increased supply of alternative fuels. Traditionally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over what is the best policy measure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discussion has mainly focused on two alternative policies such as regulation and market incentives. Even though the actual dominant measures have been environmental regulatory standards, most economists have insisted the superiority of the pollution taxes over the regulations because the tax system induces the polluter to internalize all external pollution costs and provides a continuing incentive for polluter to develop cheaper forms of abatement technology. The double dividend hypothesis seems to suggest a third reason for the advantages of pollution taxes over regulatory standard on efficiency ground.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bout how to use energy tax system to reconcil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growth,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 emphasis of double dividend hypothesis. As preliminary work to attain this target, in this limited study I will investigate the specific conditions under which double dividend hypothesis can be valid, and set up the model for optimal energy taxation. The model will be used in the simulation process in the next project. As the beginning part in this research, I provide a brief review about energy taxation policies in Sweden, Netherlands, and the United States. From this review it can be asserted that European countries are more aggressive in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taxes like energy taxes for a cleaner environment than the United States. In next part I examined the rationale for optimal environmental taxation in the first-best and the second-best setting. Then I investigated energy taxation how it can provoke various distortions in markets and be connected to the marginal environmental damages and environmental taxation. In the next chapter, I examined the environmentally motivated taxation in the point of optimal commodity taxation view. Also I identified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taxation in various circumstances intensively to find out when the environment tax can yield double dividend after taking into account of even tax-interaction effects. Then it can be found that even though in general the environmental tax exacerbates the distortion in the market rather than alleviates, it can also improve the welfare and the employment under several specific circumstances which are classified as various ineffi

      • KCI등재후보

        The relevant factors of work-related fatigue for occupational vibration-exposed employees

        YongDuk Ahn,Jeongbae Rhie,Min-Gi Kim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2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34 No.-

        Background: To date,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factors linked to work-related fatigue on vibration-exposed work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assess the effects of vibration exposure time per week and work-related fatigue on workers and (2)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work-related fatigue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occupational vibration.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collected from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 total of 34,820 non-vibration-exposed and 10,776 vibration-exposed employee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The χ2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bration exposure time per week and the effects of factors of work-related fatigue on workers. Results: The prevalence of work-related fatigue in vibration-exposed workers (30.5%) was higher than that of non-exposed workers (15.9%). The prevalence of work-related fatigue was higher for female and worker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hift work, and those with authority to control their work pa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odds than those who did not. The employees who had the authority to control their order of work (odds ratio [OR]: 0.88; 95% confidence interval [CI]: 0.81–0.95) and method of work (OR: 0.90; 95% CI: 0.82–0.98)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odds than those who did not. The OR of workrelated fatigue symptoms was highest among employees whose vibration exposure time per week were 30.0%–40.0% (OR: 2.36; 95% CI: 1.96–2.83). Lower OR was observed as vibration exposure time per week de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an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vibration and work-related fatigue and longer vibration exposure time per week, causing an increased prevalence of work-related fatigue symptoms. Measures to protect workers exposed to occupational vibration from work-related fatigue must be taken.

      • KCI등재

        발언행동의 개념적 검토와 분석

        최용득(Yongduk Choi),이동섭(Dongseop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2

