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E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Cases of U.S., U.K., and Australia

        ( Myoungsoon Kim ),( Youseung Lee ),( Hayeon Lee ),( Shinhee Lee ),( Yoonji K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levant implications to South Korea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Encompassing all three ca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and the application of its results,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the major components of the core abilities required to the teacher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continuously carried out, the three countries are presenting career pathway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the three countries are adopting tailored approach for the enhance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which meets the needs of individuals as well as institutions in the field.

      • Validation of the Climate for Creativity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

        ( Myoungsoon Kim ),( Younglim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

        This study validated a ‘The climate for creativity in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with 5-to 6-year-old children who live in Seoul, Gyonggi, and Incheon. Responses from 329 mothers were used to conduct exploratory and com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model with 4 factors was satisfactory: support of perseverance in creative efforts, encouragement of nonconformism, encouragement to fantasize, encouragement to experience novelty and variety. The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using ‘creative home environment scale’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each factor of the scale was also confirmed.

      • KCI등재

        국내 뉴스미디어의 기후변화 보도 내용분석: 신문·방송·인터넷뉴스의 프레이밍, 효능감 정보 제시를 중심으로

        유명순 ( Myoungsoon You ),윤혜정 ( Hyejeong Yoon ),천진희 ( Jinhee Chun ),주영기 ( Youngkee Ju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7 언론과학연구 Vol.17 No.3

        국내 신문(6), 지상파TV(3), 케이블방송(2), 인터넷뉴스 채널(2)이 기후변화를 어떻게 프레이밍하는지, 그리고 효능감 정보는 얼마나 제공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의 현황과 여파의 심각성에 초점을 맞춘 `진단` 프레임과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의 측면에 치중하는 `예후` 프레임의 분석을 위해 각 5개 문항을 개발, 예(1)/아니오(0)코딩을 통한 기사별 점수를 산정하였다. 효능감 정보는 문제 해결을 위한 특정 주체 혹은 정책 등의 가능성이나 능력이 전달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전체 334건의 다매체 기사를 분석한 결과, 진단 혹은 예후라는 특정 프레임의 선호 현상 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매체별로는 지상파 TV와 인터넷 뉴스채널에서 예후 프레임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효능감 정보를 제시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KBS를 보수언론으로 분류할 경우, 보수성향의 언론이 예후 프레임을 선호하는 현상도 확인되었다. 미디어 유형과 정치성향이 기후변화 보도에 미치는 영향을 해외 연구와 비교해 논하고, 위험거버넌스의 차원에서 기후변화 보도에 대한 지속적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News coverage of climate change has rarely been examined with multiple types of Korean news media. We examined 334 “climate change” news stories by news six newspapers, three broadcasting TVs, two cable TVs, and two internet news channels. These media were categorized into progressive, conservative, and moderate and their coverage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framing and efficacy information. Five questions for each frame were developed and each news story was coded into yes(1) or no(0) in regard to each question for framing. Sum of the coding scores represented the degrees of diagnostic/ prognostic framing for each news stories. In general, the Korean news media preferred neither diagnostic nor prognostic framing. When the news coverage was examined in terms of news media types, however, broadcasting TV and the internet news channels displayed a distinctive preference for prognostic framing. When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was considered as a conservative news medium, the Korean conservative news media favored prognostic frame and they provided more efficacy information in the climate change news coverag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arlier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lighit of coping with the global environmental risk.

      • KCI등재

        감정 촉발 요인-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의 상호작용이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명순(Myoungsoon You),주영기(Youngkee Ju)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2

