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요소생산성(總要素生産性)을 이용한 FDI 기술파급효과(技術波及效果) 분석 : 한국 제조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초 ( Chao Wu ),오근엽 ( Keunyeob Oh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7 국제통상연구 Vol.22 No.1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고용창출을 할 뿐만 아니라 기술파급효과를 통해서 기업 및 산업의 생산성을 상승시키고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FDI의 수평적, 수직적 기술파급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에서 노동생산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총요소생산성을 이용하여 영향을 분석하고 노동생산성 이용결과와도 비교한다. 분석결과, 동일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수평적 기술파급효과의 경우,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음의 방향의 값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른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수직적 기술파급효과를 보면, FDI기업으로부터 부품이나 자본재를 공급받는 하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전방연관효과라고 할 수 있는데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에서 이 효과는 그다지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FDI기업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기업(상류산업)들에 미치는 영향, 즉 후방기술파급효과는 모든 분석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개도국들의 자료를 이용한 선행 연구들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It seems that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not only helps to increase the employment in the host country, but als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enterprises through technology spillover effect. As for Korea, FDI has rapidly grown after foreign currency crisis. This paper analyz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echnology spillovers effects of FDI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Korea. In particular, unlike other research which used the labor productivity as a measure of productivity, this study use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case of labor productivity. We found that in the static analysis and dynamic analysis, horizontal technology spillover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labor productivity and TFP. Forward linkag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or negative in both of static and dynamic analysis for our data. Conversely, backward linkage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for labor productivity and TFP in both of static and dynamic analysis.

      • KCI등재

        수출기업 임금 프리미엄 분석

        양령(Ling Yang),오근엽(Keunyeob O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8 한국경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조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사이의 임금격차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수출기업이 내수기업에 비해서 임금이 높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전통적인 설명은 수출기업은 노동생산성이 더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생산성 변수를 통제하고 나서도 수출기업 여부에 의해서 임금 격차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수출기업 임금 프리미엄(export wage premium)이라고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프리미엄의 존재 여부를 실제 기업 데이터를 이용한 패널회귀 분석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흥미 있는 사실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사이의 임금 격차가 이전에는 컸으나 점점 작아지고 있다. 둘째, 임금 격차는 생산성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지만 그 외 요인, 즉 수출기업 고유의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즉, 수출기업 임금 프리미엄이 존재하였다. 셋째, 하지만 이러한 프리미엄의 크기는 작아져 왔으며 최근에는 발견되고 있지 않다. In this study, the wage gap between exporters and non-exporters is analyzed by using a panel data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economic theory, wage gap can come from the difference in labor productivity. It seems natural that firms can provide higher wages when the labor productivity is higher. This paper, however, investigated if there could be wage premium in the exporting firms even when the effects of the productivity difference were controlled. Using the panel regression methods, wages are regressed on the exporter dummy variables, labor productivities, and other factors such as firm size and location. As a result, some interesting finding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wage gap between exporter and non-exporter existed in the 2000s and the productivity difference was the main factor explaining the gap. Second, some inherent factors of being an exporter could also contribute to the wage gap and this part can be considered as export wage premium. Third, the wage gap due to these factors has been decreased and we cannot see the wage premium in the exporting countries in the data of recent years.

      • KCI등재

        한국 제조업 기업에서 토지보유가 투자에 미친 영향

        김태기(Taegi Kim),오근엽(Keunyeob O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한국경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한국에서 기업의 토지보유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의 대상 기간은 1980년부터 2008년까지이고, 대상 기업은 제조업의 132개 기업이다. Modigliani-Miller 정리에서는 투자의 크기는 자금조달 방법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유럽 등과 달리 자금 대출에서 담보제공 요구가 일반적인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기업의 토지보유가 담보가치 기능을 하여 투자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회귀 분석 결과는 한국의 경우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토지보유나 현금보유가 투자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이러한 영향이 약간 감소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size of investment in Koreans firms is related with the land value of the firms. For the period of 1980 to 2008, we analysed 132 Korean firms’ data. According to Modigliani-Miller, the investment has nothing to do with the financing methods under the assumption of perfect information. But we expect the investment of the Korean firms depends on the land value since there could asymmetry of information in Korean firms case and the commercial banks tend to ask the firms to provide the land as the collaterals, as in Japanese firms cases. The results of rigorous regressions in this paper shows that Korean firms’ investment relies on the land value and cash flows in the firms. But this effects seems to have been smaller after east Asian currency crisis.