        발언행동(voice behavior)은 조직의 현상에 대한 구성원들의 도전적 의견을 총칭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포괄적인 개념에 해당한다. 포괄적 개념으로서 발언행동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접근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발언을 조직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하여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불만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안을 통해 조직의 발전을 도모하는 행동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그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두 접근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발언행동의 동기나 의도 혹은 기능에 기반하여 발언행동의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는 논의도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과 시도를 통해 발언행동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것과 동시에 개념적 혼란이 증폭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발언행동 개념에 대한 기존의 문헌을 검토, 분석하여 발언행동의 본질적 특성을 논의하고 개념의 재정립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발언행동이 내포해야 할 중요한 본질적 특성으로 발언의 조직기능과의 관련성 및 도전적 속성을 제안하고, 이러한 개념적 정의에 기반하여 고유의 특성을 지닌 발언행동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하나의 틀을 제시한다. 먼저, 발언의 조직기능과의 관련성은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종합하여 조직의 기능적인 측면들에 대해 제안이나 아이디어 제시에 초점을 두고 있는 촉진적 특성과 문제를 알리고 진행을 막기 위한 차단적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도전적 속성은 발언이 조직 구성원들 간에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도전적 의견을 제시하는 주도적 도전과 다른 사람의 의견에 소신껏 이의를 제기하거나 지지의사를 밝히는 반응적 도전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구체적 기준의 조합을 통해, 발언의 유형을 촉진적/주도적, 촉진적/ 반응적, 차단적/주도적, 차단적/반응적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개념적 특징을 반영하여 제안중심 발언(suggestion-focused voice), 문제중심 발언(problem-focused voice), 지원적 발언(supportive voice), 반대 발언(dissenting voice)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제안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논하고 향후 연구과제 및 방향에 대해 제언한다. Scholarly interest in employee voice behavior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Man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in this line of research, which has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employee voice behavior. However, this has also resulted in increased confusion about the concept of voice behavior. On the one hand, researchers attempted to conceptualize and classify employee voice behavior based on its motive, intention, or function. On the other hand, researchers have rarely conceptualized and classified voice behavior with a focus on its behavioral contents, which we suggest a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voice behavior. Since the intention and motive of voice behavior cannot be observed, the observer’s interpretation and attribution may cause conceptual confusion about voice behavior. In addition,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based on the function of voice behavior causes a problem of subjective evaluation by the person who receives the voice. Therefore, we review the extant research on voice behavior and attempt to improve the conceptualization of employee voice behavior by focusing on its behavioral components. We propose that the behavioral contents of voice behavior should contain challenging opinions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organization. Furthermore, we divide its challenging attributes into the initiative/reactive dimension and the attributes related to organizational functions into the promotive/prohibitive dimension. Positioning the initiative/reactive and the promotive/prohibitive dimensions in a two-by-two matrix enables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employee voice behavior by dividing the voice domain into four quadrants. Specifically, the proposed classification framework helps identify 4 different types of voice behavior: suggestion-focused voice (the initiative/ promotive dimension), problem-focused voice (the initiative/prohibitive dimension), supportive voice (the reactive/promotive dimension), and dissenting voice (the reactive/prohibitive dimension).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recommended.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최용득(Yongduk Choi),조영삼(Youngsam Ch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발언이 시도되는 관계적 맥락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사회적 공감 역량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그 과정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학관계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발언을 촉진할 수 있는 리더십 효과에 우선적으로 주목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리더의 역할을 넘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과 발언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의 부족한 이해를 메우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리더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 발언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대화 상대에 대한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에 기반을 둔 사회적 역량이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의 강화를 통해 발언으로 이어질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국내 교육콘텐츠 제작 및 설계 IT 기업에 근무하는 24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심리적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모두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언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으로 알려진 리더의 소통행동을 통제하고도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발언결정에 있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의 고유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조망수용 및 감성지능과 발언행동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기여하는 구체적 과정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리더에 대한 사회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을 결집시킴으로써 직간접적으로 발언행동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field of voice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employees with regard to voice behavior. Employee voice is defined as a social interaction with his or her leader. The existing literature has highlighted the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mainly from a leader-centered perspective, emphasizing the role of leaders as a facilitator for employee voice. As a result, not much is known about why certain employees are able to be more proactive in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ir leader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ll this research gap by focusing on an employee-centered perspective.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employees to recognize leader-relevant social factors, such as their viewpoint and emotions, in order to favorably interact with them. Thus, we propose that two core competencies in social interaction contribute to the ability of employees to actively share their opinions and ideas with leader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Furthermore, we propose that self-efficacy for voice could link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voice behavior. Using a sample of 246 employees working for an IT company produc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mployees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to voice behavior when controlling for perceived managerial openness, proactiv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Thus, their unique influences were identified. Second, self-efficacy for voic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voice behavior, respectively.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