        일반인 위험 인식의 주요인으로 알려진 감정 촉발 요인이 개인의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과 상호작용을 통해 위험 인식과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이 위험 인식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는지도 알아보았다. 전국 단위 면대면 설문 조사(N = 1,000)를 통해 네 가지 식품 관련 위해 요소와 화장품 부작용에 대한 위험 인식과 응답자들의 정보 처리 성향 등을 조사하였다. 이들 위해 요소가 갖고 있는 감정 촉발 요인으로는 낯섦, 신뢰 상실, 어린이에 미치는 영향, 참사 가능성, 공포의 다섯 가지가 조사되었다. 설문 분석결과 , 학교 식당 노로 바이러스, 믹스커피 봉지의 오용, 화장품 부작용의 세 경우에서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이 강할수록 위험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 스프 내 발암 물질도 같은 양상이 거의 유의수준에 가까운 정도로 목격되었다.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은 감정 촉발 요인과 상호작용의 사례도 발견되었다. 전체 25가지 상호작용 가능 사례 중 11가지 경우에서 이 두 변인의 상호작용이 위험 인식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방향은 공포를 유발하는 감정 촉발 요인의 경우엔 위험 인식을 낮추는 쪽으로, 분노를 유발하는 감정 촉발 요인의 경우엔 반대로 위험 인식을 높이는 쪽으로 관련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계적 정보 처리 성향의 주효과와 조절 효과의 다중적 방향성이 갖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investigated how outrage factor, known as a kind of influences on risk perception, interacts with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in guiding risk perception. Whether systematic processing has a main effect on risk perception was also examined. A nationwide person-to-person survey (N=1,000) was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ordinary people’s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and their risk perception on four types of food risk and side effect of cosmetics. Familiarity, trust, effect on children, catastrophic potential, and dread are examined as the outrage factors. As a result, the greater systematic processing, the higher risk perception in the case of Norovirus in school cafeteria, misuse of plastic coffee bags, and side effect of cosmetics. The association between heuristic processing and risk perception almost reached a significant level in the case of Benzopyrene in noodle soup. In guiding risk perception, systematic processing showed an interaction with outrage factor, as well. A total of 11 interactions out of 25 cas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perception. A more intensive systematic processing reduced outrage effect on risk perception in the case of dread-eliciting outrage factors, while it increased outrage effect when it comes to anger-eliciting outrage factors. The implication of the main effect of systematic processing and its two-way interaction with outrage factor in guiding risk perception was discussed.

      • 리눅스 사용자 공간에서 FTL 개발 플랫폼 설계 및 구현

        최명순(Myoungsoon Choi),차재혁(Jaehyuk Cha)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B

        모바일 디바이스 저장 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는 가벼운 무게, 내구성, 낮은 전력 소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근래에는 모바일 뿐 아니라 다양한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전반의 많은 제품에 채용되어 더욱 더 그 범위가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위에서 언급한 많은 장점이 있지만 기존에 사용되던 디스크와 달리 플래시 메모리 블록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삭제 후 쓰기라는 별도의 연산을 필요로 한다. 이를 FTL (Flash Translation Layer) 이라는 S/W 모듈을 통해 구현되어 있으며 FTL 의 구현 알고리즘에 따라 소용되는 연산 비용 또한 상이하며 그 특성과 성능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FTL 은 커널 내부에 구현되어 디바이스 드라이버 형태로 존재하며 일반적인 S/W 개발자보다는 플래시 및 커널 관련 전문지식을 가진 시스템 개발자가 구현을 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커널 및 시스템에 대한 깊은 지식 없이도 새롭게 고안된 FTL 알고리즘을 쉽고 빠르게 구현, 검증할 수 있도록 커널이 아닌 사용자 공간에 FTL 을 구현하여 빠른 시간 내에 착안된 알고리즘을 실험, 검증할 수 있는 UFTL(User Space Flash Translation Layer) 개발 플랫폼을 제안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초등학생 아동의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명순 ( Kim Myoungsoon ),신혜영 ( Shin Hyeyoung ),신보원 ( Shin Bow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McFarland 외(2011)가 개발한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의 요인 구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고,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광주, 전주, 부산 지역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1~3 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 76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PACOR 척도에 대해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6.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는 4요인 20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1~3학년 아동들의 주중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질적으로 우수한 놀이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실외놀이 태도도 함께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developed by McFarland et al(2011)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outdoor pla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66 mothers with children aged 6~8 liv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Gwangju, Jeonju, and Busa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program and AMOS 26.0. The normality of the data was review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Attitude towards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was composed of 20 items with 4 factors,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Second, mother's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weekday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and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eekend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outdoor play participat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high quality play environment in local community and strengthen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 KCI등재

