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Empirical Study of Technology Diffusion and International Trade in Korea: Using Patent Application Data

        Weifeng Zhu,Keunyeob Oh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9 經濟論集 Vol.48 No.3

        International trade is an important conduit for international technology diffusion. Considering the endogenous growth theory, a rapid increase of foreign patent applic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in Korea, it seems meaningful to study the role of international trade in the technology diffusion from foreign countries to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e and technology diffusion by using Korean patent data and trade data. We found that the international trade of Korea with foreign countries was very significant variable.

      • KCI등재

        The Effects of Technology Gap between FDI firms and Domestic Firms on the Technology Spillovers

        Chao Wu,Keunyeob Oh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영경제연구 Vol.41 No.2

        FDI 기업의 기술파급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는데, 이는 기업의 기술 흡수 능력 차이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 제조업의 기업데이터를 활용하여 FDI 기술 파급효과가 기업들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흡수능력에 달려 있는지 연구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과 FDI 업체 간 기술격차를 흡수능력의 대리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먼저, 기술격차와 파급효과 사이의 선형 관계를 가정하고 분석하였을 경우, 흡수 능력이 약할수록 기술파급효과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차 함수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술 파급과 흡수능력의 상호작용 항이 총요소생산성(TFP)과 역 U-형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파급효과가 최대화 되기 위한 최적수준 격차라는 것이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FDI기업과 국내기업들의 기술격차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으면 기술 파급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을 의미한다. The studies on the technology spillover of FDI firms show inconsistent results, which may be because of the different technology absorption capacity of enterprises. This paper used firm-level data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from 2005-2014, which were derived from the Korea Information Service Financial Analysis System (KIS-FAS) database. In order to study whether the impact of FDI technology spillover on productivity depends on the absorptive capacity. Technology gap between domestic firms and FDI firms is used as a proxy variable for absorptive capacity. When we assume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gap and spillovers, it appears that the weaker the absorptive capacity, the smaller the impact of FDI on technology spillovers. However, the results of the quadratic model analysis show that the interaction term of absorptive with technology spillovers have an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to the TFP. This result seems that there could exist a certain extent appropriate level of gap. If the gap is too large or too low, technology spillover would not be quite larg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국 제조업 기업의 수출과 생산성 관계 실증분석

        孫福來 ( Fulai Sun ),吳根燁 ( Keunyeob Oh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1 국제경제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이 높은 기업은 수출시장에 진입하여 이윤을 추구한다는 Melitz(2003) 이론이 바탕이 된 자기선택가설과 기업들이 수출하는 과정에서 학습효과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상승한다는 학습효과가설에 대해 중국의 기업수준 미시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고 검증하였다. 수출변수로는 매출액 대비 수출비율, 수출여부 더미변수 등을 사용하였으며 생산성을 위한 변수로는 DEA 방법에 의해 계산된 ‘상대적 효율성’(EF)과 ‘생산성 변화’를 나타내는 MPI지수를 사용하였다. 1998년~2013년 중국 ‘공업기업데이터베이스’의 기업 수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들 사이의 상대적 효율성과 수출비율 사이에 음(-)의 관계를 발견하였다. 이는 기존의 중국 연구들에서의 결과와 유사하며 ‘생산성과 수출 사이의 역설’ 현상을 보여준다. 둘째, 기업들의 전년대비 생산성 변화 지수를 분석한 결과, 수출은 생산성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며, 생산성도 수출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생산성과 수출의 역설’에서의 두 변수 사이의 음(-)의 관계와 자기선택가설이나 학습효과가설에서 보여지는 두 변수 사이의 양(+)의 관계를 모두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즉, ‘역설’은 기업 사이의 상대적 효율성 지수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었으며, 수출과 생산성 사이의 양의 관계는 기업들의 생산성변화 지수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vity and exports in the Chinese manufacturing firms focusing on two aspects. First, we deal with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hich is called as ‘the paradox between productivity and the exports’ in the existing literature. Second, we investigate ‘self-selection hypothesis’ and ‘learning effects hypothesis’ that occur in the exporting process of Chinese firms, which produc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e compiled and analyzed nearly 4.5 million firm-level data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and calculated two indices by using DEA method. They are the 'relative efficiency(EF)' among the firms and the MPI index indicating the change in productivity, in order to solve the apparently contradicting relationship.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data from 1998 to 2013. First, when we use the ‘relative efficiency’, the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efficiency and export ratio was found. Second, when we use MPI index, which is the productivity change index, we fou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 produ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xports, and the exports also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roductivity. Last, a Granger causality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productivity and exports affect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interaction. These results would explain the 'paradox between productivity and exports'.

      • KCI등재

        한국 제조업 기업에서 토지보유가 투자에 미친 영향

        김태기(Taegi Kim),오근엽(Keunyeob O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한국경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한국에서 기업의 토지보유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의 대상 기간은 1980년부터 2008년까지이고, 대상 기업은 제조업의 132개 기업이다. Modigliani-Miller 정리에서는 투자의 크기는 자금조달 방법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유럽 등과 달리 자금 대출에서 담보제공 요구가 일반적인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기업의 토지보유가 담보가치 기능을 하여 투자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회귀 분석 결과는 한국의 경우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토지보유나 현금보유가 투자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이러한 영향이 약간 감소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size of investment in Koreans firms is related with the land value of the firms. For the period of 1980 to 2008, we analysed 132 Korean firms’ data. According to Modigliani-Miller, the investment has nothing to do with the financing methods under the assumption of perfect information. But we expect the investment of the Korean firms depends on the land value since there could asymmetry of information in Korean firms case and the commercial banks tend to ask the firms to provide the land as the collaterals, as in Japanese firms cases. The results of rigorous regressions in this paper shows that Korean firms’ investment relies on the land value and cash flows in the firms. But this effects seems to have been smaller after east Asian currency crisis.