        행동경제학의 이야기 짓기 관점에서 살펴 본 정책사례 - 경인 아라뱃길 사업을 중심으로 -

        신용덕 ( Yongduk Shin ),김진영 ( Jinyeong Kim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4

        행동경제학이 의사결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면서 비합리성이라는 개념은 Kahneman이 명명한 인간의 시스템 1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정부의 정책결정은 이야기 짓기라는 새로운 관점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오류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지각과 판단이 체계적으로 틀릴 수밖에 없는 이론적 논거를 인지 시스템적 사고에서 찾아보고, 그동안 정책결정과 관련하여 논의되지 않았던 Taleb의 이야기 짓기라는 새로운 관점과 특징들을 소개하였다. 정책적 응용사례로서 ``미니 4대강``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경인 아라뱃길 조성사업이 어떠한 이야기 짓기를 통해 정책결정으로 이어졌는지, 이로 인해 어떠한 문제점과 오류가 발생하게 되었는지 추론해보았다. 불완전한 정보와 예측이 정책결정과 계획의 실패로 이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기존의 실증적이고 실험적인 방법과는 다른 관점에서 개인의 의사결정 뿐만아니라 정부의 정책결정 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향후 정책결정 사례 분석에 있어 유용한 접근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new paradigm of decision making called ‘behavioral economics’ has confirmed that irrationality is caused by what is called system 1 by Kahneman. One noteworthy irrationality is narrative fallacy.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oject of Kyungin Ara Waterway called ‘Mini Four Rivers’ from the viewpoint of narrative fallacy. In the proces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explanatory tool for policymaking surrounded by lack of information and uncertainty.

      • KCI등재후보

        수송용 석유류 조세체계 현황과 적정개편 방향

        박용덕(Yongduk Pak),마용선(Yong-Sun Ma)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에너지경제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류세 조정을 통한 세수변화와 세수보전 방안을 중심으로 수송용 석유류 조세체계 개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에너지세제개편에 따른 파급효과의 구체적 분석을 위해서 수송용 석유류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단기탄력성의 경우 휘발유가 -0.5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유는 -0.377로 휘발유보다 조금 낮게, LPG는 -0.027로 탄력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수송용 석유류 조세체계 변화로 인한 중요한 파급효과는 세수의 감소인데, 세율 10% 인하시 휘발유는 리터당 82원이 하락하여 5,660억 원, 경유는 58원이 하락하여 8,733억 원, LPG(부탄)는 20원이 하락하여 1,416억 원의 세수 감소가 예상되어 총 1조 5,809억 원 정도의 세수손실이 예상된다. 또한 탄력세율 30% 인하를 적용하여 유류세율을 인하하는 경우 세율 인하폭이 보다 확대되어 총 1조 8,259억 원 정도의 세수손실이 예상된다. 이러한 세수 감소를 보전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유사휘발유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제 과세, 발전용 연료 과세, 유연탄에 대한 수입부과금 부과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용제 과세는 4,550억 원~9,850억 원의 세수보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발전용 연료 과세는 부과 방식에 따라 788억 원~6,067억 원 정도가, 유연탄 수입부과금 부과는 톤당 3,000원을 기준으로 2,428억 원 정도의 세수보전이 가능한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 수송용 석유류 조세체계의 적정 개편 방향을 모색해 본 결과 현대 논의되고 있는 유류세 인하를 실제로 추진하는 경우 세수보전 방안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선행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economic impact of the lower tax rate and the compensation options of lower tax revenue. At first, this study evaluated the economic impact of 1st and 2nd Energy Taxation Reform. First Reform seemed to achieve the reform target such as energy price mechanism, energy conservation, reliable support system. Second Reform also appeared to be successful in lower the diesel consumption. The estimation results of price elasticity of demand for transportation oil product showed us low elasticities such as -0.538 for gasoline, -0.377 for diesel, and -0.027 for LPG. There are currently two options for lower tax rate on transportation oil products. The first option is 10% reduction of current transportation tax rate, which results in the net reduction of tax revenue is 1,581 billion won. The second option is 30% reduction of initial tax rate, which results in 1,826 billion won lower tax revenue. To compensate this loss, we can have three options. The first option is the imposing of transportation tax on solvent, which is main component of fake gasoline. The expected loss from tax evasion of fake gasoline is between 455~985 billion won, which can be compensation to lower transportation tax revenue. The second one is the imposing tax on fuels for power generation, which results in 79~607 billion won additional tax revenue. The third one is the imposing tax on bituminous coal, which produces additional tax revenue of 243 billion won. In conclusion, the promotion of lower transportation taxation scheme must accompany the intensive study on tax revenue compensation options.