        국어과 교육 내용 범주 구분 양상과 개선의 시사점

        김명순(Kim, Myou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고에서는 그간에 국어과 교육에서 내용 범주가 설정되어 온 양상을 살펴보고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점을 알아보는 데 관심을 두었다. 그리고 외국의 주요 자국어 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국어과에서 내용 범주로 고려된 것은 지식, 기능, 태도, 실제, 맥락이었으며 대체로 지식, 기능, 태도 범주가 실제 범주와 대응되는 구도를 이루어 왔다. 세부적으로, 국어과의 내용 범주 구분에 인간 능력에 대한 일반 논리가 근간으로 작용해 있으며, 성격이 다른 실제라는 범주가 별도로 설정되어 왔고, 태도 범주는 독립된 범주로서 안정성이 약한 경향이 있었고, 기본적으로 영역 간 내용 범주가 동일한 특징이 있었다. 외국의 주요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가장 현저한 특징은 영역마다 내용 범주를 다르게 설정하고 있었다는 점이며, 범주의 수도 영역마다 다르게 설정된다는 점이었다. 이를 통해 내용 구분의 논거를 인간 능력 구성의 일반 논리에 기대는 외에 영역의 특수성에 기반할 수 있다는 점, 실제 범주의 실효성을 고려할 때 대안이 요구된다는 점, 정의적 내용의 범주에 대한 다른 접근이 유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changed on the content category from the 7th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in categorizing education content. First, the content in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has been categorized into ‘knowledge’, ‘skill’, ‘attitude’, ‘practice’, ‘context’. Second, these categorization is based on the general hypothesis that human ability is composed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ird, specially, the ‘practice’ category is set to apply and exercise skill. Forth, the ‘attitude’ category has weak independence. Lastly, it has been samely categorized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Regarding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have been suggested.

      • 우리나라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현황과 발전 과제 : 보건학·사회과학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유명순(You, Myoungsoon),조원섭(Cho, Wonsup)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1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연구목적: 직무 스트레스는 근로자와 조직, 나아가 한국 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해칠수 있는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직무 스트레스 연구를 학문 분야별로 살펴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연구재단』이 제시한 연구 분야 대분류 기준에 따라 보건학 분야 학술지게재 논문 176 편과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 게재 논문 219 편, 총 395 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 분석을 위해 이경묵(2008)과 유명순(2010)이 제시한 논문 분류 틀을 참고•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내용은 크게 (1) 연구 구조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론의 세 가지 측면이다. (1)에서는 게재 시기, 저자 소속 분야, 발표 학술지, 연구 종류, 연구설계, (2)에서는 핵심어, 근거 이론, 주요 변수, 분석 수준, 연구 대상자, 연구 목적 및 시각, 연구 함의, (3)에서는 측정 도구, 자료 수집 방법 및 종류, 자료 수집 범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직무 스트레스 연구 논문은 1990대 이후 뚜렷한 양적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논문의 저자 소속 분야와 학문 분야를 비교한 결과 학제간 연구가 본격적이지 않은것을 알 수 있었다. 학문 분야를 막론하고 연구의 대부분이 현황 조사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구 분야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척도인 분석 수준의 경우에도 대상 논문의 82%가 '개인'을 분석 단위로 삼고 있어서 편중을 보였다.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인과적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논문의 비중은 사회과학이 75.8% 보건학이 46%로 차이가 있었다. 사회과학 논문에 비해 보건학 분야 게재 논문에서 질환, 장애, 통증 등 신체적 건강 상태가 직무 스트레스의 중요 변수로 더 많이 확인된 것 역시 또 다른 차이점이었다. 그러나 두 분야 공히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이나 이직 의도 등 직무 태도의 주요 영향요인이라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끝으로, 연구 주제와 대상이 다양하지 못했고 연구 방법론 제고를 다룬 논문이 드물었으며 직무 스트레스 예방 관리 프로그램과 같은 실무 현안을 연구하려는 시도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첫째, 이론의 명료성, 검증 가능성, 포괄성 및 창의성을 고려한 직무 스트레스 이론 개선, 둘째, 이론과 자료의 수준을 보다 잘 합치시키려는 노력과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려는 시도, 셋째, 학문 분야별로 빈번히 적용되는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비교 평가, 넷째, 현행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질 평가 등을 향후 연구 과제로 제안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 학제간 공동 노력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oblem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job stress published in Korea. Methods: A total 395 articles(176 public health, 219 social science) selected from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gistered Journals' were reviewed. The papers were classified by criteria, focusing on research frameworks, topics and methodologies. Result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articles since the 1990s. However,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overed: lack of theoretical frameworks about the factors relating to job stress, the paucity of attention to sophisticated methodologie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strong measurement tools, and incoherence among the level of theory, level of measurement, and/or level of statistical analysis. Conclusion: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efforts to (1) encourag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study on job stress, (2) to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empirical investigations (3) to initiate new approaches such as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ve research, and (4) to improve methodological rigor,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