      • KCI등재

        미국 TBT가 한국의 부가가치 기준 수출에 미치는 영향

        백운(Yun BAI),오근엽(Keunyeob OH) 한국경제통상학회 2020 경제연구 Vol.38 No.1

        WTO 출범이후 무역기술장벽(Technical Barrier to Trade; TBT)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최다 TBT 통보국이다. TBT는 표준관련 규제로서, 한편으로는 무역에 대한 장벽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무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TBT가 2002 ~2014년 동안 한국의 대미 제조업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총액 기준 무역 및 부가가치 기준 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미국의 TBT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둘째, 하지만 그 효과는 산업별로 달랐는데 세계시장에서 한국과 미국의 수출경합도가 높은 산업에서는 낮은 산업에 비해 TBT가 수출감소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총수출액 무역의 비교 분석에서는 총수출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고, 최종재와 중간재 수출의 비교 분석 부분에서는 최종재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number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notifications applying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increased exponentially. In particular, TBTs are notified a lot by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S). Moreover, the share of Trade in Value Added (TiVA) in Korean trade has been also de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global value chai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BT on the exports,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VA. To this end, w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by using the data of TBT notifications to WTO by US and using the data of Korean manufacturing export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14.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BT notifications by US, in general, has positive impact on Korean manufacturing exports to US. In other words, TBT of USA did not worked as a barrier to trade. Rather, it seems that those TBTs show the structur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Korea and US. Second, the effects of TBT is larger for the final goods than for the intermediate goods. Third, we could not see any big difference between ‘gross term export’ and ‘export in value added’ in the sense of TBT effects. Fourth, in the industries where the export structure of two countries to the world market is similar, i.e., if the Export Similarity Index is high, then the positive effects of TBT is smaller.

      • KCI등재

        중국 제조업 기업의 수출과 생산성 관계 실증분석

        孫福來 ( Fulai Sun ),吳根燁 ( Keunyeob Oh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1 국제경제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이 높은 기업은 수출시장에 진입하여 이윤을 추구한다는 Melitz(2003) 이론이 바탕이 된 자기선택가설과 기업들이 수출하는 과정에서 학습효과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상승한다는 학습효과가설에 대해 중국의 기업수준 미시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고 검증하였다. 수출변수로는 매출액 대비 수출비율, 수출여부 더미변수 등을 사용하였으며 생산성을 위한 변수로는 DEA 방법에 의해 계산된 ‘상대적 효율성’(EF)과 ‘생산성 변화’를 나타내는 MPI지수를 사용하였다. 1998년~2013년 중국 ‘공업기업데이터베이스’의 기업 수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들 사이의 상대적 효율성과 수출비율 사이에 음(-)의 관계를 발견하였다. 이는 기존의 중국 연구들에서의 결과와 유사하며 ‘생산성과 수출 사이의 역설’ 현상을 보여준다. 둘째, 기업들의 전년대비 생산성 변화 지수를 분석한 결과, 수출은 생산성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며, 생산성도 수출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생산성과 수출의 역설’에서의 두 변수 사이의 음(-)의 관계와 자기선택가설이나 학습효과가설에서 보여지는 두 변수 사이의 양(+)의 관계를 모두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즉, ‘역설’은 기업 사이의 상대적 효율성 지수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었으며, 수출과 생산성 사이의 양의 관계는 기업들의 생산성변화 지수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vity and exports in the Chinese manufacturing firms focusing on two aspects. First, we deal with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hich is called as ‘the paradox between productivity and the exports’ in the existing literature. Second, we investigate ‘self-selection hypothesis’ and ‘learning effects hypothesis’ that occur in the exporting process of Chinese firms, which produc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e compiled and analyzed nearly 4.5 million firm-level data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and calculated two indices by using DEA method. They are the 'relative efficiency(EF)' among the firms and the MPI index indicating the change in productivity, in order to solve the apparently contradicting relationship.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data from 1998 to 2013. First, when we use the ‘relative efficiency’, the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efficiency and export ratio was found. Second, when we use MPI index, which is the productivity change index, we fou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 produ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xports, and the exports also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roductivity. Last, a Granger causality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productivity and exports affect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interaction. These results would explain the 'paradox between productivity and expor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산업별 연구개발투자가 부가가치기준 수출에 미치는 영향