      • KCI등재

        총요소생산성(總要素生産性)을 이용한 FDI 기술파급효과(技術波及效果) 분석 : 한국 제조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초 ( Chao Wu ),오근엽 ( Keunyeob Oh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7 국제통상연구 Vol.22 No.1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고용창출을 할 뿐만 아니라 기술파급효과를 통해서 기업 및 산업의 생산성을 상승시키고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FDI의 수평적, 수직적 기술파급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에서 노동생산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총요소생산성을 이용하여 영향을 분석하고 노동생산성 이용결과와도 비교한다. 분석결과, 동일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수평적 기술파급효과의 경우,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음의 방향의 값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른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수직적 기술파급효과를 보면, FDI기업으로부터 부품이나 자본재를 공급받는 하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전방연관효과라고 할 수 있는데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에서 이 효과는 그다지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FDI기업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기업(상류산업)들에 미치는 영향, 즉 후방기술파급효과는 모든 분석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개도국들의 자료를 이용한 선행 연구들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It seems that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not only helps to increase the employment in the host country, but als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enterprises through technology spillover effect. As for Korea, FDI has rapidly grown after foreign currency crisis. This paper analyz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echnology spillovers effects of FDI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Korea. In particular, unlike other research which used the labor productivity as a measure of productivity, this study use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case of labor productivity. We found that in the static analysis and dynamic analysis, horizontal technology spillover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labor productivity and TFP. Forward linkag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or negative in both of static and dynamic analysis for our data. Conversely, backward linkage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for labor productivity and TFP in both of static and dynamic analysis.

      • KCI등재

        수출기업 임금 프리미엄 분석

        양령(Ling Yang),오근엽(Keunyeob O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8 한국경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조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사이의 임금격차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수출기업이 내수기업에 비해서 임금이 높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전통적인 설명은 수출기업은 노동생산성이 더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생산성 변수를 통제하고 나서도 수출기업 여부에 의해서 임금 격차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수출기업 임금 프리미엄(export wage premium)이라고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프리미엄의 존재 여부를 실제 기업 데이터를 이용한 패널회귀 분석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흥미 있는 사실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사이의 임금 격차가 이전에는 컸으나 점점 작아지고 있다. 둘째, 임금 격차는 생산성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지만 그 외 요인, 즉 수출기업 고유의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즉, 수출기업 임금 프리미엄이 존재하였다. 셋째, 하지만 이러한 프리미엄의 크기는 작아져 왔으며 최근에는 발견되고 있지 않다. In this study, the wage gap between exporters and non-exporters is analyzed by using a panel data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economic theory, wage gap can come from the difference in labor productivity. It seems natural that firms can provide higher wages when the labor productivity is higher. This paper, however, investigated if there could be wage premium in the exporting firms even when the effects of the productivity difference were controlled. Using the panel regression methods, wages are regressed on the exporter dummy variables, labor productivities, and other factors such as firm size and location. As a result, some interesting finding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wage gap between exporter and non-exporter existed in the 2000s and the productivity difference was the main factor explaining the gap. Second, some inherent factors of being an exporter could also contribute to the wage gap and this part can be considered as export wage premium. Third, the wage gap due to these factors has been decreased and we cannot see the wage premium in the exporting countries in the data of recent years.

      • KCI등재

        미국 TBT가 한국의 부가가치 기준 수출에 미치는 영향

        백운(Yun BAI),오근엽(Keunyeob OH) 한국경제통상학회 2020 경제연구 Vol.38 No.1

        WTO 출범이후 무역기술장벽(Technical Barrier to Trade; TBT)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최다 TBT 통보국이다. TBT는 표준관련 규제로서, 한편으로는 무역에 대한 장벽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무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TBT가 2002 ~2014년 동안 한국의 대미 제조업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총액 기준 무역 및 부가가치 기준 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미국의 TBT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둘째, 하지만 그 효과는 산업별로 달랐는데 세계시장에서 한국과 미국의 수출경합도가 높은 산업에서는 낮은 산업에 비해 TBT가 수출감소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총수출액 무역의 비교 분석에서는 총수출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고, 최종재와 중간재 수출의 비교 분석 부분에서는 최종재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number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notifications applying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increased exponentially. In particular, TBTs are notified a lot by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S). Moreover, the share of Trade in Value Added (TiVA) in Korean trade has been also de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global value chai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BT on the exports,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VA. To this end, w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by using the data of TBT notifications to WTO by US and using the data of Korean manufacturing export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14.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BT notifications by US, in general, has positive impact on Korean manufacturing exports to US. In other words, TBT of USA did not worked as a barrier to trade. Rather, it seems that those TBTs show the structur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Korea and US. Second, the effects of TBT is larger for the final goods than for the intermediate goods. Third, we could not see any big difference between ‘gross term export’ and ‘export in value added’ in the sense of TBT effects. Fourth, in the industries where the export structure of two countries to the world market is similar, i.e., if the Export Similarity Index is high, then the positive effects of TBT is smaller.

      • An Empirical Study of Technology Diffusion and International Trade in Korea : Using Patent Application Data

        Zhu, Weifeng,Oh, Keunyeob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09 經濟論集 Vol.48 No.2·3

        International trade is an important conduit for international technology diffusion. Considering the endogenous growth theory, a rapid increase of foreign patent applic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in Korea, it seems meaningful to study the role of international trade in the technology diffusion from foreign countries to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e and technology diffusion by using Korean patent data and trade data. We found that the international trade of Korea with foreign countries was very significant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