      • KCI등재

        통화정책의 지역별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김영덕(Yongduk Kim),최진석(Jinsuk Choi) 한국경제통상학회 2010 경제연구 Vol.28 No.4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통화정책효과의 지역별 차이를 실증분석하고 그 요인들을 규명함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전국 지역들을 두 개의 권역(수도권역과 非수도권역)으로 분류한 후 구조형벡터자기회귀모형(SVAR)의 누적충격반응을 통해 통화정책 효과의 지역별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또한 16개 광역시도별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통화정책효과의 지역별 차이를 야기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통화정책의 지역별효과는 존재한다. 특히 통화정책은 수도권역과 非수도권역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며, 수도권역이 非수도권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한다(1.6~2.3배). 또한 16개 광역시도에서는 충남이 가징 민감하게 반응하며, 부산이 가장 둔감하게 반응한다. 이와 같은 지역별 차이의 원인은 통화정책의 파급경로가 이자율경로보다는 신용경로를 통하여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행대출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 중 어떤 경로가 더 실효성이 높은지는 명확하지 않다. 아마도 두 경로는 상보적 관계를 형성하리라 추측된다. 우리의 연구는 미국에서 이자율경로의 타당성을 입증한 선행연구(Carlino and Define, 1998)와는 상반되는 결과이며 이는 국가별 통화정책효과의 이질성을 보여준다는 점 또한 통화정책효과가 전국적으로 同質的이지 않다는 점 등은 이론 및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uses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to examine whether monetary policy had symmetric effect across regions in the South Korea. The accumulated impulse response function from an estimated SVAR reveal the capital regions(Seoul, Gyeonggi, Incheon) are more sensitive to unexpected monetary policy changes than the non-capital regions. Concerning the reasons for the differential regions responses, we find that evidence for credit channels is strong. Evidence of money channel is, however, weak. Our findings are inconsistent with a money channel' evidence by Carilno and Define(1998).

      • Expression of constitutive endothelial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sciatic nerve of Lewis rats with experimental autoimmune neuritis

        Lee, Yongduk,Shin, Taekyun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2002 제주생명과학연구 Vol.5 No.-

        This study examined the expression of constitutive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nd inducible NOS (iNOS) in the sciatic nerve of Lewis rats with experimental autoimmune neuritis(EAN).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both eNOS and iNOS expressions in the sciatic nerves of rat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ak stage of EAN, but declined thereafter. Only minimal amounts of these enzymes were identified in normal rat sciatic nerves. Immunohistochemical studies showed that eNOS was increased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Schwann cells, but not in inflammatory cells, during the peak stage of EAN. However, iNOS was found mainly in inflammatory macrophages in sciatic nerve EAN le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pending on the stage of peripheral nervous system autoimmune disease, the increased expressions of both eNOS and iNOS might be involved in either the production of detrimental effects during the induction stage of EAN or in the recovery from EAN paralysis. ⓒ 2002 Elsevier Science B.V. All rights re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