        洪曼玉 ( Manyu Hong ),白雲 ( Yun Bai ),吳根燁 ( Keunyeob Oh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1 국제경제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 수출을 국내부가가치 수출(DVA), 외국부가가치 수출(FVA) 부분으로 나누어서 R&D 투자가 이들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동안 18개 제조업에 대해 실증분석하였으며, OECD 기준에 의해 18개 제조업을 R&D 집약도에 따라 상위, 중상위, 중위, 중하위 집약산업 등으로 분류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R&D는 총수출을 증가시키며 이는 국내부가가치 수출 부분과 외국부가가치 수출 부분 모두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영향은 산업 구분 후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둘째, 총수출, 부가가치 수출에 대한 R&D의 영향력은 상호간에 다르다. 전체 산업의 경우, R&D 1% 증가 시 국내부가가치 수출 증가율보다 외국부가가치 수출 증가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R&D 증가가 GVC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수출액수로 보면 R&D의 영향력은 국내부가가치 수출에 대해서 더 큰 효과가 존재한다. 산업별 분석에서도 동일하다. 셋째, R&D의 영향력은 상위 및 중상위 R&D 집약 산업에서의 수출에 대한 영향력이 하위 및 중하위 산업에서의 수출에 대한 영향력보다 더 크다. 넷째, 세계 GDP 변수는 한국 수출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외국부가가치 부분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다. 이는 한국수출 증가는 GVC 참여도 증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recent years, the knowledge-based economy has been accelerated and global competition has been intensified. In order to enhance the export competitiveness, R&D investment has been growing on a global scale. In 2017, South Korea’s R&D expenditure was 84.3 trillion US dollars accounting for 4.60% of GDP, which made the R&D intensity ranked top in the world. R&D investment can increase productivity of the firms, bring profits and higher market value which are not only increasingly important to the company, but also significant to a country. It not only contributes to the increase in total exports, but also R&D investment has a good impact on national value-added exp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the country’s exports in gross term, imported intermediate (FVA;foreign value added), and exports in value-added(DVA;domestic value added). Through the analysis of 18 industries of the manufacturing during the period of 2000-2014, we found that R&D investment had the positive impacts on the exports in all the cases; in gross term, in FVA, and in DVA. The effects in terms of ’elasticity’ look larger in gross exports and FVA than in DVA. But in terms of the absolute values of the effects are shown greater in the case of DVA. In addition, we obtained the results that the effects of R&D on the exports are larger in the High-tech and Medium-High tech industries than in Medium tech and Medium-Low tech industries.

      • KCI등재

        외자은행 진입이 중국 은행 생산성에 미친 영향 분석

        정연(Ran Cheng),우챠오(Chao Wu),오근엽(Keunyeob Oh) 한국경제통상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2008-2015년 중국의 대표적 은행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자은행 진입이 중국 은행의 생산성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DEA 방법의 SBM모형을 이용한 Malmquist지수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여러 변수에 대해 회귀 분석하였다. 특히 무수익여신을 바람직하지 않은 산출 변수로 포함하여 본 논문의 차별성이 부 각될 수 있었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외자은행의 진입이 대체로 중국 은행들의 생산성에 (+)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외자은행은 무수익여신이 고려되었을 때의 생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은행들의 생산성 증가는 효율성 증가보다는 기술진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China became a member of the WTO in 2002, it experienced an acceleration in the opening of banking industry. This paper collected a panel data of 14 Chinese banks from 2008 to 2015 in order to analyse the effects of FBE(foreign bank entries) on the productivities of Chinese banks. First, we used the DEA-SBM model to measure the Malmquist-Luenberger index considering non-performing loans(NPL) and the Malmquist index without taking these loans into account. Second, through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e tested the effect of foreign banks entries on the Chinese banks. The results of our paper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ntries of foreign banks and the two Malmquist indices. The size of the effects was larger when we consider the NPL as undesirable output in the analysis. In addition, the increase of the productivity seems to be from the technology progress rather than the efficiency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